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0 No.6 pp.1067-1072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6.30.6.1067

Longitudinal Survey of Strix aluco During Breeding Season and Their Habitat in Korea - The First Reported Case Study

Woo-Yuel Kim2*, Won-Suk Choi3, Jong-Chul Park2, Ha-Cheol Sung4
2Division of Ecological Survey Research of NIE,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gaspig@hanmail.net)
3Dept. of Biological Sciences and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ess3366@naver.com)
4Dept. of B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hcol2002@chonnam.ac.kr)

a 이 논문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kentish@nie.re.kr
December 13, 2016 December 15, 2016 December 16, 2016

Abstract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rix aluco, which i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category II species. Towards this, we identified the actual home range of Strix aluco that breed in Korea, and collected the data necessary for protecting, preserving and managing owl popul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4 to May 20 of 2016 during the breeding season of Strix aluco as part of the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and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e captured and subsequently released a female owl with a total length of 423.5㎜and a weight of 550g in Kyungbuk area, succeeded in tracking i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secured 6 points of direct observation and satellite tracking observation. The distance from the nest to the farthest point was 93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abitat points within a100m-radius during breeding period, it was established that their habitat consists of 34.2% of non-irrigated land, 30.6% of mixed forest land, 10.5% of orchard, and 9.4% of natural grassland.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estimate of home range studies. Further research based on follow-up studies on males or other individuals is required to develop a stronger basis for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endangered wildlife class II owls.


한국에서 올빼미 번식기 추적 조사 및 서식지 연구- 첫 추적조사 사례

김 우열2*, 최 원석3, 박 종철2, 성 하철4
2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3전남대학교 생물과학ㆍ생명기술학과
4전남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번식하는 올빼미의 실질적인 행동권 파악을 통해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올빼미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올빼미 개체군을 보호하고 보전하며 관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2016년 4월 14일~5월 20일까지 번식기 육추시기에 약 한달 간 진행했다. 그 결과 경북 일대에서 전장(Total Length) 423.5㎜ 와 무게 550g 의 암컷 1개체를 포획하였고 우리나라 최초로 추적에 성공했으며 직접관찰과 위성추적 관찰 좌표 6지점을 획득 하였다. 가장 먼 지점의 거리는 둥지로부터 93m의 이격 거리였다. 그리고 육추시기에 약 100m 반경에 대한 서식지 분석결과 밭 34.2%, 혼효림 30.6%, 과수원 10.5%, 자연초지 9.4% 순의로 토지피복도 우점 순위가 나타났다. 이는 이전의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한 결과로 향후 수컷 또는 다른 개체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바탕으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올빼미의 보호와 보전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을 기대한다.


    서 론

    올빼미(Tawny Owl, Strix aluco)는 전 세계적으로 유라 시아대륙, 소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북부, 히말라야에서 중 국 동부와 남부, 한국, 대만 등에 널리 분포하며, 지리적으로 11아종으로 구분된다(Kim et al., 2012). 한국에 서식하는 올빼미는 S. a. ma 에 해당하며 중국 북동부와 한국에 분포 한다(del Hoyo et al., 1999). 올빼미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 지만 흔하지 않은 텃새로,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II 급 및 천연기념물 제324-1호로 지정된 보호종이다(Lee et al., 2014; Park 2002). 올빼미는 주로 숲이 발달한 곳에 서 식하지만, 유럽에서는 도시환경에도 비교적 잘 적응한 종으 로 숲이 조성된 공원, 농장에서도 자주 발견된다(del Hoyo et al. 1999; König and Weick 2008). 한국에서 올빼미의 기록은 대부분 직접적인 관찰보다는 울음소리로 확인된 경 우가 많으며, 산림이 발달한 지역, 특히 강원도에서 기록이 가장 많다(Kim et al., 2010). 올빼미는 야행성(nocturnal)으 로 낮에는 주로 산림에서 휴식을 취하고 야간에 먹이활동을 하기 때문에, 관찰 및 기본적인 번식생태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올빼미의 경우 작은 공원이나 도시 근교의 지역에서는 3.0/㎢정도의 행동권을 형성하고, 개방된 장소나 숲이 우거 진 곳에서는 5.0/㎢ 정도의 행동권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anazzi et al., 2000). 그러나 국내에서 수행된 올빼미 에 관한 기초적인 번식생태와 행동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지금까지 휴식처로의 동굴 이용(Kim et al., 2012), 유전자에 의한 올빼미과의 분자계통(Ryu & Park, 2003), 추정 행동권에 대한 서식지 분석(Cho, 2015)이 수행 되었다. 국내에 번식하는 올빼미는 멸종위기야생생물 중 대 표적인 야행성 종이며 서식지 위협정도와 서식지, 먹이부족 의 위험요인이 심한종이다(Cho, 2015; EPEI, 2010). 우리 나라에 번식하는 올빼미의 실질적인 행동권 파악을 통해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올빼미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올빼미 개체군을 보호하고 보전하며 관리하는데 필요한 자 료를 제공하고자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2016년 4월 14일~5 월 20일 까지 진행했다.

