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9 No.5 pp.736-742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5.29.5.736

Evaluation of antifouling system of new antifouling agents using spores of the green alga, Ulva pertusa and diatom, Nitzschia pungens1a

Hyun-Woung Shin2*, Seul-Gi Kang2, Ji-Su Son2, Jae-Hyuk Jeon2, Han-Joo Lee2, Sang-Mok Jung2, Smith CeliaB M.3
2Dept.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si, Chungcheongnam-do,31538, Korea
3Dept. of Botany, University of Hawai’i, 3190 Maile Way, Honolulu, HI 96822, USA(celia@hawaii.edu)

a 이 논문은 2013학년도 순천향대학교 교수 연구년제에 의하여 연구하였음.

Corresponding author: Tel: +82-41-530-1284, Fax: +82-41-530-1256, hwshin@sch.ac.kr
August 9, 2015 August 31, 2015 September 1, 2015

Abstract

Cosmopolitan green macroalga, Ulva pertusa is a widely spread species in most coastal waters. This benthic alga is appearing on marine objectives causes significantly economical and social problems. To prevent fouling organisms, new antifouling (AF) agents, such as ziram, diruon, zinc pyrithione, copper pyrithione, DBNPA and triclosan are used. However, the evaluations of new antifouling system of those agents strongly need more information on algae species for considering environment effec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tivity of antifouling system using Ulva spores and Nitzschia pungens. In addition, new AFS were evaluated the toxicity of microalga, Nitzschia pungens. In the motility of Ulva spores, ziram and zinc pyrithione were shown 50% higher inhibition motility than diuron, copper pyritione, DBNPA and triclosan. Ziram was appered the highest AFS of Ulva sore attachment. Copper pyrithione at the concentration of 100 μg/L was inhibited 80% growth rate comparison of control. In conclusion, each new AF agents showed their specific AF activities against marine organisms based on this work.


초기 착생생물 Ulva pertusa 포자와 Nitzschia pungens를 이용한 신방오제의 방오능 검증1a

신 현웅2*, 강 슬기2, 손 지수2, 전 재혁2, 이 한주2, 정 상목2, Celia M. Smith3
2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3하와이 주립 대학교 식물학과

초록

대형녹조류인 Ulva pertusa는 전 세계 연안에 서식하는 저서성 종으로 대발생 또는 인공구조물에 착생되어 경제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착생생물을 제어하기 위해 신방오제인 ziram, diruon, zinc pyrithione (ZnPT), copper pyrithione(CuPT), DBNPA, triclosan 등이 방오도료로 사용 중이나, 대형 및 미세조류를 이용한 신방오 제들의 방오능 검증과 기초적인 연구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 우점착생종인 구멍갈파래의 포자를 이용하여 방오제의 효능을 검증하고 생체막 형성의 우점종인 미세조류 Nitzschia pungens를 이용한 방오능을 검증하였다. 구멍갈파래포자의 운동성 검증에서 ziram과 ZnPT는 diuron, CuPT, DBNPA, triclosan보다 50% 높은 운동성 억제를 나타내었고 착생 검증에서는 ziram이 가장 낮은 착생률 1%로 나타났으며 CuPT는 100 μg/L의 농도에서 다른 대조군에 비해 80%의 성장율 억제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신방오제의 방오능을 검증하여 향후 방오능 검증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Soonchunhyang University

