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1 No.2 pp.230-251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7.31.2.230

Resources Use Characteristics of Higher Fungi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Seog-Ki Jang2*
2Departmen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Life Science & Natural Resource, Wonkwang University, Iksan 54538, Korea

a 이 논문은 변산반도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및 자원모니터링 조사비(2009년~2011년) 지원에 의해 이루어짐.

Corresponding author: 추가, 추가, jsk0424@naver.com
January 23, 2017 April 14, 2017 April 21, 2017

Abstract

According to the survey on higher fungi from 2009 to 2011 and also in 2015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a total of 2 division, 6 class, 18 orders, 61 families, 157 genera and 323 species were observed. In case of Agaricales, there were 23 families, 67 genera and 153 species; Boletales, there were 6 families, 27 genera and 45 species; Russulales, there were 3 family, 4 genera and 40 species; Polyporales, there were 6 family, 21 genera, 28 species. Thus, most of them belonged to the following 4 orders: Agaricales, Russulales, Boletales and Polyporales. Dominant species belonged to Boletaceae (37 species), Russulaceae (36 species), Agaricaceae (28 species) and Amamtaceae (25 species). For the habitat environment, the ectomycorrhizal mushrooms were 40.2% (poisonous mushrooms, 46 species; edible & medicinal mushrooms, 51 species;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26 species), litter decomposing and wood rotting fungi 35.3%(poisonous mushrooms, 10 species; edible & medicinal mushrooms, 52 species;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46species), grounding Fungi 22.3%(poisonous mushrooms, 8 species; edible & medicinal mushrooms, 31 species;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29 species). Monthly, most of poisonous mushrooms, edible & medicinal mushrooms and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were found in July and August. In terms of altitude, the most species were observed at 1~199m and the populations dropped by a significant level at an altitude of 200m or higher. It seemed that the most diversified poisonous mushrooms, edible & medicinal mushrooms and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occurred at climate conditions with a mean air temperature at 24.0~25.9℃, the highest air temperature at 28.0~29.9℃, the lowest air temperature at 20.0~21. 9℃, a relative humidity at 77.0~79.9% and a rainfall of 300.0~499.9mm.


변산반도 국립공원 고등균류의 자원이용적 특성

장 석기2*
2원광대학교 산림조경학과

초록

2009년부터 2011년, 2015년까지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문 6강 18목 61과 157속 323종 이 조사 되었으며, 주름버섯목(Agaricales)이 23과 67속 153종, 그물버섯목(Boletales) 6과 27속 45종, 무당버섯목 (Russulales) 3과 4속 40종 및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6과 21속 28종으로 4목의 종수가 총 266종으로 전체 종수의 82.4%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종수가 조사된 균류는 그물버섯과로 37종이었으며, 무당버섯과(36종), 주름버섯과(28종) 및 광대버섯과(25종) 순으로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환경별에서는 외생균근성 버섯은 15과 38속 130종(40.2%)으로 독성 버섯은 46종, 식·약용 버섯 51종 및 식·독 불명 버섯 26종 등이 조사되었으며 낙엽 및 목재부후균은 33과 72속 114종(35.3%)이었고 이 중 독성 버섯은 10종, 식·약용 버섯 52종 및 식·독 불명 버섯 46종 등이, 지상균은 24과 47속 72종(22.3%)이었고 독성 버섯은 8종, 식·약용 버섯 31종 및 식·독 불명 버섯 29종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발생에서는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 등은 7월과 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별에서는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 등은 1~199m 지역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m 이상 지역에서는 현저히 낮아지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 등은 평균온도에서는 24.0~25.9℃, 최고온도 28.0~29.9℃, 최저온도 20.0~21.9℃, 상대습도 77.0~79.9% 및 강수량 300.0~499.9 mm일 때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yeonsanbando National Park

