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9 No.3 pp.462-473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5.29.3.462

The Influence of Forest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nges in the Awareness of Forest1

Ju-Ri Yu2,Chong-Min Park3*
2Dep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 jeonju-si 561-756, Korea (gkdl1211@hanmail.net)
3Dept. of Forest Environment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 jeonju-si 561-756, Korea(cmpark@jbnu.ac.kr)
*Corresponding author : Tel: 82-63-270-2639, Fax: 82-63-270-2592, E-mail: mpark@jbnu.ac.kr
October 16, 2014 December 18, 2014 December 27, 2014

Abstract

The research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a forest experience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surveys before and after forest experience for 311 people on 2nd and 3rd grades of two elementary school in Jeonju city, then the conclusion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s are as follow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 experience show a positive change in all areas after the forest experience, for example, awareness of the forest and behavior recognition in the forest, the need for commentary about the forest. Especially, the area of the behavior recognition has much significant result than the other areas. In the details of the behavior recognition, a behavior recognition and environmental awareness for the life of the forest have been greatly improved.

From the results described above, the forest experience can be seen a great help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to have a respect and dignity of life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us, the nature experience such as the forest experience is needed to enhance the life respect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foster sensitivity to natural cycles. In order that much more elementary school student can participate in evironmetal education through the forest experience, it would suggest to perform the forest experience as creative and experiential activities in the school curriculum.


숲체험이 초등학생의 숲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1

유주리2,박종민3*
2전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3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초록

본 연구는 숲체험을 학교 교과과정 중에 실시하였을 때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환경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숲체험이 초등학생의 숲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자료는 전주시내 2개 초등학교 2~3학년 311명을 대상으로 숲체험 전과 후에 설문 조사를 통하여 얻었으며, 이 자료들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숲체험에 참여한 학생들은 숲에 대한 인식, 숲에서의 행동인식, 숲해설의 필요성의 모든 영역에서 숲체험 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숲에서의 행동인식 영역이 숲에 대한 인식과 숲해설의 필요성에 대한 영역보다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숲에서의 행동인식의 세부항목에서 숲 속 생물에 대한 행동인식과 환경인식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초등학생의 숲체험은 생명존중의 의식을 갖게 하고 자연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생명존중의식 및 환경의식을 향상시키고 자연에 대한 감수성을 길러주 기 위해서 숲체험과 같은 자연체험이 필요하므로, 더 많은 초등학생이 학교의 창의적체험활동에서 숲체험을 할 수 있도록 확대 시행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서 론

    우리나라에서 환경교육은 1991년 페놀 유출사고 이후에 수질오염·대기오염·오존층파괴 등 포괄적인 지구환경문제 를 주제로 하여 본격적으로 시행되었고, 그 후에 생태체험· 자연체험·농촌체험 등의 자연을 체험하는 환경교육으로 변 화하였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대응 방안 으로 산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숲체험을 통한 환 경교육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숲은 극심한 경쟁과 바쁜 일상이 반복되는 도시생활을 영위할 수밖에 없는 도시민들에게 심 리적 안정과 정서적 충일감을 안겨 주는 새로운 안식처로 인식되고 있다(Shin, 1999). 미국의 유명한 환경론자인 Aldo Leopold는 숲에는 완벽한 생물과 무생물의 조화가 있고 생태계를 구성하는 모든 인자들이 각각의 역할을 어떻 게 수행하는지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숲은 거대한 실험실 이며 교실’이라고 했다(Sen, 1999). 숲을 구성하고 있는 이 러한 여러 가지 생물적·무생물적 요소와 함께 숲이 제공하 는 유익함을 체험하는 것이 숲체험이다. 숲이 제공하는 유 익함이란 물질적·환경적·보건 의학적·정신적·심리적 효과를 말하며, 숲체험은 이를 몸소 체험함으로써 도시생활에서 쌓 인 피로를 씻어내려는 활동이다(Kim, 2004). 따라서 숲체 험은 자연을 대표하는 숲이라는 공간에서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환경, 즉 생물과 비생물적인 자연자원을 통해 인 간의 생활과 자연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여 환경 친화적 태도와 실천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교육의 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숲체험을 통한 환경교육은 최대한 많은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하고, 숲을 학습과 체험의 공 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숲체험 기회 가 제공되어야 한다. 숲체험은 아동의 감성지능과 생명에 대한 존중 인식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교육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Kim, 2011). 따라서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체험형 환경교육의 기회를 평등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 교 교과과정의 창의적체험활동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학교에서 실시하는 환경교육은 모든 학 생에게 평등한 교육의 기회가 제공될 뿐 아니라 교육효과도 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은 취학 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제공되므로 광범위한 영 향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중요하고, 환경 및 생태계 일반에 대한 기본개념이 형성되고 교육되는 초등학생 시기에 이루 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Seo, 1999).