    서 론

    해양 착생생물이란 연안환경에서 미생물이나 해조류, 저 서생물 등이 동물이나 식물 또는 바위, 암석 및 인공체 표면 에 착생하여 성장하는 생물을 의미한다(Evan, 1981). 착생 생물의 기작은 목적체가 해수와 접촉하면서 유기표피 (organic surface)를 형성하고 초기착생생물들이 유기표피 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 착생하여 생체막(biofilm)형성하면 서 착생천이에 따라 후기착생을 형성한다(Shin, 1995). 착 생과정은 수 분 안에 유기물들이 표면에 유기막을 형성하 고, 조건이 갖춰지면 약 1~7일 내로 초기 착생 생물인 박테 리아, 규조류, 거대 해조류 포자, 원생동물 등이 착생하게 되며, 그 후로 동물성 거대 착생 종인 홍합의 유생, 따개비 등이 착생하게 된다(Yebra et al., 2004). 그러나 반드시 순 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해역에서 환경의 영향에 의해 다르게 발생할 수 있다(Kim et al.,2010). 저서 성 생물의 경우 착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으로 물리적 인 환경조건에 반응하여 착생하거나, 두 번째는 착생표피의 화학물질구성에 의해 착생되어지며 경우에 따라서 해수의 유동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수동적으로 착생 된다고 보고 된 바 있다(Crisp and Meadows, 1962; Thorson, 1966). 그 러나 해양생물의 착생은 인공구조물, 선박 등에 마찰저항이 늘어나고 선박의 선속 저하 및 무게증가로 인하여 연료 소 비 증가와 표면의 부식상승효과가 일어나는 문제를 일으킨 다(Townsin, 2003). Champ(2000)의 연구에 따르면 해양생 물의 착생에 의한 연료소모는 최대 40%까지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고, 선체에 약 1mm 두께의 착생이 형성되면 연료 효율이 약 10% 감소되며, 컨테이너선과 유조선의 연료소모 량을 근거로 금액으로 환산하게 되면 전 세계적으로 연간 20억 달러의 연료비 손실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Wang et al., 1999). 또한 양식장 그물의 해양생물 착생은 부영양화를 초래하기도 하는데 각종 질병과 용존산소량의 감소를 나타낸다(Cronin et al., 1999).

    착생 생물을 저해하기 위해 독성물질인 방오제와 수지를 혼합하여 방오도료를 도장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초기에는 독성물질로서 유기비소, 수은화합물, 유기주석 등이 사용되 었으나, 유기 주석(TBT)의 경우에는 방오능이 우수하나 해 양생태계에 축적되고 생물체 내부의 호르몬 균형을 깨뜨려 연체동물인 경우에는 암컷의 수컷화(imposex)현상을 유발 하는 것으로 알려져 UN 산하조직인 International Marintime Organization(국제해사기구)에 의하여 Antifouling System 협약을 선포함으로 전 세계적으로 2003년 1월 1일 이후 사 용금지 되었다(Evans et al., 2000; IMO, 2001; Strand and Asmund, 2003).

    TBT 사용 금지 후 대체 물질로 아산화동을 사용하고 있 으나 아산화동의 방오능이 TBT에 비해 저조하여 아산화동 에 신방오제를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Stupak et al., 2003). 현재 사용되는 신방오제는 4,5-dichloro-2-n-octyl- 4-isothiazolin-3-one(Sea-nine 211), 3-(3,4-dichlorophenly)- 1,1-dimethylurea(Diuron), 2-(tert-Butylamino)-4-(cyclopropylamino)- 6-(methylthio)-s-triazine(Irgarol 1051), zinc dimethyldithiocarbamate(Ziram), zinc pyrithione(ZnPT), copper pyrihtione(CuPT), 2,2-Dibromo-2-cyanoacetamide( DBNPA), 5-chloro-2-(2,4-dichlorophenoxy)phenol (triclosan), Ethyl hepatnoate 등이 있다(Park et al., 2006; Rai et al., 2006; Lee et al., 2008). 이와 같은 신 방오제들의 일반적인 방오기작으로는 착생생물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 피, 기피 기능을 나타하거나 또는 사멸 시키며, 그리고 착생 생물의 운동성을 저하시켜 결과적으로 착생저하 효과를 나 타낼 수 있다(Zhao et al., 2015).

