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3 No.1 pp.75-85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9.33.1.75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idge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Hyun-Mi Kang2, ,Seok-Gon Park3, Ji-Suk Kim4, Sang-Cheol Lee5, Song-Hyun Choi6*
2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 Muan 58554, Korea
3 Division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 Sunchon 57922, Korea
4 Jungbu Park & Landscape Management Offic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04628, Korea
5 Applied Ecology Lab., Pusan National Univ., Miryang 50463, Korea
6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 Miryang 50463, Korea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Tel: +82-55-350-5401, Fax: +82-55-350-5409, E-mail: songchoi@pusan.ac.kr
31/08/2018 29/11/2018 22/01/201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idges (Gyeongsusan-Seonunsan-Gaeipalsan)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and to establish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the park in the future. We designated 62 plots with the area of 100m2 were installed and analyzed them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community classification based on TWINSPAN showed seven categories of vegetation communities in the surveyed region: Quercus dentata-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Quercus variabilis-Pinus thunbergii-Quercusserr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I, Carpinus tschonoskii-Castanea crenata-Quercus aliena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II, and Carpinus tschonoskii-Carpinus laxiflora Community. In the vegetation of Seonunsan Provincial Park, coniferous trees such as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have been gradually losing their population as part of ecological succession to deciduous broad-leaved trees such as Quercus spp., Carpinus tschonoskii, and Carpinus laxiflora. Moreover, Carpinus turczaninowii, Mallotus japonicus, and others were identified as vegetation reflect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neighboring the west coast. The estimated age is 30-60 years, and the oldest tree Pinus densiflora is 63-years old. The index of diversity (100m2) was 0.7942 for Carpinus tschonoskii-Carpinus laxiflora Community, 0.8406 for Carpinus tschonoskii-Castanea crenata-Quercus aliena Community, 0.8543 for Quercus dentata-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0.9434 for Quercus variabilis-Pinus thunbergii-Quercusserrata Community, 0.9520 for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I, 0.9633 for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1.0340 for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II in the ascending order.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 식생 특성

강현미2, 박석곤3, 김지석4, 이상철5, 최송현6*
2 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조교수
3 국립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부교수
4 서울특별시 중부공원녹지사업소 과장
5 부산대학교 응용생태연구실 박사후연구원
6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초록


본 연구는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경수산~선운산~개이빨산)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도립공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m2 크기의 조사구 6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 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 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Ⅰ, 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Ⅱ,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총7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선운산도립공원의 식생은 곰솔과 소나무 등의 침엽수는 점점 세력을 잃어가고 있는 반면, 굴참나 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와 개서어나무와 서어나무의 세력이 왕성해지고 있어 낙엽활엽수군락으 로의 생태적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다. 또한 서해와 접하고 있는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식생으로 소사나 무, 예덕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임령은 30~60년으로 추정되었으며, 추정연령이 가장 오래된 나무는 소나무로 약 63년생으로 조사되었다. 종다양도지수(100m2)는 0.7942(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 0.8406(개서어나 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 0.8543(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 → 0.9434(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 0.9520(낙엽활엽수혼효군락-Ⅰ) 0.9633(소나무군락) → 1.0340(낙엽활엽수혼효군락-Ⅱ) 순으로 높았다.



    서 론

    선운산도립공원은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고창군에 위치 하고 있다. 선운산은 19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지정면적은 43.7km²이다. 선운산은 호남의 내금강으로 불 리는 명승지로 곳곳에 기암괴석이 봉우리를 이루고 있어 경관이 빼어나고 숲이 울창한 가운데 천년 고찰 선운사가 자리하고 있다. 선운사는 고려 때 호남지방에서 가장 큰 사 찰이었다고 한다(Seonunsan Provincial Park, 2018). 선운 사를 중심으로 동백나무숲(천연기념물 제184호)과 장사송 (천연기념물 제354호), 송악(천연기념물 제368호) 등의 식 물자원과 관련된 다양한 천연기념물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식물자원을 가지고 있는 선운산도립공원 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는 Z-M 방식에 의한 선운산지역의 삼림군집 분류(Yim and Kim, 1986), 선운산지역 삼림군 집의 경도분석((Kim and Yim, 1986), 선운산지역의 현존 식생과 잠재자연식생(Kim and Yim, 1987)이 진행되었다. 선운산이 도립공원으로 지정 된지 40년이 되어가지만 현 재까지 선운산도립공원을 중심으로 진행된 식생구조연구 는 약 30년 전 실시된 연구만이 있으며 이후는 전무한 실 정이다.

    「자연공원법」 제2조 3을 보면 도립공원은 “도 및 특별자 치도의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이라 정의 하고 있고, 「자연공원법」 제17조 3에 공원관리청은 결정된 공원계획에 연계하여 10년마다 공원별 보전・관리계획을 수 립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 대부분의 도립공원은 이러 한 보전・관리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있으며, 자연공원 중 국 립공원만이 법에 따라 보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도 립공원은 국립공원과 같이 「자연공원법」의 접촉을 받고 있 으나 지정 및 관리의 주최가 환경부장관인 국립공원과 달리 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가 지정・관리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지자체의 예산 및 관리인력 부족으로 인해 보전・관리 계획의 수립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로인해 보전・관리계획 의 기초라 할 수 있는 식생연구 또한 30년 동안 실시되지 않고 있다.

