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0 No.3 pp.376-385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6.30.3.376

The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 by Slope and Altitude in Taebaeksan Provincial Park1a

Sang-Cheol Lee2, Hyun-Mi Kang3, Song-Hyun Choi4*, Seok-Gon Park5, Chan-Yeol Yu6
2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san Nat'l Univ., Miryang 50463, Korea
3Baekdudaegan Sup Research Institute, Daejeon, 34145, Korea
4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l Univ., Miryang 50463, Korea
5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l Univ., Sunchoen 57922, Korea
6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Jinju 52615, Korea

a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Corresponding author: Tel: +82-55-350-5401, Fax: +82-55-350-5409, songchoi@pusan.ac.kr
February 3, 2016 May 12, 2016 June 8, 2016

Abstract

Through the vegetation survey of Geumcheon Valley on the south-facing slope and the other side of the valley, Jedanggol on the north-facing slope in Taebaeksan Provincial Park,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change by slope and altitude were examined. From Geumcheon Valley(850m) via the ridge(1,380m) to Jedanggol(950m), thirty plots at intervals of 50m altitude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er pictum subsp. mono, Fraxinus rhynchophylla, Betula davurica and Lindera obtusiloba were observed only in the south-facing slope, while Sorbus commixta, Prunus padus, Prunus maackii and Acer komarovii were observed only in the north-facing slope. However, Quercus mongolica, Betula costata, Cornus controversa, Tilia amurensis , Acer pseudosieboldianum and Magnolia sieboldii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over both the slopes. The analysis of ordination found that the vegetation was distributed discontinuously by slope. Especially, the vegetation of the north-facing slope appeared to be affected by the direction that the slope fac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hich is the dominant species at an altitude of over 1,200m, was determined to be affected by elevation factor. The maximum age of the major trees was as follows: Betula costata and Quercus mongolica were estimated to be 53-year-old and 113-year-old respectively.


태백산도립공원의 사면 및 해발고별 식생구조 변화1a

이 상철2, 강 현미3, 최 송현4*, 박 석곤5, 유 찬열6
2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3(사)백두대간숲연구소
4부산대학교 조경학과
5국립순천대학교 조경학과
6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초록

태백산도립공원의 남사면인 금천계곡과 북사면인 제당골의 식생을 조사하여 사면 및 해발고별 식생구조 및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발 850m의 금천계곡에서 1,380m의 마루금을 거쳐 950m 제당골까지 해발 50m간격으로 30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조사 및 종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태백산도립공원은 사면에 관계없이 신갈나무, 거제수 나무, 층층나무, 피나무, 당단풍나무, 함박꽃나무 등 낙엽활엽수가 넓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물박달나무, 생강나무 등은 남사면에, 마가목, 귀룽나무, 개벚지나무, 시닥나무 등은 북사면에만 분포하고 있었다. Ordination 분석결과 사면별로 식생이 불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북사면의 식생은 사면향 에 따른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 1,200m이상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신갈나무는 환경요인 중 해발고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륜분석결과 주요 식생인 거제수나무는 53년, 신갈나무는 최고 94년생까 지 분석되었다.


    Pusan National University

    서론

    태백산도립공원은 1989년 5월 13일 국내에서 19번째 도 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17.44km2로 주요 행정구역 은 강원도 태백시 문곡, 소도, 혈동 일원에 걸쳐 지정되어 있다. 태백산도립공원 내에는 장산, 장군봉, 천제단, 문수봉, 조록바위봉, 석장승, 단군성전, 당골계곡, 백단사계곡, 단종 비각 등 주요 산봉과 문화유적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어 민족의 영산으로 일컬어지고 있다(Gangwondo, 2015).

    태백산도립공원은 3개의 용도지구로 나뉘어져 있는데, 공원자연보존지구는 전체 37.09%(6.5km2)를 차지하며 신갈 나무군락이 주를 이루고 곳곳에 낙엽활엽수혼효림이 분포 하고 있으며 마루금 부근에는 주목군락이 분포해 있다. 공 원자연환경지구는 전체의 59.52%(10.38km2)를 차지하며 신 갈나무군락과 낙엽활엽혼효림이 주요 수종으로 분포하고 있다(Gangwondo, 2015).

