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0 No.4 pp.712-723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6.30.4.712

The Methodology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s of Non-target Organisms (Insects) on LM Ricea

Hoonbok Yi2,3*, Hyun-jung Kim2, Sumi Na3
2Dept. of Biology, Seoul Women’s Univ., 621 Hwarangro, Nowon-gu,Seoul 01797, Korea
3Dept. of Division of Chemistry· Life & Environmental Science, Seoul Women’s Univ., 621 Hwarangro, Nowon-gu, Seoul 01797, Korea

a 이 논문은 서울여자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 과제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82-2-970-5668, +82-2-970-5668, yih@swu.ac.kr
July 16, 2016 August 17, 2016 August 25, 2016

Abstract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methods about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ERA) based on non-target insect species for LM rice crop produced by biotechnology. We used some data by the picture dictionary of agricultural pests in Korea, some books for ERA or rice pest ecology, articles about rice ecology, and internet sites and many specialists gave us good advice for this ERA system. We found about 140 insect species using rice crop as their habitat and we discriminated herbivores into Sap feeder, Grain feeder, Defoliator, and Pollen feeder according to their food functional group. We also clarified the potential damage possibility of insect species from LM rice crop. Then, we ranked 10 non-target insect species (Baliothrips biformis, Laodelphax striatellus, Nilaparvata lugens, Mythimna separata, Cnaphalocrocis medinalis, Cletus schmidti Kiritshenko, Scotinophara lurida, Nilaparvata bakeri, Oxya chinensis, Agromyza oryzae) with giving some scores using Geographic distribution, Habitat specialization, Prevalence on crop, Abundance. We showed some environmental risk hypotheses about herbivore, predator, and parasitoid, and infered the impacts of non-target species on LM rice crop. Conclusively, we want to serve this methodology to build the biosafety system from biotechnology crops, and the methodology is to keep public health, sustain the biodiversity, and conserve the natural ecosystems.


LM벼에 영향을 받는 비표적 생물체(곤충)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 (ERA) 방법a

이 훈복2,3*, 김 현정2, 나 수미3
2서울여자대학교 생물학과
3서울여자대학교 화학·생명환경과학부

초록

본 논문은 생명공학기술을 통해 생산된 LM벼에 대한 비표적 생물체 중 곤충을 중심으로 한 환경위해성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작성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해 농업 해충관련 도감 및 서적을 활용하였고 참고문헌과 환경위해성 평가 관련 홈페이지를 참조하였으며, 논문이나 벼와 관련된 서적들을 통해 국내 현황을 참조하였다. 조사결과, 벼에 서식하는 곤충은 약 140여종으로 조사되었고, 초식성 곤충 분류군은 각각 수액섭식자, 곡물섭식자, 잎섭식자, 화분섭식자로 세분화하였다. LM벼에 피해가능성이 큰 비표적 곤충은 12종, 중간인 비표적 곤충은 28종, 경미한 비표적 곤충은 101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종은 11종, 잠재적 해충으로 분류되는 종은 9종으로 나타났다. 위해가설 가설적립단계 모식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LM벼에 악영향을 받기 쉬운 곤충의 지리적 분포, 서식지의 특수화, 확산정도, 종풍부도 등을 이용하여 순위를 매겼으며, 10종(벼총채벌레, 애멸구, 벼멸구, 멸강나방, 혹명나방, 우리가시허리노린재, 먹노린재, 벼멸구붙이, 벼메뚜기, 벼잎굴파리)을 추려내었다. 이후 위해가설 가설정립단계 모식도를 작성하였으며 LM 벼의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을 추론하였다. 본 논문은 국내 자연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존에 기여하고, LMO의 환경위해성 평가, 심사를 통해 사전위해성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작성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국민의 건강 및 생물다양성유지, 자연 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후 안전관리 체계구축에 활용될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Seoul Women's University

    서 론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으로 한 가지 종의 유용한 유전자를 다른 종에 삽입하여 새로운 품종의 유전자 변형체를 제조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즉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들이 만들어지고 있다(Yoon, 2010). GMO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s)와 같은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Lee et al., 2010).