    연구방법

    1.포획 및 추적조사

    본 현지조사와 청문조사를 병행하여 관찰된 올빼미개체 를 추적 조사하여 번식하는 둥지를 확인하였다. 번식하는 올빼미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둥지를 비운 틈에 둥지 특성을 고려하여 안개그물과 포충방 등을 이용하여 번식하 는 개체를 대상으로 포획을 실시하였다. 포획된 개체는 암컷 1개체이었으며, 포획 후 버니어캘리퍼스(Vernier Calipers)와 측정자를 이용하여 각 부위별 측정을 실시하였다. 위치추 적을 위해 행동제약에 관한 최소무게를 고려한 대상개체의 5% 이하를 초과하지 않는(Kenward, 1985) 야생동물위치추적 기(WT-300,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 KoEco)를 Backpack 형태로 부착 하였다(Figure 1). 부착된 추적기로 인 한 비행 능력 등 행동에 이상이 없음을 현장 추적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추적기에서 GPS를 통해 획득된 좌표(하 루 2회-정오 12시, 자정 12시)는 이동통신 시스템 기반의 통신방식(WCDMA)으로 통합서버에 기록되고 이를 웹 (WILDTRACKER, http://www.wi-tracker.com)을 통해서 위치 정보를 확인하였다.

    2.서식지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서식지의 환경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Cho(2015) 의 공간분석 범위를 참고하여 둥지로부터 1,000m 반경 내 의 토지피복 구성 비율을 분석 하였다. 둥지의 위치는 현장 에서 획득한 GPS 좌표를 국토지리정보원의 정사영상에 도 시하여 확인하였고, 토지피복 특성은 둥지로부터 1,000m까 지 100m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100m 간격은 본 연구에서 관찰된 올빼미 암컷의 행동반경을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Cho(2015)의 공간분석 범위를 참고하여 1,000m 범위를 설 정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환경부로부터 획득한 중분류 토지피 복지도(환경부, 2013)가 활용되었고, QGIS 2.14.6의 multi-ring buffer와 intersect 공간분석 도구가 100m 간격의 토지피복 정보를 추출하는데 사용되었다.

    결과 및 고찰

    1.포획결과

    2016년 4월 14일부터 4월 16일까지 경북일대에서 번식 하는 올빼미 암컷 1개체를 국내 최초로 포획하였다. 포획된 개체는 전장(Total Length) 423.5㎜의 크기와 550g의 몸무 게, 부리 끝에서 콧구멍까지의 길이 16.97㎜, 부리끝에서 납막까지의 길이 21.10㎜, 부리끝에서 두개골 전체 길이 70.06㎜, 부척 55.28㎜, 자연익장 910.0㎜, 꼬리 164.0㎜ 으로 측정되었다(Table 1). Table 2

    2.추적결과

    국내 1㎏ 이하의 중형 야행성 맹금류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 올빼미를 번식시기에 추적하는데 국내최초로 성공 했다. 암컷 올빼미는 번식기 중 육추기간 약 4주 동안 둥지 중심에서 6개의 지점의 좌표값을 고도 370~380m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암컷이 주로 둥지 주변에서 새끼를 돌보 고 수컷이 먹이를 공급하는 행동을 보였으며, 암컷은 번식 시기인 육추 기간 동안 둥지 주변에서 멀지 않은 곳 최대 93m의 지점에서 가장 먼 거리 지점으로 반경이 확인되었고 획득된 좌표들의 최외각선 지점들을 연결하여 면적을 추산 한 결과 4,395㎡의 지역을 이용했다(Figure 2). 본 연구에서 추적 조사된 지점의 반경과 Cho(2015)에 의해 제시된 핵심 보전구역의 50~100m의 추정의 결과가 매우 유사한 범위로 나타났다.

