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1 No.1 pp.1-23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7.31.1.001

The Flora of Gwangchiryeong Area Adjacent to the DMZ

Tae-Im Heo2, Hyun-Tak Shin2, Sang-Jun Kim2, Jun-Woo Lee2, Su-Young Jung2, Jong-Bin An2*
2DMZ Botanic Garde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Gyeonggi 11186, Korea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82-33-480-3033, +82-33-480-3039, heoming@korea.kr
July 25, 2016 December 26, 2016 January 12, 2017

Abstract

Gwangchiryeong, located adjacent to the Korean DMZ, is a mountain pass connecting Yang-Gu, Gangwon-do with In-je. It reaches a height of 800m (2,624ft) and stands on the flank of Mt. Daeam-san, which has an elevation of 1,304m (4,278ft). It is important to survey the flora of Gwangchiryeong in that not only the area encompassing the waterfall and the valley along with dense old-growth forest has various plant species but also it is a way to make out what kind of plant species exist in the DMZ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wangchiryeong adjacent to the Korean DMZ.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value in Gwangchiryeong.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collected 9 times from April 2014 to September 2015, and consisted of a total of 513 taxa: 88 families, 297 genera, 441 species, 4 subspecies, 62 varieties and 6 forms. Among those observed species, the rare plant specie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22 taxa including Hanabusaya asiatica, Paeonia japonica, Saxifraga octopetala, etc. Endemic species were 22 taxa containing Cirsium setidens, Heloniopsis koreana, Salvia chanryoenica, etc. 18 taxa were recorded as naturalized plants and their naturalized rate and urban index were noted as 3.5% and 5.6%. Among the surveyed 513 taxa, edible, medicinal, pasturing, ornamental, timber, dye, fiber and industrial plants were 197 taxa, 154 taxa, 180 taxa, 49 taxa, 24 taxa, 8 taxa, 4 taxa and 3 taxa, respectively.


DMZ에 인접한 광치령 일대의 식물상

허 태임2, 신 현탁2, 김 상준2, 이 준우2, 정 수영2, 안 종빈2*
2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관리과

초록

DMZ에 인접한 광치령은 강원도 양구군과 인제군을 이어주는 고개인 동시에 두 지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지표점이기 도 하다. 해발고도 800m의 광치령은 대암산(1,304m)에서 뻗어 나온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짙은 활엽수림과 깊은 계곡부에는 다양한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광치령의 지리적 입지는 DMZ와 그 이남지대를 연결하 는 완충지대로 기능하고 있기에 광치령의 식물자원을 조사하는 것은 DMZ의 식물상을 이해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DMZ의 인근지역인 광치령에 분포하는 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가치를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광치령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88과 297속 441종 4아종 62변종 6품종 총 51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 물은 금강초롱꽃, 백작약, 구실바위취를 포함하여 22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고려엉겅퀴, 처녀치마, 참배암차즈기 등을 포함하는 특산식물은 22분류군으로 밝혀졌다. 귀화식물은 18분류군, 그들의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3.5%, 5.6% 로 나타났다. 확인된 513종의 식물을 유용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식용과 약용을 포함하여 목축, 관상, 목재, 염료, 섬유, 산업용 등으로 이용되는 식물은 각각 197종, 154종, 180종, 49종, 24종, 8종, 4종, 3종으로 분석되었다.


    서 론

    광치령은 태백산맥과 광주산맥이 만나서 비롯된 내륙산 맥 가운데 하나인 대암산맥의 지맥으로, 강원도 양구군 남면 과 강원도 인제군 북면을 연결하는 중요한 고개다(Yanggugun, 2014). 가칠봉(1,242m), 대암산(1,304m), 대우산(1,178m) 등 대암산맥에서 발원한 연봉들은 다양한 식물자원을 품고 광치령으로 뻗어간다. 크고 작은 능선으로 사면이 둘러싸여 첩첩산중을 이루고 있다 하여 문자 그대로 광치령(廣峙嶺) 이라 하였고, 해동지도에는 ‘광치’라는 표기와 함께 상당히 우뚝 솟아 있는 고개로 묘사되어 있다(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08). 광치령을 안고 있는 대암산은 대우산과 함께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246호)으로 지 정되어 있고, 대암산 정상에 위치한 고층습원 용늪은 일찍 이 국내 최초의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으며 국내 유일의 비로용담 자생지와 여러 희귀식물들이 대암산 안에서 보호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광치령은 대암산 용늪에서 발원한 수계를 지니고 있어 물이 풍부한 지역이기도 하다. 광치계 곡은 강원도 양구군의 유명한 관광지로 자리매김하였고, 광 치령의 북서쪽에 위치한 후곡약수터는 조선시대부터 효능 이 뛰어난 약수로 각광받아 왔다(Yanggu-gun, 2014).

