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0 No.1 pp.1-18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6.30.1.001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West Side of DMZ Area1a

Seung-Hyuk Lee2, Seung-Se Choi2, Doo-Bum Lee4, Seung-Hyun Hwang3, Jin-Kap Ahn3
2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33657, Korea
3Natural Environmental Restoration Institute, Daejeon 34428, Korea
4High functional LED Medicinal Crop Institute, Semyung University, Jecheon 27116, Kor
Corresponding author: Tel: +82-63-270-3800, jinkabi@hanmail.net
September 22, 2015 January 4, 2016 January 19, 2016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the western front (Paju-Yencheon Area)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Vascular plants collected in these areas were a total of 558 taxa composing of 501 species, 3 subspecies, 48 varieties and 1 forma of 330 genera under 109 families This shows that 11% of the 4,880 vascular plant species that are known to exist in Korea is distribut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DMZ. 1 taxa of endangered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found: the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in the edge of the military operation road from Taepung observatory to Imjin river. For the floristically specific ones of the Korean floristic zones, 3 taxa of the 5th grade, 3 taxa of the 4th grade, 13 taxa of the 3rd grade, 13 taxa of the 2nd grade and 22 taxa of the 1st grade were found. For the endemic species of Korea, 4 taxa including Cirsium setidens (Dunn) Nakai were confirmed to be distributed mostly on the slope or the cutting area. Among the collected rare plants (11 taxa), there were 1 taxa of endangered species, 4 taxa of vulnerable species and 6 taxa of least concern species. Also, 51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4 taxa of ecosystem disturbance organism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identified.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index for all species were estimated to be 15.89% and 9.14% respectively. Our survey is expected to be considered as primary data of biological diversity and ecological axis in the DMZ and the western part of the DMZ.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o be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for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the DMZ.


DMZ 일원의관속식물상Ⅰ1a
-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파주-연천) -

이 승혁2, 최 승세2, 이 두범4, 황 승현3, 안 진갑3
2국립생태원
3자연환경복원연구원
4세명대학교 고기농LED약용작물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서부전선(파주-연천) 일대의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확증 표본을 근거로 한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의 관속식물은 109과 330속 501종 8아종 48변종 1품종의 총 5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종은 최근에 유입된 귀화식물을 비롯하여 약 4,880여종의 식물이 보고되었으며 한반도 전체 식물의 약 11% 정도가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 생물은 Ⅱ급 층층둥굴레 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태풍전망대에서 임진강에 이르는 군작전로 가장자리에 3개체가 생육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 3분류군, Ⅳ등급 3분류군, Ⅲ등급 13분류군, Ⅱ등급 13분류군, Ⅰ등급 22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고려엉겅퀴 등 4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숲 절개지 또는 숲 가장자리에 분포하였다. 희귀식물은 위기종(EN) 층층둥굴레 1분류군, 취약종(VU) 느리미고사리 등 4분류군, 약관심종 (LC) 쥐방울덩굴 등 6분류군으로 총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51분류군으로 귀하율은 9.14%, 도시화지 수는 15.89%로 산출되었으며 환경부지정 생태계교란식물은 단풍잎돼지풀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DMZ 생태축의 서부지역 식물상 연구를 수행하고 주요 식물의 분포 양상과 보존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Ministry of Environment

