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1 No.1 pp.30-41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7.31.1.030

Mammalian Research Topics and Trends in Korea

Byung June Ko2, Soo Hyung Eo2*
2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 Yesan, Chungnam 32439, Korea

a 본 연구는 산림청 ‘임업기술개발사업(과제번호: S211416L010140)’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짐.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82-41-330-1301, +82-41-330-1308, eosh@kongju.ac.kr
January 5, 2017 January 31, 2017 February 16, 2017

Abstract

Mammals in Korea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nimal science, veterinary medicine, laboratory animal science, ecology, and genetics. As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has been emphasized recentl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mmals have attracted much public attention. However, in spite of such an increase in scientific research and public interest,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a report or summary to grasp the trend of mammalian research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future plans of the detailed research area and the related policies by grasping the research trends of mammals in Korea. Using text-ming and co-word analysis, we analyzed 392 mammalia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national journals as of 2015. Our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mammalia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has gradually increased and that the research target species have also become increasingly diverse. The major research areas identified through text-mining and co-word analysis are (1) evolution/phylogenetics/genetics, (2) environmental science/ecology, (3) embryology/reproductive biology/cell biology, (4) veterinary medicine related to parasites, (5) parasitology related to rodents, (6) bacteriology/virology, (7) anatomy/cell biology/laboratory animal science, (8) veterinary science related to morphology and anatomy, (9) animal science, (10) marine mammalogy, and (11) Chiroptera (bat) research. Environmental science/ecology has been the most active field among the 11 research areas in recent times, and the proportion of research has increased sharply compared to the past. Environmental science/ecology is the cor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as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has been emphasized in recent years, researchers’ interest in mammal ecology appears to have increased.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future research plan and related policies on mammals in Korea.


국내 포유류 연구의 주제와 동향

고 병준2, 어 수형2*
2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국내에서 포유류는 축산학, 수의학, 실험동물학, 생태학, 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들의 보전 및 관리는 국민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전문 연구와 국민 관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내 포유류 연구동향을 파악한 사례는 아직까지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는 국내 포유류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세부연구영역의 계획과 관련 정책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표로 하였다. 2015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포유류 학술논문 392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근 각광받는 연구영역을 파악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국내 포유류 연구논문 발행 수는 점차 증가하 였으며, 연구대상 종 역시 점차 다양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해 파악된 주된 포유류 연구영역은 (1)진화/계통/유전학, (2)환경/생태학, (3)발생/생식/세포생물학, (4)기생충/수의학, (5)설치류/기생충 학, (6)세균/바이러스학, (7)해부/세포생물/실험동물학, (8)형태/해부수의학, (9)축산학, (10)해양포유류학, (11)익수목 연구 등 11개로 구분되었다. 환경/생태학 연구는 11개 연구영역 중에서 최근 가장 활발하였으며, 과거에 비해 연구 비율이 급격히 증가한 분야로 나타났다. 환경/생태학 연구분야는 생물다양성 보전의 핵심으로, 최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국내 서식 포유류의 생태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 역시 더욱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결과가 미래 국내 포유류 연구의 계획과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Korea Forest Service
    S211416L010140

    서 론

    척삭동물문(Phylum Chordata)에 속하는 포유동물강 (Class Mammalia, 이하 포유류) 동물들은 약 2억년 이전에 기원하여 현재 29목 153과 1,200여 속에 걸쳐 총 5,300여 종이 넘을 정도로 다양하게 진화하여 왔다(Wilson and Reeder, 2005; Wilson and Mittermeier, 2009; 2011; Mittermeier et al., 2013; Wilson and Mittermeier, 2014; 2015). 인간을 포함하는 이 분류군은 육상 및 해양 생태계를 막론하고 지 구의 거의 모든 지역에 분포하면서 인간 생활에 매우 중요 한 역할을 한다. 포유류는 인간에게 고기, 우유, 가죽, 모피 등을 제공하며 식량 및 의복으로써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 며, 약 1만3000년 전부터 가축화된 개, 소, 돼지 등은 농경사 회 이래로 교통수단 및 산업 도구로써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Pond and Bell, 2005; Feldhamer 2007). 포유류의 경 제적인 가치 상승과 함께 관련 학문도 발전하기 시작하여, 가축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는 축산학, 동물과학 및 수의 학 분야의 연구는 매우 활발하다(Pond and Bell, 2005; Summerfield et al., 2015). 또한, 의학 및 생명공학에 실험 동물을 이용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됨에 따라 포유류를 이용 한 관련 응용 학문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Feldhamer, 2007; Inglis, 2013; Vaughan et al., 2013; Whittow, 2013). 최근에는 생물다양성 감소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이 며 서식지 파괴로 인해 많은 포유류들이 심각한 멸종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이들의 생태, 보전 및 관리 분야는 전문가들은 물론 일반 대중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Feldhamer 2007;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Oh et al., 2012; Vaughan et al., 2013; Ceballos et al., 2015)