    3.서식지 분석결과

    올빼미가 둥지 중심으로 이용한 행동반경 100m 내부의 토지피복은 밭(34.2%)과 혼효림(30%)이 주를 이루었고. 100m 외의 주변지역은 대부분 침엽수림과 혼효림의 유형 이 있는 지역으로 파악되었다(Figure 3). Cho(2015)는 1,000m 내 서식지 유형 분석 결과 산림경관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경작지역의 비율이 높았으며, 핵심 서식지인 반경 500m 내의 취식지로 이용할 수 있는 경작지 의 유무가 중요한 서식 조건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 100m 이내에서 밭과 산림의 비율이 높은 것은 Cho(2015) 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였으며, 번식지 선택시 번식가능 영소 목의 유무와 취식지로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의 유무가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Cho, 2015) 본 연구지역의 서식지 유형 분 석에서도 밭과 산림의 비율이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실제 올빼미 번식시기의 암컷 행동권은 약 100m로 확인되며 그 반경 안에 취식지로 이용할 수 있는 경작지와 영소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혼효림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올빼미는 행동권이 0.9~2.4㎢로 환경에 따른 편차가 매우 큰 종이다(Balčiauskienė and Dementavičius, 2006; Hirons, 1985; Redpath, 1995; Sunde et al., 2004). 본 연구는 1개체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획 득된 좌표도 충분치 않아 정확한 결과 도출에는 그 한계성 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올빼미 첫 추적연구를 통한 서식지 연구로서 그 중요성이 있을 것이다. 향후 지속 적인 연구를 통해 올빼미의 번식기 암컷에 비해 행동영역이 상대적으로 넓을 것으로 판단되는 수컷의 행동권을 조사하 는 등 올빼미의 서식지 분포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암ㆍ수의 행동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Figure

    KJEE-30-1067_F1.gif

    Captured and Tracked procedure

    KJEE-30-1067_F2.gif

    Radius female of Strix aluco

    KJEE-30-1067_F3.gif

    Habitat land cover analysis based on multi-ring buffer (100m intervals) from the nest

    Table

    Measurements of trapped Strix aluco

    Percent of each land cover by distance from the nest (unit: %)

    Reference

    1. Balčiauskienė L. , Dementavičius D. (2006) Habitat determination of Tawny owl(Strix Aluco) prey composition during breeding period , Acta Biol. Univ. Daugavp, Vol.6 ; pp.1-2
    2. Cho H.J. (2015) Potential Habitat Analysis and Preservation guide lines for Korean endangered raptorial by apply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MaxEn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3. del Hoyo J. , Elliott A. , Sargatal J. (1999)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Barn-owls to Hummingbirds, Vol.Vol. 5
    4. (2010) Evaluation of habitat environment of protected wild birds, ; pp.-215
    5. Hirons G.J. (1985) The effects of territorial behaviour on the stability and dispersion of Tawny owl(Strix aluco) populations , J. Zool, Vol.1 (1) ; pp.21-48
    6. Kim S.S. , Choi Y.S. , Kim B.h. , Park J.Y. , Han S.H. , Yu C.C. (2012) Owl (Strix aluco) Cave use as a resting place ,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Vol.19 ; pp.293-300
    7. Kim C.H. , Kang J.h. , Lee Y.K. , Kim D.W. , Seo J.H. , Kim M.J. (2010) The present distribution of endangered algae through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eco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The Korean , J. Ornithol, Vol.17 ; pp.67-137[in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önig C. , Weick F. (2008) Owl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9. Lee W.S. , Sue T.H. , Goo J.Y. (2014) Outline of primary color in Korea Korean bird, LG Evergreen Foundation,
    10. (2013) 3rd revised land classification map for 2013, egis.me.go.kr
    11. Park J.Y. (2002)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Birds in Korea. A doctoral dissertation from Kyung Hee University, ; pp.-530
    12. (2000) Density,territory size,b reeding succesasn d diet of a Tawny Owl (Strix aluco) population in a Mediterranean urban arean (Rome, Italy) , Alauda, Vol.68 ; pp.133-143
    13. (2000) The Breeding Success of Tawny Owls (Strix aluco) In a Meditereanean Area : A Long-Term study in Urban Rome , J. Raptor Res, Vol.34 (4) ; pp.322-326
    14. Redpath S.M. (1995) Habitat fragmentation and the individual: Tawny Owls Strix aluco in woodland patches , J. Anim. Ecol, Vol.64 (5) ; pp.652-661
    15. Ryu S.H. H.C. (2003) Molecular system of the family Strigidae by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Vol.19 (2) ; pp.297-304
    16. Sunde P. , Overskaug K. , Bolstad J.P. , Oien I.J. (2001) Living at the limit: Ecology and behaviour of Tawny Owls Strix aluco in a northern edge population in central Norway , Ardea, Vol.89 (3) ; pp.495-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