    서 론

    한반도의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는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Armistice Agreement)에 의해 국제법상으 로 비무장화한 지역으로, 군사분계선(Military Demarcation Line)에서 남과 북으로 폭 2km의 한계선을 가진다. 민간인 출입통제구역(Civilian Control Zone)은 군사분계선의 이남 10km 범위 내에서 지정된 민간인통제선의 이북지역이다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4). 비무장지대와 민간 인출입통제선 지역을 포함하는 DMZ 일원은 한강 하구 중 립지역을 제외하고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정동리의 임진강 하구부터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명호리의 동해안까지 약 248km(155mile)이며, 전체 면적은 북방한계선과 남방한계 선이 각각 군사분계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907.3km2 보다 더 축소되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9). 이렇게 지정 되어 있는 DMZ와 민통선이북지역은 60여년 동안 군사 활 동을 제외하고 인간의 간섭이 거의 없어 생물다양성이 높고 자연생태계가 보전 및 유지되고 있는 지역으로 백두대간, 도서연안과 함께 한반도 핵심생태축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 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최 근, 남북의 긴장관계가 계속되고 있지만 DMZ 일원은 한반 도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산악지대와 초지 그리고 내륙습 지들을 비롯하여 담수 및 해양생태계가 함께 공존하고 있어 지속적인 생물상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세계 적인 멸종위기야생생물, 희귀종, 천연기념물 등이 서식하고 있어 생물종다양성 측면에서도 국내는 물론 세계적인 관심 을 받고 있으며,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하여 2014년에 유네 스코 생물권보전지역(Biospehe Reeserve)으로 지정을 추진 하였고(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2012; 2013), 2015년부터는 각 지역별 소 규모로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DMZ 일원의 생태계조사는 비무장지대 일원 보전종합대책과 남 북정상회담 그리고 비무장지대의 평화적 이용과 DMZ 생 태 평화공원 조성이라는 과제로 2008년부터 조사가 시작되 었지만, 급변하는 남북관계에 따른 상황과 국방부와 UN군 사령부의 사전승인 절차 등으로 인해 현실적인 조사의 어려 움이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으로 조사가 중지되었다가 2012년부터 DMZ 일원을 동부, 중부, 서부로 나누어 생태 계조사를 재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부 및 국방부 관 계부처의 협조 하에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식물 상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은 행정구역상 경기도 파주시와 연 천군에 속하며, 지리적으로는 북위 37°51'00"~38°16'00", 동경 126°42'00"~127°10'00"에 위치하고 있다(Figure 1). DMZ 및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은 1:25,000 축적 도엽 내에 서 10개 도엽(판문점, 갈현, 구화, 장파, 문산, 계호, 백학, 마교, 대광, 연천)에 속하며 총 면적은 263km2이고, 길이는 약 77km이다. 조사지역 일대의 기상은 동두천기상대에서 측정한 1981~2010년 동안의 평년값으로 연평균기온이 11.2°C, 최고평균기온 17.5°C, 최저평균기온 6.0°C이며 강 수량은 평균 1,502.9mm이다. 실제 조사시기인 2014년 파주 기상대의 기상 자료에서는 연평균기온 11.4°C, 최고평균기 온 17.9°C, 최저평균기온 5.9°C이며 강수량은 평균 642.7mm 이였다. 본 조사지역의 식물구계는 한반도 식물의 지리적 분포에 의해 8개 구계 중 중부아구에 속한다(Lee and Yim, 1978; 2002).

    본 조사지역 및 인근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는 Jeong(1975) 이 비무장지대 인접지역을 조사하여 778분류군을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Lee and Paik(1992)이 경기도 민통선 이북 지역에 대한 식물상 연구결과와 Kim and Lee(1987)Park(1987)의 문헌과 함께 종합하여 700분류군으로 보고하 였다. 2008년에는 비무장지대 서부지역 내부에 대한 1회조사가 실시되어 347분류군이 보고되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9).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 일원은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 사를 통해 Kim and Han(2000)이 감악산(파주·연천)과 인근 산지에서 369분류군, Yang and Chung(2001)이 금학산(연 천·포천)과 인근산지에서 319분류군, Jeon and Kwon(2004) 이 두리산(연천)에서 163분류군을 각각 보고한 바 있으며,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해 Hyun and Park(2007a; 2007b; 2007c)이 갈현도엽 76분류군, 문산도엽 73분류군, 장파도 엽 96분류군을 각각 보고하였다. Lee and Kim(2009a; 2009b; 2009c; 2009d)이 백학도엽 314분류군, 구화도엽 156분류 군, 계호도엽 162분류군, 판문점도엽 191분류군으로 정리 하였고, Kim and Hang(2009)이 대광도엽 169분류군을 각 각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증거표본에 대한 언 급이 없거나 제한된 지역에서 단편적으로 조사가 이루어 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DMZ 생태축의 서부지역 식물상을 밝히고 생태적 가치를 발굴하여 보전 및 보호지역 지정, 유 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및 남북협력 및 교류, DMZ 세계평 화공원 등 DMZ 일원의 생태계 보전 대책수립과 종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1연구대상지 및 조사일정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방부 및 관할부대와 협조 후 사전조사를 통하여 미확인 지뢰지대 및 군부대 입지 등의 불안전한요소를 고려하여 조사지역을 선정하였다. 조사시기는 관할부대와 조사자들 간의 일정을 고려하여 최적의 시기를 선정하였으며 2014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15일간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민통 선 이북 서부지역 조사범위는 총 5개 구역을 세분하여 군작 전로와 숲, 하천변, 경작지 일대 등 GOP남방한계선까지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구역인 서부1~5의 실제조사 이 동거리는 각각 28.7km, 10.37km, 25.17km, 32.53km, 31.2km 이다(Figure 1, Table 1).