    생명공학기술의 잠재적인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으로 인해 국내 ‧외에서 새로운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개발이 가속화 되고 있으나, LMO의 잠재적 환경 위해 가능성에 대한 끊임없 는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Rural Development Adminisrtation, 2011). 생명공학의 발전은 식량생산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 겠지만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안전성이나 식품에 대한 안전성은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항상 무시 할 수 없다 (Choi, 2008; Yoon, 2010).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2000년 1월 국 제적인 합의문인 바이오안정성의정서(CPB,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카르타헤나 의정서)가 생물다양성협약(CBD,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기구에 의해 채택되었 으며, 국내에서는 2001년 3월에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공포하였고, 2007년 10월 3일 바이오안전성 위원회에 비준서를 기탁함에 따라 2008 년 1월 1일부터 카르타헤나의정서의 국내 이행「유전자변형 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LMO법)」이 시행되 고 있다(Shim, 2013; Ministry of Enviroment, 2010).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25% 정도로서, 외국농산물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다(Moon and Kim, 2009). 국내 LMO 농산물 수입은 주로 가공식품 및 사료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루어지며 식용, 사료용 LMO는 약 849만 톤이 수입되며, 가공식품용은 옥수수가 100만 톤, 콩은 92만 톤이 수입되고 있 다(National Science& Technology Council. 2013). LMO-FFP (Food, Feed, Products: 식품, 사료, 생산물)로 수입되는 곡 물들은 많은 부분이 LMO일 가능성이 높으며, 운송 과정 중에 국내환경에 비의도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음에 (Han et al., 2015) 따라 이에 대비한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 한 상황이다(Ministry of Enviroment, 2010).

    벼는 세계 인구의 40% 이상이 주식으로 이용하는 세계 3대 작물이며, 우리나라의 농업에서 중요한 농산물로서 1차 산업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가치가 가장 큰 농산물이나, 국 내 1인당 쌀 소비량은 매년 약 2% 정도 감소중이며 상대적 으로 연말재고량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쌀 소비 확 대를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신기능성 쌀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Moon et al., 2013).

    우리나라는 농업생명공학에 관한 3대 기본목표를 설정하 고 이를 추진 중에 있다. 3대 기본 목표라 함은 첫째, 2022년 까지 세계 4위권의 농업생명공학 기술 선진국으로 진입하 는 것이고 둘째, 지식 기반 형 고부가 농산업 구조로 전환을 추진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첨단 농축산업 주도를 위한 전문 인력 양성 및 고용창출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 목표 아래 연구·개발단계에 있는 LMO품목은 많으나 아직 상품화에 이른 품목은 없다(National Science& Technology Council. 2013).

    우리나라는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에 많은 연구비를 투자 하고 있으며 LMO 개발연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Kim and Choi, 2006). LMO의 개발 및 국내유통이 본격화됨에 따라, 국내 자연생태계 특수성과 국민정서에 부합하는 LMO의 환경위해성 심사지표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며, 국 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LMO 심사 및 안전관리를 위한 판단 기준 마련하여 LMO 심사신청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과학 적 요청자료의 제출요구를 위한 기반마련이 절실히 요구된 다(Ministry of Enviroment, 2010).

    본 논문에서는 LMO가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연구의 중요한 요소인 비표적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방 법을 제시하였다. LMO 식물 중 국내에서 개발 중인 LM벼 에 영향 가능성이 있는 비표적 생물체(곤충 중심)를 구분하 였고, LM벼로 인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LM벼에 서식하는 초식자, 포식자, 기생포식자 등의 직접적 영향이나, 간접적 영향을 받을 곤충 분류군들에 대 한 선별방법, 위해 가설 등을 제시하여 환경위해성 평가기 법을 구축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LMO의 국내 자연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존에 기여하고자 하며, LMO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통해 국민들이 LMO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전위해성을 진단 및 차단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결과적으로 국민의 건 강 및 생물다양성유지, 자연 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후 안전 관리 체계구축에 활용될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LM벼의 환경위해성 비표적 생물체 조사 및 분류