    서 론

    고등균류는 세계적으로 25,000여종이, 우리나라에도 2,000여종 이상 보고(Lee, 2013) 되고 있으며, 대부분이 담 자균문과 자낭균문에 포함되고 그 종류 및 서식환경 또한 다양하다. 산림에서는 기생균 역할, 분해자 역할 및 공생균 역할 등으로 산림 생태계 순환에 필수적인 역할(Taylor et al., 2000)을 하며 특히, 수목과 공생관계 역할을 하는 외생 균근균은 대부분의 수목 뿌리와 결합하여 수분상승, 영양분 흡수 및 대사, 수목의 적절한 생장 및 병원체에 대한 보호 (Baxter and Dighton, 2001; Dahlberg, 2001) 등 중요한 역 할을 하고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산림에서 발생하는 야생의 식용버섯 및 약 용버섯에 대해 중요한 비목재 임산물로 큰 주목(Boa, 2004) 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물버섯(Boletus edulis), 꾀꼬리 버섯(Cantharellus cibarius), 송이(Tricholoma matsutake), 검 은덩이버섯(Tuber indicum), 흰덩이버섯(Tuber magnatum) 등 외생균근성 버섯들에 대한 상업적 가치 또한 증가하고 있어(Karwa et al., 2011) 산림 자원에 대한 가치가 큰 주목 을 받고 있다.

    이러한 버섯들은 예로부터 영지버섯, 느타리버섯, 표고버 섯 및 상황버섯 등 목재부후균 버섯과 송이 및 능이 등 외생 균근성 버섯 등 다양한 버섯들을 식용 및 약용 버섯으로 널리 이용(Qi et al., 2013)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맥경화, 심장병, 당뇨병, 및 고지혈증 등 성인병 예방, 위와 장의 기능 향상, 항암 및 항종양 등의 효과(Park and Byun, 2005; Park et al., 2006; Park, 2008; Hong et al., 2009; Choi, 2010)가 알려지면서 많은 이들에게 높은 관심을 갖는 생물 군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식생활 향상 및 건강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 면서 많은 이들이 숲에서 발생하는 야생버섯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붉은사슴뿔버섯(Yang et al., 2013) 및 광대버섯류(Li et al., 2014) 등 다양한 독성버 섯들에 의해 인명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중 많은 탐방객 및 등산객들이 방문 하고 있는 변산반도 국립공원(BSBNP, 126° 37′40″~126° 44′20″, N 34° 21′40″~34° 47′20″)을 대상으로 2009 년~2011년 및 2015년 4년간 조사된 버섯을 중심으로 조사 시기별, 고도별 및 서식환경별 등에 따라 발생되는 독성 버 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 등 자원이용적 특성에 따른 고등균류의 발생 동태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유전자원 확보 및 효율적인 공원관리의 기초자료 제공 등에 있다.

    조사 방법

    1.조사 기간

    조사는 출입이 가능한 등산로를 중심으로 버섯 발생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3지역, Ⅰ: 남여치공원지킴터→월명 암→자연보호헌장탑→내변산탐방지원센터(5.5 km), Ⅱ: 내변산탐방지원센터→직소폭포→관음봉→내소사(6.2 km), Ⅲ: 굴바위→가마소삼거리→세봉삼거리→ 내소사매 표소(8.6 km)을 중심으로 Line Transect Method에 의해 좌우 각각 10m를 조사 범위에 포함하여 2009년 4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평균적으로 월 4회(7월과 8월), 2회 또는 3회(4월, 5월, 6월, 9월 및 10월)를 주기로 총 61회(2009년 14회, 2010년 13회, 2011년 16회 및 2015년 18회)를 조사 하였다.

    2.버섯 채집 및 방법

    조사 기간 동안 발생된 버섯은 갓(pileus)의 특징(크기, 모양, 색깔, 형태 등), 자실층(hymenium)(형태, 밀도, 색 등), 자루(stipe)(크기, 모양, 표면, 턱받이(ring) 모양 및 위치 등) 및 대주머니(volva) 모양 등 특성에 따라 구별이 가능한 버 섯은 현장에서 동정을 하였으며, 미동정된 버섯은 채집 장 소, 채집일 및 서식환경 등을 기입한 후 자실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봉투에 넣어 원광대학교 환경생태학실험실로 운반 한 후, Melzer용액, KOH 또는 guaiacol 등에 의한 화학적 반응 검사 및 현미경을 이용하여 담자기, 담자포자, 낭상체 등을 관찰한 후 종의 분류, 동정하는 데 참고하였다.

