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9 No.6 pp.819-841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5.29.6.819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of Halmibong(Mt.) and Gusibong(Mt.) located in Baekdu trail of Korea1a

Sam-Bong Park2, Jong-Bin An3, Jeong-Geun Park3, Jin-Jung Kim4, Hyoun-Woo Ha4, Bong-Gyu Kim2, Gab-Chul Choo2*
2Dep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52725, Korea
3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5, Korea
4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uwon, 16631, Korea

a 이 논문은 산림청 ‘산림과학기술 개발사업(과제번호: S211013L020110)’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Tel: +82-55-751-3246, Fax: +82-55-751-3241, sancgc@gntech.ac.kr
June 24, 2015 November 25, 2015 December 2, 2015

Abstrac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at Halmibong(1,026m) and Gusibong(1,014m) in Baekdutrail, we surveyed from March in 2013 to March in 2014. The flora of Haimibong and Gusibong in Baekdu trail were found to be; 528 taxa; 95 families, 287 genus, 454 species, 4 subspecies, 59 varieties, 11 forma. Rare plants were found to be; 15 taxa, 10 families, 14 genus, 13 species, 2 varieties. Among them EN degree was found to be 1 species(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VU degree; 2 species(Scorzonera albicaulis Bunge, Lilium cernuum Kom.), LC degree; 12 species(Abies koreana Wilson,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Viola albida Palib. etc.) respectively. In all surveyed areas, a total of 15 taxa(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 Tamura etc.) were found to be endemic to Korea. Distribution of floristic special plants in the surveyed areas were found to be divided into five classes (class Ⅰ∼Ⅴ).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found in surveyed areas were 2 taxa of grade Ⅴ, 6 taxa of grade Ⅳ, 12 taxa of grade Ⅲ, respectively.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nvestigated as 23 taxa; Rumex crispus L., Amorpha fruticosa L., Veronica arvensis L. etc..


백두대간 할미봉과 구시봉 일대의 관속식물상1a

박 삼봉2, 안 종빈3, 박 정근3, 김 진중4, 하 현우4, 김 봉규2, 추 갑철2*
2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3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4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초록

본 연구는 소백산맥 중 덕유산과 백운산의 사이에 위치한 할미봉(1,026m)과 구시봉(1,014m)을 대상으로 주요 관속 식물상을 파악하여 주요식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보전 및 그 일대 식물자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 다. 현지조사는 2013년 3월부터 2014년 3월까지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경로는 계곡부, 능선부, 사면부 등을 포함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할미봉과 구시봉 일대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총 95과 287속 454종 4아종 59변종 11품종 52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희귀식물은 EN등급(위기종) 1분류군(흰참꽃나무), VU등급(취약종) 2분류군(쇠채, 솔나리), LC등급(약관심종) 12분류군(구상나무, 매미꽃, 태백제비꽃 등) 총 10과 14속 13종 2변종 15분 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산식물은 처녀치마 등 15분류군이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Ⅴ등급은 승마 등 2분류군, Ⅳ등급은 개대황 등 6분류군, Ⅲ등급은 거제수나무 등 12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여 Ⅰ등급부터 Ⅴ등급까지 총 32과 52속 58종 1아종 2변종 6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족제비싸리, 선개불알풀 등 23종이 출현하였다.