    국내에서도 포유류에 대한 전문 연구와 국민 관심이 증가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포유류 전문 학술지는 국내에 서 발간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국내 포유류 연구논문들은 각 주제에 따라 다양한 전문 학술지를 통해 발표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국내 포유류학의 역사 및 연구동향을 이해하기 는 쉽지 않고, 관련 문헌자료를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 포유류를 대상으로 하는 각 연구분야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고 효율적인 포유류 연구 등의 관련 정책 방안을 수 립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내 포유류 연 구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세부 포유류 연구영역 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동향 분석은 각 연구분야의 연구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전망을 예측하며, 과학정책을 합리적으로 제시하 게 해준다(Neff and Corley, 2009; Seo, 2010; Jaric´ and Gessner, 2011; Van Wilgen et al., 2016). 특히, 어떤 연구 분야 내에서 새롭게 각광받는 세부연구영역이 무엇인지 파 악하는 것은 연구계획 수립과 한정된 연구비용 배분에 있어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기 때문에, 연구자와 정책결정자 모두 에게 중요하다(Tseng et al., 2009; Mryglod et al., 2016). Neff and Corley(2009)Liu et al.(2011) 등은 최근 생물 다양성과 생태학 연구분야에서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는 연 구주제가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과학기술발전과 정책 등 의 사회적 배경이 관련 연구분야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조 사하였다. Do et al.(2015)은 1970년부터 2014년까지 수행 된 국내 담수외래종 연구분야의 연구주제를 양적으로 분석 하여 향후 담수외래종의 생태특성을 다루는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국내에서 수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에 발맞춰 최근에는 텍스트마이닝 (text-mining)과 동시출현단어 분석(co-word analysis)을 연 구동향 파악에 이용하고 있다. 이 분석은 연구주제를 양적 으로 분석함에 있어 연구자 주관의 개입을 최대한 배제 한 다(Kim and Song, 2014).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 석은 논문에 포함된 제목, 초록, 본문내용 등으로부터 단어 들을 추출한 뒤, 유사한 주제의 단어들을 알고리즘에 따라 군집화함으로써 연구주제 분류를 수행한다. 이 분석은 대량 의 연구논문 주제들을 객관적인 방법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분야의 구조를 의미론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된다(Romo-Fernández et al., 2013; Zong et al., 2013; Li et al., 2015; Van Wilgen et al., 2016).

    이 연구에서는 국내 포유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동향을 정량 적으로 파악하였다. 향후 진행될 국내 포유류 연구를 위한 계획 수립과 관련 정책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 공할 목적으로, 이 연구는 2015년 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 된 포유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수행하 였다. 첫째, 연구논문의 발행연도, 연구대상 종별 추이를 확 인하여 포유류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였다. 둘째,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국내 포유 류 연구의 세부연구분야들을 파악하고, 최근 새롭게 각광받 아온 연구주제들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포유류 학술논문들을 논문 수와 출판 시기를 고려하여 전반 기와 후반기로 구분하고 세부연구분야의 영역별 비율을 정 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1.국내 포유류 연구 논문 수집

    국내 서식 포유류는 8목, 30과, 82속, 125종이 등록되어 있다(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http://species. 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2016년 12월 1일 접속). 이들 포유류 연구논문 수집을 위해 ‘한반도생물자원포털’에 명 시된 국가생물종목록의 포유류 속(genus)명 82개를 검색어 로 이용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은 2015년까지 발행 된 KCI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 연구논문으로 제한하였으며,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www.riss.kr/)를 이용하여 검 색하였다. 검색한 속명 중 ‘Canis’(개속), ‘Sus’(멧돼지속)등의 검색어는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와 중복(예: ‘Microsporum canis’, ‘sus 304’(stainless steel) 등)되어 유효하지 않은 검 색결과가 다수 포함되었으므로, ‘Canis lupus’, ‘Sus scrofa’ 와 같이 해당 속에 포함된 종의 이명법을 이용하여 재검색 하였다. 논문의 제목, 주요어 또는 초록에 학명 없이 일반명 (예를 들어 소, 돼지, 개 등)만 사용한 논문은 분석에서 제외 하였으며, 논문의 제목에 국외에서 수행된 연구임이 명시된 논문의 경우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2.연도 및 종별 연구 논문 분석

