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1 No.1 pp.72-80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7.31.1.072

Freshwat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Small Streams in Bogil Island, Korea

Jeong-Ho Han2, Chan-Seo Park2, Kwang-Guk An3*, Woon-Kee Paek2*
2Research and Promotion Division, National Science Museum, 481 Daedeokdae-ro, Yuseong-gu, Daejeon 34143, Korea
3Colleg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99 Daehak-ro, Yuseong-gu, Daejeon 34134, Korea

a 이 논문은 미래창조과학부의 특정연구과제(NRF-2012-0006701; NRF-2008-2004707; NFR-2013M3A9A5047052)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82-42-821-6408, +82-42-822-9690, kgan@cnu.ac.kr, paekwk@korea.kr
November 10, 2016 February 9, 2017 February 10, 2017

Abstract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s in freshwater were analyzed in the streams (12 stations) of the Bogil Island from May to September 2015. Total numbers of the sampled species and genus (9 families) were 21 and 17, respectively. Gobiidae was the most dominant taxa, which accounted for 47.6% (10 species) of the total species, and the relative abundance,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was 60.4% (1,157 individuals). Subdominant families were three taxa of Cyprinidae (3 species; 500 ind.), Mugilidae (2 species; 168 ind.) and Mugilidae (2 species; 128 ind.).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relative abundance, was Rhynchocypris oxycephalus (20.7%) and the subdominant species were Gymnogobius urotaenia (19.5%), Leucopsarion petersii (17.2%) and Chelon haematocheilus (8.5%). These species were composed of upstream-resident fish as well as migratory fishes, so the streams of the Bogil Island had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fish compositions. Based on all the species sampled, 9 species (42.9%) were primary freshwater fishes, 11 species (52.4%) were peripheral fishes and 1 species (4.8%) was amphidromous fish. Korean endemic species and exotic species were not found in the streams of Bogil Isl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ish community structure, species richness index and species diversity index were highest (1.831, 1.957) in the Site 8 and lowest in the Site 4. In the meantime,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in the Site 4 (1.00) and lowest in theSite 8 (0.17).


보길도소하천담수어류상및군집구조

한 정호2, 박 찬서2, 안 광국3*, 백 운기2*
2국립중앙과학관 연구진흥과
3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초록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보길도 일대의 소하천의 12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 및 어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17속 21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망둑어과(10종, 1,157개체; 상대풍부도 (RA), 40.9%)가 우점과로 나타났고, 아우점과는 잉어과 (3종, 500개체), 숭어과(2종, 168개체)순으로 나타났다. 버들치(RA 20.7%, 397개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꾹저구(19.5%, 373개체), 사백어(17.2%, 330개체), 가숭어(8.5%, 163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보길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생활형 구분으로 일차담수어가 9종(42.9%), 주연성 어종 11종(52.4%), 양측회유성 어종 1종(4.8%)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종 및 외래어종은 보길도에서 한종도 출현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 및 종 다양도 지수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부황천 최하류 구간(S8)에서 각각 1.831, 1.9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류구간 (S4)에서 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우점도 지수는 중류구간 (S4) 1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하류 구간(S8)에서 0.17로 낮게 나타났다.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NRF-2012-0006701

    서 론

    우리나라는 북쪽을 제외한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토의 면적에 비해 해안선 이 매우 길며, 특히 서남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되어 있어 다도해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Chae and Yoon, 2007; Han et al., 2016). 이러한 다도해의 몇몇 섬들 중에는 독립 적인 소하천이 존재하고 있으며, 각 하천에는 고유의 담수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이처럼 다도해에 서식하는 담수어류 들은 섬이라는 고립된 특성으로 인하여 섬과 내륙, 섬 내 하천간에도 서로 격리되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종 다양성 은 높지 않지만, 해당 섬의 생성과 관련된 지리·역사적 사건 이나, 어류의 지리분포, 하천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Son and Song, 1998; Chae and Yoon, 2007). 그러나 섬지역의 소하천들이 가지 고 있는 생태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하천 관리나 서 식하고 있는 생물상 및 서식환경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 한 실정이다(Choi and Lee, 2008a).