    Korea Forest Service
    S211013L020110

    서 론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큰 강을 포함한 주요 하천의 발원지 이고, 유라시아 대륙의 이동통로로서 북방계 및 남방계 식 물이 분포하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산림자원의 보고이다 (Seo, 2012). 그 길이는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까지 1,400km에 이르고, 남한의 백두대간은 향로봉에서 지리산 천왕봉까지 약 680km로 한반도 생태축이며, 생물다양성의 보고이다(Korea Forest Service, 2008). 백두대간의 대간이 라는 용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던 문헌은 이중환의 “택리지(1751)”이고, 1770년경 신경준의 ‘산경표’를 통해 백두대간에 대한 산맥 체계 등을 체계화 하였다(Kwon, 2004). 백두대간에 관련된 연구는 1990년대부터 활발히 진 행되었고, 초기에는 정부, 시민단체, 학계 등에서 우리나라 산줄기 및 지리 인식체계 확립, 백두대간의 개념형성 과정 에 대한 연구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Cho et al., 2012). 백두대간은 우수한 생태계를 지니고 있지만 각종 개발행위 와 등산객 및 휴양객의 증가로 인해 백두대간의 산림생태계 는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백두대간의 남쪽에 위치한 할미봉(1,026m)과 구시봉 (1,014m)은 덕유산국립공원의 남서쪽으로 백두대간의 마 루금을 따라 위치하고 있으며, 백두대간에서 육십령을 기점 으로 북쪽으로는 할미봉, 남쪽으로는 구시봉이 각각 위치하 고 있다. 할미봉과 구시봉에 가장 인접한 산지인 덕유산 및 남덕유산지역에 관련된 식생 및 식물상 문헌은 Yim et al.(1994)이 덕유산일대를 대상으로 97과 297속 541종류를 보고하였고, Lim(2003)이 백두대간 지리산 천왕봉에서 덕 유산 향적봉 지역의 식물상을 5강 126과 541속 1,248종 3아종 204변종 22품종 1,477분류군을 보고하였다. 그리고 Park et al.(2005)이 덕유산 향적봉을 중심으로 중봉, 동엽 령, 칠봉 등을 대상으로 90과 281속 476종 64변종 9품종 549분류군을 보고하였다. 또한 Han(2013)은 덕유산 향적 봉과 중봉 구간의 산림식생유형과 식물상을 보고한 결과, 1개의 신갈나무군락군, 가문비나무군락 등 4개 군락의 식생 유형을 밝혔고, 식물상은 52과 126속 168종 2아종 17변종 187분류군을 보고하였다.

    할미봉과 구시봉 일대에 관련된 문헌은 Lee et al.(2013) 가 할미봉을 포함한 남덕유산지역을 중점적으로 102과 296 속 444종 8아종 49변종 6품종 507분류군을 보고한바가 있 다. 그리고 Bae(2014)가 백두대간의 육십령과 구시봉 지역 능선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식물상을 보고한 결과, 떡 갈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졸참나무-떡갈나무군 집이 우점하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식물상은 총 86과 220속 308종 4아종 42변종 7품종 361분류군을 보고하였다.

    기존 연구는 주로 덕유산과 남덕유산 일대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백두대간에서 덕유산의 인근 산지인 육 십령과 할미봉, 구시봉 일대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다 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대간의 덕유산 국립공원 인근 산지인 구시봉, 할미봉, 남덕유산 지역을 대 상으로 관속식물을 파악하여 식물지리학적 분포의 특성 및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교란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큰 목 적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생태축인 백두대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1.조사대상지 개황

    본 연구의 조사대상지인 할미봉(1,026m)과 구시봉 (1,014m)은 소백산맥 중 덕유산과 백운산의 사이에 있으며, 육십령(734m)을 기점으로 북쪽으로는 할미봉, 남쪽으로는 구시봉이 위치하고 있다. 행정구역상 할미봉과 구시봉은 경 남 함양군 서상면과 전북 장수군 장계면의 경계에 걸쳐 각 각 위치하고 있으며, 산정상부의 위치는 할미봉 북위 35° 44′ 12″ 동경 127° 39′ 67″, 구시봉 북위 35° 42′ 09″ 동경 127° 38′ 98″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할미봉과 구시봉은 능선을 기준으로 행정구역상 경남 함 양군과 전북 장수군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2013년 기준, 능 선의 남동사면인 경남 함양군의 기상개황은 평균기온 12. 8°C, 평균 최고기온 19.6°C, 최고극값 36.9°C, 평균 최저기 온 7°C, 최저극값 -13.9°C, 강수량 1,096.2mm, 상대습도 74%, 평균풍속 1.4m/s이다(Hamyang-gun,2014). 능선의 북 서사면인 전북 장수군의 기상개황은 평균기온 10.7°C, 평균 최고기온 17°C, 최고극값 33.8°C, 평균 최저기온 5.1°C, 최 저극값 –23.3°C, 강수량 1,574.2mm, 상대습도 74%, 평균풍 속 1.9m/s이다(Jangsu-gun, 2014).