    채집된 버섯의 동정 및 자원이용학적 특성은 외국 (Breitenbach and Kränzlin, 1984; 1986; 1991; 1995; 2000; Mao, 2009; Yuan, 2007) 및 국내(Park and Lee, 2003; Park and Lee, 2011) 문헌 등을 참조하였으며, 최종분류는 CABI 의 Index Fungorum (http://www.indexfungorum.org/)의 분류체계에 따랐다.

    3.기후환경 및 자료분석

    조사 기간 동안 기후자료는 조사 지역의 부안 기상관측소 의 월 평균 자료를 참고하였다. 자료 분석은 7월과 8월에는 월 4회, 7일 단위로 조사를 하여 월 평균자료를 이용하였으 며, 4월, 5월, 6월, 9월 및 10월의 경우에는 조사일 포함 7일 전 자료를 종합한 후 평균자료를 월별 자료로 이용하였 다. 이를 각각의 기후환경 요인인 온도(평균온도, 최고온도, 최저온도), 습도, 강수량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한 후 버섯의 서식환경별 등에 따라 자원이용적 특성(독성버섯, 식·약용 버섯, 식·독 불명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에 따른 발생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ANOVA을 실시하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비교하였다(SPSS 12.0K).

    결과 및 고찰

    1.고등균류 발생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문 6강 18목 61과 157속 323종이 조사되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Table 1과 Appendix 1과 같다.

    이를 분류하면 주름버섯목(Agaricales)이 23과 67속 153 종, 그물버섯목(Boletales) 6과 27속 45종, 무당버섯목 (Russulales) 3과 4속 40종 및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6과 21속 28종으로 4목의 종수가 총 266종으로 전체 종수 의 82.4%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종수가 조사된 버섯은 그물버섯과로 37종이었으며, 무당버 섯과(36종), 주름버섯과(28종) 및 광대버섯과(25종) 순으로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장산국립공원의 고 등균류 발생과 기후환경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 결과 (Jang and Kim, 2012)와 비교 시 종수에는 차이를 보였으나 우점균류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원이용적 특성 에 따라 구분하면 식·약용 버섯은 37과 82속 136종(42.1%) 이, 식·독 불명 버섯은 44과 74속 106종(32.8%)이, 독성 버 섯은 17과 28속 64종(19.8%)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7과 11속 17종(5.3%) 순으로 조사되어 식·약용 버섯의 발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환경별에서는 외생균근성 버섯은 15과 38속 130종(40.2%)으로 독성 버섯은 46종, 식· 약용 버섯 51종 및 식·독 불명 버섯 26종 등이 조사되었으며 낙엽 및 목재부후균은 33과 72속 114종(35.3%)이었고 이 중 독성 버섯은 10종, 식·약용 버섯 52종 및 식·독 불명 버섯 46종 등이, 지상균은 24과 47속 72종(22.3%)이었고 독성 버섯은 8종, 식·약용 버섯 31종 및 식·독 불명 버섯 29종 등이, 기타 균은 3과 5속 7종(2.2%)으로 식·약용 버섯 2종 및 식·독 불명 버섯 5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독성 버섯의 발생이 가장 높은 버섯은 외생균근성 버섯으로 총 46종이, 식·약용 버섯은 낙엽 및 목재부후균에서 52종이, 식·독 불명 버섯은 낙엽 및 목재부후균에서 46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조사시기별에 따른 자원이용적 특성