    2연구방법

    조사방법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에 생 육하는 모든 식물을 채집하여 압착·건조 후 표본으로 제작 하여 국립생태원 석엽표본관(NIE)에 보관하였으며, 확증표본을 근거로 식물상 목록을 작성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Lee(1996), Lee(1980, 2003), Lee(1998, 2006), Park(2009) 등의 도감 및 한국속식물지(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을 주 로 이용하였으며 귀화식물의 경우 Lee et al. (2011)과 Park(2009)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학명의 채택과 분류군의 배열은 한국속식물지(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을 따랐고 속 이하의 배열은 알파벳순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관속식물목록을 토대로 환경부 법정 보호종(Ministry of Environment, 2012), 한반도 고유종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식물구 계학적 특정식물(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 희 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생태계교란식물 을 포함한 귀화식물(Park, 2009; Lee et al., 2011) 등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도시화지수(UI)와 귀화율(PN)은 다 음 공식을 따랐다.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UI) = S / N x 100 (S: 해당 조사지역의 귀화식물 종 수, N: 전국의 귀화식물 종 수)

    귀화율(Percent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PN)(%) = S / NV x 100

    (S: 조사지역내에 출현하는 귀화식물 종 수, NV: 해당 조사지역의 전체 종 수)

    결과 및 고찰

    1관속식물상

    확증표본을 근거로 한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 일대의 관속 식물은 109과 330속 501종 8아종 48변종 1품종의 총 558분 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양치식물은 24분류군, 나자식 물은 2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383분류군, 단자 엽식물은 149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Table 2).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은 최근에 유입된 귀화식물을 비롯하여 약 4,881분류군(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의 식물이 자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한반도 전체 식물 중 약 11% 정도가 민통선이북 서부 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e and Paik(1992)의 식물상 연구에서 강화 도와 교동도 등의 조사지역을 제외하고 Kim and Lee(1987), Park(1987)의 연구를 종합한 파주와 연천지역의 549분류군 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Ministry of Environment(2009) 는 DMZ 내부에서 208분류군을 보고하였는데, 이는 군수색 로를 따라 8개 구역을 4박5일간 1회 조사하였기 때문에 본 조사와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다. 동부지역에서는 798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중부지역에서는 334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과 665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이 조사되어 본 조사와 차이를 보였다. 한편 각각의 조사지역별 식물 종 수 는 서부 1지역(장단면 일대)이 225분류군, 서부 2지역(반정 리 일대)이 196분류군, 서부 3지역(백학면 일대)이 269분류 군, 서부 4지역(빙애 일대)이 317분류군, 서부 5지역(천덕 산 일대)이 346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Table 2). 조사지역 별 식물상의 차이는 접근 가능한 지역이 다양할수록 종다양 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멸종위기야생생물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에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 물은 Ⅱ급 층층둥굴레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층 층둥굴레는 조사지역 중 서부 4지역에서 임진강 빙애 일대 를 따라 태풍전망대까지 오르는 6부 능선 군작전로에서 3개 체를 확인하였다. 층층둥굴레는 식물구계 중 북방계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구례를 남방 한계로 분포하고 있으며 생육지는 주로 하천변 모래톱이나 수변부로 교목층이나 아 교목층이 많지 않은 곳에 군락을 이룬다. 이번 조사에서 발 견된 생육지는 산지이며 고도가 138m로 군작전로 개설 후, 구성된 적사함 주변이었다. 토양의 모래톱들은 적사함의 내 용물과 같은 출처의 모래로 추측되며, 이는 주변의 임진강 이나 문산천 등에서 층층둥글레가 모래와 같이 유입된 것으 로 판단된다. 이에, 더 많은 분포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 생육지 주변과 모래의 출처인 임진강 등 수변의 미확인지뢰 지대에 대해서 추가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현재 발견된 층 층둥굴레 생육지의 위협요인은 칡 등 타 초본류의 침입으로 인해 환경요인에 대한 생태적 지위폭이 감소되고 타종과 경쟁이 불가피하여 결실률 감소, 자연낙종 및 고사 등 층층 둥굴레의 생육을 저해 시키는 생물적 요인과 군인들과 민간 인의 왕래 및 군 시설물 정비 등의 인위적인 요인으로 현 분포지에서 절멸의 위협이 크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호방법이 필요하다.