    2.조사방법 및 분석

    할미봉과 구시봉 일대를 대상으로 관속식물상을 파악하 기 위해 2013년 3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계절별로 조사하였으며, 조사경로는 Figure 1, Table 1과 같다.

    조사경로는 계곡부, 능선부, 사면부 등을 위주로 다양하 게 조사하였으며, 식물상 조사는 현지에서 동정이 가능한 종은 야장에 기입하여 기록하였고, 동정이 어려운 종은 실 험실로 운반하여 식물동정을 실시하고 석엽표본으로 제작 하였다.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을 대상으 로 채집하여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였고, 제작된 석엽표본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과 강원대학교 내에 위치한 백 두대간생물다양성사업단 표본관에 보관하였다.

    조사 및 채집된 식물의 동정은 Lee(2006), Lee(2003) 등 의 식물도감을 참고하였으며, 일부 양치류 식물은 Korean Fern Society(2005)의 한국양치식물도감을 참고하였다. 관 속식물 목록작성은 Engler의 분류 체계(Melchior, 1964)를 따랐으며, 학명 및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Http://www. nature.go.kr/kpni/; Korea National Arboretum, 2013)에 준하 여 작성하였다. 작성된 관속식물목록을 바탕으로 한국특산식 물(Oh et al., 2005),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Kim, 2000), 귀화식물(Lee et al., 2011)을 정리하여 전체 관속식물목록에 별도로 제시 하였다.(Appendix 1). 귀화식물은 Yim and Jeon(1980)이 제시한 기준으로 도시화지수(UI: Urbanized Index) 및 귀화 율(NI: Naturalized Index)을 산출하였고, Lee et al. (2011) 의 문헌을 토대로 귀화도와 귀화식물의 이입시기를 분석하 였다.

    결과 및 고찰

    1.관속식물상

    백두대간의 남쪽부에 위치한 할미봉과 구시봉 일대의 관 속식물상은 95과 287속 454종 4아종 59변종 11품종 528분 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양치식물 5과 9속 10종 2변종 12분류 군(2.3%), 나자식물 3과 4속 6종 6분류군(1.1%), 피자식물 의 쌍자엽식물 77과 217속 353종 4아종 48변종 10품종 415 분류군(78.6%), 단자엽식물 10과 57속 85종 9변종 1품종 95분류군(18%)이 출현하였다(Table 2). 과별로 구분하면 국화과 63분류군, 백합과, 벼과 33분류군, 장미과 30분류군, 콩과 27분류군, 제비꽃과 17분류군, 꿀풀과 16분류군, 마디 풀과 15분류군, 미나리아재비과 13분류군 등의 순으로 조 사되었다(Appendix 1).

    본 연구 대상지 중 구시봉 일대를 대상으로 수행된 식물 상 기존문헌은 확인되지 않았고, 할미봉과 육십령을 포함한 남덕유산 지역을 중심으로 보고된 Lee et al.(2013)에 의하 면 총 102과 296속 444종 8아종 49변종 6품종 507분류군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결과와 다소 차이가 나는 가장 큰 이유 는 기존 연구는 본 연구 대상지의 북쪽인 남덕유산을 중심 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본 연구는 기존연구 대상지인 남 덕유산, 할미봉을 포함하고, 남쪽에 위치한 구시봉 일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관속식물상 분류군의 차이는 조사대상지, 조사경로 및 시기에 따른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사대상지의 해발고도, 지형 등 여려 환경요인에 의한 식물분포도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으 로 판단된다.

