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의 장소로써 숲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고(An et al., 2010),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Kim et al., 2014; Cho et al., 2014). 성인의 산림치유 관심도를 알아보 는 연구에서, 성인의 83.3%가 산림치유에 대하여 들어보았 고, 90.3%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다고 응답하 였다(Kim et al., 2014). 산림치유 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에 서도 앞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 묻는 질문에 ‘없다’라는 응답이 5%로 매우 미미한 반면, 보통 이상이 95.5%에 달해 앞으로도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잠재수요 는 클 것으로 보인다(Cho et al., 2014).
산림치유 프로그램이란 산림이 지닌 치유 기능을 극대화 하기 위해 산림치유 인자를 활용하여 운영하는 프로그램으 로, 대상에 맞게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의 과정을 조직화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Ha, 2014).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 2010년 이전의 연구가 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Song et al., 2009; Shin et al., 2003., Yoeun, 2007; Lee et al., 2010)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뤘다면, 2010년 이후부터 산림치유 프로그램 효과 성 분석과 함께 산림치유 적용대상(Park et al., 2012), 산림 치유 프로그램 개발(Kim, 2014; An and Lee, 2013; Lee, 2011), 프로그램 현황과 방향(Min, 2014; Lee et al., 2011; Cho et al., 2014), 산림치유 지도사의 수행 작업(Shin et al., 2011; Lee et al., 2013)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산림치유 프로그램 관련 연구 중 프로그램 개발에 관 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Lee(2011)의 식물요소를 내 포한 세시풍속의 산림 치유적 프로그램 응용방안, Shin(2013) 의 산림치유를 적용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Kim(2014)의 인터넷 중독 아동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 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An and Lee(2013)의 MBSR 기법을 응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모델화 작업, Hong et al.(2010)의 여성 알코올 의존자를 위한 숲치유 프 로그램 개발, Kim et al.(2011)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숲으 로 떠나는 마음여행 프로그램 개발, Lee et al.(2012)의 통합 의학적 산림치유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Yoo et al.(2013)의 소아 환경성 질환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Park et al.(2014) 의 북미지역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은 산림의 다양한 자원을 치유자 원으로 변화시키는 행위 또는 새로운 산림치유 활동을 만들 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Ha, 2014).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하 는 방법의 하나로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 형태의 교수체 제개발(ISD: Instructional System Development)기법이 있 다(Oh and Choi, 2005). 교수체제개발(ISD)은 프로그램에 서 일어나는 활동을 하나의 유기적 통합체로 보고 프로그램 을 설계한다. 프로그램 개발의 분석단계에서는 대상자 요구 분석, 대상자 분석, 환경 분석 및 목표 분석이 진행된다 (Dick et al., 2005). 즉, 이 단계에서 프로그램 개발자는 대상자를 파악하고,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목표를 설계한다(Ha, 2014). 국내 산림치유 프로그램 활동을 비교․ 분석한 연구에서,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과 비교해서 자아성찰 혹은 명상과 같이 전문 가이드 없이 혼자 할 수 있는 활동이 비교적 많음을 확인하였으나, 기존 대부분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숲해설 활동, 강의 등의 학 습활동이 각각 포함되는 사례가 많고, 혼자 할 수 있는 활동 보다 전문가가 개입하여 진행하는 활동이 많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Lee et al., 2011). 많은 연구자들은 산림치유의 효과 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참가대상에 따른 특성과 치유 목표 에 부합하는 다양성과 전문성이 있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필요에 관해 강조해 오고 있다(An et al., 2010; Hong, 2012; Lee, 2015; Lee et al., 2011; Lee et al., 2014; Seok and An, 2013; Yoo et al., 2012).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Ha, 2014). 참여자에 대한 뚜렷한 분석을 통한 맞춤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Seok and An, 2013; Lee et al., 2011). 이런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상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에 관한 연구 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양적으로 많은 프로그램의 제공보 다 대상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전문성과 흥미가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Kim and Kim, 2012).