    2011년부터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는 주당 3시간의 창의적체험활동을 실시해야 하지만, 적합 한 프로그램을 찾지 못하고 기존의 봉사활동이나 특별활동 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행히 산림청의 산림교육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일선 학교로 찾아가는 숲해설이 권장되고 있어서, 숲체험이 창의적체험 활동의 부족한 프로그램을 보완할 대안이 되고 환경교육과 산림교육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다양한 영역에서 숲체험이 이루어지고 관심이 높아 지면서 숲체험 관련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었다. 연구의 주 요 분야는 학교숲을 이용한 체험활동에 관한 연구(Hwang and Ryu, 2004; Bae, 2006; Namgung, 2006; Kim, 2006; Park, 2008), 숲체험 프로그램 개발과 그 시연에 관한 연구 (Kim, 2007), 숲체험의 효과에 관한 연구(Choi, 2003; Kim, 2011) 등이다. 숲을 자주 접할 때 숲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보면, 학교숲이 가꾸어진 학교 에 다니는 초등학생의 경우 접근·철회성, 주의집중성, 지속 성 기질 등이 높게 나타나 숲의 변화무쌍한 형태와 다양한 생물이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관찰하는 태도를 이끌 어내서 학생의 학습효과 및 과학적 사고에 도움이 되는 것 으로 알려지고 있다(Kim, 2000; Kim, 2002; Shin and Ryu, 2004). 숲체험의 효과에 관한 이들의 연구 결과에서 숲체험 이 청소년의 창의력 향상, 인성함양, 건강증진, 생명존중 인 식, 환경의식 및 환경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동안의 연구는 숲체험의 효과를 알기 위 한 연구로 학교 교과과정 중에 학급단위로 숲체험을 실시했 을 때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창의적체험활동이 학교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 하는 현 시점에서 학급단위 숲체험을 통한 환경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중에 숲해설 전문가와 함께 숲체험을 실시하였을 때 숲에 대한 인식과 숲에서의 행동인식 변화 등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숲체험이 창의적체 험활동 및 환경교육의 일환으로 활성화되는 데에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1.연구 대상자의 특성

    본 연구의 대상은 전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 3학년 학생이다. 연구대상 학교의 선정기준은 전주시내 초등학교 학년당 평균 학급 수 5.2학급에 준하여 학년당 5~7개 학급 규모의 학교, 학교에서 실시하는 숲체험 경험이 없는 학급, 학교에서 도시숲까지의 거리가 도보로 20분 이내, 60~100 m2 규모의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곳에 위치하여 도시 중산 층 가정에 속하는 학생이 다니고 있는 학교로서 교과과정 중에 숲체험을 실시할 수 있는 학교로 하였다(Figure 1).

    연구대상은 전주시 완산구 평화동에 위치한 A초등학교 3학년 7개 반 205명과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에 위치한 B초 등학교 2학년 5개 반 106명으로 총 311명의 설문 응답자 중 불성실 응답자 6명을 제외한 305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 학생 중에 남학생이 201명이고 여학생이 104명이다. 대상 학생들의 주거형태는 아파트, 빌라 또는 연립주택, 단 독주택, 상가주택으로 구분되었다(Table 1).

    2.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인구통계학적 설문은 성별, 주거형태, 집에 서 숲까지의 거리, 숲에 가는 횟수, 동행자, 숲에서의 체류시 간, 숲에서의 활동, 숲에서의 기분을 좋게 하는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주제연구에서 숲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영역은 Joo(2001)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숲에 대한 태도 척도 검사지를 기초로, 숲에서의 행동인식 영역은 Kim (2001)Bae(2003)가 사용한 생명존중에 관한 질문지를 기초로, 그리고 Lee(2005)가 유아의 수준에 맞도록 수정한 질문지를 기초로 하여 초등학생의 행동특성과 수준에 맞도 록 수정하였다. 영역별 문항은 관련분야 전문가(통계학 교 수 1명, 임학과 교수 1명, 숲해설가 2명, 교사 1명)의 자문을 통해 안면타당성을 검증받았고, 설문지의 내적 일관성을 나 타내는 Cronbach-α를 산출(0.861)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 다. 그 결과 척도측정은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영역별 세부항목으로는 숲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영역 7항목, 숲에 서의 행동인식 영역 9항목, 숲체험의 기대와 만족도 영역 6항목 등 총 22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그 내용은 Table 2와 같다.