    기존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새로 확인된 종은 애기족제 비고사리, 개서어나무, 소사나무, 개암나무, 큰물통이, 겨우 살이, 바위말발도리, 돌배나무, 참싸리, 넓은잎갈퀴, 만주고 로쇠, 푼지나무, 단풍제비꽃, 용담, 구슬붕이, 왕괴불나무, 산가막살나무, 각시취, 가는잎그늘사초, 옥잠난초 등 225분 류군을 확인하였다. 반면 기존문헌에서 보고된 뱀톱, 구실 사리, 잔고사리, 산일엽초, 꾸지나무, 가는장구채, 눈빛승마, 물참대, 사상자, 백미꽃, 큰잎갈퀴, 층층잔대, 선씀바귀, 쇠 서나물, 털새, 솔새, 둥근잎천남성, 애기바늘사초, 병아리난초, 감자난초 등 195분류군은 본 조사에서 확인하지 못하였다.

    2.희귀식물

    할미봉과 구시봉에서 확인된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흰 참꽃나무(Rhododendron tschonoskii), 쇠채(Scorzonera albicaulis),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 총 10과 14속 13종 2변종 1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이 중 위기종 (EN)은 흰참꽃나무(Rhododendron tschonoskii) 1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취약종(VU)은 쇠채(Scorzonera albicaulis), 솔나리(Lilium cernuum)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약관심종 (LC)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매미꽃(Coreanomecon hylomeconoides), 태백제비꽃(Viola albida) 등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존연구 Lee et al.(2013)에 따르면 세잎종덩굴 등 15분 류군의 희귀식물 분포를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추가로 확인한 종은 취약종(VU) 1분류군(쇠채), 약관심종(LC) 6분 류군(두루미천남성, 매미꽃, 병풍쌈, 뻐꾹나리, 정향나무, 창포), 총 7분류군을 확인하였다. 반면 기존 연구와 비교했 을 때 본 연구에서 확인하지 못한 종은 취약종(VU) 4분류 군(등대시호, 백작약, 선백미꽃, 천마), 약관심종(LC) 3분류 군(늦고사리삼, 세잎종덩굴, 큰두루미꽃), 총 7분류군은 확 인하지 못하였다. Figure 2

    위기종(EN)에 해당하는 흰참꽃나무는 남덕유산 정상부 근 능선 바위틈에서 여러 개체가 생육하는 것을 확인하였는 데 이는 Lee et al.(2013)이 보고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적 생육상태는 양호하였지만 분포지가 제한 적인 종이므로 현지외보전 및 모니터링을 통한 보전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위기종(VU)에 속하는 쇠채는 구시봉 남사면의 등산로 초입부에 소수의 개체가 확인되었다. 솔나 리는 남덕유산 남사면 영각재 부근에서 몇 개체, 서봉 부근 에서 여러 개체가 확인되었다. 관상가치가 높아 남획으로 인해 자생지가 줄어가고 있는 종이므로, 자생지 근처에 희 귀식물에 대한 안내문구 등의 시설을 설치해서 자생지를 보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서봉 근처에서 등산로와 인접하여 여러개체가 분포하고 있었는데 개체군 의 증감과 같은 주기적 모니터링 및 현지외보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특산식물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특산식물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키버들(Salix koriyanagi), 진범(Aconitum pseudolaeve) 등 총 13 과 15속 15종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4). 이는 특산 식물(Oh et al., 2005) 328분류군의 4.6%에 해당된다. 기존 연구에서 보고된 Lee et al.(2013)이 보고한 특산식물은 고 려엉겅퀴 등 9분류군으로 본 연구보다 비교적 적게 확인되 었다. 이는 조사지역과 범위가 다르고, 국립공원으로 지정 된 덕유산 지역보다 아래 지역인 할미봉과 구시봉은 비교적 등산객의 출입이 적기 때문에 인위적인 교란을 덜 받는 것 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문헌(Lee et al., 2013)에서 보고된 각시 서덜취, 외대으아리는 확인하지 못하였지만 키버들, 진범, 매미꽃 등 8분류군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이 중 구상나무는 남덕유산 정상에서 서봉까지 다수의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구시봉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구상나무 의 생육상태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었으며, 능선부분에 독립 적으로 생육하고 있어 다른 종들과의 경쟁이나 피압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키버들은 구시봉의 남쪽 사면 계곡 부에 다수의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매미 꽃은 할미봉의 남서사면 사면과 능선에 주로 출현 하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녀치마는 구시봉 등산로 주변 습지 지역에서 다수의 개체가 확인되었는데, 등산로와 매우 인접 하여 등산객의 잦은 통행으로 인해 자생지가 훼손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특산 식물에 대한 안내표지판 및 적절한 로프 설치로 인한 등산로 경계구분 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4.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보전가치에 따라 Kim(2000)에 의해 Ⅰ등급부터 Ⅴ등급까지 평가되어 있으며, 본 조사에서 는 총 32과 52속 58종 1아종 2변종 6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Table 5). 보전가치가 가장 높은 Ⅴ등급은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단풍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 2분 류군이 출현하였고, IV등급은 개대황(Rumex longifolius), 매미꽃(Coreanomecon hylomeconoides), 고로쇠나무(Acer pictum subsp. mono) 등 6분류군이 출현하였다. III등급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거제수나무(Betula costata), 노 각나무(Stewartia pseudocamellia) 등 12분류군이 출현하 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Ⅴ등급에 속하는 승마는 구시봉 남사면의 계곡부와 습지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단풍박쥐나무는 남덕유산 남사면 계곡부 지역에 몇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개체의 크기가 작아 피압의 우려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매미꽃은 구시봉 능 선 등산로 주변에 인접하여 신갈나무 군락 내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피압의 우려는 없는 것으로 판단 되고 개체군의 상태도 비교적 양호하였다.