    LM벼에 영향가능성이 있는 비표적 곤충을 조사하기 위 해서 비표적 생물체 분류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농업 해충관 련 도감 및 서적을 활용하였고 참고문헌, 환경위해성 평가 관련 홈페이지를 통하여 자료를 얻었다. 국내에서의 자료는 논문이나 벼와 관련된 서적들을 이용하여, 해충으로 구분되 어 있는 자료를 취합 후 표로 작성하였다. 각종 농업(Beak 2004; Lee et al., 1994), 논문(Hoffman and Rattner, 2002; James, 2006; Jepson et al., 1994; Romies et al., 2006; Wolfenbarger and Phifer, 2000), 보고서(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2007), 및 인터 넷웹사이트를 참조하였다.

    2.국내 자연환경위해성에 적합한 LMO 환경위해성 평가의 세부 항목 선정

    국내외 자료를 참고하여, 환경위해성 평가의 세부항목 선 정 등에 대한 기준과 국내 ‧ 외 생물다양성 관련 환경 위해성 평가 자료의 조사 및 제출, LM벼의 위해가능성이 있는 비 표적 생물체의 분류군과 생태적 기능군 조사, 비표적 생물 체를 생태학적인 원리와 LM벼에 대한 노출가능성에 따른 위해등급별 목록 작성, 비표적 생물체 중 환경부 지정 보호 종, 멸종 위기종 등에 대한 피해 가능성 여부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미국정부의 LMO심사기준에 대한 자문과 관련정보 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기존에 평가연구를 수행하 였던 미네소타 대학의 앤도우(Dr. Davis Andow) 교수 및 산업계의 과학자들을 만나 자문을 구하였다. EFA의 관계자 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 및 심사항목에 대한 의견 및 자문을 구하였고, CABI Publishing에서 발행한 환경위해성 분석 자료를 이용 하였다(Andow et al., 2008; Hilbeck et al., 2007).

    3.국내 생물다양성의 위해가능성 여부

    국내 외 생물다양성 관련 환경 위해성 평가자료를 조사하 였으며,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Volume 2 (Hilbeck et al., 2007),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Volume 4 (Andow et al., 2008)의 환경위해성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LM벼의 비표적 생물체의 위해도를 표로 나타내었다.

    4.비표적 생물체에 대한 위해가능성 여부 조사

    해충저항성 LM벼의 위해가능성이 있는 생물체의 분류 군과 생태적 기능군을 조사하였으며, 비표적 생물체의 생태 학적 원리와 LMO에 대한 노출가능성에 따른 위해등급별 목록을 작성하였다.

    5.비표적 곤충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 가방법의 단계적 모식도

    비표적 생물체와 관련한 환경위해도 모델을 다섯 단계로 제시하였다. 첫째, LM벼를 통해 악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비표적 생물체를 생태적 기능군(초식자, 포식 자, 기생포식자, 분해자)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LMO에 대 한 노출가능성과 악영향의 가능성을 극대화시켜 LM벼를 통해 악역향을 받을 수 있는 초식곤충군을 생태학적인 원리 에 따라서 순위를 정하였다. 셋째, 노출 경로를 분석하였고, 넷째, 위험도를 식별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테스트하여, 다 섯째, 생태학적으로 의미 있는 테스트 방법과 프로토콜을 제시하였다(Figure 1).