    태백산도립공원에 대한 연구는 지역의 특성상 주로 고생 물(Choi, 2009), 지질(Park et al., 1993)과 관광 관련 연구 (Roh et al., 2005; Son et al., 2004)가 많은 반면 자연생태 분야는 연구 빈도가 낮다. 2002년 자연자원조사(Taebaekcity, 2002)가 종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Cho et al.(2005)가 당골계곡에 대해 산림군집구조를 보고하였 다. 백천계곡에 대한 식생연구(Cho and Choi, 2002)가 있었 으나 이는 도립공원 지역을 벗어나 있는 연구이다. 태백산 도립공원의 전체 식물상조사에서 Shin et al.(2015a)은 406 분류군을 보고하였으나, 최근 조사에서는 총 607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Gangwondo, 2015)되었다. 태백산은 우리나라 고산희귀식물의 보고로 알려져 있으며(Kim and Baek, 1998), 다양한 식물종이 분포하는 지역(Shin et al., 2015b)임에도 불구하고 식생 및 식물상 연구는 저조하다.

    태백산지역은 민족의 영산으로써 도립공원지역이기도 하지만 백두대간보호구역이기도 하다. 또한 한강과 낙동강 의 발원지가 인접해 있는 중요 자원이다. 태백산의 중요성 에 비해 자연자원조사는 미진한 편으로, 이에 본 연구는 최 근 국립공원으로 승격이 예상되는 태백산도립공원을 대상 으로 비교적 식생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 금천계곡 및 제당골지역을 대상으로 식생구조를 알아보고 남북사면과 해발고별 식생구조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연구 대상지

    자연식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인자는 온도, 수 분, 토양환경 등으로써(Lee and Song, 2011) 이러한 환경인 자의 구배를 간접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사면 및 해발고별 식생분포를 살펴볼 수 있다(ter Braak, 1987). 태백산도립공 원의 사면 및 해발고별 식생구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남 사면 금천계곡(해발 850m)부터 50m간격으로 조사구를 설 정하여 북사면 제당골(해발 950m)까지 총 30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였다(Figure 1). 조사구는 해발고별 임상의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임의 설치하였으며, 본 조사는 2014년 1월 예비조사를 거쳐 같은 해 7월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2.조사 및 분석방법

    1)식생 및 환경요인 조사

    태백산도립공원 식생 조사는 Monk et al.(1969)Park(1985)의 방법을 참고하여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으 로 층위를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층수관을 이루는 수목은 교목층으로, 수고 2m이하는 관목층, 기타 수목은 아 교목층으로 구분하였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10m×10m (100m2) 크기의 방형구에서 수목의 높이와 흉고직경을 측 정하였으며, 관목층에서는 각 방형구에 5m×5m 크기로 중 첩해서 설치한 소형 방형구 1개소에서 수목의 수관폭(장변 ×단변)을 조사하였다. 각 조사지의 환경요인은 고도, 방향, 경사도, 식피율, 수고, 종수 등을 조사하였다. 식물명은 국가 표준식물목록(www.nature.go.kr)을 표준으로 따랐다.

    2)식물군락구조 분석

    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각 수종의 상대적 우세를 비교하 기 위하여 Curtis and McIntosh(1951)의 중요치(Importance Value: I.V.)를 통합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우점치 (Brower and Zar, 1977)를 수관층위별로 분석하였다. 상대 우점치(Importace Percentage: I.P.)는 (상대밀도+상대피도 +상대빈도수)/3 으로 계산하였으며, 개체들의 크기를 고려 하여 수관층위별로 가중치를 부여한 (교목층I.P.×3+아교목 층 I.P.×2+관목층 I.P.×1)/6으로 평균상대우점치(Mean Importance Percentage, M.I.P.)를 구하였다.

    상대우점치 분석 자료를 토대로 DCA ordination(Hill, 1979)분석을 실시하였다. 식생자료를 토대로 유사도를 비 교 분석하였고, Whittaker(1956)의 수식을 이용하여 유사도 지수(Similarity Index=2C/A+B, A=A표본의 종수, B=B표 본의 종수, C=두 표본의 공통종수)를 분석하였다.

    3)연륜 및 생장량 조사

    조사구에서 우점종 중 평균흉고직경에 해당하는 수목 혹 은 대표적이거나 특징적인 수목을 선정하여 연륜 및 생장량 을 조사하였다. 선정된 수목을 지상으로부터 1.2m 높이에 서 생장추를 이용하여 목편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목편을 분석하여 수목의 수령 및 생장량을 파악하였다.