    우리나라 도서지역의 담수어류에 관한 연구로는 강화도 (Choi and Lee, 2008a), 거제도(Son and Song, 1998), 석모 도와 교동도(Choi and Lee, 2008b), 금오열도(Chae and Yoon, 2007), 제주도(Kim, 2006) 등 비교적 규모가 큰 몇몇 섬에 대한 연구만 있을 뿐, 소규모 섬들에 대한 담수어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환경부에서는 전국 무인도서를 대 상으로 자연환경조사(MOE, 2006, 2012)를 실시하여 생태 계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담수어류 조사가 없는 실정이다. 특히, 남해안에서도 남서쪽에 위치 하는 전남해안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섬(1,965개, 전국 도서 의 약 60 %)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Choo and Kim, 2013), 이 지역에 대한 담수어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대상지인 보길도는 동경 126°30´~126°38′, 북위 34°6′~34°11′의 완도군 남서쪽에 있는 섬으로서, 담수 생태계는 보길저수지, 통리저수지, 부황천 및 소하천이 있 다. 보길도의 하천들은 다도해 지역의 일반적인 하천 특성 과 마찬가지로 하천의 규모가 매우 작고, 유량도 매우 적어 서 지형도에서도 하천의 이름이 표시되지 않을 정도로 하천 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다. 하천차수는 1차 하천이 대부분이 며, 소규모 1차 하천 지류가 합류하여 형성된 몇몇의 2차 하천이 존재하고 있어 어류상이 매우 빈약하다. 현재까지 보길도 지역에서 담수어류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나 보고된 문헌은 미미한 실정이며, 특히, 남해안에서도 남서쪽에 위 치하는 전남해안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섬(1,965개, 전국 도서의 약 60 %)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Choo and Kim, 2013), 이 지역에 대한 담수어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되는 보길도를 대상으로하여 보길도 수계에 대한 담수어류상 조 사를 통하여 이 지역에 서식하는 어류상을 밝히고, 이를 통 해 보길도의 담수어류를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 하였다.

    연구 방법

    1.조사지 개황 및 조사 기간

    보길도는 다도해 지역의 하나의 섬으로서 원래 3개의 독 자적인 섬들로 이루어졌으나, 간척사업으로 연결되어 현재 는 하나의 섬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길도는 다도해의 남서쪽 끝에 있는 섬으로 전라남도 완도군 남서쪽(126°30′ 19″~126°37′35″, 북위 34°06′45″~34°10′39″)에 위치하고 있어, 제주도를 제외하면 우리나라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 다. 보길도는 2개의 유인도와 15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쪽에 격자봉(433m), 동쪽에 수리봉(430m)과 광 대봉(311m), 서쪽에 보죽산(195m)과 망월봉(364m)이 존 재하고 있다(Oh and Beon, 2011). 산림지의 면적이 28.1㎢ 로 전체 면적(32.98㎢)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5.2%), 섬 중앙부에 좁은 분지가 있어 농경지(4.4㎢) 및 주거지(0.48㎢) 등 이용되고 있다. 보길도는 격자봉과 망월 봉에서 기인하여 북쪽 해안으로 흘러가는 부황천이 존재하 고 있으며, 부황천 상류에는 상수도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보길저수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북동쪽에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통리저수지가 위치하고 있다. 보길도는 총 4개의 소하천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하천 길이 가 짧고(4㎞ 이내) 경사가 급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 중 부황천은 보길도에서 가장 큰 소하천으로서 하천길이는 3.9 ㎞이며, 보길저수지를 제외한 평균 하폭은 11.5m, 평균 수 심은 0.2m의 특징을 보인다(Figure 1).