    결 과

    1.LM벼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초식곤충 분류군

    벼를 섭식하는 초식자 중 벼의 잎이나 줄기의 수액을 흡 즙하는 수액 섭식자로서 LM벼에 노출 시 가장 피해가능성 이 큰 비표적 곤충은 매미목의 애멸구, 벼멸구, 흰등멸구, 끝동매미충이 있다. 이들 중 벼멸구를 제외한 나머지 3종은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매개하기도 한다. 피해가능성 이 중간정도인 비표적 곤충은 총채벌레목의 벼총채벌레와 노린재목 해충은 우리가시허리노린재, 애긴노린재, 잡초노 린재과, 썩덩나무노린재, 가시점둥글노린재, 벼가시허리노 린재, 벼멸구붙이, 매미목의 보리수엽진딧물, 옥수수테두리 진딧물, 붉은테두리진딧물, 벼뿌리가루깍지벌레 등이 있고,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모무늬매미충이 있다. 피해가능성이 매우 경미한 비표적 곤충은 총채벌레목의 알팔파줄총채벌 레, 대관령총채벌레, 담배총채벌레, 벼관총채벌레, 노린재 목의 비단노린재, 풀색노린재, 남쪽풀색노린재, 자귀나무허 리노린재를 포함한 10종과 바이러스를 매개하면서 잠재적 해충류로 분류되는 노린재목의 먹노린재가 있고, 매미목의 남방매미충, 말매미충, 초록애매미충, 홍점애매미충, 줄친 말매미충, 일자무늬넓적매미충, 번개매미충, 마름무늬 매미 충을 포함한 40 여종이 있다. 곡물섭식자로서 피해가능성이 중간정도인 비표적 곤충은 벼뿌리바구미, 쌀바구미가 있고, 피해가능성이 경미한 비표적 곤충은 보리나방, 뽕나무바구 미, 누룩바구미가 있다. 잎 섭식자로는 피해가능성이 큰 비 표적 곤충은 딱정벌레목의 벼잎벌레, 나비목의 벼애나방, 멸강나방, 벼은무늬밤나방, 벼물명나방, 메뚜기목의 벼메뚜 기, 땅강아지, 섬서구메뚜기가 있다. 피해가능성이 중간정 도인 비표적 곤충은 딱정벌레목의 벼뿌리잎벌레, 애풍뎅이, 파리목의 벼잎물가파리, 벼줄기굴파리, 나비목의 사초독나 방, 이화명나방, 벼포충나방, 벼잎말이명나방, 애벼물명나 방, 메뚜기목의 벼메뚜기붙이, 잔날개벼메뚜기가 있다. 피 해가능성이 적은 비표적 곤충은 딱정벌레목의 갈색머리대 장, 밤색우단풍뎅이, 애우단풍뎅이를 포함한 9종, 파리목의 벼잎굴파리, 보리굴파리를 포함한 4종, 벌목의 일본왕개미, 곰개미, 나비목의 줄점팔랑나비, 혹명나방, 극락꼬마밤나 방, 먹나비를 포함한 18종, 메뚜기목의 왕귀뚜라미, 풀무치, 팥중이 등이 있다. 화분섭식자로써 피해가능성이 적은 비표 적 곤충은 파리목의 보라무늬꽃등에, 꼬마꽃등에, 꽃등에 과, 벌목의 양봉꿀벌과 꿀벌류가 있다(Appendix 1).