    연도별에 따른 발생을 보면(Figure 1) 2009년에 52과 127속 220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2015년(52과 111 속 192종), 2011년(53과 103속 179종) 순이었으며 2010년 이 47과 94속 174종으로 가장 적은 종이 조사되었다. 이를 자원이용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면 독성 버섯은 2009년에 45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2015년(36종), 2010년(35종) 순 이었으며, 식·약용 버섯은 2009년이 101종으로 가장 많았 으며, 2015년(86종), 2011년(83종) 순이었고 식·독 불명 버 섯은 2009년이 63종으로 가장 많았고 2015년(60종), 2011 년(57종)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월별로 구분하면(Figure 2) 독성 버섯은 7월에 47종 으로 가장 많았고 8월(36종), 9월(24종) 순이었고 식·약용 버섯은 7월에 108종으로 가장 많았고 8월(77종), 9월(46종) 순이었으며 식·독 불명 버섯은 7월에 77종으로 가장 많았고 8월(53종), 9월(24종) 순으로 나타난 반면 4월에는 1종이 조사되어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월별에 따른 우점 버섯류 발생을 보면(Figure 3) 주름버 섯과, 광대버섯과, 그물버섯과 및 무당버섯과 등 4과는 7월 과 8월에 발생이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6월 이전과 9월 이후에는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성 버섯의 경우 7월에 30종으로 가장 많이 발생되었고 8월(27 종), 9월(14종) 순이었으며 식·약용 버섯은 7월에 48종으로 가장 많았고 8월(26종), 9월(15종) 순이었고 식·독 불명 버 섯은 7월에 26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8월(18종), 9월 (9종) 순으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 등은 7월과 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버섯류 중 독성 버섯은 광대버섯과 버섯이 7월에 16종으로 가장 많이 발생되었고 8월(14종), 9월(9종) 순으로 높았으며 식·약용 버섯은 그물버섯과 버섯 이 7월에 21종으로 가장 많았고 8월(12종), 9월(5종) 순이 었고 식·독 불명 버섯은 무당버섯과 버섯이 7월에 9종으로 가장 많았고 광대버섯과 버섯(7월, 8종)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 등은 7월과 8월에 가장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독성 버섯은 광대버섯과에서, 식·약용 버섯은 그물버섯과에 서, 식·독 불명 버섯은 무당버섯과의 버섯에서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생균근성 버섯이 7월과 8월에 가 장 다양하게 발생되었다는 보고(Kim et al., 2013)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3.고도별 따른 자원이용적 특성

    고도별에 따른 발생(Figure 4)을 보면 1~99 m 지역에서 60과 130속 266종으로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이 중 식·약 용 버섯은 115종, 식·독 불명 버섯 85종, 독성 버섯 51종 및 식용부적당 15종순으로 조사되었고 100~199 m 지역에 서는 57과 131속 246종(식·약용 버섯 106종, 식·독 불명 버 섯 79종, 독성 버섯 48종 및 식용 부적당 버섯 13종), 200~299 m 지역에서는 30과 57속 92종(식·약용 버섯 46종, 식·독 불명 버섯 24종, 독성 버섯 17종 및 식용 부적당 버섯 5종) 순이었으며, 300 m 이상 지역에서는 21과 39속 57종 (식·약용 버섯 28종, 식·독 불명 버섯 19종, 독성 버섯 8종 및 식용 부적당 버섯 2종)으로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독성 버섯은 1~99 m 지역에서 51종으로 가장 많았고 100-199 m 지역에서 48종, 200-299 m 지역에서 17종 및 300 m 이상 지역에서 8종 순으로 나타나 200 m 이상의 지역에서 버섯 종 발생은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용 버섯은 1~99 m 지역에서 115종으로 가장 많았고 100~199 m 지역에서 106종, 200-299 m 지역에서 46종 및 300 m 이상 지역에서 28종순으로 나타나 200 m 이상의 지역에서 종 발생은 현저히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독 불명 버섯은 1~99 m 지역에서 85종으로 가장 많았고 100~199 m 지역에서 79종, 200-299 m 지역에서 24종 및 300 m 이상 지역에서 19종 순으로 나타나 200 m 이상 지역에서 종 발생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별에 따른 우점 버섯류의 발생을 보면(Figure 5) 대 부분의 우점버섯류는 1~199 m 지역에서 대부분이 발생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 m 이상 지역에서는 종 발생 이 현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버섯류 중 독성 버섯은 광대버섯과 버섯이 1~99 m 지역에서 17종으 로 가장 높았고 100~199 m 지역(14종), 200~199 m 지역(7 종) 순이었으며, 식·약용 버섯은 그물버섯과 버섯이 100~199 m 지역에서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1~99 m 지역 (15종), 200~199 m 지역(5종) 순으로 발생이 많았다. 식·독 불명 버섯은 주름버섯과 버섯이 1~99 m 지역에서 11종으 로 가장 많이 조사된 반면 100 m 이상 지역에서는 무당버섯 과의 버섯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은 1~199 m 지역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 m 이상 지역에서는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이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종의 감소가 현 저히 낮아졌다는 내장산 보고(Jang, 2006)와 고도에 따라 종 풍부도 및 다양성 등 군집구성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 (Bahram et al., 2012; Kernaghan and Harper, 2001)와 유 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4.기후환경 요인별 분포