    5.귀화식물

    할미봉과 구시봉 지역에서 조사된 귀화식물(Lee et al., 2011)은 소리쟁이(Rumex crispus),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등 총 23분류군 이 조사되었다(Table 6). Lee et al.(2013)이 보고한 남덕유산 지역의 귀화식물 14분류군보다 다소 많이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대부분의 귀화식물은 등산로의 초입부나 마을어 귀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귀화식물 중 환경 부 지정 생태계교란 야생 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5) 은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서양등골나물(Eupatorium rugosum)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출현한 귀화식물 중 국화과가 10분 류군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벼과, 콩과 순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Yim and Jeon(1980)이 제시한 도시화지수(UI : Urbanized Index) 및 귀화율(NI : Naturalized Index)은 귀화식물 종류 수에 따라 도시화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할미봉과 구시봉지역의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본 지역의 귀화식물 종수/남한의 귀화식물 총 종수 ⅹ 100)는 7.2%, 귀화율(Naturalized Index: 귀화식물의 종수/출현식 물의 총 종수 × 100) 4.3%로 각각 나타났다. 귀화율은 우리 나라 산지지역의 평균 귀화율(Koh et al.,2005) 10.3% 보다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귀화식물은 대부분이 등산로의 초입 부나 마을근처, 도로변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리쟁이, 족제비싸리는 구시봉 남사면 금당리 마을 주변에 서 다수의 개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생육지역이 고속도로 가 지나가는 도로 주변이어서 주변 산림으로 확산의 우려가 높으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 시봉의 북사면에 위치한 오동리 마을주변에서는 주로 아까 시나무, 미국쑥부쟁이, 서양등골나물 등이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미국쑥부쟁이의 개체수가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미국쑥부쟁이는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식물 이므로 더 확산되기 전에 제거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 으로 판단된다. 또한 서양등골나물은 현재 서울이나 경기북 부지역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오동리 마을 주변 에도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많은 개체는 아니지만 환 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식물이므로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족제비싸리, 달맞이꽃, 서양민들레 등은 육십령 주변에서 주로 확인되었다. 이 지역은 등산객이 많이 출입하므로 주 변 산림으로 확산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각마을 주변으로는 지느러미엉겅퀴, 주홍서나물, 오리새 등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대상지 중, 고속도로가 지나가는 구시봉의 남서사면 쪽은 귀화식물이 확산되기 좋은 조건의 지역으로 생각되어 그 지역 등산로 및 마을 주변을 대상으로 귀화식물이 더 이상 대규모로 확산 되지 않도록 적절한 관리 및 보전방안 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KJEE-29-819_F1.gif

    The survey routes of Halmibong and Gusibong

    KJEE-29-819_F2.gif

    The rare plants in Halmibong and Gusibong area

    Table

    The survey dates and routes of Halmibong and Gusibong

    Classification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almibong and Gusibong

    The list of rare plants in Halmibong and Gusibong area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vestigated at Halmibong and Gusibong

    The list of floristic special plants investigated at Halmibong and Gusibong area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vestigated at Halmibong and Gusibong area

    List of vascular plants of Halmibong(Mt.) and Gusibong(Mt.)