    선운산도립공원은 식물자원과 관련된 다양한 천염기념 물이 위치하고 있어 식물사회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으나 중요성에 비해 자연자원조사는 미진한 편이 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미흡했던 선운산도립공 원을 중심으로 식생조사를 통해 능선부의 산림식생 특성 을 파악하여 공원관리를 위한 식생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선정

    본 연구대상지는 전라남도 고창군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 는 선운산도립공원으로 조사구는 선운산도립공원의 주요 봉우리들을 중심으로 경수산~선운산~개이빨산으로 이어지 는 능선부를 중심으로 총 62개소의 조사구를 임의로 설치하 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지조사는 2015년 2월 예비답 사를 거쳐 7월 1일부터 3일까지 3일간 수행되었다.

    2. 조사 및 분석 방법

    1) 식생 및 환경요인 조사

    식생조사는 임내에 방형구(10m×10m)를 설치하여 교목 층, 아교목층, 관목층으로 층위를 나누어(Park, 1985) 수관 층위별로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층수관을 이루는 수목 을 교목층으로, 수고 2m 미만 0.5m 이상의 수목을 관목층 으로, 기타 수목을 아교목층으로 구분하였다. 교목층과 아 교목층에 출현한 수목은 방형구(10m×10m)에서 수목의 흉 고직경을 측정했고, 관목층은 방형구의 가장자리 좌우측에 크기 5m×5m의 소방형구 1개소를 설치하여, 소방형구 내 출현한 수목의 수관폭(장변×단변)을 조사하였다. 각 조사지 의 환경요인은 해발고, 사면방향, 경사도, 식피율 등을 조사 하였다.

    2) 식물군집구조 조사

    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각 수종의 상대적 우세를 비교하 기 위하여 Curtis and McIntosh(1951)의 중요치(Importance Value; I.V.)를 통합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우점치(Brower and Zar, 1977)를 수관층위별로 분석하였다. 상대우점치 (Importace Percentage; I.P.)는 (상대밀도+상대피도)/2로 계산하였으며, 개체들의 크기를 고려하여 수관층위별로 가 중치를 부여한 (교목층 I.P.×3+아교목층 I.P.×2+관목층 I.P.×1)/6으로 평균상대우점치(Mean Importance Percentage; M.I.P.)를 구하였다(Park, 1985).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 으로 식물군락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62개 조사구를 TWINSPAN에 의한 군집분석(classification analysis)(Hill, 1979b)을 통해 7개의 식물군락으로 그룹화하여 식생구조 를 파악하였으며, 그룹화된 군락의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DCA ordination(Hill, 1979a)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식생자료를 토대로 유사도를 비교 분석하였고, 흉고직경 분 석을 통해 식생의 수령 및 임분동태를 파악하여 산림식생천 이의 양상을 추정하였다(Harcombe and Marks, 1978). 그 룹화된 조사지별로 종구성의 다양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 인 종다양도는 Shannon의 수식(Pielou, 1975)을 이용하여 종다양도(Species Diversity, H′), 균재도(Evenness, J′), 우 점도(Dominance, D)를 계산했고, 단위면적(100m²)당 종수 및 개체수를 분석하였다.

    3) 연륜 및 생장량 조사

    조사구에서 우점종 중 평균 흉고직경에 해당하는 수목이 나 특징적인 수목을 선정한 후 선정된 수목을 지상으로부터 1.2m 높이에서 생장추를 이용하여 목편을 추출하였고 추출 된 목편을 분석하여 수목의 수령 및 생장량을 파악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군락분석 및 조사지 개황