    고등균류의 자원이용적 특성에 따라 기후환경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는 Table 2, 3, 4, 56과 같다.

    평균온도별(Table 2)을 보면 대부분의 목재 및 낙엽부후 균의 경우 독성 버섯은 24.0~25.9℃에서, 식·약용 버섯, 식· 독 불명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24.0~27.9℃일 때 유의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생균근성 버섯은 전체적으로 24.0~27.9℃에서 유의성을 보였으며 지상균에서는 독성 버 섯 및 식·독 불명 버섯은 24.0~25.9℃에서, 식·약용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24.0~27.9℃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 전체적으로 24.0~25.9℃일 때 유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온도별(Table 3)에서는 대부분의 목재 및 낙엽부후 균의 경우 식·약용 버섯, 식·독 불명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28.0~32.9℃일 때 유의성이 있었으며, 독성 버섯은 28.0~29.9℃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생균 근성 버섯은 전체적으로 것으로 28.0~32.9℃에서 유의성을 보였으며 지상균에서는 식·약용 버섯, 식·독 불명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28.0~32.9℃일 때 유의성이 있었으며, 독성 버섯은 28.0~29.9℃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 같은 결과, 전체적으로 28.0~29.9℃일 때 유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온도별(Table 4)에서는 대부분의 목재 및 낙엽부후 균의 경우 독성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20.0~21.9℃일 때,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은 20.0~24.9℃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생균근성 버섯은 독성 버섯 및 식·약용 버섯은 20.0~21.9℃일 때, 식·독 불명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20.0~24.9℃에서 유의성을 보였으 며 지상균에서는 독성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은 20.0~21. 9℃일 때, 식·약용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20.0~24.9℃ 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 전체 적으로 20.0~21.9℃일 때 유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약용 버 섯, 식·독 불명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의 발생은 평균온도 에서는 24.0~25.9℃에서, 최고온도에서는 28.0~29.9℃에 서, 최저온도에서는 20.0~21.9℃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평균온도에서는 25.0~26.9℃에서, 최고온도에서 는 30.0~31.9℃에서, 최저온도에서는 21.0~22.9℃일 때 외 생균근성 버섯의 유의성이 높았다는 내장산 보고(Jang and Kim, 2015)와 유사하였다.

    상대습도별(Table 5)에서는 대부분의 목재 및 낙엽부후 균 의 경우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77.0~82.9%일 때, 식·독 불명 버섯은 77.0~79.9%일 때 유 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생균근성 버섯은 독성 버 섯 및 식·약용 버섯은 77.0~79.9%일 때, 식·독 불명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77.0~82.9%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지상균에서는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은 77.0~82.9%일 때, 식용 부적당 버섯은 77.0~79.9%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식·독 불명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의 발생은 상대습도가 77.0~79.9%일 때 유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버섯의 자실 체 형성에 온도와 수분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보고 (Egli et al., 2010)와 유사하였다.

    강수량별(Table 6)에서는 대부분의 목재 및 낙엽부후균의 경우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은 월 평균 300.0~499.9 mm일 때, 식용 부적당 버섯은 100.0~299.9 mm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외생균근성 버섯은 독성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은 100.0~499.9 mm일 때,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은 300.0~499.9 mm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균에서는 독성 버섯은 100.0~499.9 mm에서, 식·약용 버섯 및 식·독 불명 버섯은 300.0~499.9 mm일 때, 식용 부적당 버섯은 100.0~299.9 mm일 때 유의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약용 버섯, 식·독 불명 버섯 및 식용 부적당 버섯의 발생은 월 강수량이 300.0~499.9 mm일 때 유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버섯의 자실체 생산에는 강우 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Martínez de Aragón et al., 2007; Straatsma et al., 2001)와 유사하였다.