    보길도에는 소규모의 하천들이 바다로 유입되는 형태로 발달되어 있다. 보길도의 하천들은 다도해 지역의 일반적인 하천 특성과 마찬가지로 하천의 규모가 매우 작고, 유량도 매우 적어서 지형도에서도 하천의 이름이 표시되지 않을 정도로 하천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다. 하천차수는 1차 하천 이 대부분이며, 소규모 1차 하천 지류가 합류하여 형성된 몇몇의 2차 하천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보길도의 기후는 난류의 영향으로 평균기온이 14.1℃로 같은 위도의 전라남 도 육지부 해안지역의 13.4℃보다는 약간 높게 나타난다. 1월의 평균기온은 2.6℃, 8월의 평균기온은 25.7℃로 연교 차는 23.1℃로 내륙지방에 비하여 연교차는 매우 적다(기상 청자료). 평균습도는 72.5%로 온난·다습한 온대기후지역에 속하며, 연평균 강수량이 1,532.7㎜로 비교적 많은 편이지 만, 전체 강수량의 62.3%(954.3㎜)가 여름철(6 ~ 9월)에 집 중되기 때문에 보길도 소하천들은 계절적 유량의 차이가 심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보길도의 하천들은 대부분이 해 안선에 인접하여 발달되어 있어, 하천의 길이는 매우 짧고, 하천 말단부는 해수의 영향으로 받는 기수역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본 조사는 2015년에 하천이 안정화된 봄(4월)과 가을 (9월)에 총 2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지점은 보길도의 2개의 저수지 및 4개의 소하천을 모두 포함한 12개의 지점 은 선정하였다. 각 조사지점의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

    2.어류 채집 방법

    조사지역이 섬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해산어와 담수어, 주연성 어종이 함께 출현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해산어를 제외한 1, 2차 담수어류 및 주연성 어류(McDowall, 1998) 로 한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담수어류의 기준은 Kim (1997)의 기준에 의거하여 분류하였다. 각 조사지점에서 어 류 채집은 하천의 약 100m 정도의 구간에서 실시하였으며, 가능한 다양한 서식처가 포함되도록 조사를 실시하였다. 채 집도구로는 모든 지점에서 기본적으로 투망(망목 7 × 7㎜) 과 족대(망목 4 × 4㎜)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투망을 이용한 어류 채집이 적합하지 않은 지점에서는 족대 만을 이용하여 어류채집을 실시하였다. 보길저수지와 통리 저수지의 경우 정치망(망목 4 × 4㎜, 길이 18m, 높이 2.4m) 과 삼중자망(망목 12㎜, 45㎜, 길이 50m, 100m, 높이 1m, 2.5m)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어류조사를 실시하였다. 채 집된 어류는 자연자원의 보호를 위하여 현장에서 종을 동정 하고, 개체수를 기록한 후 대부분 방류하였으며, 사진촬영 이나 표본제작, 동정이 모호한 개체에 대해서는 10% 포르 말린용액에 고정 후 실험실로 운반하여 동정·분류하였다. 어류 동정에 사용한 동정표는 국내에서 발표된 검색표(Kim and Park, 2002; Choi et al., 2002; Lee and Rho, 2006; Han et al., 2015; Han et al., 2016a)를 이용하였으며, 분류 체계는 Nelson(2006)의 분류체계를 따랐다. 각 지점에서 출 현한 종수와 개체수를 기준으로 조사지점의 어류 군집분석 은 종 다양도 지수(Shannon and Weaver, 1963), 균등도 지수(Pielou, 1966), 종 풍부도(Margalef, 1958) 및 우점도 (McNaughton, 1967) 지수 등을 Primer 6.0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조사지점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및 고찰