    결과 및 고찰

    1.조사지 개황

    태백산도립공원 지역의 기후변화를 알아보기 인접한 태 백 측후소의 지난 20년간(1996-2015)간의 평균기온과 강수 량을 조사하였다. 태백지역의 20년간 연평균기온은 8.99°C 였으며, 연평균강수량은 1,317.3mm였다(www.kma.go.kr).

    태백산도립공원 백천계곡 남사면에서부터 북사면 제당 골까지 설치된 30개 조사구에 대해 일반적 개황을 나타내었 다(Table 1). 산림식생의 수고는 교목층 12~25m, 아교목층 5~15m 그리고 관목층은 0.1~2m 범위였다. 전체 조사구의 평균흉고직경은 교목층 26.9cm, 아교목층 6.9cm이었다. 사 면별로는 교목층에서 남사면이 29.9cm, 마루금이 25.8cm 그 리고 북사면이 20.7cm로 남사면과 북사면 간의 분산분석 (ANOVA)결과 평균흉고직경간에 유의적 차이(Sig. p<0.05) 를 보였다. 그러나 아교목은 사면별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따라서 교목층 수목의 경우 남사면의 DBH가 북사면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2.식생구조

    1)사면 및 해발고별 종조성

    전체 30개 조사구에 대해 사면 및 해발고별 각 조사구의 종조성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조성표를 작성하였다 (Table 3). 종조성표는 해발고와 사면별 식생분포를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배치하였으며, 출현종에 대한 중요도는 비율에 따라 1-5의 계급으로 구분하였다.

    조사구 30은 일본잎갈나무 인공림으로 이를 제외하면, 태백산도립공원 남사면 백천계곡에 주로 분포하는 수종은 쇠물푸레나무, 조록싸리, 다릅나무, 물푸레나무, 느릅나무, 오미자, 고로쇠나무, 박달나무, 까치박달, 생강나무, 고광나 무 등이었다. 반면, 북사면의 제당골에 주로 분포하는 수종 은 시닥나무, 개벚지나무, 마가목, 귀룽나무, 청시닥나무 등 이었다. 남북사면 모두 분포하는 수종은 참개암나무, 당단 풍나무, 피나무, 신갈나무, 미역줄나무, 국수나무, 황벽나무, 팥배나무, 거제수나무, 함박꽃나무, 층층나무, 병꽃나무, 철 쭉 등이었다.

    해발고에 따른 종조성 분포에서 해발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종은 신갈나무인데, 태백산도립공원지역에 신갈나 무는 폭넓게 분포하고 있으나 해발 1,200m이상의 고지대에 서 높은 중요치를 나타났다. Song(1990)은 신갈나무군락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연구에서 군집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제 1요인이 해발고라고 밝혔고, 태백산도립공원과 백두대간으 로 연결된 월악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해발고와 사면부위 의 산림구조에 대해 연구한 Park et al.(2005)도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상대중요치가 증가 한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 었다.

    2)상대우점치 분석

    태백산도립공원 남사면에 해당하는 백천계곡의 주요 분 포 수종을 살펴보았다(Table 4). 전체 18개 조사구에서 층 위별로 살펴보면, 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I.P. 36.6%), 거제 수나무(I.P. 28.0%), 소나무(I.P. 10.9%) 등이 주요 출현 수 종이었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I.P. 19.2%), 신갈나무 (I.P. 10.5%), 고로쇠나무(I.P. 8.4%), 층층나무(I.P. 7.1%), 거제수나무(I.P. 5.8%) 등이 우점하였다. 관목층에서는 미 역줄나무(I.P. 22.4%), 산수국(I.P. 11.7%), 생강나무(I.P. 8.5%), 오미자(I.P. 8.4%) 등이 분포하였다.