    수집된 각 연구논문을 연도, 학술지, 종으로 분류하여 각 항목별 연구현황을 분석하였다. 연도별 연구 현황분석을 위 해 각 연도별 포유동물 연구논문 발행수를 파악하였으며, 논문 발행수의 증가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연도별 누적논 문수가 약 50%에 해당하는 2007년을 기준으로 각각 1964– 2007(202편), 2008–2015(190편) 두 기간으로 구분하여 분 석하였다. 종별 연구현황 분석 시 각 논문의 제목, 초록 및 주요어에 ‘국가생물종목록’에 기재된 학명이 출현하는지 파악하였으며, 출현한 학명에 해당하는 종을 해당 논문의 연구대상으로 판단하였다. 만약 2종 이상이 출현한 경우 복 수(‘multi-species’)로 처리하였다. 또한, 쇠물돼지(상괭이), 멧토끼, 안주, 흰넓적다리붉은쥐, 작은땃쥐, 긴가락박쥐를 연구한 일부 연구논문에 표기된 학명(각각 Neophocaena asiaeorientalis, Lepus sinensis coreanus, Vespertilio superans,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Crocidura suaveolens, Miniopterus fuliginosus)은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되어 있 는 학명(각각 N. phocaenoides, L. coreanus, V. sinensis, A. peninsulae, C. shantungensis, M. schreibersi)과 동일하 게 처리하였다. 연구대상종의 점진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1980년 이후의 연구기간을 5년 단위로 구분하여 종별 연구현황을 포유류의 목(order)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이후, 연구대상종의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기간별로 Shannon diversity index (H)(Shannon, 1948; H = p i ln p i , p i : 각 기간별 해당종의 출현 비율)를 측정하였다.

    3.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

    수집된 논문자료로부터 연구주제를 나타내는 단어들을 추 출하고 이들을 유사한 주제별로 분류하기 위해 VOSviewer v.1.6.5(Van Eck and Waltman, 2010)를 이용하였다. 주제 단어 또는 단어구의 추출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적용 하였다. 첫째, 총 3편 이상의 논문에서 출현한 단어 혹은 단어구만 선정하였다. 둘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들을 제외하기 위해 VOSviewer에서 측정된 주제단어 적정점수 (relevance score) 상위 60%(VOSviewer의 초기값; Van Eck and Waltman, 2014)에 포함되는 단어에 한해 분석에 포함 하였다. 셋째, ‘DMZ’(‘demilitarized zone’), ‘MCP’(‘minimum convex polygon’), ‘mtDNA’(‘mitochondrial dna’), ‘morphological character’(‘morphological characteristic’) 등 약어로 표현되거나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들은 각각 동일 단어로 처리하였다. 위 기준을 바탕으로 선별된 단어들을 대상으로 단어 네트워크 지도 시각화, 단어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으며(Waltman et al., 2010), 이를 통해 가 장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세부연구영역(이하 영역)의 수를 결정하였다(Arenas et al., 2008; Fortunato, 2010).

    4.세부연구영역별 비교 분석

    각 논문의 제목과 초록에 출현하는 영역별 단어비율을 파악하여 영역별 학술지 점유율, 영역별 종 연구비율, 기간 별 영역 비율을 측정하였다. 이 때, 각 논문에서 출현한 영역 별 단어 수를 영역 전체 단어수로 나누어 영역별 단어출현 빈도를 표준화하였다. 이후 표준화된 각 논문의 영역별 단 어출현빈도를 각 논문 내 표준화된 영역별 단어출현빈도의 총합으로 나누어 논문 별 단어출현빈도를 표준화 하였다. 위 방법으로 측정된 각 논문의 영역별 연구비율을 동일 학 술지별로 합하여 영역별 학술지 점유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각 논문의 영역별 연구비율을 동일 종별로 합하여 영역별 종 연구비율을 산출하였다. 이후 최근 부각되고 있는 연구 영역을 파악하기 위해, 각 논문의 출판 시기를 전반기 (1964-2007)와 후반기(2008-2015)로 구분한 후 영역별 연 구 비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국내 포유류 연구 논문 현황