    이들 설문은 성별·거주형태·동반형태와 같은 변수의 질 적 특성을 나타내는 명목척도, 그리고 만족도와 같이 양적 특성을 나타내는 간격척도를 이용하여 범주화와 계수화를 실행하였다. 간격척도는 5점 척도 리커트 방법을 이용하여 1을 ‘매우 아니다’, 2를 ‘아니다’, 3을 ‘모르겠다.’, 4를 ‘그 렇다’, 5를 ‘매우 그렇다’로 계수화 하였다.

    3.연구 절차

    숲체험의 효과분석을 위한 연구수행에 앞서 2013년 3월 10일부터 4월 10일 사이에 2차례의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내용을 보완 수정하였다. 1차로 설문을 작성하여 C초 등학교 5학년 2개 반 57명을 대상으로 숲체험 전 설문조사, 숲체험 시행, 숲체험 후 설문조사의 과정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문항 수 및 내용의 난이도를 수정하여 C초등학교 3학년 2개 반 54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조사와 동일한 순서로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예비조사에 서 발견된 문제점을 보완 수정하여 최종 설문지를 작성하였 으며, 설문의 내용은 체험 전과 후가 동일하였다.

    본 조사는 2013년 4월 25일부터 5월 6일 사이에 이루어 졌다. 설문조사 과정은 숲체험 일주일 전에 사전 설문조사 를 실시하고, 숲체험 후에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때 사후 설문조사는 숲체험 직후에 실시하지 않고 2일 후에 실시하도록 하였다. 체험 직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것은 예비조사에서 숲체험 직후에 설문조사를 한 결과 식물 관찰을 위한 채집활동을 식물을 훼손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숲체험 후 다른 학습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숲체험은 금요일에 실시하고, 설문은 월요일 오전에 담임교사가 직접 설명하고 학생들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4.통계처리

    대상자의 일반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숲체험 전-후 동일한 설문지로 숲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숲에서의 행동인식, 숲체험의 기대와 만족도를 알아 보기 위해 최종 수집된 설문자료를 SPSS 12.0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숲체험 전과 후의 평균을 구하고 독립 표본 t-검정 분석을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조사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징

    본 연구에서는 설문 응답자 311명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 자 6명을 제외한 305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 사대상의 성별 구성은 남학생 55.4%와 여학생 44.6%로 큰 차이가 없었다(Table 3). 조사대상자의 주거형태, 집에서 숲까지의 거리, 숲에 가는 횟수, 동행자, 숲에서의 체류시간, 숲에서의 활동, 숲에서의 기분을 좋게 하는 요인에 대한 분 석결과는 Table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주거형태는 305명 중 243명(79.7%)이 아파트에 살고 있었고 다음으로 단독주 택, 상가주택, 연립주택의 순이었다. 집에서 숲까지 가는 데 에 걸리는 시간은 10분 이내 45.9%와 10~20분 이내 43.3% 로 20분 이내의 거리에 사는 학생이 89.2%를 차지하여 대 부분이 숲과 가까운 거리에 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숲을 방문하는 횟수에서 숲에 매일 가는 경우가 10.2%, 1주일에 1~2회 가는 경우 21.6%로 1주일에 1~2회 이상 자주 가는 편에 속하는 학생이 31.8%이고, 6개월에 1~2회 가는 경우는 6.9%, 거의 가지 않는 경우는 40.0%로 숲에 거의 가지 않는 학생이 46.9%이었다. 또 남학생과 여학생 중 매일 숲에 가는 경우는 각각 20명과 10명, 1주일에 1~2 회 간다는 각각 42명(24.9%)과 24명(17.6%)으로 남학생이 숲에 더 자주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에 갈 때 동행자는 가족이 250명(82.0%)으로 대부분이었고, 다음으로 친구가 34명(11.1%)이었으며, 선생님은 1명(0.3%) 뿐이었다. 이는 Chin and Cho(2009)의 연구에 참여한 아이들이 숲에 갈 수 있었던 날은 특별한 날, 가족 여름휴가, 친척집 방문한 날, 학원에 가지 않는 날 등으로 나타났다. 또 아이들을 숲으 로 이끌고 나오고, 아이들과 숲의 경이로움에 대해 함께 감 탄하고 기뻐해 줄 수 있는 어른의 존재 여부에 따라 아이들 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고 하였다(Chin and Cho, 2009). 본 연구의 대상 학생들도 숲에 갈 때 동행인이 대부분 가족인 것으로 나타나서 부모 와 함께 좋은 자연체험과 추억을 가질 수 있지만, 숲에 거의 가지 않는 절반에 가까운 학생들은 부모와 함께 숲을 접할 기회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선생님과 함께 갔다고 대답한 학생(1명)의 경우도 학교 선생님인지 학원 선생님인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숲체험 경험도 거의 전무한 실정이라고 하겠다.