이에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먼저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잠재 수요자 인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직업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 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성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 는데 있어서 실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치유 잠재수요자의 산림치유 프 로그램 선호도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각 대상의 특성에 맞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수요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우선순위 제안을 통해 프로그램의 만족도 또한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방법
1대상과 조사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대부터 60대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E여성인력개발센타와 N여성인력개발 센터의 회원, S중학교 교사, H기업 직원, K대학교 대학생, H동호회의 회원 등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를 설명하고 참여 의사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또한 연 구 참여자의 가족, 친구, 동료 등도 참여의사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14 년 4월 19일 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2014년 4월 19일부터 온라인 설문이 이메일로 발송되었고, 2014년 6월 30일까지 응답결과를 반송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온라 인 설문 방식이 익숙하지 않은 대상에게 지필식 설문을 제 공하였다. 특히, 50대 이상 163명 중 76명(46.6%)은 지필식 설문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온라인 508부, 오프라인 152부 로 총 660부의 설문이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 답, 중복응답으로 인한 통계처리가 불가능한 총 40부를 제 외하고, 총620부의 유효설문이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2설문문항 구성
설문문항의 구성은 인구통계학적 질문 3문항,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문항 37문항으로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었 다. 설문문항 구성을 위해 기존 연구(Kim et al., 2008; Lee et al., 2011)의 연구를 토대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37개 (운동중심 프로그램에 관한 7문항, 물중심 프로그램에 관한 2문항, 식이중심 프로그램에 관한 3문항, 식물중심 프로그 램에 관한 4문항, 기후중심 프로그램에 관한 3문항, 정신중 심 프로그램에 관한 18문항)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설문문 항은 산림치유 지도사,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산림치유 관 련 학과 교수 등 4인의 검토를 통해 완성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에서 “매우 중요 하다”까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 램의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결과, Cronbach’s alpha가 .939로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은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3자료분석
일반 성인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정(T-test), 일원분 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인구학적 특성 중 성별, 연령,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 과
1인구학적 특성
본 표본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은 성별, 연령, 직업으로 구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 계학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13명(34.3%), 여성 407명(65.6%)으로 여성응답자의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40대 252명(40.6%), 50대 이상 163명(26.3%), 30대 124명(20.0%), 20대 81명 (13.1%)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20세 이상 전체 인구 를 살펴보면, 40대(21.9%), 50대(20.1%), 30대(19.1%), 20 대(16.3%), 60대(11.6%) 순이다(Statistics Korea, 2015). 본 설문에서, 40대가 40.6%에 달하고 있어, 인구의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으나, 이러한 결과는 Song(2013)의 치유의 숲 이용객 연구에서 나타난 이용자의 연령비율과 거의 유사 한 경향을 보였다. 응답자의 직업은 주부 124명(20.0%), 사 무․행정․관리직 100명(16.1%), 무직․기타 82명(13.2%), 교 직 69명(11.1%), 학생 69명(11.1%), 전문․연구직 66명 (10.6%), 생산․기술․서비스직 67명(10.8%), 자영업․CEO 43 명(6.9%) 순으로 나타났다.
3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1)성별
성별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정(T-test)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라서 숲속 운 동회, 물속에 발과 팔 담그기, 음식 만들기, 숲 해설 듣기, 식물 관찰하기, 자연물 이용한 만들기, 별 관찰하기를 제외 하고 호흡법, 호흡체조(p<0.001), 요가(p<0.001), 맨발로 숲속 걷기(p<0.05), 자유롭게 숲속 걷기(p<0.01), 등산(p<0.001), 묵언 산행(p<0.001), 물 흐르는 소리 듣기(p<0.001), 허브차 마시기(p<0.001), 자연음식 먹기(p<0.001), 스트레스 평가 와 진단(p<0.05), 카운슬링, 상담 등 전문가 코칭(p<0.01), 스트레스 관련 강의(p<0.05),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강의 (p<0.05), 명상(p<0.001), 비전 세우기(p<0.05), 아로마 테 라피(p<0.001), 숲속 잠자기(p<0.01), 숲속 독서(p<0.01), 숲속 글쓰기(p<0.01), 숲속 음악치료(p<0.001), 숲속 미술 치료(p<0.001), 숲속 사진치료(p<0.05), 숲속 웃음치료 (p<0.05), 숲속 춤테라피(p<0.001), 숲속 연극치료(p<0.01), 숲속 통합 예술치료(p<0.001), 숲속 원예치료(p<0.001), 경 관보기(p<0.05), 식물 관찰하기(p<0.05), 삼림욕·풍욕·일광 욕(p<0.05), 캠핑(p<0.05) 등은 남·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성별에 따라서 살펴보면, 남성은 여성에 비해 캠핑을 선호하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전반적 인 프로그램에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상위 5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남자는 삼림욕·풍 욕·일광욕, 스트레스의 평가와 진단, 경관보기, 자유롭게 숲속 걷기, 물속에 발과 팔 담그기 순으로, 여자는 삼림욕·풍욕·일광욕, 경관보 기, 자유롭게 숲속 걷기, 물 흐르는 소리 듣기, 스트레스의 평가와 진단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3)과 같다.