    신방오제 중 Sea-nine 211의 경우 Park et al.(2006)의 연구에서는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에 대한 급성 독성 연구를 통해 96시간 LC50이 184㎍/ℓ로 나타났고, Diuron 과 Irgarol 1051의 경우도 어류 Pimephales promelas 및 홍다리 얼룩새우 Palaemonetes pugio에 대한 연구들에서 각각 LC50은 182㎎/ℓ, 2.46㎎/ℓ으로 보고되었다(Call et al., 1987; Key, 2008). 또한 해양환경에서 해양식물인 미세 조류와 거대조류는 육상에서 유입된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 을 흡수하기 때문에 먹이원으로 사용하는 동물체에 축적이 되어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Shin et al., 2002). 그러나 대부분의 방오제 연구는 대형 생물의 유 생 및 착생 저서동물에 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으 로 착생 과정의 기반이 되는 초기 착생 생물에 대한 방오능 검증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초기 착생 생물인 Ulva pertusa의 포자를 이용하여 신방오제 6종 ziram, diruon, ZnPT, CuPT, DBNPA, triclosan의 포자의 운동성과 착생 저해에 대한 방오능을 검증하였으며, 또한 규조류 Nitzschia pungens를 이용하여 방오능을 검증하였다.

    재료 및 방법

    1Ulva pertusa 포자의 운동성 저해 검증

    운동성 저해 검증 실험을 위해 국내 연안 우점종인 구멍 갈파래를 충남 당진군 한진항(N 36.970264 E 126.781708) 에서 채집하여 아이스박스에 보관한 상태로 실험실로 운반 한 후 멸균 해수(Millipore membrane filter, 0.45㎛)에 넣고 해조체를 분류하였다. 파래에 착생된 생물들을 제거하기 위 해 초음파 처리를 1분 동안 3회 반복한 후 멸균해수로 씻어 음건하였다. 음건된 파래와 멸균해수를 이용해 30분 동안 80μmol/m2/sec의 광도로 20℃ 배양기에서 포자 방출을 유도 하였다(Cho et al., 2001). 방출된 포자를 24 well plate에 접종 하고, dimethyl sulfoxide(DMSO) 농도는 전체의 1000mg/ℓ 로 하였고 신방오제인 ziram, diruon, zinc pyrithione(ZnPT), copper pyrithione(CuPT), DBNPA, triclosan의 농도가 0.1, 1, 5, 10, 100, 1000, 2000㎍/ℓ가 되게 하였으며, 포자의 움직임을 4등급으로 분류하여 광학현미경(BX53, Olympus, Japan)에서 200∼400배에서 검증하였다. 방오제 접종 후 포자의 운동성에 영향이 없는 등급은 ++++으로 표기 하였 고, 95~75% 운동성은 +++으로 표기 하였으며, 74~50% ++, 50% 미만인 경우는 +로 표기하였다.

    2미세조류 Nitzschia pungens를 이용한 방오능 검증

    방오능 검증을 위해 생체막 형성의 우점종인 N. pungens (KMMCC-803)를 한국미세조류은행에서 분양받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해수와 DMSO를 이용하여 각각의 선정된 신 방오제를 농도별 0, 0.1, 1, 5, 10, 100, 1000, 2000㎎/ℓ로 되게 하였다(Kwon et al., 2012). 각 농도별로 도포된 well 에 f/2 배지를 주입한 후 1.0 × 105cells/㎖의 미세조류를 접종하였다. 배양은 50μmol/m2/s의 광도에서 Light/Dark: 12hr/12hr 조건으로 배양하였고 96시간 배양 후 분광광도계 (UV-1601, Shimazu, Japan)를 사용하여 680㎚에서 optical density(OD)를 측정하였다(Hahm et al., 2002).

    3Ulva pertusa 포자를 이용한 방오능 검증

    신방오제를 DMSO와 혼합하여 커버글라스에 10㎍/㎠가 되도록 도포한 뒤 24시간 동안 완전 건조 하였다. 신방오제 가 도포된 커버글라스를 well plate에 90°로 고정시킨 후, 1.0 × 105cells/㎖의 파래포자 용액 8㎖을 접종하였으며 암 실에서 정적 상태로 12시간동안 포자착생을 유도하였으며 간섭 착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well plate에 착생되지 않은 포자는 멸균 해수로 3회 세척하여 간섭착생을 배제하였다. 세척된 멸균 해수는 PES 배지를 주입 한 후 온도 25℃, 광도 55μmol/m2/sec, Light/Dark:24 hr/0 hr 조건 하에서 6일 동안 배양하였다.