    접경지역지원법에 의하여 민간인통제선 이남으로부터 25㎞ 거리 내 범위로 정의되는 접경지역은 비무장지대 일 원으로 불리며 자연생태적으로나 역사문화적으로 가치 있 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접경지역의 요새이기도 한 광 치령은 한국전쟁 당시 인제전투가 벌어졌던 첨예한 지역으 로 전사한 국군의 유골발굴지로 집중된 바 있다. 이렇듯 민 통선에 바투 위치한 광치령의 지리적 입지는 DMZ와 그 이남지대를 연결하는 완충지대로 기능하고 있기에 광치령 의 식물자원을 조사하는 것은 DMZ의 식물상을 이해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광치령을 대상으로 한 식물상 연구는 단 한 번 도 시도된 적 없으나 대암산, 도솔산, 한석산 등 광치령을 에워싸고 있는 주변 산지의 식물조사는 여러 차례 진행된 바 있다. Min et al.(2000)은 대암산(강원·양구,인제) 과 그 인근 산지의 식물을 조사한 결과 70과 167속 258분류군을 알린 바 있다. 대암산 용늪을 대상으로 Ryu & Kim(2006)은 63과 158속 226분류군의 식물을 발표하였고, 같은 조사지 를 대상으로 Choi & Heo(2009)는 2007년 총 4차례에 걸친 조사 결과 67과 175속 총 249분류군의 식물을 보고하였다. 광치령의 북쪽에 연이어 위치한 도솔산(강원·양구), 대우산 (강원·양구), 가칠봉(강원·양구)에 대하여 Choi et al.(2009) 은 61과 158속 총 229분류군의 식물을 조사한 바 있고, Kim et al.(2014)은 2012년 4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5차례에 걸쳐 도솔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에 대하여 탐색한 결과 89과 281속 총 510분류군의 식물상을 학계에 발표하였다. Han & You(2010)는 광치령의 북서쪽에 위치한 백석산(강원·양 구)의 식물상을 파악한 결과 90과 297속 총 513분류군을 확인한 바 있고, Kim et al.(2011)은 광치령의 동쪽 골짜기 에 형성된 심적리늪(강원·인제)의 관속식물을 확인하여 75 과 184속 총 287분류군을 발표하였으며, Kang et al.(2015) 은 광치령의 동남쪽에 닿아있는 한석산의 식물을 탐색하여 101과 337속 총 603종의 식물을 밝히기도 하였다.

    요컨대 광치령에 인접한 산지들에 대한 식물 조사는 수차 례 진행되었으나 광치령을 대상으로 한 식물연구는 부재하 다는 견지에서 본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특히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중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비무 장지대에 인접한 본 조사지의 특성은 DMZ의 식물상을 이 해하는 한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둘째, 남한 최북단을 이루는 산지에 포함되는 광치령의 지리적 위치는 북한식물을 가늠 해 보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다가오며, 셋째, 마찬가지로 조사지의 지리적 특성은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 종의 지리적 북상에 대한 이정표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며, 끝으로 군사 시설물, 작전도로 등 최전방 군사지역의 인위적 간섭과 강 원 산간지방의 산나물 채취에 따른 인위적 훼손에 대한 의 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방법

    광치령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종을 정확히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지 주변의 사전 문헌조사를 통하여 예비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2014년부터 2015년 두 해에 걸쳐 총 9회의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Table 1), 조사 경로는 Figure 1에 자세히 나타냈다. 광치령(800m)의 기준점이 되 는 광치터널(580m)을 중심으로 산지의 계곡부, 능선부, 사 면부 등을 다양하게 조사하였고, 식물에 대한 정확한 동정 을 위하여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중심으로 채집하였다. 조사과정 중 부득이하게도 식물표본을 채집하지 못한 종에 대해서는 화상자료를 확보하였다. 채집된 모든 식물표본에 대하여 채집번호와 좌표를 부여하였으며, 모든 증거표본은 국립수목원의 분원인 DMZ자생식물원에 보관하였다.