2)연령
연령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 령에 따라서 호흡법·호흡체조(p<0.01), 요가(p<0.05), 자유롭 게 숲속 걷기(p<0.05), 등산(p<0.001), 묵언 산행(p<0.001), 숲 속 운동회(p<0.05), 음식 만들기(p<0.05), 스트레스 평가와 진 단(p<0.01), 카운슬링, 상담 등 전문가 코칭(p<0.05), 스트레 스 관련 강의(p<0.01), 숲속 잠자기(p<0.05), 숲속 예술치료 (p<0.05), 숲속 사진치료(p<0.01), 숲속 춤테라피(p<0.05), 숲 해설 듣기(p<0.001), 식물 관찰하기(p<0.01), 자연물 이용한 만들기(p<0.01), 별 관찰하기(p<0.01), 캠핑(p<0.01) 등은 연 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호흡법·호흡체조, 요가, 등산, 묵언산행, 숲해설 듣기는 5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대는 상대적으로 낮게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서, 20대는 음 식만들기, 스트레스의 평가와 진단, 숲 속 사진 치료를, 30 대는 자유롭게 숲속 걷기, 상담 등 전문가 코칭, 스트레스 관련 강의, 숲속 잠자기, 숲속 예술치료, 숲속 춤테라피, 식 물 관찰하기, 자연물을 이용한 만들기, 별관찰하기, 캠핑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속 운동회는 30대(3.15 점)가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0대(2.66점)는 상 대적으로 낮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상 위 5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20대는 스트레스의 평가와 진단, 삼림욕·풍욕·일광욕, 경관보기, 물속에 발과 팔 담그 기, 자유롭게 숲속 걷기 순으로, 30대는 삼림욕·풍욕·일광 욕,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자유롭게 숲속 걷기, 물 흐르는 소리 듣기, 경관보기 순으로, 40대는 삼림욕·풍욕·일광욕, 경관보기, 물 흐르는 소리 듣기, 자유롭게 숲속걷기, 자연 음식먹기 순으로, 50대 이상은 삼림욕·풍욕·일광욕, 경관보 기, 호흡법·호흡체조, 물 흐르는 소리 듣기 순으로 각각 나 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4)와 같다.