    착생 발아된 파래 포자는 역상현미경(CK2, Olympus, Japan)으로 200배에서 관찰하였으며, 커버글라스로부터 완 전히 제거한 후 엽록소 a와b를 추출하여 방오능을 비교하였 다.

    Chlorophyll a = 11.93 A664 - 1.93 A647

    Chlorophyll b = 20.36 A647 - 5.50 A664

    A664 = Absorbance at 664㎚

    A647 = Absorbance at 647㎚

    결 과

    1Ulva pertusa포자의 운동성 저해 검증

    신방오제에 대한 파래포자를 이용한 운동성의 경향은 0.1에서 1㎍/ℓ농도에서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ziram, ZnPT는 5㎍/ℓ에서부터 25%의 방오능이 나타났다. 또한 Diruon과 CuPT, DBNPA과 Tricholsan은 10㎍/ℓ에 서 50%으로 착생이 감소하고 100∼1000㎍/ℓ농도에서는 25%의 운동성 저해가 관찰되었다. 신방오제 중 최대 운동 성 저해가 관찰된 것은 Ziram과 ZnPT로 5㎍/ℓ농도에서 50%로, 10㎍/ℓ 농도에서 25%의 착생률 감소로 파래포자 에 대한 착생률을 감소시켰다. 최소 운동성 저해가 관찰된 것은 DBNPA로 1000㎍/ℓ농도에서 25% 운동성 저해로 나 타났으며 2000㎍/ℓ농도에서도 동일한 운동저해를 보였다. 또한 10㎍/ℓ농도가 100㎍/ℓ농도보다 운동성 저해를 25% 더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ZnPT에서도 1000㎍/ℓ 농도에서 나타났다.Table 1

    2미세조류 Nitzschia pungens를 이용한 방오능 검증

    미세조류 N. pungens를 이용한 신방오제의 방오능 검증 을 위해 신방오제의 용매로 DMSO를 사용하기 위해 DMSO 농도에 따른 방오능을 검증하였다. 갈파래의 포자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농도를 측정하여 영향이 없는 농도 1,000 ㎖/L에서 실시하였다. 1~10,000㎖/L까지 대조군 대비 성장 률이 약간 증가하거나 대부분 성장의 차이가 없게 나타났으 나 20,000㎖/L에서 성장률이 약 58% 감소하기 시작하여 40,000㎖/L에서는 가장 낮은 성장률을 보였다(Table 2).

    일반적인 신방오제의 방오능 검증에서, 방오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N. pungens의 성장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Ziram, diuron, ZnPT와 CuPT는 농도 0.1 ∼1㎎/ℓ이하에서 대조군 0㎎/ℓ과 유사한 성장률을 보였 고 신방오제의 농도 5㎎/ℓ부터 성장률 저하(Ziram, 56.9%; Diuron, 59%; ZnPT, 67.2%; CuPT, 52%)를 관찰되었다. 그러나 신방오제 DBNPA는 최대농도 2000㎎/ℓ에서도 N. pungens의 성장률 저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triclosan 농 도 1000㎎/ℓ에서 N. pungens의 성장률 저해가 관찰되었 다. 신방오제 중 ziram, diuron의 농도 100㎎/ℓ이상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20% 이하의 성장률을 나타났으며, ZnPT와 CuPT의 경우에도 농도 1㎎/ℓ이하에서 대조군과 비슷한 성장률을 보였고, 5㎎/ℓ부터 성장률 저하(ZnPT, 67.2%; CuPT, 52%)로 나타났고 농도 100㎎/ℓ이상에서는 둘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20% 이하의 성장률을 나타내었 다. DBNPA는 100㎎/ℓ까지 대조군과 비슷한 성장률을 보 였지만 1000㎎/ℓ에서 5%의 성장률 보였으며 triclosan는 10㎎/ℓ까지 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의 성장률을 보이다가 100㎎/ℓ에서 55%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1000㎎/ℓ에서 는 4.8%로 크게 감소하였다.