    광치령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의 목록은 Engler의 분류 체 계(Melchior, 1964)를 따라 작성하였고(Appendix 1), 과 (Family) 내에서는 속명과 종명의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 으며, 양치식물은 최근 연구경향에 준하여 정리하였다 (Korean Fern Society, 2005). 학명과 국명의 사용은 국가표 준식물목록(http://www. nature.go.kr/kpni/;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을 따랐으며, 작성된 관속식물목록을 바 탕으로 한국특산식물(Oh et al., 2005),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Kim, 2000)을 정리하였다. 귀화식물은 Yim and Jeon(1980)이 제 시한 기준에 따라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을 산출하였고, Lee et al. (2011)이 제시한 목록을 토대로 귀화도 등급을 분석하 였다. 또한 확인된 식물의 유용성에 대하여 Lee(1976)의 자 료에 근거하여 식용, 약용, 관상용 등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및 고찰

    1.증거표본에 근거한 관속식물의 종 구성

    광치령 일대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양치식물이 9과 19 속 32종 4변종 36분류군, 나자식물이 2과 4속 5종 5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이 68과 217속 318종 4아종 51변종 5품종 378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57속 86종 7변종 1품 종 94분류군으로, 총 88과 297속 441종 4아종 62변종 6품 종 513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Table 2; Appendix 1).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881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의 약 10.51%, 강원도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1,465분류군(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의 약 35.01%, 양구군 관속식물 1,050분류군(Yanggu County, 2014)의 약 48.85%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전체 분류군을 과별로 분석한 결과 국화과 52분류군, 벼과 34분류군, 백합 와 장미과 27분류군, 미나리아재비과 26분류군, 콩과가 20 분류군으로 많은 수를 차지했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광치령의 관속식물을 분석한 결과 구실 바위취(Saxifraga octopetala Nakai),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꽃창포(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노랑무늬붓꽃(Iris odaesanensis Y.N.Lee), 백작약(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세 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등 다수 의 희귀식물과 분포특이종을 확인하였다.

    2.특기할 만한 식물

    1)희귀식물

    Korea National Arboretum(2009)은 IUCN이 권고한 목 록을 재평가하여 희귀식물의 범주를 야생멸종(Extinct in the Wild/EW),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CR), 위 기종(Endangered Species/EN), 취약종(Vulnerable/VU), 약관 심종(Least Concerned/LC), 자료부족종(Data Deficient/DD) 으로 구분한 바 있다. 이에 준하여 분석된 광치령의 희귀 식물은 위기종(EN)으로 인식되는 구실바위취(Saxifraga octopetala Nakai) 1분류군, 취약종(VU)에 놓여있는 주목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백작약(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노랑무늬붓꽃(ris odaesanensis Y.N.Lee) 등 5분류군, 약관심종(LC)에 속하는 홀아비바람꽃(Anemone koraiensis Nakai), 너도바람꽃(Eranthis stellata Maxim.),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 과남풀(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Kusn.) H. Hara), 미치광이풀(Scopolia japonica Maxim.), 연영초(Trillium kamtschaticum Pall. ex Pursh), 꽃창포(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등 16분류군으로 총 2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의 희귀식물로 여겨지는 577분류군의 약 3.8%에 해당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Table 3, Appendix 1). 위기종인 구실바위 취는 잣나무조림지 인근에 위치한 산림습원(둥지안)에서 군락 또는 단생으로 발견되었으며 이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서 취약종인 백작약과 노랑무늬붓꽃이 확인되었다. 백작약 은 단생으로 발견되었고, 노랑무늬붓꽃은 대규모 군락을 이 루고 있었다.