    3개의 조사구가 조사된 마루금지역에서는 교목층에서 거 제수나무(I.P. 85.3%)가 우점종인 가운데 신갈나무(I.P. 11.7%)와 피나무(I.P. 3.0%) 등이 분포하였다. 아교목층에 서는 당단풍(I.P. 37.5%), 팥배나무(I.P. 17.9%)가 관찰되었 고,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I.P. 84.0%)의 세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북사면에 해당하는 제당골의 주요 분포수종을 층위별로 살펴보면, 교목층에서 거제수나무(I.P. 41.2%), 층층나무 (I.P. 12.3%), 개벚지나무(I.P. 11.5%)가 주요 분포수종이었 고,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I.P. 25.0%), 층층나무(I.P. 14.5%), 시닥나무(I.P. 8.0%), 철쭉(I.P. 6.4%), 마가목(I.P. 5.4%) 등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층에서는 회나무(I.P. 14.0%), 시닥나무(I.P. 13.0%), 귀룽나무(I.P. 11.8%), 오미자(I.P. 11.4%) 등이 분포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태백산도립공원은 사면에 관계없이 신갈나무, 거제수나무, 층층나무, 피나무, 당단풍 나무, 함박꽃나무 등 낙엽활엽수가 넓게 분포하고 있었으 며,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물박달나무, 생강나무 등은 남 사면에, 마가목, 귀룽나무, 개벚지나무, 시닥나무 등은 북사 면에만 분포하고 있었다. 사면별 출현수종에 대해서는 표본 조사의 한계가 있으므로 절대적인 결과라고 볼 수는 없겠으 나, 관목층이상의 수목에 대해서는 식생의 분포 경향을 살 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Ordination 분석

    사면 및 해발고별 조사구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ordination 분석 방법 중 DCA 기법을 적용하여 전체 30개 조사구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Figure 2). 또한 사면별 군락에 대 해 유사도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5).

    각 조사구간 상이성을 바탕으로 조사구를 요약한 ordination 분석(Orloci, 1978) 결과, 제 1축과 2축의 고유치는 각각 0.613, 0.407로 두 인자에 의하여 표현되는 분산은 총분산 의 67.6%였다. 남사면은 2개의 집단으로 좌우로 나뉘어 분 포하였으며, 북사면은 왼쪽에 분포하였다. 남사면과 북사면 의 유사도지수는 45.51%로 나타나 사면간 식생의 분포는 2개의 그룹으로 불연속성을 나타났다. 즉, 남사면 1,000- 1,075m대의 식생과 북사면 식생은 사면에 관계없이 유사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식생의 분포는 환경구배와 밀접한 관계가 있 는데(ter Braak, 1987), 해발고 및 사면은 식생의 분포를 결 정짓는 중요한 환경요인이다(Hamilton, 1975; Hamilton and Perrott, 1981; Friis and lawesson 1993; Choi et al, 1998; Lee et al., 2010). 따라서 태백산도립공원의 경우 북 사면의 식생은 사면에 따른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는 반면 남사면 식생은 사면의 영향력이 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3).

    4)연륜 및 생장분석

    태백산도립공원에 분포하는 주요 수종에 대해 목편을 채 취하고 수목의 연륜 및 생장량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6). 남사면 해발 약 900m에 분포하는 소나무의 흉고직경은 46.5cm로 수령은 43년생이었고, 연평균생장량은 4.28±2.47 mm으로 1999년 이후 연평균생장량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 다. 해발 1,000m에 자리잡고 있는 거제수나무의 흉고직경은 34.5cm이며 수령은 53년이었다. 연평균생장량은 3.18±1.04 mm였으며 최근 연평균생장량이하의 생장세를 보이고 있다. 황벽나무는 해발 1,050m에 분포하고 있는데 흉고직경 21.0 cm, 연평균생장량은 2.80±1.11mm였다. 해발 1,200m에 있는 신갈나무는 흉고직경이 29.9cm였으나 수령은 94년생이었 으며 연평균생장량은 1.71±0.97이었다. 1980년이후로는 연평균생장량이 평균이하의 생장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분 석결과, 태백산도립공원 금천계곡과 제당골 지역은 약 90년 이상의 신갈나무림 이차림이 폭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약 40년 이상의 낙엽활엽수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Figure

    KJEE-30-3-376_F1.gif

    Map of the survey plots in Taebaeksan Provincial Park, Korea.

    KJEE-30-3-376_F2.gif

    DCA(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ordination of thirty plots in Taebaeksan Provincial Park, Korea.(South aspect: ♦, North aspect: ▲, Ridge: ●).

    KJEE-30-3-376_F3.gif

    The analysis of mean annual growth of the major species in Taebaeksan Provincial Park.