    2.LM벼에 영향 가능성 있는 비표적 곤충 분류군

    벼에 서식하거나 벼와 상관관계가 높은 곤충 약 70여종을 생 태학적 기능군으로 초식자(Hebivore, 34종), 포식자(Predator, 20종), 기생포식자(Parasitoid 15종), 분해자(Decomposer, 6종)로 구분하였다. 초식자(Hebivore)는 수액섭식자(Sap feeder), 곡물섭식자(Grain feeder), 잎섭식자(Defoliator), 화분섭식자(Pollen feeder)로 4가지로 분류되며, 수액섭식 자는 침형 주둥이를 가지고 있는 매미목과 노린재목이 있 고, 종류는 매미목의 벼멸구, 흰등멸구, 매미충류 등과 노린 재목의 우리가시허리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애긴노린재, 먹노린재 등이 있다. 곡물섭식자는 보리나방이 있고, 잎섭 식자로는 메뚜기목의 벼메뚜기, 나비목의 벼밤나방, 이화 명나방, 혹명나방, 줄점팔랑나비, 파리목의 벼줄기굴파리, 벼잎물가파리 등이 있다. 화분섭식자는 딱정벌레목의 크로 바잎벌레와 파리목의 보라무늬꽃등에, 꼬마꽃등에 등, 벌 목의 야생벌과 양봉꿀벌 등의 곤충류가 있다. 이 곤충류들 의 연간 생식횟수는 연간 최소 1회에서 최대 8회까지 번식 을 하여 개체군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중 연간 5회 이상의 번식을 하는 애멸구, 7~8회 번식을 하는 벼잎물가파리는 다른 개체군에 비해 벼 생육과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종 이다. 포식자는 딱정벌레목의 칠성무당벌레, 꼬마남생이무 당벌레, 청딱지개미반날개, 미륵강변먼지벌레, 꼬마노랑먼 지벌레, 꼬마길앞잡이, 좀길앞잡이. 잠자리목의 고추잠자리, 아세아실잠자리, 된장잠자리, 깃동잠자리, 사마귀목의 왕사 마귀, 좀사마귀, 벌목의 어리은줄구멍벌, 흡즙성 포식자인 노린재목의 등검은황륵장님노린재, 깔따구침노린재 등이 있다. 기생포식자는 벌목의 날개집게벌, 신총채벌, 흰등신 총채벌, 멸구신총채벌, 노랑집게벌, 홍집게벌, 고치벌과, 좀 벌과, 맵시벌과, 알벌과, 파리목의 꼭지윤머리파리, 끝등윤 머리파리, 큰머리파리가 있다. 이 들은 대부분 애멸구, 벼멸 구의 천적으로 이들의 알이나 몸에 기생한다. 분해자는 파 리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과실파리과, 꼭지파리과, 깔따구과, 각다귀과, 딱정벌레목인 개미반날개가 이에 속한 다(Appendix 2).

    3.비표적 곤충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 가방법의 단계적 모식도 및 위해가설

    1)LM 벼의 초식곤충 목록

    LM벼의 비표적 생물체를 알아보기 위해 LM벼를 통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는 초식곤충군을 조사하였고, 각 종에 따라 벼에 대한 지리적 분포, 서식지 특수화, 확산정도, 종풍 부도 등을 조사하여 점수를 매겼으며, 합계가 낮은 10종(벼 총채벌레, 애멸구, 벼멸구, 멸강나방, 혹명나방, 우리가시 허 리노린재, 먹노린재, 벼멸구붙이, 벼메뚜기, 벼잎굴파리)을 선별하였다(Table 1).

    2)LM벼의 위해 가설 적립단계 모식도

    선별된 종으로 LM벼의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을 추론 하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초식자뿐만 아니라 포식 자와 포식기생자가 받는 영향도 같이 고려하였다. 이때 포 식자와 포식기생자는 부록 1의 결과를 참조하여 선별하였 다(Figure 2).

    (1)초식자 위해가설1 (벼멸구)

    LM벼의 표적 초식자(벼멸구)를 감소시키면 살충제를 적 게 사용하게 되고, 천적(황사적거미, 논거미)이 줄어들 것이 다. 그로 인해 비표적 초식자(애멸구, 먹노린재)가 증가하게 되고, 작물의 피해가 늘어나게 된다. 비표적 초식자를 죽이 기 위한 증가된 살충제의 사용은 또 다른 역효과를 일으킬 것이다.

    (2)초식자 위해가설2 (멸강나방)

    LM벼의 유인성 또는 품질 증가는 초식자 개체군(혹명나 방, 벼메뚜기, 벼잎굴파리)을 증가시킬 것이며 LM벼의 피 해를 증가시킨다. 결국 그에 따른 비표적 초식자가 늘어나 게 되고, LM벼에 적응을 하여 개체수를 증가시켜 벼의 손 실을 가져올 것이다.