    3한반도 고유종

    본 조사지역 일대의 한반도 고유식물은 큰꽃땅비싸리, 고 려엉겅퀴, 백운산원추리, 털중나리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 으며(Table 4),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 558분류군의 0.72%에 해당한다. 큰꽃땅비싸리는 서부 2지 역인 연천 반정리 일대를 제외한 전 조사지역에서 발견되었 으며, 고려엉겅퀴는 서부4와 서부5지역에서 분포를 확인하 였다. 백운산원추리는 서부 1, 4, 5지역, 털중나리는 서부 1과 5지역에서 생육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한반도 고유식물 은 서부 5지역(천덕산 일대)에서 모두 확인하였으며, 서부 2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들 4종은 대부분 낮은 지 대에 햇빛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 및 산기슭 등을 생육지로 갖고 있으며, 큰꽃땅비싸리를 제외하고 전국에 분포하고 있 다. 또한 미확인지뢰지대로 조사가 불가능한 지역을 제외하 고 군작전로가 개설된 숲 가장자리와 낮은 고도의 산중(山 中) 그리고 군의 정비작업이 이루어진 개활지 등에서 발견 되었다. 큰꽃땅비싸리는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의 잡종으 로 경남·북에 서식하며 부엽토가 있는 곳을 선호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으며(Kim, 2005), 본 조사지역에서 최초로 보 고되었으며 햇빛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에서 분포를 확인하 였다.

    4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조사지역 일대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삼지구엽초 등 Ⅴ등급종이 3분류군, Ⅳ등급은 구슬사초 등 3분류군, Ⅲ 등급은 개부처손, 느리미고사리 등 13분류군이 확인되었으 며, Ⅱ등급은 돌단풍 등 13분류군, Ⅰ등급은 쥐방울덩굴 등 22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Table 5). 이는 국립생태원의 식 물구계학적 특정식물(2014) 1,258종 중 4.4%에 해당한다. 조사지역별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서부 1지역(장단면 일대)이 9분류군, 서부 2지역(반정리 일대)은 10분류군, 서 부 3지역(백학면 일대)은 16분류군, 서부 4지역(빙애 일대) 은 27분류군, 서부 5지역(천덕산 일대)은 34분류군으로 나 타났다(Table 5). 서부 5지역이 가장 많은 구계학적 특정식 물이 생육하고 있으며,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에서 발견된 55종 중 62%를 차지하였다. 고립 혹은 불연속적으로 분포 하는 특성을 가진 Ⅴ등급종 중 참통발은 서부 1지역과 4지 역에서 확인되었으며, 노상리 일대와 포춘리 일대에서 민간 인의 출입이 허가되어 경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으로 폭이 넓고 긴 농수로에 불연속적으로 생육하고 있다. 이러한 생 육지는 지속적인 인위적 교란이 발생하는 장소로 주변식물 의 제거 작업으로 참통발에게는 다소 유리한 생육환경으로 판단되지만 제초제 등 인위적 요인에 의해 훼손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삼지구엽초는 서부 4지역의 적거리 일대 잔 존림에서 수 십 여개체를 확인하였으며 인간에 의한 훼손보 다는 토사유실 등 자연재해로 인한 생육지 위협 정도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북방계 식물로 알려진 구슬사초는 Ⅳ등급 종으로 서부2와 4지역 임진강 빙애일대와 사미천의 수변부 에 대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임진강을 따라 그 분포역이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 빙애 일대와 사미천의 수변부는 수위변동에 따른 일시적인 교란요인 이외에는 안정적인 생 육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5희귀식물