    Figure

    KJEE-31-230_F1.gif

    The number of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ource use of higher fungi during the surveying periods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KJEE-31-230_F2.gif

    The number of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ource use according to the month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KJEE-31-230_F3.gif

    The number of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ource use of dominance mushrooms according to the month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KJEE-31-230_F4.gif

    The number of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ource use of higher fungi according to the altitude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KJEE-31-230_F5.gif

    The number of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ource use of dominance mushrooms according to the altitude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Table

    The number of species mushroom collected from 2009 to 2011 and 2015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between mean air temperature and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ource use of higher fungi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ean A.T., Mean Air Temperature; E.M.F., Ectomycorrhizal Fungi; G.F., Grounding Fungi; L.W.F., Litter decomposing and Wood rotting Fungi;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between maximum air temperature and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ource use of higher fungi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ax. A.T., Maximum Air Temperature; E.M.F., Ectomycorrhizal Fungi; G.F., Grounding Fungi; L.W.F., Litter decomposing and Wood rotting Fungi;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between minimum air temperature and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ource use of higher fungi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in. A.T., Minimum Air Temperature; E.M.F., Ectomycorrhizal Fungi; G.F., Grounding Fungi; L.W.F., Litter decomposing and Wood rotting Fungi;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between relative humidity and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ource use of higher fungi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R.H.; Relative Humidity, E.M.F., Ectomycorrhizal Fungi; G.F., Grounding Fungi; L.W.F., Litter decomposing and Wood rotting Fungi;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between Rainfall and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ource use of higher fungi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M.F., Ectomycorrhizal Fungi; G.F., Grounding Fungi; L.W.F., Litter decomposing and Wood rotting Fungi;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P., Poisonous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List of species of ectomycorrhizal fruiting bodies collected from 2009 to 2011 and 2015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P., Poisonous mushrooms; E.M., Edible & Medicinal mushrooms; N.E., Not edible mushrooms; U.E.P., Unknown edible & poisonous mushrooms