    숲에서의 체류시간은 1~2시간이 198명(64.9%)으로 가 장 많았고, 숲에서의 활동은 산책 127명(41.6%), 등산 104 명(34.1%), 놀이 36명(11.8%), 기구를 이용한 운동 33명 (10.8%) 순으로 나타나 숲에서 1~2시간 동안에 행할 수 있 는 산책이나 기구를 이용한 운동이 대부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숲에 갔을 때 기분을 좋게 하는 요인으로 맑은 공기 135명(44.3%), 아름다운 풍경 74명(24.3%), 자연의 소리 47명(15.4%), 신체활동 35명(11.5%), 자연의 향기 14명 (4.6%)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항목 가운데서 남학생과 여학 생의 인식 차이가 많이 나타난 것은 맑은 공기와 아름다운 풍경이었고, 다른 항목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맑은 공 기에서는 남학생이 81명(47.9%)으로 여학생 54명(39.7%) 보다 많았으며, 아름다운 풍경에서는 여학생이 42명(30.9%) 으로 남학생 32명(23.5%)보다 많았다. 이것은 활동성이 많 은 남학생들은 맑은 공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일반적으 로 남학생보다 감성적인 여학생들은 숲에서 동적인 요소보다 정적인 요소인 아름다운 풍경에 더 감응한다고 볼 수 있다.

    2.숲에 대한 인식

    1)숲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숲체험 전과 후의 숲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분석 결과 숲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총점 평균이 3.11에서 3.43으로 증가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 다(Table 5). 세부항목으로 ‘숲은 재미있는 곳이다’에 대한 숲체험 전·후의 결과는 전체 평균 3.65에서 4.07로 증가하 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숲은 무섭고 위험한 곳이 아니 다’에 대한 숲체험 전·후의 결과는 전체 평균 2.92에서 3.12 로 약간의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남학생 평균이 2.99에서 3.07 증가한 반면 여학생 평균은 2.84에서 3.19로 변화의 폭이 남학생에 비해 컸다. 이는 숲체험을 통해 숲이라는 공 간이 여학생에게 위험한 곳이 아니라는 인식을 갖게 한 것 이다. ‘숲은 사람에게 유익한 곳이다’에 대한 숲체험 전·후 의 결과는 전체 평균 3.44에서 3.68로 긍정적 변화가 있었 다. 숲의 유익성에 대한 인식은 남·여 간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숲에 가면 벌레가 있지만 숲에 가는 것이 짜증스럽지 않다’에 대한 숲체험 전·후의 결과는 전체 평균 2.44에서 2.84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2.38에 서 3.02로 큰 변화를 보였고 여학생은 2.51에서 2.63으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숲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 하였을 때 숲은 재미있고 유익한 곳이라는 인식은 숲체험 전에도 점수가 높았고 숲체험 후 더욱 점수가 증가했다. ‘숲 은 위험하고 짜증스러운 곳’이라는 인식은 점수가 높아졌으 나, 숲의 벌레에 대한 인식은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숲체험활동 시기가 애벌레가 보이지 않는 시기였기 때문에 숲에서 애벌레가 맡은 역할에 대한 이해를 제공 받 지 못한 영향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숲은 시기에 따라 관찰되는 생물이 다양하게 살아 움직이는 공간이기에 연간 지속적으로 숲과 가까이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 다. 숲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의 변화에 대한 유의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한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숲은 재미있는 곳이 다’와 ‘숲에 가면 벌레가 있지만 숲에 가는 것이 짜증스럽지 않다’에서 유의확률이 각각 .000과 .000으로 유의하게 나타 났다.

    2)건강에 대한 인식

    숲체험 전·후 숲과 건강과의 관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분석 결과 숲과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총점 평균 이 3.30에서 3.69로 증가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Table 6). 세부항목으로 ‘숲에 가는 것은 피곤하지 않다’에 대한 숲체험 전·후의 결과는 전체 평균 2.79에서 2.97로 큰 변화가 없었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숲에 가면 건강해진다’에 대한 숲체험 전·후의 결과는 전체 평균 3.49에서 4.18로 긍정적 변화를 보였고, 남·여 간에도 남학생 3.46에서 4.13, 여학생 3.51에서 4.24로 비슷한 변화 를 보였다. ‘숲에 가면 스트레스가 해소되는가?’에 대한 숲 체험 전·후의 결과는 전체 평균 3.62에서 3.93으로 긍정적 인 변화를 보였고, 남학생은 3.44에서 3.90로, 여학생은 3.85에서 3.97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숲체험 전에도 숲이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숲과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 숲에 가면 건강해지고 스트레스도 풀리지만 숲에 가는 것은 피곤하다 는 인식은 다른 두 항에 비해 전·후 모두 평균 이하로 나타 났다. 숲과 건강과의 관계 인식의 변화에 대한 유의적 차이 를 파악하기 위한 t-검정 결과 ‘숲에 자주 가면 건강해 진다’ 에서 유의확률이 .000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숲에서의 행동인식