3)직업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직 업에 따라서 호흡법․호흡체조(p<0.01), 요가(p<0.05), 자유 롭게 숲속걷기(p<0.001), 등산(p<0.01), 묵언산행(p<0.001), 물 흐르는 소리 듣기(p<0.05), 허브차 마시기(p<0.05), 자연 음식먹기(p<0.01), 음식 만들기(p<0.05),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p<0.05), 명상(p<0.01), 비전 세우기(p<0.01), 숲속 잠 자기(p<0.05), 숲속 독서(p<0.05), 숲속 음악치료(p<0.05), 숲속 춤테라피(p<0.05), 경관보기(p<0.001), 숲 해설 듣기 (p<0.01), 식물 관찰하기(p<0.001), 자연물 이용한 만들기 (p<0.01), 삼림욕․풍욕․일광욕(p<0.01), 별 관찰하기(p<0.01) 등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직업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를 구체적으로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른 직업과 비교해서 학생은 음식 만 들기,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등을, 교사는 자유롭게 숲속걷 기, 등산, 비전 세우기, 숲속 독서, 숲속 춤테라피, 경관보기, 숲해설 듣기, 자연물 이용한 만들기, 삼림욕․풍욕․일광욕, 캠 핑 등을, 주부는 요가, 물 흐르는 소리 듣기, 허브차 마시기, 자연음식먹기, 숲속 음악치료를, 전문․연구직은 호흡법․호흡 체조, 묵언산행, 명상, 숲속 잠자기, 숲속 연극치료, 별 관찰 하기 등을 각각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생은 삼림 욕·풍욕·일광욕,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경관보기, 물속에 발과 팔 담그기, 별 관찰하기 순으로, 교사는 삼림욕·풍욕· 일광욕, 경관보기, 자유롭게 숲속 걷기, 자연음식 먹기, 스트 레스 평가와 진단 순으로, 주부는 삼림욕·풍욕·일광욕, 경관 보기, 물 흐르는 소리 듣기, 자연음식 먹기, 호흡법·호흡체 조 순으로, 생산·기술·서비스직은 삼림욕·풍욕·일광욕, 자유 롭게 숲속 걷기, 물 흐르는 소리 듣기, 호흡법·호흡체조, 스 트레스 평가와 진단 순으로, 사무·행정·관리직은 삼림욕·풍 욕·일광욕, 경관보기,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경관보기, 물 흐르는 소리 듣기 순으로, 자영업·CEO는 삼림욕·풍욕·일광 욕, 경관보기, 호흡법·호흡체조, 물속에 발과 팔 담그기, 스 트레스 평가와 진단 순으로, 전문·연구직은 삼림욕·풍욕·일
광욕, 경관보기, 자유롭게 숲속 걷기, 호흡법·호흡체조, 명 상 순으로, 무직·기타는 삼림욕·풍욕·일광욕, 자유롭게 숲속 걷기, 물 흐르는 소리 듣기, 경관보기, 호흡법·호흡체조 순으 로 등을 각각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5)와 같다.
고 찰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의 일환으로 설계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에 참여하는 잠재 수요자들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진행시 의미가 있고, 산림치유의 치유효과를 높이기 위해 필연적인 과제라 볼 수 있다. 프로그램 내용 선정에 있어서 대상자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Lee and Jeong, 2012). 그러나, 참여자의 동기유발을 위해 프로그램 의 필요성 및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 램 선호도의 파악을 통해 보다 표적화되고 차별화된 산림치 유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는 성별(캠핑, 등산, 묵언산행, 숲해설 듣기 등 30개), 연령(음식 만들기, 스트레스의 평가 와 진단, 숲 속 사진 치료 등 19개), 직업(호흡법·호흡체조, 요가, 등산, 묵언산행 등 22개)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성별에 따라, 남성은 여성에 비해 숲속 운동회, 캠 핑을 선호하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전반적인 프로그램에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에 있어 성별간 차이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산림휴양 자원의 유형과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에서도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암벽등반의 경우 남성들이 여성보다 2배 높은 비 율을 나타냈다(Lee, 2013). 남성은 여성에 비해 주도적이고, 육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Kim(2014)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자연치유요법 의 인지 정도와 종류별 선호도에 대한 연구에서도 남자는 운동요법을 여자는 식이요법을 더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성별의 특성을 고려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성별 에 따른 특화된 프로그램 요구에 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다른 연령과 비교해서 20대는 스트 레스 평가와 진단, 음식 만들기, 아로마 테라피, 숲속 음악치 료, 숲속 사진치료, 별 관찰하기 등, 30대는 자유롭게 숲속 걷기(신발 착용), 카운슬링, 상담 등 전문가 코칭, 스트레스 관련 강의,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강의, 비전 세우기, 숲속 운동회 등, 40대는 명상, 경관보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 맨발로 숲속 걷기, 허브차 마시기 등, 50대는 호흡법·호흡체 조, 요가, 등산, 묵언 산행, 자연음식 먹기, 숲 해설 듣기 등의 프로그램을 특히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법· 호흡체조, 요가, 등산, 묵언산행, 숲해설 듣기 등에 대해서는 5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대는 상대적으로 낮게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et al.(2014)의 산림치유 관심도 와 요구도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20대의 젊은 연령층은 산 림치유에 관한 인식, 프로그램 참여 경험, 숲 방문 빈도,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희망에 관한 욕구가 전반적으로 낮 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20, 30대의 젊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는 산림치유의 긍정적 인 효과에 관해 소개할 필요가 있다.