    조사지역 일대의 희귀식물은 10과 11분류군이 조사되었 고(Table 6), IUCN 평가기준에 따라 지정한 “한국희귀식물 목록집”(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에서 희귀식물 577분류군의 1.9%에 해당한다. 위기종등급(EN)의 층층둥 굴레를 비롯하여 취약종등급(VU)은 느리미고사리, 삼지구 엽초, 참통발, 자주꽃방망이의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느 리미고사리의 주요 분포역은 광릉숲과 남부지역이며, 경기 도 광릉숲에서는 적은 개체가 무리를 지어 분포하여 관상자 원으로 가치가 매우 뛰어나다고 보고되었다(Jung et al., 2006). 본 종은 민통선 서부 5지역의 백성동 일대 둠벙 일원 의 버드나무군락 가장자리의 햇빛이 잘드는 습지에 생육하 고 있으며 경작지 확장을 위한 공사 이외에는 미확인지뢰지 대와 인접하고 있어 위협요인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 주꽃방망이는 서부 5지역의 군작전로 개설로 발생한 절개 지와 인접한 사면부에 불연속적으로 수 개체가 생육하고 있다. 본 종은 주로 중북부 지방의 500m 이상되는 지역의 풀밭에 생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도와 군 수색로 등 인위적인 간섭이 잦은 곳으로 훼손 가능성이 높은 곳이 다. 약관심종등급(LC)으로는 쥐방울덩굴, 낙지다리, 도깨 비부채, 물질경이, 두루미천남성, 창포 총 6분류군이 확인되 었으며 대부분 숲 가장자리, 숲 절개지, 습지 등에 자생하고 있다.

    6귀화식물

    조사지역 일대의 귀화식물은 17과 51분류군의 생육이 확 인되었으며(Table 7), 모든 조사지역이 26~31분류군으로 비 슷한 분포를 보였고, 51분류군 중 국화과가 29.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DMZ 일원에서 조사되었던 귀화식물은 동부지역에서 40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중부지역에서는 34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으로 본 조사지역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의 귀화율은 9.14%, 도시화지수는 15.89%로 산출되었다. 민통선지역 귀화율 연구에서는 서 부지역이 15.9%(Oh et al., 2009)로 본 연구결과보다 높았 으며, 이는 인간의 간섭 정도가 높은 폐군생활관주변과 인 근 산지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미군부대가 인접한 지역 이라 외래식물의 유입정도가 DMZ 접경지역 내에서 허가 된 농가 주변을 포함하여 미확인지뢰지대, 철책선 인접지역 등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보다 높았던 것이라 사료된 다. DMZ 일원 서부지역은 낮은 산들이 있지만 중부 및 동 부와는 다른 평야지대이며, 군부대의 훈련 및 작전로 주변 정리작업과 일부 민간인의 영농을 위하여 토지 이용이 허가 되어 인위적인 간섭정도가 높은 곳으로 우리나라 농촌만을 대상으로한 귀화율 18.71%보단 낮지만, 인근지역에서 산 림을 대상으로만 한 광평산 8.5%(Lee, 2014a), 감악산 6.6%(Lee, 2014b), 경기도 중부지역 대표산지 4.9%(Ko and Shin, 2009), 소요산 5.1%(Park and Paik, 2014)보다는 높았다. 도시화지수는 국내 총 귀화식물의 종수에 따라 달 라지며, 본 연구에서는 321분류군(Lee et al., 2011)를 기준 으로 하여 15.89%로 인근 산지인 소요산 29분류군(Park and Paik, 2014)의 9.03%와 Park et al.(2002)의 연구에서 271종류를 기준으로 경기도 중부지역 22분류군(Ko and Shin, 2009)의 6.85%보다 본 조사지역이 크게 높았다.

    현지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대부분 종자번식의 재생전 략유형을 갖고 그 분포역을 확대하는 생육·생태 특성상 길 가장자리, 숲 가장자리, 그리고 묵논 등에 주로 분포하였다. 한편, 생육이 확인된 귀화식물 중 환경부지정 생태계교란식 물은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로 총 4분류군이 생육하고 있었다(Table 7). 특히, 단풍잎돼지 풀은 길 가장자리와 공터에서 대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돼지풀과 미국쑥부쟁이를 포한한 3종은 중부와 동부에서도 생육이 확인(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2013)되어, DMZ 일원 전체를 대상으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생태계교란식물로 판단된다.