    속(genus)명으로 검색한 결과 총 936편의 논문이 수집되 었으며, 이 중 중복 검색된 논문, 외국의 포유류를 대상으로 한 논문,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된 포유류외의 대상을 다룬 논문을 제외한 39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 다. 연도별 분석 결과 국내 포유류 논문은 1964년부터 1989 년까지 매해 5편 미만씩 발행되었으나, 이후 점차 증가하여 2004년 이후 매해 10편 이상의 논문이 발행된 것으로 나타 났다. 1964–2007년과 2008–2015년 두 기간 모두 연간 논문 발행 수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2008–2015년 기간 논문 발 행 증가량은 연간 약 2.69편으로 1964–2007년 기간의 연간 증가량 0.36편에 비해 7배 이상 증가하였다(Figure 1). 이는 포유류 연구가 과거 수십 년 보다 최근 수 년 사이에 집중적 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1964년부터 2015년까지 총 50종의 국내 서식 포유동물 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복수의 종을 대상으로 수 행된 연구가 68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단일종 대상 연구는 등줄쥐(Apodemus agrarius), 집쥐(Rattus norvegicus) 연구 가 각각 46편, 29편으로 가장 많았다(Figure 2). 연도를 5년 단위로 구분하여 연구대상 종을 목 수준에서 살펴본 결과, 1986년부터 2000년까지 설치목(Rodentia)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포유동물 연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Figure 3A). 그러나 2001년 이후부터 설치목을 대상으로 한 연구 의 비율은 순차적으로 감소한 반면, 우제목(Artiodactyla), 식육목(Carnivora), 고래목(Cetacea), 익수목(Chiroptera) 등 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각 기간별 연구대상종을 기준으로 Shannon diversity를 측정 한 결과 Shannon diversity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Figure 3B). 이는 과거 소수의 분류군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시간 이 지나면서 연구대상 분류군이 점차 다양해졌음을 의미한다.

    2.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주 제별 세부연구영역

    포유류 연구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 총 8,396개의 단어 혹은 단어구가 추출되었으며, 3편 이상의 논문에서 출현한 단어 혹은 단어구는 897개로 나타났다. 이 중 주제단어 적 정점수(relevance score) 상위 60%에 해당하는 단어는 총 538개로, 이들을 대상으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진행하였 다. 그 결과, 국내포유동물 연구는 11개의 주된 영역으로 나누어 졌다(Figure 4). 이후 각 영역이 다루고 있는 연구주 제를 의미론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영역별 출현단어를 구분 하였다(Table 1).

    영역1은 진화, 계통, 유전 등의 주제를 다루는 세부연구분 야로 판단된다. 이 영역에서는 ‘sequence’, ‘PCR’, ‘mtDNA’, ‘haplotype’, ‘DNA’, ‘lineage’, ‘sequence analysis’ 등 유전, 계통, 진화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으며(Table 1), 영역1의 단어들은 학술지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에서 가장 높 은 비율(25%)로 출현하였다(Figure 5).

    영역2는 생태와 환경 등의 주제를 다루는 분야로 판단된 다. 이 영역에서는 야생동물의 서식지와 관련된 ‘national park’, ‘home range’, ‘habitat use’, ‘forest type’등의 단어와 환경인자를 나타내는 ‘slope’, ‘stream’, ‘altitude’ 등의 단어, 연구 방법론과 관련된 ‘MCP’, ‘GIS’ 등의 단어가 담비(Martes flavigula), 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 족제비(Mustela sibirica), 산양(Naemorhedus caudatus), 삵(Prionailurus bengalensis),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등의 포유류 학 명과 함께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Table 1). 위와 같은 출현 단어를 의미론적으로 파악한 결과 영역2는 다양한 생태, 환 경 주제 중 야생동물의 행동권, 서식지 환경인자 특성, 복원 및 보전 등을 보다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영역2에 포함되 는 단어들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등의 학술지에서 높은 비율로 출현하였다(Figure 5).

    영역3은 발생, 생식, 세포생물학 등의 주제를 다루는 분야 로 판단된다. 이 영역에서는 생식기관, 세포 및 조직 등과 관련한 ‘spermatid’, ‘spermiogenesis’, ‘testis’, ‘seminiferous epithelium’, ‘seminiferous tubule’, ‘spermatogonia’, ‘spermatozoa’, ‘sertoli cell’ 등의 단어와 세포발생주기와 관련한 ‘cycle’, ‘stage’, ‘step’, ‘phase’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Table 1). 영역3에 포함되는 단어들은 ‘Applied microscopy’,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Anatomy and Cell Biology’ 등의 학술지에 다수 출현하였 다(Figure 5).

    영역4는 수의학 또는 기생충을 주제로 다루는 분야로 판단된다. 해당 영역에서는 신체 또는 조직의 형태 관찰과 관련한 ‘shape’, ‘lung’, ‘granule’, ‘electron microscopy’, ‘ultrastructure’, ‘oval shape’ 등의 단어와 기생충감염과 관 련한 ‘host’, ‘worm’, ‘egg’, ‘capillaria hepatica’, ‘helminth’ 등의 단어가 자주 출현하였다(Table 1). 영역4에 포함되는 단 어들은 ‘Applied microscopy’,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등의 학술 지에서 다수 출현하였으며(Figure 5), 집쥐(R. norvegicus) 와 관박쥐(Rhinolophus ferrumequinum) 논문 내에서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Figure 6).