    1.어류상

    보길도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9과 21종 1,915개체로 나타났다(Table 1). 이 중 주연성 담수어가 11종(52.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일차담수어가 9종(42.9%), 양 측회유성 어종이 1종(4.7%)이 출현하였다(Figure 2). 과별 어종의 구성은 망둑어과(Gobiidae) 어류가 10종(47.6%)으 로 가장 종수가 많았으며, 잉어과(Cyprinidae) 어류가 3종 (14.3%), 숭어과(Mugilidae) 어류가 2종(9.5%), 그리고 나 머지 6개 과의 어류는 각각 1종씩 채집되었다(Figure 3a). 개체수를 기반으로 한 상대풍부도를 살펴보면, 망둑어과 어 류가 1,157개체(60.4%)로 다른 분류군에 비하여 높은 비율 을 차지하였으며, 잉어과 어류가 500개체(26.1%)의 순으로 많았다(Figure 3b). 일반적으로 서해와 남해로 유입되는 우 리나라 하천 어류상에서 잉어과 어류의 우세현상(Kim and Lee, 2001; Byeon et al., 2008; Kim et al., 2012; Han and An, 2013; Chae et al., 2015)이 공통된 특징이나 본 연구에 서는 이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는 조사된 소하천들이 모두 바다로 직접 유입되고 있으며, 방조제와 같이 해수의 유입을 막는 장애물이 없어 어류의 이동이 원활하기 때문으 로 사료된다(Han et al., 2016). 보길도에서 출현한 어종 중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가 397개체(20.7%)로 가장 많이 채집되어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주점종으로 는 꾹저구(Gymnogobius urotaenia)가 373개체(19.5%), 사 백어(Leucopsarion petersii)가 330개체(17.2%)로 다음 순 으로 나타났다(Figure 4). 각 지점별 우점종을 살펴보면, 12 개 지점 중 우점종으로 한번 이상 나타난 어종은 5종이었으 며, 그 중 버들치가 5지점(41.7%)으로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꾹저구가 4지점(33.3%),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 사백어가 각각 1지점(8.3%)에서만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Figure 4). 이는 보길도 소하천이 바다로 직접 유입되는 독립하천의 특성을 가기고 있어서 하천마다 물리적 특성이 나 주변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각 지점별 우점종에도 차이 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Chae and Yoon, 2007). Han et al.(2016b)은 남해도에서 13과 38종의 어류를 확인하였 는데, 그 중 1차 담수어는 24종, 주연성 어종은 14종이었으 며, 우점종은 참갈겨니(Zacco koreanus), 아우점종은 민물 검정망둑(Tridentiger brevispinis)으로 보고한 바 있다. 우 점종의 구성에서는 보길도의 어류상은 남해도와 많은 차이 를 보였는데, 이는 남해도의 비하여 보길도의 하천이 매우 짧고, 담수역 부분의 수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여울을 선호 하는 어종 보다는 버들치처럼 수량이 적고, 수량에 큰 영향 을 받지 않는 어종이 보길도 소하천 서식처에 적응하기 유 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법정보호종 및 한국고유종은 한 개체도 채집되지 않았으며, 외래종 역시 한종도 출현하지 않았다. 여울성 저서종(riffle benthic species)은 민물검정망 둑(4.7%), 밀어(5.5%)이 출현하였으며, 채집된 어종 중 양 측회유성 어종은 은어(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0.1%) 1종만 출현하였다(Table 1).

    2.어류 군집분석

    보길도 전 지점에서 종다양도지수(H′)는 2.293, 균등도 지수(E′)는 0.753, 종풍부도지수(RI)는 2.646, 우점도지수 (DI)는 0.132로 분석되었다(Table 2). 이는 Han et al.(2016) 의 남해도 조사와 비교한 결과(H′= 1.39, E′= 0.71, RI= 1.51, DI= 0.34)보다 더 안정적인 군집구조를 보이고 있었 다. Gorman(1979)이 도서지방 담수어류의 종 다양성은 섬 의 면적에 비례하고 대륙과의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이론과 상이한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보길도가 다도해해상국립공 원에 해당되어 생태계가 비교적 잘 보존되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 지점별 군집분석에 따르면, 종다양도지수(H′)는 S8 (부황천) 지점에서 1.957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S4 (부황천) 지점에서 0로 버들치 한종만 출현하여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균등도지수(E′)에서는 S1(보길저수지) 지점에 서 0.82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S4에서 0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종풍부도지수(RI)는 종다양도지수와 유 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S8지점에서 1.831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S4지점에서 0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우점도 지수는 종다양도지수와 반대로 S4지점에서 1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S8지점에서 0.17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 다(Figure 5). 이와 같은 결과는 보길도 소하천들 중 바다와 인접한 지점에서의 어류군집이 비교적 안정된 군집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인간의 인위적 활동이 많고, 계절별 유량차이(건천화 현상)가 심각한 지점들(S4, S5, S10, S12)에서는 어류의 군집구조가 매우 불안정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ure 5).