    7제언

    본 연구에서 밝혀진 관속식물상은 1990년 말부터 제안되 어 왔던 DMZ 평화공원 또는 생태공원 및 DMZ 생태계 또는 환경 연구 등에 필요한 생태적, 경제적 가치를 판단하 는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2014년 10월 평창에서 개최된 ‘제 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 사국총회’에서는 DMZ 생물다양성 보전에 관한 내용이 다 루어진 만큼, 앞으로 DMZ 일원의 생태계 보전과 주요 생태 축의 기초자료 확보 및 생물권 보전지역 추진 등을 위해서 도 금번 조사와 같은 배경으로 목적에 맡는 조사가 수행되 어야 할 것이며 이와 같은 배경으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동정된 종의 근거자료 확보를 위하여 확증표본제작 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민통선 이북지역은 접근이 제한된 지역으로 외부로부터의 영향이 최소화 된 채 남한 최북단 식물들이 60여년 동안 분포하는 곳이다. 그만큼 이 곳에 대한 식물상 조사는 일부지역에 대하여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선행 연구에서의 증거표본 확보는 다소 미흡 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곳은 그 자체만으로도 생태적 인 가치가 뛰어나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생물자원 확보 및 발굴, 정책적인 자료 활용 및 홍보 등의 기초 및 근거 자료로 써의 표본제작이 필요하다.

    둘째, 조사시기 조율이 매우 중요하다. 식물상 조사는 식 물체가 고사하거나 생활사가 종료되는 겨울철을 제외하고 봄, 여름, 가을 동안 항시 조사가 이루어져야 충실한 자료를 확보 할 수 있다. 그러나 과거 2010년도 조사(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는 늦가을 시기만 조사하 였으며, 본 연구자들이 참여한 이번 조사에서도 봄철 조사 시기가 늦어져 서부지역 전체 식물상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 로 생각된다. 따라서 추후 조사에서는 각각 분류군의 성격 에 맞는 조사시기의 조율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시기를 놓친 경우에는 그 다음해에 추가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조사지역의 확대가 필요하다. DMZ 일원은 국내· 외적으로 생물다양성이 매우 뛰어나며, 생태계의 보고로 알 려진 곳으로 제한된 지역에서 확증표본만을 대상으로 조사 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멸종위기식물을 포함한 희귀 식물이 다수 확인되었으며 종 다양성이 높게 나타난 점은 생태적인 가치가 매우 높다는 것으로 반영한다. 특히 금회 조사는 군작전로 등 선형태의 접근 가능한 지역의 조사를 수행한 결과이며 결코 다양한 식물이 확인되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생물종 조사에서는 군의 협조를 바탕으로 접 근 가능한 지역을 보다 더 확대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조사에서 발견된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 층 층둥굴레의 생육지는 군작전로 특성상 도로정비로 인하여 훼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대체 서식지로의 이동 및 보호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기타 주요식물은 군작전 로, 농수로, 소로 등에 분포하여 인위적 훼손이 불가피하게 일어날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 생육지에 대한 최소한의 보호 대책이 필요하다. 중요 식물 외에도 본 조사에서 확인된 귀화식물들에 대한 대책마련도 필요하다. 특히 단풍잎돼지 풀은 길 가장자리 및 공터에서 대군락을 이루고 있어 장기 적으로 생육지의 확대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생태계교란식 물에 대한 철저한 정비도 이루어져야 한다.

    Figure

    KJEE-30-1_F1.gif

    A map of the surveyed routes(triples line with wide center)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Table

    The dates and routes of investigations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The endangered plants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The list of the endemic plants investigated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The list of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vestigated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The list of the rare plants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The list of the naturalized plants investigated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The photos of endangered and major plants

    A: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B: Carex tegulata H. Lév. & Vaniot., C: Dryopteris tokyoensis (Makino) C. Chr., D: Epimedium koreanum Nakai., E: Utricularia tenuicaulis Miki., F: Cirsium setidens (Dunn) Nakai, G: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Ker Gawl., H: Penthorum chinense Pursh, I: Rodgersia pldophylla A. Gray.