    영역5는 기생충(특히 진드기류)에 감염된 설치류를 주제 로 다루는 분야로 판단된다. 영역5는 소형 포유류, 특히 설치 목과 첨서목을 나타내는 ‘rodent’, ‘A. agrarius’, ‘Crocidura lasiura’, ‘Mus musculus’, ‘Micromys minutus’, ‘Tscherskia triton’, ‘Myodes regulus’ 등의 단어가 ‘vector’, ‘chigger mite’, ‘leptotrombidium pallidum’, ‘scrub typhus’ 등의 감 염 관련 단어와 함께 출현하였다(Table 1). 영역5에 포함되 는 단어들은 학술지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에 집중적으로 출현(28%)하였다(Figure 5).

    영역6은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주제로 다루는 분야로 판 단된다. 이 영역은 ‘virus’, ‘antibody’, ‘sera’, ‘Hantaan virus’, ‘IFA’, ‘antibody titer’, ‘Hantavirus’, ‘immunofluorescent antibody’ 등의 바이러스 및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단어가 출현하였으며, ‘hemorrhagic fever’, ‘renal syndrome’, ‘HFRS’ (ha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등 감염의 증상 을 나타내는 단어가 출현하였다(Table 1). 영역6에 포함되 는 단어들은 학술지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에 집중적으로 출현(37%)하였다(Figure 5).

    영역7은 해부, 세포생물학, 실험동물을 주제로 하는 분야로 판단된다. 이 영역은 ‘neur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acid’, ‘brain’, ‘nucleus’, ‘DBH’, ‘immunoreactive neuron’, ‘immunoreactivity’, ‘enzyme’, ‘cerebral cortex’ 등 신체조 직 또는 생리현상과 관련한 단어들이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 다(Table 1). 영역7에 포함되는 단어들은 학술지 ‘Anatomy and Cell Biology’와 ‘Laboratory Animal Research’에서 다 수 출현하였다(Figure 5). 영역7의 단어가 다수 출현한 논문 들은 등줄쥐(A. agrarius)와 관박쥐(R. ferrumequinum) 연 구가 주를 이루었다(Figure 6).

    영역8은 포유류의 형태 및 해부학에 바탕을 둔 수의학 연구 분야로 판단된다. 이 영역에서는 ‘sex’, ‘wild rat’, ‘height’, ‘tail’, ‘old adult’, ‘cranial character’, ‘young adult’, ‘ear length’, ‘middle aged adult’ 등의 단어가 출현하였다(Table 1). 영역 8에 포함되는 단어들은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Journal of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학 술지에서 다수 출현하였다(Figure 5). 이 영역에선 ‘Kyonggi province’, ‘Kangwon province’, ‘Seoul’, ‘Honam’, ‘Kyongsang province’ 등 지역을 나타내는 단어 역시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연구대상 종의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국내 다양한 지역에서 시료채집을 했기 때문 으로 보인다.

    영역9는 축산학 분야로 판단된다. 이 영역에서는 ‘diet’, ‘digestibility’, ‘production’, ‘velvet antler’, ‘crude protein’, ‘nitrogen’, ‘dry matter’, ‘dry matter intake’ 등 섭식과 소화율, 축산물품 생산과 관련된 단어들이 출현하였다(Table 1). 영역 9의 단어들은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에서 매우 높은 비율(36%)로 출현하였다(Figure 5).

    영역10은 해양 포유류를 주로 연구하는 분야로 판단된 다. 이 영역은 ‘Korean waters’, ‘west coast’, ‘yellow sea’, ‘east sea’, ‘inshore’ 등 해양 관련 단어들이 출현하였으며, ‘finless porpoise’, ‘dolphin’,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등 해양 포유동물을 지칭하는 단어들이 출현 하였다(Table 1). 이 영역에 포함된 단어들은 학술지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에서 매우 높은 비율(39%)로 출현하였다(Figure 5).

    영역11은 익수목(Chiroptera)의 생태특성과 반향정위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분야로 판단된다. 이 영역은 ‘Chiroptera’, ‘Pipistrellus abramus’, ‘Eptesicus serotinus’, ‘Vespertilionidae’, ‘Myotis’, ‘Myotis macrodactylus’ 등 익수목에 포함되는 생 물종과 그들의 분류체계를 의미하는 단어들이 출현하였다 (Table 1). 또한 ‘peak frequency’, ‘fm signal’, ‘pulse duration’, ‘pulse interval’, ‘sound’ 등 박쥐의 반향정위 특성을 의미 하는 단어들이 출현하였으며, 학술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에 높은 비율(28%)로 출현하였 다(Figure 5).