    숲체험 전·후 숲에서의 행동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에서는 숲에서의 예절, 숲 환경 보호 행동인식, 숲의 생물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1)숲에서의 예절

    숲체험 전·후 숲에 대한 예절에 대한 행동인식을 알아보 기 위한 설문 분석 결과 총점 평균 3.15에서 3.76으로 긍정 적인 변화를 보였다(Table 7). 세부 항목 ‘숲에서 큰소리로 떠들지 않는다.’에 대한 숲체험 전·후의 결과는 전체 평균 3.32에서 3.65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남학생, 여학생 모 두 비슷하게 변화하였다. ‘다람쥐의 먹이인 도토리나 밤을 줍지 않는다.’에 대한 숲체험 전·후의 결과는 전체 평균 2.97에서 3.75로 큰 변화를 보였고, 남학생은 2.87에서 3.67 로, 여학생은 3.10에서 3.86으로 변화를 보였다. ‘숲의 꽃이 나 나뭇가지를 꺾지 않는다.’에 대한 숲체험 전·후의 결과는 전체 평균 3.16에서 3.87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남학 생 2.99에서 3.81로, 여학생 3.36에서 3.94로 나타나 숲체험 전에는 여학생의 식물을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행동 경향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으나 숲체험 후에는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의 점수가 비슷해져 남학생이 숲체험을 통해 식물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식이 더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숲체험 전·후 숲에서의 행동인식 변화의 유의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정 결과 ‘다람쥐의 먹이인 도토리나 밤을 줍지 않 는다.’와 ‘아무 이유 없이 꽃이나 나뭇가지를 꺾지 않는다.’ 는 유의확률이 .000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Pyle이 아이들이 자연에 대한 직접 체험을 통하여 자연이 자신들이 받은 유산이라는 것과 아이들 자신이 자연의 수호 자라는 것을 이해하기 시작하며, 특히 자연에 살아 있는 모 든 것을 보호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Kim,2011) 고 한 것과 Wilson(1996)이 숲체험활동의 가치에서 숲체험 은 자신 이외의 생명체나 사물에 대한 관심과 돌보고자 하 는 욕구가 생겨 사회·정서 발달에도 효과가 있다고 말한 것처럼 본 연구에서도 숲의 생물을 돌보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숲에서의 행동의식이 긍정적으로 변했 음을 알 수 있다(Park, 2008).

    2)숲환경 보호 행동인식

    숲에서의 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통해 숲환경 보 호 행동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분석 결과 총점 평균이 2.94에서 3.66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Table 8). 특히 남학생은 2.84에서 3.61로 여학생은 3.06에서 3.69로 나타 나 숲체험 전에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나 숲체험 후 남학생의 평균과 여학생의 평균 이 각각 3.61과 3.69로 비슷하게 나타나 남학생의 경우 숲체 험 후 환경 보호 행동인식이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 항목에서 자기의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 행동에 대해서 는 전체 평균이 3.21에서 3.88로 나타났고, 또 ‘숲에 버려진 쓰레기를 주어 쓰레기통에 버린다.’의 행동인식 변화도 2.66에서 3.43으로 나타났다.

    숲 환경 보호 행동인식 변화의 유의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정에서 ‘과자나 음료수를 먹고 쓰레기를 숲에 버리 지 않는다.’와‘숲에 버려진 쓰레기를 주어 쓰레기통에 버린 다.’의 두 문항 모두 유의확률이 각각 .000과 .000으로 유의 하게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이나 생활지도로 개인 의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 행동은 활동 전 전체 평균 3.21로 ‘숲에 버려진 쓰레기를 주어 쓰레기통에 버린다.’ 2.66에 비해 높았고, 숲체험 후 다른 사람이 버린 쓰레기도 주어 쓰레기통에 넣는다가 크게 향상된 결과로 미루어 숲체험 중 쓰레기 줍기 등의 활동이나 교육이 없었음에도 자연환경 의 소중함을 알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환경보호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Ma and .Lee(2010)이 초등학생의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도 조사에서 교육 전(부정 19.1% / 보통 30.7% / 긍정 50.2%)과 교육 후 (부정 4.5% / 보통 25.5% / 긍정 70.3%) 로 나타난 것과 Hwang and Ryu(2004)의 연구에서 통제집 단 평균 2.16, 실험집단 2.56으로 나타나, 환경에 대한 관심 과 태도는 교육에 의해서 큰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는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뀐다.’는 말처럼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알게 함으로써 환경보호정신을 함양할 수 있게 하는 체험적 교육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3)숲의 생물을 대하는 태도