    The list of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in west side of DMZ area

    Reference

    1.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 pp.-1482(in English)
    2. Flora of Galhyeon areaHyun JO , Park HK (2007a) In 3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3. Flora of Munsan area (Wollyongsan mountain)Hyun JO , Park HK (2007b) In 3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4. Flora of Jangpa area (Gwangpyeong mountain)Hyun JO , Park HK (2007c) In 3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5. Flora of Mt. Duri(184m)[sub-region Yeoncheon(4-17)]Jeon ES , Kwon SG (2004) In 2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6. The floristic region of neighboring areas near DMZJeong YH (1975) In A report of general academic investigation in the neighboring areas near DMZ ,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 pp.124-151(in Korean)
    7. Jung SS , Lee KH , Kang UC (2006) The distribution life-form of ferns in Gwangneung forest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ol.19 (5) ; pp.592-59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Flora of Mt. Gamak(City of Paju and Yeoncheon) and nearby mountainous areaKim CH , Han MK (2000) In 2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9. Flora of Daegwang areaKim DG , Hang SH (2009) In 3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10. Woody plant in the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Civilian Control LineKim TW , Lee YM (1987) In Civilian Control Line northern regional resource survey report(Gyeonggi-do) ,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 pp.242-252(in Korean)
    11. Kim WH (2005) Polyploidy and speciation in Korean endemic species of Indigofera grandiflora(Leguminosae). M.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 pp.-4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o SC , Shin YH (2009) Flora of middle part in Gyeonggi Provinc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ol.22 (1) ; pp.49-70(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 Korea National Arboretum, ; pp.-332(in Korean)
    14. Flora of Baekhak areaLee JH , Kim YC (2009a) In 3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15. Flora of Guhua areaLee JH , Kim YC (2009b) In 3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16. Flora of Keoho areaLee JH , Kim YC (2009c) In 3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17. Flora of Panmunjom areaLee JH , Kim YC (2009d) In 3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18. Lee SH , Choi JH , Shin SH , Kim DB (2014a) Flora of Jangpa map -Mt. Gwangpyeong-. In 4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in Korea)
    19. Lee SH , Choi JH , Shin SH , Kim DB (2014b) Flora of Maji map -Mt. Gamak-. 4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in Korea)
    20.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 pp.-990(in Korea)
    2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Vol.I,II ; pp.914-910(in Korea)
    22. Lee W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 pp.-1688(in Korean)
    23.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and flora(Gyeonggi-do) in Demilitarized adjacent area(Civilian Control Zone area)Lee WT , Paik WK (1992) In Natural ecosystem survey report of Demilitarized adjacent area ,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 pp.39-99(in Korean)
    24. Lee WT ,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8 ; pp.1-33(in Korean)
    25. Lee WT , Yim YJ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 pp.-412(in Korean)
    26. Lee YM , Park SH , Jung SY , Oh SH ,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 Korean Journal Plnat Taxonomy, Vol.41 (1) ; pp.87-101(in Korean)
    27. Lee YN (1998)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 pp.-1243(in Korean)
    28.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Vol.I,II ; pp.-1864(in Korean)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Ecology, forest, cultural heritage survey and research report in the western part of the DMZ ,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Incheon, ; pp.-314(in Korean)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Ministry of Environment , Retrieved Dec. 05, 2013, from http://www.me.go.kr,
    31.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ilitary bases and military facilities protection laws , Retrieved May. 9, 2014,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3884&efYd=20140810#AJAX,
    3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0) Endemic species of Korea-Plant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pp.-278
    3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ecological survey report of central region in DMZ ,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pp.-282(in Korean)
    3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Ecological Survey of Near DMZ-Ecological survey of civilian control line nort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pp.-233
    3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Ecological Survey of Near DMZ-Ecological survey of civilian control line north central reg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36.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 A guide to the 4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in Korean)
    37. Oh CH , Kim YH , Lee HY , Hong BS (2009) The Naturalization Index of Plant Around Abandoned Military Camps in Civilian Control Zone ,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12 (5) ; pp.59-7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Park HJ , Paik WK (2014) A Study on the Change of Vascular Plants Flora in Mt. Soyo (Gyeonggi Province) ,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Vol.8 (2) ; pp.113-148(in Korean)
    39. Ministry of Environment (ed.)Park KH (1987) Herbaceous plant in the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Civilian Control Line , In Civilian Control Line northern regional resource survey report(Gyeonggi-do), Ministry of Environment, ; pp.253-284(in Korean)
    40.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 pp.-588
    41. Park SH , Shin JH , Lee YM , Lim JH , Moon JS (2002)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Korea , Korea Forest Reserch Institue & Korea National Arbortum, Ukgo Press, ; pp.-193(in Korean)
    42. Flora of Mt. Geumhak and nearby mountainous area[sub-region 4-10(Yeoncheon, Pocheon)]Yang KC , Chung JD (2001) In 2nd National Ecosystem Survey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