    3.과거와 현재의 세부연구영역 연구비율 비교

    과거에 비해 포유동물 연구가 더욱 활발해진 분야를 파악 하기 위해 11개 영역의 연구비율을 1964-2007년 과 2008-2015년 두 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 장 연구비율이 급격히 증가한 세부연구분야는 생태와 환경 을 주로 다루는 영역2인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7). 영역2 의 연구비율은 1964-2007년 기간에는 전체 11개 영역 중 8번째(7%)로 높았으나, 2008-2015년 기간에는 11개의 영 역 중 가장 높았다(22%). 또한, 소형 포유류의 기생충 연구 등이 주인 영역5, 해양 포유류 연구가 주인 영역10, 박쥐의 생태 연구가 주인 영역11도 1964–2007년 기간에 각각 7%, 2%, 3%였던 연구비율이 2008-2015년 기간에 각각 10%, 9%, 9%로 증가하였다. 반면, 1964–2007년 기간 동안 15% 로 가장 높은 연구비율을 나타낸 유전, 계통, 진화학 분야인 영역1은 2008–2015년 기간에는 13%로 소폭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다른 영역들 역시 1964–2007년 기 간에 비해 2008–2015년 기간 동안의 연구비율이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전, 계통, 진화학 분야 역시 연구비율 에서 약간 감소한 것으로 보일 뿐, 1964–2007년 기간보다 2008–2015년 기간에 연간 포유류 논문 수는 훨씬 더 많이 발표되어 활발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국내 포유류의 생태, 환경 연구분야는 과거에 비해 최근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slope’, ‘altitude’, ‘forest type’, ‘home range’, ‘GIS’, ‘restoration’ 등의 주제 단어에서 파악할 수 있듯이 서식지 환경 특성 및 적합도 분석, 행동권, 복원 등을 주제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 또는 환경을 주제로 한 연구는 습지,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등의 연구분야에서도 과거에 비해 최 근 더욱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Zhang et al., 2010; Li et al., 2011; Liao and Huang, 2014).

    다른 연구 분야와 비교하여 국내 포유류의 유전, 계통, 진화학 연구 비중은 시간이 흐르면서 소폭 감소하였지만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영역에서는 mtDNA를 이용 하여 수행한 계통분석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Neff and Corley(2009)Liu et al.(2011)는 유전다양성 연구가 생물 다양성 보전과 생태학 분야 연구의 새롭게 각광받는 연구분야 임을 밝힌 바 있다. 특히, 이들은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종내 개체군 유전다양성 측정에 사용되는 AFLP, microsatellite 등 의 분자표지자 기법이 최근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학 분야 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Lee and Eo(2016)는 국내에서도 microsatellite 분자표지자를 이용 한 연구가 2000년 이후 증가 추세에 있으며, 국내 학술지에 관련 논문이 꾸준히 발행되고 있음을 밝혔다. 국제자연보전 연맹(IUCN)은 유전다양성 보전을 생물다양성 보전의 선행 되어야 할 활동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으며(Frankham, 2004), 국외에서는 유전다양성 연구가 최근 더욱 활발히 진 행되고 있다. 비록 국내 포유류 유전, 계통, 진화학 연구 비중이 소폭 감소한 듯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본다면 점점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한다.