    3.어류상의 변화

    보길도 전 수계를 대상으로 어류상을 조사한 문헌자료는 없었으나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실시하는 다도해해상국립 공원 자연자원조사(KNP, 1997; 2009)에서 일부분인 부황 천과 통리저수지에서 어류상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 면, 총 5과 11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본 조사에서 이에 해당되는 하천(부황천)의 지점(S2 ~ S8)에 서 채집된 어류 9과 18종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Table 3). 본 조사에서 추가적으로 서식이 확인된 종으로는 참붕어, 은 어,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 학공치(Hyporhamphus sajori), 드렁허리(Monopterus albus), 흰발망둑(Acanthogobius lactipes), 민물검정망둑, 복섬(Takifugu niphobles) 등 8종 의 서식이 새롭게 확인되었으며, 풀망둑(Synechogobius hasta) 는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보 고한 1997년 보고서(KNP, 1997)에서는 출현한 어종 8종 중 버들치가 우점종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2009년 보고서 (KNP, 2009)에서는 밀어가 우점종, 버들치가 아우점종으 로 나타나 본 조사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Table 3). 차이 를 보이는 어종들은 대부분 주연성 어종들로서 조사 당시 조수 간만의 차이 및 회유시기의 차이로 인하여 기인된 것 으로 판단된다. 보길도에서 채집된 어종 가운데 붕어, 참붕 어 버들치, 미꾸리, 드렁허리, 밀어 등 6종은 1차 담수어, 송사리, 꾹저구, 민물검정망둑, 민물두줄망둑 등 4종은 2차 담수어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 다른 도서의 서식하는 어류 와 비교한 결과, Song et al.(1987)의 진도 어류상에서 1차 담수어가 12종, Kim et al.(1994)의 제주도 어류상에서는 1차 담수어가 5종, Jeon(1992)의 백령도의 1차 담수어는 3종, Jeon(1992)의 대연평도 어류상에서는 1차 담수어는 2 종, Kim et al.(1994)의 돌산도의 어류상에서는 1차 담수어 가 8종, Chae and Yoon(2007)의 금오열도의 어류상에서는 4종 등 섬의 크기 및 육지와의 거리 등 여러 여건에 따라 출현한 어류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다른 섬들의 어류 상 보다 비교적 많은 담수어종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길도에서 서식하고 있는 어종 중 버들치는 잉어과에 속하는 어류로서 거의 전국적으로 매우 흔히 볼 수 있는 어종이지만, 본 종은 북방계 어류로써 찬 물을 선호하기 때 문에 주로 산간계류에 서식하기 때문에 1급수를 대표하는 어종으로 지정되어 있다(MOE, 2008). 내륙에서는 매우 흔 히 출현하지만 도서지역에서는 출현하는 곳이 매우 드물다. Choi and Jeon(1980)에 연구에서도 우리나라 섬들의 담수 어 조사에서 강화도, 진도, 완도, 보길도, 청산도, 금산도, 거제도, 제주도에서만 서식이 확인될 정도로 섬에서는 매우 희귀한 어종이다. 본 조사에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해당 되는 보길도에서 출현한 것처럼 서식하천(부황천)의 수질 상태를 나타내주는 지표어종이기 때문에 버들치가 출현하 는 하천은 잘 보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허나 이들이 서식하는 부황천은 유로길이가 짧고, 유량도 많지 않기 때 문에 그만큼 절멸된 가능성도 높다. 따라서 주변 농경지에 서의 농약 및 생활하수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마 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KJEE-31-72_F1.gif

    Locations of sampling sites in Bogil Island

    KJEE-31-72_F2.gif

    Ecological composition of primary, peripheral and amphidromous freshwater fishes in Bogil Island (F: primary, P: peripheral, A: amphidromous)

    KJEE-31-72_F3.gif

    Relative abundance of main families according to number of species (a) and individual number of fishes (b) in Bogil Island

    KJEE-31-72_F4.gif

    Relative abundance fish species collected in Bogil Island

    KJEE-31-72_F5.gif

    Community structure at each sampling site in Bogil Island

    Table

    The list of fish species collected from each site of Bogil Island

    Abbreviations are as follows. A: amphidromous form, F: primary freshwater fish, P: peripheral freshwater fish, R: riffle-benthic fish, RA: relative abundance(%)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of sampling sites in the Bogil Island

    H': Diversity index, RI: Species richness index, E': Evenness index, DI: Dominance index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previous reports and present study in the Bogil Island

    References: Monitoring natural resources of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1997), Monitoring natural resources of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2009), present study (2015).