    신방오제 ziram과 diuron의 농도별 N. pungens의 성장률 의 관계에서는 신방오제 농도증가는 성장률억제 패턴으로 모든 대조군과 비교해 강한 성장률 억제를 보였다(ziram : y = -15.988x + 124.82, r2 =0.91, diuron : y = –15.929x + 123.93. r2 =0.91). ZnPT와 CuPT의 농도별 N. pungens 의 성장률의 관계에서는 신방오제 농도증가는 성장률억제 패턴으로 대조군과 비교해 성장률 억제를 보였다(ZnPT : y = -16.048x + 135.71, r2 =0.85, CuPT ; y = -17.488x + 126.99, r2 =0.87). DBNPA와 triclosan은 대조군과 비교 해 1000㎎/ℓ에서 성장률 억제 패턴을 보였다(DBNPA : y = -13.089x + 142.59, r2 =0.41, triclosan : y = -15.536x + 145.54, r2 =0.63).(Figure 1)

    방오제 농도와 성장저해에 대한 상관관계는 triclosan과 DBNPA의 농도 1000㎎/ℓ에서 성장률이 급감하기 시작하 는 양상은 Gao et al.(2001)와 Chang et al.(2014)의 미세조 류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와 박테리아 Legionella pneumophila 검증에서도 DBNPA와 triclosan이 고농도에 서 독성이 급격하게 증가한다는 보고 된 적이 있다. 통합적 으로 방오능 양상은 신방오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 pungens의 성장률 저하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2).

    3Ulva pertusa 포자를 이용한 방오능 검증

    포자 착생 실험에서 방오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파래 포자의 착생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착생정도를 엽 록소로 대조군(chl a = 1.25㎍/㎖, chl b = 0.64㎍/㎖)과 비 교분석한 결과 ziram의 착생률이 1%(chl a = 0.013㎍/㎖, chl b = 0.043㎍/㎖)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triclosan로 1.2%(chl a = 0.015㎍/㎖, chl b = 0.022㎍/㎖), diuron 1.8%(chl a = 0.023㎍/㎖, chl b = 0.058㎍/㎖), CuPT 2.7%(chl a = 0.033㎍/㎖, chl b = 0.05㎍/㎖), ZnPT 4.3%(chl a = 0.054㎍/㎖, chl b = 0.072㎍/㎖) 순서로 방오 능을 보였다. 특히 DBNPA의 방오능은 대조군(100%, chl a = 1.25㎍/㎖, chl b = 0.64㎍/㎖)과 비교하면 78%(chl a = 0.975㎍/㎖, chl b = 0.37㎍/㎖)의 착생률을 나타냈다 (Figure 3). 신방오제 중 최대방오능은 ziram과 triclosan으 로 각각의 착생률이 1%(chl a = 0.013 ㎍/㎖), 1.2%(chl a = 0.0151㎍/㎖)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방오제의 방오능이 U. pertusa의 운동성에 영향을 주어 착생률이 감 소된 것으로 사료된다.(Figure 4)

    고 찰

    신방오제의 방오능에 대한 일반적인 양상은 방오제의 농 도가 증가할수록 초기 착생 생물인 구멍갈파래 포자와 미세 조류에 대한 방오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BNPA 는 U. pertusaN. pungens에 대한 포자운동성과 방오능 은 미비한 반면 ziram은 5㎍/ℓ에서 포자운동성 감소가 시 작하여 10㎍/ℓ에서 포자의 운동성이 최저점으로 감소하였 다. 또한 ziram과 ZnPT가 10㎍/ℓ에서 타 신방오제 비해 높은 방오능 나타났고, 100㎍/ℓ에서는 DBNPA와 Triclosan 을 제외한 나머지 방오제의 경향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 다.