    (3)포식자 위해가설 (사마귀)

    LM벼를 섭식하는 표적 초식자(벼메뚜기)가 감소됨에 따 라 표적 초식자를 먹이로 하는 포식자(사마귀)의 생존, 적응 도가 감소할 것이며, 표식자의 개체군 감소를 불러온다. 그 로 인해 비표적 초식자(혹명나방, 멸강나방, 벼멸구)가 급증 할 것이며, 작물의 피해가 증가할 것이다. 결국 작물 손실의 증가, 경제적 생산력 감소, 벼의 질 감소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4)기생포식자 위해가설 (납작맵시벌)

    표적초식자에 기생하는 기생포식자(납작맵시벌)는 표적 초식자(혹명나방) 안의 Bt독소를 섭취하게 되면 그 개체수 가 감소하고, 생물학적 조절이 감소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비표적 해충이 급증하게 되어 직접적인 피해를 입힐 것이다. 또한 LM벼의 Bt독소로 인해 표적 초식자(혹명나 방)가 감소할 것이고, 기생포식자(납작맵시벌)들도 감소하 게 될 것이다. 결국 비표적 해충이 급증할 것이며 LM벼와 그와 관련된 곳에 간접적인 피해를 입히게 될 것이다.

    고 찰

    생명공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최근 많은 종류 의 LMO가 계속적으로 개발 중에 있으며, LMO 수입이 증 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국내 자연환경위해성에 적합한 LMO의 평가 및 심사 항목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 며, 향후 환경부에서 지원할 심사 구축 체계를 마련하는 것 이 필수 불가결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비표적 곤충과 천적 곤충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LM벼가 자연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기초 정보 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을 확립, 제공함으로서 추후 국내에서 새로 개발되는 LM작물이나 추가 수입되는 LM작물 또는 곡물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통한 과학적이고 투명한 자료를 소비자 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가 LMO의 수입 및 개발과정에 수반되는 각종 규제와 행정절차에 대한 안전관리 관련 규제 지침의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생명공학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여, 국내자연환경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ure

    KJEE-30-712_F1.gif

    Outline of the methodology to support non-target and biodiversity risk assessment for LM rice The objective is to screen the spectrum of known non-target species and the theoretically possible risks the introduction of the transgenic crop poses to these non-target species, in order to focus risk assessment on the most important possible risks. (This figure was adapted from Hilbeck et al., 2007)

    KJEE-30-712_F2.gif

    Diagrams of the following possible five risk hypotheses for non-target species (herbivore, predator and parasitoid) associated with LM rice Arrows represent causal connections and dashline means the following potential predict hypotheses. NTH = non-target herbivore; NTH1 (A) and NTH2 (B) are distinct non-target herbivore species. IGP means intraguild predator. Major pathways are shown in gray color in (C), and Parasitoid is in (D)

    Table

    Selection Metrix for herbivore pest species associated with LM rice, showing scores for seven association and five significance criteria Association with crop criteria: GD: Geographic distribution (1 = Occurs throughout crop growing region, 2 = Occurs in much of the crop growing region, 3 = Occurs in smaller parts of the crop growing region, ? = Unknown), HS: Habitat specialization (1 = High, 2 = Medium, 3 = Low, ? = Unknown), P: Prevalence on crop (1 = Occurred at all time during the crop growing season, 2 = Occurred in many times during the crop growing season, 3 = Occurred in several times during the crop growing season, ? = Unknown), A: Abundance (1 = High, 2 = Medium, 3 = Low, ? = Unknown), TL: Temporal overlap (1 = Spent all of the life-cycle in the crops, 2 = Half or one-third cycle, 3 = Short cycle (larvae or adults), ? = Unknown), T: Trophic connections (Nutrition phased connectivity; 1 = Food intake in only one crop, 2= Food intake in several crops, 3= Food intake in many crops, ? = Unknown), MA: Mean for association whit crop. Functional significance criteria: D: Damage level as pest of rice (1 = High, 2 = Medium, 3 = Low, ? = Unknown), OC: Significance as a pest of other crops (1 = High, 2 = Medium, 3 = Low, ? = Unknown), VD: Significance as vector of disease (1 = High, 2 = Medium, 3 = Low, ? = Unknown), FN: Significance as a food for natural enemies (1 = High, 2 = Medium, 3 = Low, ? = Unknown), MS: Mean of functional significance criteria (1 = High, 2 = Medium, 3 = Low, ? = Unknown). Sum is the sum of the two mean and rank is the final priority ranking used in species selection. The highest priority are in bold