    4.종합 고찰

    생태, 환경 및 유전다양성 연구분야는 생물다양성 보전의 핵심분야로(Loreau et al., 2001; Liu et al., 2011), 2000년 대 이후 국제적 관심이 높아지며 국내에서도 정부와 많은 연구자들이 생물다양성 보전을 목표로 다양한 야생동물의 생태, 환경 특성 기초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Heo, 20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Oh et al., 2012; Jeon et al., 2014; Park and Lee, 2014). 비록 국내 포유류 연구가 양적으로 계속 성장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부분이 있다. Oh et al.(2012)은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 식물 적색자료집’에서 포유동물 대부분의 생물학적 특성과 분포현황 연구가 부족하다고 언급하였으며 그 이유를 국내 포유류 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연구의 어려움 등으로 보았 다. 또한 국내 야생동물에 대한 생태학적 기초자료가 전반 적으로 부족하며 대부분의 생태 연구가 멸종위기종을 중심 으로 수행되어 일반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더욱 부족하다 (Park and Lee, 2014). 생물다양성의 가치를 객관적이고 정 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적절한 자료 수집 및 연구 방법론 에 대한 연구자들의 논의 역시 필요하다(Jeon et al., 2014).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반드시 필요하지만 지금까지 부족했던 연구들을 수행할 수 있는 정책적 사회적 여건이 우선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선 국가생물종목록으로 지정된 국내 포유류 연 구논문의 서지정보와 연구내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 며, 이를 통해 국내 포유류 연구분야의 연구주제 구성과 변 화 추세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논문의 제목, 주요어, 초록에 포유류 학명이 포함된 국내 학술지 논문에 한해 동 향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포유류 학명이 출현하지 않은 논 문, 국외 학술지 논문 등은 분석에서 제외되었으므로 결과 를 해석할 때 이 사항을 반드시 인지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국외 저명 학술지에 게재된 국내 포유류 연구 논문들을 분 석에 추가한다면 국내 포유류 연구동향을 더욱 면밀히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결과가 앞으로의 국내 포유류 연구와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Figure

    KJEE-31-30_F1.gif

    Number of mammalian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national journals

    KJEE-31-30_F2.gif

    Most frequently researched mammal species in Korean national journals

    KJEE-31-30_F3.gif

    Change of (A) number of articles for mammal orders and (B) Shannon diversity in each period

    KJEE-31-30_F4.gif

    Research areas (Cluster 1~11) and a thematic map based on co-word analysis. Each cluster is distinguished by different colors. The size of the circle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words

    KJEE-31-30_F5.gif

    Heatmap of journal assignment ratio (%) to each research area (Cluster 1~11)

    KJEE-31-30_F6.gif

    Heatmap of species assignment ratio (%) to each research area (Cluster 1~11)

    KJEE-31-30_F7.gif

    Change of research ratio (%) in each research area (cluster 1~11)