    숲에 살고 있는 생물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숲체험 전·후 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 분석 결과 총점 평균 3.14에 서 3.81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Table 9). 상세 항목에서 벌레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는 전체 평균 2.98에서 3.59로 증가했으며, 남학생은 2.86에서 3.48로, 여학생은 3.13에서 3.74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숲 체험 전·후 모두 낮은 점수가 나왔다. 개구리나 도롱뇽과 같은 파충류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는 전체 평균 3.20에서 3.80, 남학생 3.08에서 3.62, 여학생 3.34에서 4.03으로 긍 정적 변화를 보였다. 여기에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숲체험 전·후 모두 낮은 점수가 나왔다. 다람쥐나 청설모와 같은 동물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는 숲체험 전·후 전체 평균 3.13 에서 3.87, 남학생 2.91에서 3.69, 여학생 3.41에서 4.08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숲체험 전에 여학생의 동물을 대 하는 태도는 남학생에 비해 점수가 높았고, 남학생도 숲체 험을 통해 동물을 대하는 행동인식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 다. 숲의 동물이나 곤충을 관찰하는 행동인식의 변화는 전 체 평균 3.23에서 3.97로, 남학생 3.11에서 3.89로, 여학생 3.38에서 4.07로 나타났다. 살아 움직이는 생명을 대하는 태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숲체험 전에 여학생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숲체험 후에는 남학생·여학생 모두 긍정 적 변화를 보였다. 숲의 생명을 대하는 태도의 유의적 변화 를 알아보기 위한 t-검정에서 4문항 모두 유의확률이 각각 .000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숲의 생물을 대하는 태도는 다른 영역에서의 숲체험 전·후 변화보다 큰 변화를 보였다. Chin and Cho(2009)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보고 에서 숲에서의 경험을 통해 아이들은 ‘숲’에 대한 생각이나 행동이 달라졌다고 하면서, 개미·매미 등 곤충(벌레)에 대해 서는 ‘징그럽다’, ‘더럽다’, ‘무섭다’, ‘밟아도 되고 죽여도 된다.’, ‘하찮은’ 존재라는 생각에서, ‘신기하고’ 불쌍하고 친구처럼 귀엽고 다정하며 소중하고 아껴야 할 존재라는 생각으로 변화했다고 한 결과와 같은 결과라고 볼 수 있다.

    4.숲체험의 기대와 만족도

    1)숲체험의 교육적 기대

    숲체험의 교육적 기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자연을 사랑 하는 마음, 숲에서의 예절, 자연관찰의 재미·자연에 대한 지식 습득에 대한 숲체험 전·후의 설문 분석 결과 전체 평균 3.56에서 3.98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Table 10). 숲체험 후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생겼는지에 대한 결과는 전체 평균 3.21에서 4.07로 긍정적 변화를 보였고, 남학생은 3.08 에서 3.98로 여학생은 3.38에서 4.19로 남학생과 여학생 사 이의 변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숲체험 전에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전체 평균 이하에서 숲체험 후 남학생과 여학 생 모두 전체 평균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숲체 험 후 숲에서의 예절을 알게 되었는지에 대한 결과는 평균 3.68에서 4.01로 나타났다. 숲에 사는 생물을 관찰하는 것 이 재미있어졌는지에 대해서는 평균 3.63에서 4.03으로 나 타났으며, 남학생은 3.63에서 3.85로 여학생은 3.63에서 4.26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많은 변화가 나타났 다. 숲체험을 통해 자연에 대한 지식이 많아졌다고 생각하 는지에 대한 결과는 평균 3.70에서 3.82로 다른 문항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다. 특히 숲체험 전의 평균이 전체 평균 3.56 보다 높은 3.70이였으나 숲체험 후에는 전체 평균 3.98보다 작은 3.82로 숲체험을 통해 지식이 많아졌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체험의 교육적 기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t-검정에서 ‘숲해설을 듣고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생겼다’와 ‘숲체험 을 통해 자연을 관찰하는 것이 재미있어졌다’ 두 개 문항에 서 유의확률이 각각 .000과 .000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자연 사랑에 대한 문항에서는 본 연구의 전체 문항 중 가장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이는 Bae(2011)의 생태체험 활동 전·후 비교에서 환경 감수성 영역의 세부항목 중 자연 에 대한 관심이 다른 영역보다 크게 향상된 점에서 초등학 생의 자연체험활동이 자연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갖게 한다 는 결과와 마찬가지로 숲체험이 초등학생의 감성을 풍부하 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숲에서의 예절에 대해서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연에 대한 지식 습득에 있어서는 남학 생·여학생 모두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체험 활 동을 통해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생겼고, 숲에서의 예절 을 알게 되었으며, 자연을 관찰하는 것이 재미있어진 것으 로 나타난 것에 비해 자연에 대한 지식이 많아진 것은 아니 라는 결과로 숲에서의 체험활동을 교육보다는 관찰이나 놀 이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학교 에서의 숲체험은 산림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흥미 위주의 체험에만 치우치지 않고 교육적 목표가 있는 숲체험 이 되어야 하겠다. 또 1회의 숲체험으로 자연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숲을 찾고, 관찰하는 기회 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5.결 론