    Functional group lists of herbivores on rice crops and their possible adverse effects

    Insect lists and their functional group on rice crops

    Reference

    1. Andow DA , Hilbeck A , Tuat NV (2008)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Oxford Univ Press, Vol.4
    2. Baek WH (2004) reported insect pests, Hongmunsa, (in Korean)
    3. Choi SH (2008) Legal Issues in International Liability and Redress Rules regarding Living Modified Organisms (LMO) , Seoul International Law Academy., Vol.15 (1) ; pp.171-195
    4. Han SM , Lee JJ , Won OJ , Eom OJ , Park KW (2015)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Zea mays L) at a Grain Receiving Port and along Transportation Routes in Kor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3) ; pp.321-325
    5. Hilbeck A , Andow DA , Fontes EMG (2007)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Oxford Univ. Press, Vol.2
    6. Hoffman DJ , Rattner BA (2002) Handbook of ecotoxicology Second Edition, CRC Press,
    7. James C (2006)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in 2006, The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8. Jepson PC , Croft BA , Pratt GE (1994) Test systems to determine the ecological risks posed by toxin release from Bacillus thuringiensis genes in crop plants , Molecular Ecology, Vol.3 (1) ; pp.81-89
    9. Kim EJ , Choi DK (2006) Need for Reinforcement of Safety Assessment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Vol.14 (2) ; pp.139-157
    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2007) 2007 Biosafety white pap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in Korean)
    11. Lee HS , Kim HD , Kim YU , Park EW , Park UH , Seong RC , Lee SH , Lee YI , Lee YH , Zo UG , Jean YM , Han SC , Hong EH Physiology and Genetics of Bean Cultivation, Seoul University Publisher, (in Korean)
    12. Lee YT , Kim JG , Ha SH , Jo HS , Seo SC (2010) Analyses of Nutrient Composition in Genetically Modified ß -Carotene Biofortified Rice , The transactions of food and nutrition technology, Vol.39 (1) ; pp.105-109
    13. Ministry of Enviroment (2010) Final report of Living modified organisms and its natural ecosystem assessment, Ministry of Enviroment, (in Korean)
    14. Moon JH , Moon JM , Lee YH , Lee JJ (2013) Influence of Transgenic Rice Plant Transformed with Silbene Synthase Gene on Insect Fauna and Biosafety Evaluation on Biological Indicators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Vol.44 (1) ; pp.11-16
    15. Moon TH , Kim BS (2009) Korea's Limit to Growth from Circular Causation Perspective: Focusing on Crisis Factors, Population, Economy, Resources, Environment, and Food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ol.10 (3) ; pp.47-79
    16.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Council (2013) The third agricultural biotechnology development and long-term basic plan(2013-2022),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Council, (In Korean)
    17. Romeis J , Meissle M , Bigler F (2006) Transgenic crops expressing Bacillus thuringiensis toxins and biological control , Nature biotechnology, Vol.24 (1) ; pp.63-71
    18. Rural Development Adminisrtation (2011) Problem formulation and options assessment handbook, Rural Development Adminisrtation, (In Korea)
    19. Shim YJ (2013) A Review on the 「Transboundary Movement, Etc of Living Modified Organizms Act」 - Centering on the Point of View of the Criminal Law , Biomedical and law, Vol.9 ; pp.121-14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Wolfenbarger LL , Phifer PR (2000) The ecological risks and benefits of genetically engineered plants , Science, Vol.290 (5499) ; pp.2088-2093
    21. Yoon SC (2010) Die Studie zur Haftungsfrage nach den Schadensereignisse durch gentechnisch veränderten Produkten , The Korean Property Law, Vol.26 (3) ; pp.87-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