    2)한반도 특산식물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513분류군 중 특산식물(endemic plants)은 홀아비바람꽃(Anemone koraiensis Nakai), 세잎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구실바위 취(Saxifraga octopetala Nakai), 지리산오갈피(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Nakai) C.H.Kim & B.Y.Sun), 참배암차즈기(Salvia chanryoenica Nakai),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 Tamura) 등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4, Appendix 1). 이는 본 연구에서 조사 된 전체 식물의 약 4.3%에 해당되었고, 우리나라 특산식물 로 알려진 328분류군(Oh et al., 2005)의 약 6.7%에 달한다. Oh et al.(2005)은 특산식물이 어느 한정된 지역에서만 생 육하는 고유식물로 광범위하게 분포했던 종이 여러 환경요 인에 의해 분포역이 좁아지게 되었거나(relic endemics) 새 로운 국지적 종분화에 의해 종이 형성된(neo-endemics) 탓 에 흔히 개체군의 크기가 축소되거나 작은 집단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언급하였고, 무엇보다도 미세한 환경 변화 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관리·보전되어 야 할 대상이라고 이들의 중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광치령 일대는 광치계곡에서 솔봉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외에는 일 반인을 위해 설계된 등산로가 없고 산지의 일부지역이 지뢰 미확인지대라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등산객의 출입에 따 른 인위적인 간섭에서 비교적 벗어나 있으나 산나물 채취 및 군사시설물에 의한 인위적 훼손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치령 일대에 분포하는 우리의 특산식물을 조사하여 이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동시에 그 보전가치를 알리고자 하였다.

    3)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Kim(2000)에 의해 Ⅰ등급부터 Ⅴ등급까지 평가된 한반 도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을 바탕으로 현재 환경부는 식 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을 지정하여 그 보전 가치를 등급화하 고 있다. 광치령에서 조사된 513분류군을 환경부에서 지정 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에 따라 구분해 본 결과 Ⅴ등급 식물로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1 분류군이 확인되었고, Ⅳ등급 종은 들바람꽃(Anemone amurensis (Korsh.) Kom.), 홀아비바람꽃(Anemone koraiensis Nakai), 나도양지꽃(Waldsteinia ternata (Stephan) Fritsch), 노랑무늬붓꽃(Iris odaesanensis Y.N.Lee) 등 9분류군이 출 현하였다. Ⅲ등급은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Ohwi), 참 조팝나무(Spiraea fritschiana C.K.Schneid.), 참배암차즈기 (Salvia chanryoenica Nakai), 미치광이풀(Scopolia japonica Maxim.), 두루미꽃(Maianthemum bifolium (L.) F.W.Schmidt), 연영초(Trillium kamtschaticum Pall. ex Pursh) 등 26분류 군으로 관찰되었다(Table 5, Appendix 1).

    4)귀화식물

    광치령에서 발견된 귀화식물은 닭의덩굴(Fallopia dumetorum (L.) Holub), 소리쟁이(Rumex crispus L.), 좀명아주(Chenopodium ficifolium Smith), 큰조아재비(Phleum pratense L.) 등 총 18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Appendix 1). 이들의 귀화 율(Naturalized Index: 조사지 내 귀화식물의 종수/조사지 내 출현식물의 총 종수×100)은 약 3.5%로 나타났으며, 도 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조사지 내 출현한 귀화식물 의 수/한반도(혹은 남한)에 유입된 귀화식물의 수×100)는 약 5.6%로 분석되었다. 이 중 국화과 7분류군, 벼과 4분류 군, 마디풀과와 콩과가 각각 2분류군으로 높은 출현 비율을 나타냈다. 본 조사지 내 귀화율(3.5%)은 국내 산지의 평균 귀화율인 10.3%(Koh et al., 1995)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무장지대에 인 접한 광치령의 지리적 입지는 군사 시설물과 군사 작전 도 로를 중심으로 귀화식물이 확산될 여지를 품고 있기에, 주 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도입식물의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5)유용성 구분

    광치령 일대에서 확인된 513종류의 식물에 대한 유용도 를 분석한 결과 식용자원으로 분류되는 식물 197분류군 (38.4%), 목축 및 사료 자원으로 이용되는 식물 180분류군 (35.1%), 약용식물 154분류군(30.0%), 관상용 49분류군 (9.6%), 목재용, 염료용, 섬유용으로 이용되는 식물이 각각 24분류군(4.7%), 8분류군(1.6%), 4분류군(0.8%)으로 나타 났고, 이외에 용도를 특정할 수 없는 식물이 130분류군 (25.3%)로 해석되었다(Table 7, Appendix 1).