    숲체험이 초등학생의 숲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2,3학년을 대상으 로 숲체험 전과 후의 인식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숲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는 ‘숲은 재미 있는 곳이다’(3.65→4.07), ‘숲은 무섭고 위험한 곳이 아 니다’(2.92→3.12), ‘숲은 사람에게 유익한 곳이다’(3.44 →3.68), ‘숲의 벌레가 숲에 가는 것을 짜증스럽게 하지 않는다.’(2.44→2.84)로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숲을 재미있는 곳으로 인식이 변화되었고, ‘숲의 벌 레가 숲에 가는 것을 짜증스럽게 하지 않는다.’도 긍정적 인 인식 변화를 보였다. 하지만 숲의 벌레에 대한 인식 변화는 숲체험 후에도 2.84로 낮은 변화를 보였다.

    2. 숲과 건강과의 관계 인식에서는 ‘숲에 가는 것은 피곤한 일이 아니다’(2.79→2.97), ‘숲에 자주가면 건강해진 다’(3.49→4.18), ‘숲에 가면 스트레스가 풀리고 기분이 좋아진다.’(3.62→3.93)로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중 ‘숲에 자주 가면 건강해 진다’는 인식의 변화가 평균 0.69 증가하였다. 반면, ‘숲에 가는 것은 피곤하지 않다’ 에 대한 인식 변화는 0.18 증가하는데 그쳤다.

    3. 숲에서의 행동에 대한 인식 중에 숲에서의 예절에 관한 인식 변화는 ‘숲에서 큰소리로 떠들지 않는다.’(3.32→ 3.65), ‘도토리나 밤은 다람쥐의 먹이이기 때문에 줍지 않 는다.’(2.97→3.75), ‘아무 이유 없이 꽃이나 나뭇가지를 꺾지 않는다.’(3.16→3.87)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동물의 먹이를 줍지 않는다와 식물을 훼손하는 행동 을 하지 않겠다는 항목에서 두드러진 변화가 나타났다.

    4. 숲에서의 행동 중 환경보호 인식에서는 ‘과자나 음료수 를 먹고 쓰레기를 숲에 버리지 않는다.’(3.21→3.88), ‘다 른 사람이 버린 쓰레기를 주어 쓰레기통에 넣는다.’(2.66 →3.43)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타인이 버린 쓰레기를 주어 쓰레기통에 넣겠다는 적극적인 환경보호 에 대한 행동 인식 변화가 나타났다.

    5. 숲에서의 행동 중 생물을 대하는 태도에서는 ‘벌레를 밟 거나 찌르지 않는다.’(2.98→3.59), ‘개구리나 도롱뇽을 포 획하지 않는다.’(3.20→3.80), ‘다람쥐나 청설모를 괴롭히 지 않는다.’(3.13→3.87), ‘동물이나 곤충의 행동을 관찰한 다.’(3.23→3.97)로 모두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숲체험 전과 후의 인식 변화에 대한 유의성 검사에서 유의확률 1% 범위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인 것은 숲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변화 7개 문항에서 3개 문항이, 숲에 서의 행동 인식 변화 9개 문항 중 8개 문항, 숲체험의 기대와 만족도 6개 문항 중 4개 문항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숲체험활동 중 쓰레기를 줍는 직접적인 환경보호 활동을 시행하지 않았지만, 숲체험을 통해 숲 속 생물들에게 악영 향을 미치는 쓰레기를 주어야겠다는 인식 변화를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숲에 사는 생물의 소중함 을 인식하면서 자연스럽게 환경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는 것으로 판단한다.