    A*: Korean endemic plants, B: Rare plants, C: Floristics special plants, D: Naturalized plants
    A*Rare plants
    B:Floristics special plants
    C:Naturalized plants

    Reference

    1. Bae GH (2014)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from Yuksibryeong to Gusibong in Baekdudagan , Master thesis. Univ. of Gyeongnam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 pp.14-48
    2. Cho HS , Lee SD , Kim MJ (2012) Vegetation Structure of Jeolgu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 Kor. J. Env. Eco, Vol.26 (5) ; pp.770-77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myang gun (2014) Statistical Year Book of Hamyang , Hamyang-gun. Gyeongnam, ; pp.55-56(in Korean)
    4. Han SH (2013) A study of the Flora and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of Hyangjeukbong to Jungbong in Subalpine Zone of Deoyusan National Park , Master thesis. Univ. of Kongju. Korea, ; pp.-13
    5. Jangsu gun (2014) 2014 Jangsu Statistical Yearbook , Jangsu. Gun. Jeonbuk, ; pp.24-25(in Korean)
    6.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Ⅰ. Selection of Plant Taxa , J. Kor. Environ. Biol, Vol.18 (1) ; pp.163-198
    7. Koh KS , Kang IG , Suh MH , Kim JH , Kim KD , Kil JH , Rhu HI , Kong DS , Lee EB , Chun ES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Ⅰ)- Naturalized plants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 pp.1-74(in Korean)
    8. Korea Forest Service (2008) Forest Policy White Book, ; pp.-334(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 Geobook Publishing Co, ; pp.-332(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3)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 http://www.nature.go.kr/kpni/,
    11.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 Geobook, ; pp.-399(in Korean)
    12. Kwon TH , Choi SH , Yoo KJ (2004) Establishing the Managerial Boundary of the Baekdu-daegan(Ⅱ): In the case of Semi-mountainous Distri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Kor. J. Env. Eco, Vol.7 (1) ; pp.62-7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DH , Jin DP , Lee JH , Choi IS , Choi BH (2013) Floristic study of Mt. Namdeogyu , Korean J. Pl. Taxon, Vol.43 (1) ; pp.69-7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 Hyangmunsa, Vol.Ⅰ,Ⅱ ; pp.914-910(in Korean)
    15. Lee YM , Park SH , Jung SY , Oh SH ,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 Korean J. Pl. Taxon, Vol.41 (1) ; pp.87-101
    16.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 Gyohaksa, Vol.Ⅰ,Ⅱ ; pp.975-885(in Korean)
    17. Lim DO (2003) Vascular Plants of Mountain Ridge from Cheonwangbong-Hyangjeokbong Section in the Baekdudaegan , Kor. J. Env. Eco, Vol.16 (4) ; pp.359-38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 pp.1-666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http://www.me.go.kr/,
    20. Oh BU , Cho DG , Kim KS , Jang C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 Korea National Arboretum, ; pp.-205(in Korean)
    21. Park KW , Kwon YH , Choi K , Oh SH , Kim DK , Tho JH , Tae KH , Kim JH (2005) A Floristic Study on the Economic Plants of Deogyusan National Park Area , Korean J. Plants Res, Vol.18 (1) ; pp.32-5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 Ilchokak, ; pp.-559(in Korean)
    23. Seo DJ (2012) A study on Phenology and Growth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the Baekdudaegan Area , Ph. D. thesis. Univ. of Gyeongsang. Korea, ; pp.-1
    24. Yim KB , Kim YS , Chun SH , Jeon JI (1994) Floristic Study on Tokyusan National Park , Kor. J. Env. Eco, Vol.7 (2) ; pp.91-103
    25. Yim YJ ,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 J. Plant Biol, Vol.23 ; pp.6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