    Figure

    The investigated area in this study

    Table

    The dates and routes of investigation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surveyed area

    The list of the rare plants in Gwangchiryeong Area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 Gwangchiryeong area

    The list of the Ⅴto III degree taxa of Korean floristic regional plants in Gwangchiryeong Area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investigated area

    Usefulness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Gwangchiryeong Area

    *Ed: Edible, P: Pasturing, M: Medicinal, O: Ornamental, T: Timber, D: Dye, F: Fiber, U: Unknown. 

    The list of vascular plants of Gwangchiryeong including voucher specimens

    *1: Rare plants, 2: Endemic plants, 3: Degree of Korean floristic regional plants, 4: Naturalized plants, 5: Usefulness

    Reference

    1. Choi H.J. , Heo K. (2009) Flora Monitoring of Yongneup, an Wetland, in Mt. Daeam ,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Vol.3 (2) ; pp.93-104
    2. Choi G.R. , Youn J.H. , Sim J.G. , Shin D.Y. (2009) Flora of Several mountains (Dosolsan-Daewoosan-Gachilbong) adjacent to Punchbowl, The 2009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Plant Biotechnology, ; pp.-244
    3. Han J.S. , Yoo K.O. (2010) Flora of Baekseoksan (Yanggu-gun, Gangwon-do) ,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Vol.4 (2) ; pp.68-80
    4. Kang J.S. , Han J.S. , Cheon K.S. , Kim K.A. , Park Y.H. , Yoo K.O. (2015) Floristic study of Mt. Hanseok (Inje-gun, Gangwon-do) , Korean J. Pl. Taxon, Vol.45 (1) ; pp.45-71
    5.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 , J. Kor. Environ. Biol, Vol.18 (1) ; pp.163-198
    6. Kim K.A. , Han J.S. , Cheon K.S. , Park Y.H. , Kang J.S. , Yoo K.O. (2014) Floristic study of Mt, Dosol and its adjacent areas (Yanggu-gun, Gangwon-do) , Korean J. Pl. Taxon, Vol.44 (1) ; pp.59-76
    7. Kim N.J. , Kim N.Y. , Kim Y.S. , Lee H.B. , Kim Y.S. , Park W.G. (2011) Flora study of Simjeok swamp in Sohwa-myon, Inje-gun. The 2011 conference of The forest research, The 2011 conference of The forest research, ; pp.374-376
    8. Koh K.S. , Kang I.G. , Suh M.H. , Kim J.H. , Kim K.D. , Kil J.H. , Rhu H.I. , Kong D.S. , Lee E.B. , Chun E.S. (1995) Survey for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pp.1-215
    9.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10.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eninsula; Ⅵ. Central Province(Gangwon-do),
    11.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12. (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13.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14. (2013)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15. (2013)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16. Lee T.B. (1978)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 Bull. Kwanak Arb, Vol.1 ; pp.1-137
    17.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Gyohaksa, Vol.I, II[Hyangmunsa, Seoul, Korea. ].
    18. Lee Y.M. , Park S.H. , Jung S.Y. , Oh S.H. ,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 Korean J. Pl. Taxon, Vol.41 (1) ; pp.87-101
    19.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Gyohaksa, Vol.I, II[Gyohaksa, Seoul, Korea. ].
    20.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21. Min W.K. , Chang C.S. , Jeon J.I. , Kim H. , Choi D.Y. (2000) Flora of Mt. Dae-am-san , Bull. of Seoul Nat’l Univ. Arboretum, Vol.20 ; pp.30-82
    2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08) A book on Origins of the Geographical Name in Korea; Central region of Korea, Jinganbook,
    23. Oh B.U. , Cho D.G. , Kim K.S. , Jang C.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2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25. Ryu S.H. , Kim S.D. (2009) The Flora of Yong_Neup and Vegetation distribution of high moor in Mt. Daeam , The 2009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 (2014) The documentary book of Yanggu-gun, Yanggugun, ; pp.31-217
    27. Yim Y.J. ,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 J. Plant Biol, Vol.23 ; pp.6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