    신방오제의 방오능 50% 이상의 효과를 보이는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CuPT은 1㎎/ℓ, ziram과 diuron, ZnPT는 5㎎/ℓ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DBNPA와 triclosan는 100 ㎎/ℓ으로 방오제 농도별 차이를 보였다. U. pertusa를 이용 한 착생 저해효과에서는 ziram을 이용하였을 때 착생률이 1%로 나타났으며 N. pungens를 이용한 방오능 검증 실험 에서는 ZnPT와 CuPT의 농도 5㎎/ℓ에서 67.2%, 52%를 나타났다. Girling et al.(2015)의 연구에서 Ulva sp.의 포자 에 대한 diuron의 성장 저해 검증 결과, 본 연구결과 양상과 같이 방오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자의 성장이 저해되 는 양상이 나타났다. 방오제의 농도에 따라 구멍갈파래 포 자의 운동성 및 착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를 통해 대표적인 초기 착생생물인 거대조류 U. pertusa와 미세조류 N. pungens에 대한 상용 신방오제 검증 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 를 통하여 물리화학적인 연안생태계를 고려하여 다양한 초 기 착생생물을 대상으로 신방오제에 대한 방오능 검증이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KJEE-29-736_F1.gif

    Illustration shown spores of Ulva pertusa attachment on well plate

    KJEE-29-736_F2.gif

    Antifouling activity of new antifouling agents on microalga, Nitzschia pungens

    KJEE-29-736_F3.gif

    Chlorophyll contents of germinated Ulva spores affected by new antifouling agents

    KJEE-29-736_F4.gif

    Germinated spores on well plate

    Table

    Motility of spore inhibition response

    spore motility response (++++: non inhibitory, +++: 95~75%, ++: 74~50%, +: 49~0%)