    Table

    Top 20 most frequently appearing words in each research cluster

    Reference

    1. Arenas A. , Fernandez A. , Gomez S. (2008)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complex networks at different resolution levels , New J. Phys, Vol.10 (5) ; pp.053039
    2. Ceballos G. , Ehrlich P.R. , Barnosky A.D. , García A. , Pringle R.M. , Palmer T.M. (2015) Pringle and T.M. Palmer(2015) Accelerated modern human–induced species losses: Entering the sixth mass extinction , Science advances, Vol.1 (5) ; pp.e1400253
    3. Do Y. , Ko E.J. , Kim Y.M. , Kim H.G. , Joo G.J. , Kim J.Y. , Kim H.W. (2015) Using Text-mining Metho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f Freshwater Exotic Species in Korea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48 (3) ; pp.195-202
    4. Feldhamer G.A. (2007) Mammalogy: adaptation, diversity, ecology, JHU Press,
    5. Fortunato S. (2010) Community detection in graphs , Phys. Rep, Vol.486 (3) ; pp.75-174
    6. Frankham R. , Ballou J.D. , Briscoe D.A. (2004) A primer of conservation gene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Heo H.Y. (2012) Review on the Protected Areas Issues within Mid-Long Term National Plans for Territory and Environment of Korea; Focus on the “Biodiversity 2011-2020 Strategic Targets”and“Protected Areas Decisio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Vol.11 (4) ; pp.3-37
    8. Inglis J.K. (2013) Introduction to laboratory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Elsevier,
    9. Jarić I. , Gessner J. (2011) Analysis of publications on sturgeon research between 1996 and 2010 , Scientometrics, Vol.90 (2) ; pp.715-735
    10. Jeon S.W. , Kim J.U. , Jung H.C. , Lee W.K. , Kim J.S. (2014)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Endangered Mammals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17 (1) ; pp.111-122
    11. Kim H.J. , Song M. (201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by Co-word Analysis , Jeongbo Gwan'ri Hag'hoeji, Vol.31 (1) ; pp.99-118
    12. Lee B.J. , Eo S.H. (2016) Current trends in forest science research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in korean national journals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3 (3) ; pp.221-231
    13. Li F. , Li M. , Guan P. , Ma S. , Cui L. (2015) Mapping publication trends and identifying hot spots of research o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 quantitative and co-word biclustering analysis , J. Med. Internet Res, Vol.17 (3) ; pp.e81
    14. Li J. , Wang M. , Ho Y. (2011) Trends in research on global climate change: A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based analysis , Global Planet. Change, Vol.77 (1) ; pp.13-20
    15. Liao J. , Huang Y. (2014) Global trend in aquatic ecosystem research from 1992 to 2011 , Scientometrics, Vol.98 (2) ; pp.1203-1219
    16. Liu X. , Zhang L. , Hong S. (2011) Global biodiversity research during 1900–2009: A bibliometric analysis , Biodivers. Conserv, Vol.20 (4) ; pp.807-826
    17. Loreau M. , Naeem S. , Inchausti P. , Bengtsson J. , Grime J.P. , Hector A. , Hooper D.U. , Huston M.A. , Raffaelli D. , Schmid B. , Tilman D. , Wardle D.A. (2001)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ing: Current knowledge and future challenges , Science, Vol.294 (5543) ; pp.804-808
    18. (2012) The Biodiversity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19. Mittermeier R.A. , Rylands A.B. , Wilson D.E. (2013)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 volume 3. Lynx Edicions in association with Conservation International and IUCN,
    20. Mryglod O. , Holovatch Y. , Kenna R. , Berche B. (2016) Quantifying the evolution of a scientific topic: Reaction of the academic community to the chornobyl disaster , Scientometrics, Vol.106 (3) ; pp.1151-1166
    21. Neff M.W. , Corley E.A. (2009) 35 years and 160,000 articles: A bibliometric exploration of the evolution of ecology , Scientometrics, Vol.80 (3) ; pp.657-682
    22. Oh H.S. , Choi B.J. , Jung C.U. , Kim T.U. (2012) Kim and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Mammal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3. Park Y.S. , Lee W.S. (2014) Characteristics of Habitat-using of Siberian Roe Deer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17 (1) ; pp.91-109
    24. Pond W.G. , Bell A.W. (2005) Encyclopedia of animal science, Marcel Dekker,
    25. Romo-Fernández L.M. , Guerrero-Bote V.P. , Moya-Anegón F. (2013) Co-word based thematic analysis of renewable energy (1990–2010) , Scientometrics, Vol.97 (3) ; pp.743-765
    26. Seo E.G. (2010) Trends Analysis on Research Article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Jeongbo Gwan'ri Hag'hoeji, Vol.27 (4) ; pp.7-32
    27.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 Bell Syst. Tech. J, Vol.27 (3) ; pp.379-423
    28. Summerfield A. , Auray G. , Ricklin M. (2015) Comparative dendritic cell biology of veterinary mammals , Annu. Rev. Anim. Biosci, Vol.3 (1) ; pp.533-557
    29. Tseng Y. , Lin Y. , Lee Y. , Hung W. , Lee C. (2009) A comparison of methods for detecting hot topics , Scientometrics, Vol.81 (1) ; pp.73-90
    30. Van Eck N.J. , Waltman L. (2010) Software survey: VOSviewer, a computer program for bibliometric mapping , Scientometrics, Vol.84 (2) ; pp.523-538
    31. Van Eck N.J. , Waltman L. (2014) Visualizing bibliometric networks. Measuring scholarly impact,
    32. Van Wilgen B.W. , Boshoff N. , Smit I.P. , Solano-Fernandez S. , van der Walt L. (2016) A bibliometric analysis to illustrate the role of an embedded research capability in south african national parks , Scientometrics, Vol.107 (1) ; pp.185-212
    33. Vaughan T.A. , Ryan J.M. , Czaplewski N.J. (2013) Mammalogy, Jones & Bartlett Publishers,
    34. Waltman L. , van Eck N.J. , Noyons E.C. (2010) A unified approach to mapping and clustering of bibliometric networks , J. Informetrics, Vol.4 (4) ; pp.629-635
    35. Whittow G.C. (2013) Mammals, Academic Press,
    36. Wilson D.E. , Reeder D.M.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7. Wilson D.E. , Mittermeier R.A. (2009)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 volume 1. Lynx Edicions in association with Conservation International and IUCN,
    38. Wilson D.E. , Mittermeier R.A. (2011)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 volume 2. Lynx Edicions in association with Conservation International and IUCN,
    39. Wilson D.E. , Mittermeier R.A. (2014)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 volume 4. Lynx Edicions in association with Conservation International and IUCN,
    40. Wilson D.E. , Mittermeier R.A. (2015)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 volume 5. Lynx Edicions in association with Conservation International and IUCN,
    41. Zhang L. , Wang M. , Hu J. , Ho Y. (2010) A review of published wetland research, 1991–2008: Ecological engineering and ecosystem restoration , Ecol. Eng, Vol.36 (8) ; pp.973-980
    42. Zong Q.J. , Shen H.Z. , Yuan Q.J. , Hu X.W. , Hou Z.P. , Deng S.G. (2013) Doctoral dissertation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China: A co-word analysis , Scientometrics, Vol.94 (2) ; pp.781-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