    Table

    General description of the physical features and vegetation of Taebaeksan Provincial Park, Korea

    Average diameter at breast height by layer and aspect

    *p<0.05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trees (DBH≥2cm) by aspect in Taebaeksan Provincial Park, Korea

    Importance percentage of major woody species by the stratum by aspect

    Similarity index between aspects

    The estimated age of major woody species in Taebaeksan Provincial Park

    Reference

    1. Brower JE ,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 pp.194
    2. Cho HS , Choi SH (2002)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Baekcheon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 Kor. J. Env. Eco, Vol.15 (4) ; pp.68-37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HS , Kim GT , Choo GC (2005)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 Kor. J. Env. Eco, Vol.19 (1) ; pp.55-6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DK (2009) Trilobite faunal assemblages of the Taebaeksan basin and their importance in reconstructing the early paleozoic paleogeography and paleoenvironments of Korean peninsula , J. Paleont. Soc. Korea, Vol.25 (2) ; pp.129-14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SH , Lee KJ , Kim JY (1998) Altitudinal Vegetation Structure of Sunginbong in Ullungdo(Island) , Kor. J. Env. Eco, Vol.12 (3) ; pp.290-296
    6. Curtis JT ,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 Ecology, Vol.32 ; pp.476-496
    7. Friis I , Lawesson JE (1993) Altitudinal zonation in the forest tree flora of Northeast Tropical Africa , Opera Botanica, Vol.121 ; pp.125-127
    8. Gangwondo (2015) A Study on the mid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s for Provincial Park: Nature resource survey of Taebaeksan Provincial Park , ; pp.264(in Korean)
    9. Hamilton AC (1975) A quantitative analysis of altitudinal zonation in Uganda forest , Vegetatio, Vol.30 ; pp.99-106
    10. Hamilton AC , Perrott RA (1981) A study of altitudinal in the montane forest belt of Mt. Elgon. Kenya/Uganda , Vegetatio, Vol.45 ; pp.107-125
    11. Hill MO (1979)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 pp.52
    12. Kim GT , Baek GJ (1998) Studies on the Stand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Forest at Janggunbong Area in Taebaeksan , Kor. J. Env. Eco, Vol.12 (1) ; pp.1-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YH (1993)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of Taxus cuspidata S. et. Z. in Mt. Taebaik , A Master's thesis. Univ. of Kyung Hee, Seoul, Korea, ; pp.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www.kma.go.kr,
    15.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 www.nature.go.kr,
    16. Lee HS , Kim CS (2007)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among expecta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for participants of theme travel: focused on Taebaek Snow Festival Train Travel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21 (2) ; pp.257-27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MJ , Song HK (2011)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 J. Korean Env. Res. Tech, Vol.14 (1) ; pp.57-6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SC , Choi SH , Kang HM , Cho HS , Cho JW (2010) The Change and Structure of Altitudinal Vegetation on the East Side of Hallasan National Park , Kor. J. Env. Eco, Vol.24 (1) ; pp.26-36
    19. Monk CD , Child GI , Nicholson SA (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 Ecology, Vol.50 (3) ; pp.468-470
    20. Orloci L Junk W (1978) Multivariate Analysis in Vegetation research , The Hague, ; pp.468
    21. Park IH , Jang JJ , Kim KS (2005)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the Mansugol Valley at Woraksan National Park , Kor. J. Env. Eco, Vol.19 (2) ; pp.99-10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KH , Cheong CS , Lee KS , Chang HW (1993) Isotopic Composition of lead precambrian granitic rocks of the Taegaeg Area , Jour. Geol. Soc. Korea, Vol.29 (4) ; pp.387-39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2013) A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s for Provincial Parks in Gangwon Province , ; pp.22
    24. Roh BH , Jeong KH , Roh YH (2005) Visitors' Satisfaction qbout Snow Sculptures of the Mt. Taebeck Snow Festiva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60 (2) ; pp.91-10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Shin HT , Yoon JW , Kim SJ , Heo TI , Kwon YH (2015b) Distribution of the Rare and Endemic Plants in Mt. Taebaeksan , The Plant Resource Society of Korea 2015 Symposium, ; pp.31
    26. Shin HT , Yoon JW , Kim SJ , Heo TI , Kwon YH , Lim DO , An JB (2015a) Vascular Plants in Mt Taebaeksan(Taebaek-si) , Korea. Kor. J. Env. Eco, Vol.29 (3) ; pp.309-33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Son JY , Jung DY , Kang JC (2004) A study on the participants` motivation of Taebaeksan Snow Festival , Journal of Hotel & Resort, Vol.3 (2) ; pp.193-20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ong HG (1990)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by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 Research Reports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ol.8 ; pp.1-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Taebaek City (2002) Nature resouce survey of Taebaeksan Provincial Park , ; pp.300(in Korean)
    30. ter Braak CJF (1987) The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by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 Vegetatio, Vol.69 ; pp.69-77
    31. Whittaker R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 Ecological Monographs, Vol.26 ; pp.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