    Reference

    1. Byeon M.S. , Park H.K. , Lee W.O. , Kong D.S. (2008)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Lake Paldang and its Inflow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24 (2) ; pp.206-213
    2. Chae B.S. , Yoon H.N. (2007)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Yeosu Peninsula and Geumo Islands, Korea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19 (3) ; pp.225-235
    3. Chae B.S. , Kim S.K. , Kang Y.H. , Heo N.S. , Park J.M. , Ha H.U. , Hwang U.W. (2015)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Upper Reach of the Nakdong River, Korea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27 (2) ; pp.116-132
    4. Choi J.S. , Lee K.Y. (2008) Fish Fauna in Ganghwado, Korea ,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Vol.5 ; pp.1-13a
    5. Choi J.S. , Lee K.Y. (2008) Ichthyofauna in Gyodongdo and Seokmodo, Korea ,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Vol.5 ; pp.50-61b
    6. Choi K.C. , Jeon S.R. (1980) A Study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living in the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 Nat. Conserv, Vol.2 ; pp.119-139
    7. Choi Y. , Kim J.H. , Park J.Y. (2002) Marine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Co., ; pp.1-646
    8. Choo H.S. , Kim D.S. (2013) Tide and Tidal Currents Around the Archipelago on the Southwestern Waters of the South Sea,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19 (6) ; pp.582-596
    9. Gorman M.L. (1979) Island Ecology, Chapman and Hill, ; pp.22-70
    10. Han J.H. , An K.G. (2013) Chemical Water Quality and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the Mid- to Downstream Reach of Geum River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31 (3) ; pp.180-188
    11. Han J.H. , Jeong H.H. , Hong Y.P. , Park C.S. (2016a) The Marine Fishes of South Sea, Nature and Ecology. Press Co,
    12. Han J.H. , Park C.S. , Hwang H. , Paek W.K. (2016) A Study on the Freshwater Fish Community in the Small Streams in Namhae Island, Kore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0 (4) ; pp.730-744b
    13. Han J.H. , Park C.S. , An J.W. (2015) Identification Guide to Freshwater Fishes of Korea, Nature and Ecology. Press Co., ; pp.1-359
    14. Jeon S.R. (1992)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Paiknyong Isl. And Taeyonpyong Isl., Korea , Journal of Basic Science, Vol.6 (17) ; pp.17-2
    15.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Flora of 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16. Kim B.J. (2006) Freshwater Fishes Including Introduced Species of Jeju Island, Korea , Bulletin of the Marine and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Vol.30 (2) ; pp.9-19
    17. Kim C.H. , Kang E.J. , Yang H. , Kim K.S. , Choi W.S. (2012)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Collected from Near Estuary of Seomjin River and Population Ecology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30 (4) ; pp.319-327
    18. Kim I.S. , Park J.Y.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Co., ; pp.1-465
    19. Kim I.S. , Lee W.O. , Yoon C.H. (1994)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Geumoyeoldo Island, Korea , Nat. Conserv, Vol.32 ; pp.193-209
    20. Kim J.R. , Lee C.L. (2001)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from the Dongjin River System, Korea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13 (1) ; pp.40-49
    21. (1997) Monitoring Natural Resources of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pp.168-170
    22. (2009) Monitoring Natural Resources of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pp.461-493
    23. Lee W.O. , Rho S.Y. (2006) Colored Book of Freshwater Fish of Korea, Jisung Press Co., ; pp.1-432
    24.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 Gen. Syst, Vol.3 ; pp.36-71
    25. McDowall M.R. (1998) Diadromy in Fishes, Migrations Between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Timber Press,
    26.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 Nature, Vol.216 ; pp.168-169
    27. (2006) Basic Plan for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8. (2012) Basic Plan for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9. (2008) The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 in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pp.73-100
    30.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and Sons Inc., ; pp.397-398
    31. Oh H.K. , Beon M.S. (2011) Characteristics Type of Vascular Plants in Jeokjabong, Bogil Island(Jeonnam) ,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14 (4) ; pp.25-40
    32.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 J. Theor. Biol, Vol.13 ; pp.131-144
    33. Shannon C.E. , Weav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pp.1-177
    34. Son Y.M. , Song H.B. (1998) Fish Fauna and Distribution on Kojedo, Korea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10 (1) ; pp.87-97
    35. Song T.G. , Park K.Y. , Lee W.O. , Kim I.S. (1987) Freshwater Fishes in Jindo Island, Jeonnam Province, Korea , Coastal Environment Research, Vol.3 ; pp.119-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