    Growth rate of Nitzschia pungens affected by varied DMSO concentrations

    Reference

    1. Call DJ , Brooke LT , Kent RJ , Knuth ML , Poirier SH , Huot JM , Lima AR (1987) Bromacil and diuron herbicides: toxicity, uptake and elimination in freshwater fish , Arch. Environ. Contam. Toxicol, Vol.16 (5) ; pp.607-613
    2. Chang TB , Chang SW , Lee SJ , Cho IH (2012) Toxicity assessment and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triclosan in an E-beam irradiation process , J. Korea Geo-Environ. Soc, Vol.13 (3) ; pp.5-11
    3. Champ MA (2000) A review of organotin regulatory strategies, pending actions, related costs and benefits , Sci. Total. Environ, Vol.258 (1) ; pp.21-71
    4. Cho JY , Kwon EH , Choi JS , Hong SY , Shin HW , Hong YK (2001) Antifoul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on the green alga Enteromorpha prolifera and the mussel Mytilus edulis , J. Appl. Phycol, Vol.13 (2) ; pp.117-125
    5. Crisp DJ , Meadow PS (1962) The chemical bases of gregariousness in Cirripedes , Proc. Roy. Soc, Vol.156 (965) ; pp.500-520
    6. Cronin ER , Cheshire AC , Clarke SM , Melvile AJ (1999) An investigation into the composition, biomass and oxygen budget of the fouling community on a tuna aquacultuer farm , Biofouling, Vol.13 (4) ; pp.279-299
    7. Evan LV (1981) Marine algae and fouling: A review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ship-fouling , Bot. Mar, Vol.24 (4) ; pp.167-172
    8. Evans SM , Birchenough AC , Branco MS (2000) "The TBT ban: Out of the flying pan into the fire , Mar. Poll. Bull, Vol.40 (3) ; pp.204-211
    9. Gao Y , Zhou P , Lin YE , Vidic RD , Stout JE (2001) Efficacy of DBNPA Against Legionella pneumophila: Experimental results in a model water system , ASHRAE Transactions, Vol.107; pp.184-190
    10. Girling JA , Thomas KV , Brooks SJ , Smith DJ , Shahsavari E , Ball AS (2015) A macroalgal germling bioassay to assess biocide concentrations in marine waters , Mar. Poll. Bull, Vol.91 (1) ; pp.82-86
    11. Hahm KH , Kim MS , Lee HH (2002) The acute and chronic toxicity effects of triorganotins on the growth of microalgae, Skeletonema costatum , J. Korean Fish. Soc, Vol.35 (5) ; pp.534-541
    12.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2001)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harmful anti-fouling systems on ships. IMO. London, pp.22-25
    13. Key PB , Chung KW , Hoguet J , Sapozhnikova Y , Fulton MH (2008) Effects of the anti-fouling herbicide Irgarol 1051 on two life stages of the grass shrimp, Palaemonetes pugio , J. Environ. Sci. Heal B, Vol.43 (1) ; pp.50-55
    14. Kim PG , Park ME , Lee IW , Chun HH , Park H (2010) Evaluation of acute toxicity about leakage waters of antifouling paints on Sebastes schlegeli and artemia ,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Vol.16 (4) ; pp.361-367
    15. Kwon HK , Yang HS , Yu YM , Oh SJ (2012) Effects of substrate size on the growth of 4 microphytobenthos species(Achnanthes sp., Amphora sp., Navicula sp. and Nitzschiasp.) , J. Environ. Sci, Vol.21 (1) ; pp.105-111
    16. Lee SE , Won HS , Lee DS (2008) Determination of new antifouling agents in seacoasts in Korea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Anal. Sci. Technol, Vol.21 (6) ; pp.459-473
    17. Park KH , Lee KT , Lee JS , Han KN (2006) Acute toxicity of antifouling agents(TBT, Sea-nine, Cu-pyrithione and Zn-pyrithione) to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amphipod Monocorophium acherusicum , J. Korean Soc. Mar. Environ. Engin, Vol.9 (1) ; pp.21-28
    18. Rai HB , Jung SM , Sidharthan M , Lee JH , Lim CY , Kang YK , Yeon C , Park NS , Shin HW (2006) Chemotactic antifouling properties of methyl caproate: its implication for ship hull coatings , WSEAS Transactions Systems, Vol.5 (11) ; pp.2581-2585
    19. Shin HW (1995) Biofouling by marine weedy algae , Korean J. Phycol, Vol.10 (2) ; pp.97-108
    20. Shin HW , Sidharthan M , Kim SY (2002) Forest fire ash impact on micro- and macroalgae in the receiving waters of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 Mar. Poll. Bull, Vol.45 (1) ; pp.203-209
    21. Strand J , Asmund G (2003) Tributyltin accumulation and effects in marine molluscs from west Greenland , Environ. Pollut, Vol.123 (1) ; pp.31-37
    22. Stupak ME , Garcia MT , Perez MC (2003) Non-toxic alternative compounds for marine antifouling paints , Int. Biodeter Biodegr, Vol.52 (1) ; pp.49-52
    23. Thorson G (1966) Some factors influencing the recruitment and establishment of marine benthic communities , Neth. J. Sea Res, Vol.3 (2) ; pp.267-293
    24. Townsin RL (2003) The ship hull fouling penalty , Biofouling, Vol.19 (S1) ; pp.9-15
    25. Wang XH , Li J , Zhang JY , Sun ZC , Jing L , Yu XB , Wang FS , Sun ZX , Ye ZJ (1999) Polyaniline as marine antifouling and corrosion-prevention agent , Synthetic Metals, Vol.102 (1) ; pp.1377-1380
    26. Yebra DM , Kiil S , Dam-Jihansen K (2004) Antifouling technology-past, present and future steps towards effici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ntifouling coatings , Prog. Org. Coat, Vol.50 (2) ; pp.75-104
    27. Zhao X , Su Y , Cao J , Li Y , Zhang R , Liu Y , Jinag Z (2015) Fabrication of antifouling polymer–inorganic hybrid membranes through the synergy of biomimetic mineralization and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 J. Mater. Chem. A, Vol.3; pp.7287-7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