    Reference

    1. Baxter J.W. , Dighton J. (2001) Ectomycorrhizal diversity alters growth and nutrient acquisition of grey birch (Betula populifolia) seedlings in host-symbiont culture conditions , New Phytol, Vol.152 ; pp.139-149
    2. Boa E. (2004) Wild edible fungi: A global over view of their use and importance to peopl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3. Breitenbach J. , Kränzlin F. (1984) Ascomycetes, Verlag Mykologia, Vol.1
    4. Breitenbach J. , Kränzlin F. (1986) Non-Gilled Fungi, Verlag Mykologia, Vol.2
    5. Breitenbach J. , Kränzlin F. (1991) Boletes and Agarics(1st Part). Strobilomycetaceae, Boletaceae, Paxillaceae, Gomphidiaceae, Hygrophoraceae, Tricholomataceae, Polyporaceae(lamellate), Verlag Mykologia, Vol.3
    6. Breitenbach J. , Kränzlin F. (1995) Fungi of Switzerland. Volume 4: Agarics(2nd Part). Entolomataceae, Pluteaceae, Amanitaceae, Agaricaceae, Coprinaceae, Strophariaceae, Verlag Mykologia,
    7. Breitenbach J. , Kränzlin F. (2000) Agarics(3rd Part). Cortinariaceae, Verlag Mykologia, Vol.5
    8. Bahram M. , Polme S. , Koljalg U. , Zarre S. , Tedersoo L. (2012) Regional and local patterns of ectomycorrhizal fungal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along an altitudinal gradient in the Hyrcanian forests of northern Iran , New Phytol, Vol.193 ; pp.465-473
    9. Choi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powder , Korean J. Food & Nutr, Vol.23 ; pp.549-555
    10. Dahlberg A. (2001) Community ecology of ectomycorrhizal fungi: an advancing interdisciplinary field , New Phytol, Vol.150 ; pp.555-562
    11. Egli S. , Ayer F. , Peter M. , Eilmann B. , Rigling A. (2010) Is forest mushroom productivity driven by tree growth? Results from a thinning experiment , Ann. For. Sci, Vol.67 ; pp.509-551
    12. Hong J.Y. , Choi Y.J. , Kim M.H. , Shin S.R. (2009) Srudy on the quality of apple dressing sauce added with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and Chitosan , Korean J. Food Preserv, Vol.16 ; pp.60-67
    13. Jang S.K. (2006) Distribution of higher fungi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Kor. J. Mycol, Vol.35 (1) ; pp.11-27
    14. Jang S.K. , Kim S.W. (2012) Relationship between higher fungi distribution and climatic factor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Kor. J. Mycol, Vol.40 ; pp.19-38
    15. Jang S.K. , Kim S.W. (2015) Relationship between ectomycorrhizal fruiting bodies and clima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 Mycobiology, Vol.43 ; pp.122-130
    16. Karwa A. , Varma A. , Rai M. Rai M. , Varma A. (2011) Edible ectomycorrhizal fungi: cultivation, conservation and challenges , Diversity and biotechnology of ectomycorrhizae, Springer, ; pp.429-453
    17. Kernaghan G. , Harper K.A. (2001) Community Structure of Ectomycorrhizal Fungi across an Alpine/Subalpine Ecotone , Ecography, Vol.24 ; pp.181-188
    18. Kim H.J. , Chung J.C. , Jang S.K. , Jang K.K. (2013) Distribution of ectomycorrhizal fruit bodies according to forest fire area , Korean J. Ecol. Environ, Vol.46 ; pp.251-264
    19. Lee T.S. (2013) Rearrangement of Korean recorded mushrooms, Kor. Soc. For. Environ. Res,
    20. Li P. , Deng W. , Li T. (2014) The diversity of toxin gene families in lethal Amanita mushrooms , Toxicon, Vol.8 ; pp.59-68
    21. Mao X. (2009) Macromycetes of China by Mao Xiaolan, Science Press,
    22. Martínez de Aragón J. , Bonet J.A. , Fischer C.R. , Colinas C. (2007) Productivity of ectomycorrhizal and selected edible fungi in pine forests of the pre-Pyrenees mountains, Spain: Predictive equations for forest management of mycological resources , For. Ecol. Manage, Vol.252 ; pp.239-256
    23. Park M.L. , Byun G.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mushroom yanggaeng prepared by different addition of frozen pine mushroom according to different pre-treatment , J. Korean Soc. Food Cult, Vol.20 ; pp.738-743
    24. Park M.L. , Choi S.K. , Jung I.C. , Byun G.I. (2006) Rheological & sensory characteristics of pine mushroom Jung-Gwa by different amount of saccharide (honey and oligosaccharide) , J. Korean Soc. Food Cult, Vol.21 ; pp.695-701
    25. Park M.L.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ine-tre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pickle for the standard recipe ,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14 (4) ; pp.55-66
    26. Park W.H. , Lee H.D. (2003)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Mushrooms, Kyohaksa,
    27. Park W.H. , Lee J.H. (2011) New Wild Fungi of Korea, Kyohaksa,
    28. Qi Y. , Zhao X. , Lim Y.I. , Park K.Y. (2013)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2 (5) ; pp.655-662
    29. Straatsma G. , Ayer F. , Egli S. (2001)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phenology of fungal fruit bodies over 21 years in a Swiss forest plot , Mycol. Res, Vol.105 ; pp.515-523
    30. Taylor A.F. , Martin F. , Read D.J. Schulze E.D. (2000) Fungal diversity in ectomycorrhizal communities of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and beech (Fagus sylvatica L.) along North-South transects in Europe , Carbon and nitrogen cycling in European forest ecosystems-ecological studies,
    31. Yang J.N. , Kang J.H. , Kang Y.S. , Seok S.J. , Kim W.K. (2013) A Case of Podostroma Cornu-Damae Intoxication Similar to Drug Hypersensitivity Syndrome , Korean J. Med, Vol.85 (2) ; pp.223-228
    32. Yuan M. (2007) Zhongguo Xunjun Yuanse Tuji, Sichu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