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스트레스 관련 강의, 전문가 상담 등을 통해 자신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음식 만들기, 숲 속 음악치 료, 숲 속 사진치료 등 재미있고, 스스로 유능감을 느낄 수 있는 전문적이고 수준이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전 퀘스트와 같은 미래설계를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효과적일 수 있다. 40대 이상은 노후 대비와 건강을 생각하는 연령대로, 숲의 환경을 이용하는 등산, 숲 걷기, 숲 바라보기, 삼림욕, 호흡법·호흡체조, 요가 등의 프로그램을 선호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Chae et al.(2007)의 연구에서도 경제력이 높은 40대 이상이 자연치 유를 많이 이용하고 있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이상을 대상으로 프 로그램을 기획할 때는 특히 숲의 환경을 좀 더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직업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를 구체적으 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른 직업과 비교해서 학생은 스 트레스 평가와 진단, 음식 만들기 등을, 교사는 자유롭게 숲속걷기, 등산, 비전 세우기, 숲속 독서, 숲속 춤테라피, 경관보기, 숲해설 듣기, 자연물 이용한 만들기, 삼림욕․풍욕․ 일광욕, 캠핑 등을, 주부는 요가, 물 흐르는 소리 듣기, 허브 차 마시기, 자연음식 먹기, 숲속 음악치료를, 전문․연구직은 호흡법․호흡체조, 묵언산행, 명상, 숲속 잠자기, 숲속 연극치 료, 별 관찰하기 등을 각각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기술․서비스직, 사무․행정․관리직, 자영업․CEO 모두 삼림욕· 풍욕·일광욕,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Jeon and Kim(2009)은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회사 원의 근속 년수별, 직위별로 구분하여 유연성을 가진 프로 그램 실행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회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직업의 종류 뿐만 아니라 직무 특 성별, 근속 년수별, 직위별로 구분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 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프로그램 개발자는 잠재 수요자들의 요구(Needs)를 프로 그램에 적극 반영하여야 좋은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Kim et al., 2010). 성별에 따라 특성화된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각 연령대에 맞게, 즉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 및 서비 스 등을 제공 하는 것이 필요하다(Lee, 2013). 정리하면,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특히 성별, 연령, 직업에 따라 산림치 유 프로그램에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편의 표본추출 방식으로 일반 성인에 초점을 두고 표집을 하였으나, 서울 및 경기도에 샘플 이 집중되어 있어서 연구결과의 일반화(Generalizability)에 한계가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지역적, 문화적 차이를 고려 한 표집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성별, 연령별, 직업별, 거주 지별, 소득수준별, 인구비례 등에 의한 비례층화 표본추출 법(Stratified sampling)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산림치유는 건강증진을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질환 에 대한 처치나 개선까지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산림치 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는 산림치유 프로 그램에 대해 피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산림치유 참여 경 험이 있는 응답자는 자신이 체험하거나 접했던 산림치유의 개념을 이해하므로, 표본의 대표성에 있어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각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정의가 구 체적으로 수립 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기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 출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관찰 및 토론, 면담 등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면 프로그램 개발에 보다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추후 연구에서는 유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 생, 대학생, 직장인, 노인, 외국인, 다문화 가족 등 다양한 대상과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 심리증상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요구분석을 기초로 대상에 따른 단위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검증과 함께, 차별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가 필요하다. 추후 연구에 서는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산림 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효과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의 결과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 초 자료로써 활용되어 대상에 맞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산림 치유 프로그램이 구축되길 기대한다. 또한 참가자의 인구학 적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 써 참가자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이고 치유효과를 향상시 킬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