    1회의 숲체험으로 환경인식이 변했다거나 환경 친화적 행동의 변화를 갖게 되었다고 결론지을 수는 없으나, 학교 교육과정 중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시행하는 숲 체험 환경교육은 모든 초등학생에게 평등하게 자연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확산될 수 있을 것으 로 본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창의적체험활동으로 숲체험이 활 용된다면 모든 초등학생이 가정의 형편이나 부모의 성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숲체험을 통한 환경교육의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학교와 가까운 도시숲 또는 학교숲 등에서 숲체 험이 활성화 되면 초등학생의 자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뿐 아니라 자연을 관찰하고 탐구하는 태도를 갖게 될 것이 며, 자연과 사람과의 관계, 환경보호의 필요성과 실천 활동 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숲체험은 학교에서 실시되는 창의적체험 활동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된다. 환경 교육 및 산림교육의 교육적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숲체험 이 되기 위해서는 식물의 이름 알기 또는 자연놀이 수준의 숲체험에서 벗어나 뚜렷한 목표가 있고 교과 과정과 연관된 교육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숲체험이 되어야 한다. 그리 고 1회적인 프로그램보다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이며 체계적 으로 실행되어야 교육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서 전문적 소양을 갖춘 숲해설가의 활용이 중요하다. 특히 산림을 활용한 교육은 자연에 대한 지식 뿐 아니라 환경은 물론 산림 관련 직업에 대한 이해, 치유와 화합, 보건복지 등 다양한 영역과 연관 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배워야 하는 초등학생의 체험 교육으로 유용할 것이 다.

    본 연구에서는 1회의 숲체험으로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초등학생에게 체계적인 숲체험의 기회를 주기적이고 지속 적으로 제공할 때 초등학생들의 자연을 대하는 태도의 변 화, 숲과의 친밀감 정도의 변화, 환경인식 및 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창의적체험활동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제안한다.

    Figure

    KJEE-29-462_F1.gif

    Location of estimated schools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stimated students

    *Ap. with store ; Apartment house with stores on the ground floor

    Question construction of experimental students' recognition on the forest

    The situation of effective data for analysis

    General characteristics of estimated students

    The mean value of general recognition on the forest before and after experience

    P<0.001**

    The mean value of recognition on the forest-health relation before and after experience

    P≤0.001**

    The mean value of propriety recognition in forests before and after experience

    P<0.001**
    P<0.005*

    The mean value of recognition on the environmental prevention behavior in forests before and after experience

    P<0.001**

    The mean value of recognition on the wildlife in forests before and after experience

    P<0.001**

    The mean value of educational efficiency before and after forest experience

    P<0.001**

    Reference

    1. Bae H S (2011) The Effects of Urban Stream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24 (1) ; pp.66-7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e Y M (2006) Study of change of friendly environment attitude and action through school forest experience studying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p.6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e Y C (2003)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Holistic Learing Program on the Children’s Attitude toward the Life respect , Major in Elementary Educational Metho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p.7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in Y E , Cho K S (2009) Qualitative Inquiry on Impressive Memories of Children Experienced in Forest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22 (3) ; pp.97-11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Y S (2003) Effect of the forest-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p.6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wang S Y , Ryu S H (2004) Effects of activity-orient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journal, Vol.17 (3) ; pp.169-18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oo S H (2001) Measuring the Environmental Attitude Effects of Forest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Program , Agriculture Result Bullet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Vol.19 (12) ; pp.9-1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G A (2011)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Children's Sensitivity and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guk National University ofEducation. Master's thesis, pp.7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G S (2001)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the Respect for Life ,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 Guk University. Master'sthesis, pp.3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G Y (2000)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Activity Programs in the School Forest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p.8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 M (2007) Building up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forest-experiential education around school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p.15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K W (2004) History from Forests Hyohyung Publishing Co, Hyohyung Publishing Co, pp.279(in Korean )
    13. Kim S H (2002) Effects that making and growing the school forest has on the educational use of the garden for learning , Graduate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Master's thesis, pp.9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Y H (2006)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xperience learning on change in temperament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odent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p.6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2011) Korea Forest Foundation(KFF) , Healing in Forest, pp.97
    16. Lee H O (2005) Effects of life world project for infant’ life repect attitude ,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kmyung Women s University. Master's thesis, pp.1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Namgung E M (2006) The Effects of Forest Experienc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the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toward the Environment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p.9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a H J , Lee S W (2010)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NIE on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Vol.23 (2) ; pp.1-2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H S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experiential learning in a school forest on the students' sensitivity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p.9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eo W S (1999) A Strateg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Practical Arts Subject ,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Vol.5 (1) ; pp.73-9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hin W S (1999) Psychological Benefits of School Forests for Students and Teacher , Forest and Culture, Vol.8 (1) ; pp.19-21
    22. Shin W S , Ryu J H (2004) Influence of School Forest on Student Temperament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Vol.7 (2) ; pp.74-82(in Korean with English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