    전체 62개 조사구에 대해 TWINSPAN기법을 이용하여 유형화하였다(Figure 2). 첫 번째 단계에서는 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진달래(-)와 개서어나무(+), 국수나무(+) 가 출현하는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 졸참 나무(-), 쇠물푸레나무(-), 진달래(-)가 출현하는 그룹은 소 사나무(-)와 정금나무(+), 소나무(+)를 지표종으로 갖는 그 룹으로 개서어나무(+), 국수나무(+)가 출현하는 그룹은 서 어나무(+)의 출현 유무에 따라 그룹이 분리되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 소사나무(-)를 지표종으로 갖는 그룹은 예덕나무 (-)의 출현 유무에 따라, 정금나무(+), 소나무(+)를 지표종으 로 갖는 그룹은 개서어나무(+)의 출현 유무에 따라, 서어나 무(+)가 출현하지 않는 그룹은 감태나무(+)의 출현 유무에 따라 그룹이 구분되었다. 그 결과, 군락 Ⅰ은 떡갈나무-낙엽 활엽수혼효군락, 군락 Ⅱ는 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군락 Ⅲ은 소나무군락, 군락 Ⅳ는 낙엽활엽수혼효군락-Ⅰ, 군락 Ⅴ는 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군락 Ⅵ은 낙 엽활엽수혼효군락-Ⅱ, 군락 Ⅶ은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으로 총7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TWINSPAN기법에 의해 유형화된 7개 군락의 식생개황 을 살펴보면(Table 1), 군락 Ⅰ은 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 군락으로 2개 조사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발 266m, 경사 25°에 위치하고 있다. 군락 Ⅱ는 가장 많은 28개의 조사구 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발 194~431m로 가장 높은 곳까지 위치하고 있는 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이다. 군락 Ⅲ 은 소나무군락으로 18개의 조사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발 159~322m, 5~30°의 다양한 경사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사 구당 출현 종수가 가장 많은 조사구(21종)를 포함하고 있다. 군락 Ⅳ(낙엽활엽수혼효군락-Ⅰ)은 해발 192~301m의 경 사 8~12°에 위치하고 있는 조사구로 이루어진 군락이며, 군락 Ⅴ는 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으로 교목층의 평균 흉고직경이 24.0cm로 가장 크게 확인되었으며, 해발 212~231m에 위치하고 있다. 군락 Ⅵ(낙엽활엽수혼효군락- Ⅱ)는 2개의 조사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발 211~214m, 경사 10~30°에 위치하고 있다.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인 군락 Ⅶ은 해발 122~185m, 경사 5~7°로 다른 군락에 비해 비교적 해발이 낮은 완경사지에 위치하고 있다.

    2. Ordination 및 유사도지수 분석

    TWINSPAN기법에 의해 유형화된 7개 군락을 ordination 분석을 통해 1축과 2축을 기준으로 조사구를 배치한 후 군 락의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Figure 3). 이를 통해 각 조사 구간의 상이성 및 유사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DCA 축의 eigenvalue이 1축 0.543, 2축 0.386, 3축 0.215 로 1축과 2축이 total variance 81.2%로 전체집중률이 높았 다. 각 조사구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군락 Ⅱ(굴참나무-곰솔 -졸참나무군락)와 군락 Ⅲ(소나무군락)은 군락 Ⅳ~Ⅶ과 불 연속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군락 Ⅳ~Ⅶ의 교목층 우점종에 영향을 미치는 개서어나무의 영향으로 예상되며, 군락 Ⅰ(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은 군락 Ⅱ~Ⅶ과 2 축을 기준으로 불연속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군락 Ⅰ의 아교목층에서만 나타나고 있는 예덕나무의 영향인 것 으로 판단된다.

    분석된 군락의 종조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리된 7개 군락을 중심으로 유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Table 2), 군락 Ⅰ과 군락 Ⅶ이 6.63%로 가장 상이한 식생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군락 Ⅳ와 군락 Ⅵ의 유사성이 54.06%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두 군락은 모두 낙엽활엽수혼효군락으로 특히 교목층에서 우점하고 있는 낙엽활엽수 중 개서어나무, 굴참나무, 굴피나무 등의 동일 수종이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는 영향으로 판단된다.

    3. 군락별 상대우점치 및 흉고직경급별 분석

    선운산도립공원 7개 식물군락의 각 군락별 상대우점치 (I.P.) 및 평균상대우점치(M.I.P.)를 분석하였다(Table 3). 군 락 Ⅰ은 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으로 교목층에서는 떡 갈나무(I.P. 58.9%)가 우점하는 가운데 굴피나무(I.P. 15.7%), 소사나무(I.P. 9.9%), 느티나무(I.P. 8.0%), 층층나무(I.P. 7.6%)가 출현하였다. 아교목층에서는 떡갈나무(I.P. 23.9%), 소사나무(I.P. 15.7%), 예덕나무(I.P. 14.6%), 굴피나무(I.P. 11.7%) 등 다양한 수종이 우점종으로 확인되었고, 관목층에 서는 수리딸기의 상대우점치가 4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목층에서 떡갈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교목층과 아교목층 에서 소사나무와 예덕나무가 세력을 넓혀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선운산도립공원이 위치한 곳이 고창군의 서쪽으로 서해와 접하고 있는 지리적인 특성을 반영한 식생으 로 소사나무 세력이 점점 더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군락 Ⅱ(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는 교목층에서 굴참 나무(I.P. 38.2%), 곰솔(I.P. 18.8%), 졸참나무(I.P. 17.5%) 가 우점하였으며, 아교목층에서는 소사나무(I.P. 31.5%)가 우점하는 가운데 다양한 낙엽활엽수가 확인되었으며, 관목 층에서는 비목나무(I.P. 14.9%), 생강나무(I.P. 12.2%), 쇠 물푸레나무(I.P. 11.3%), 감태나무(I.P. 10.5%) 등이 비슷한 세력을 형성하며 우점하고 있다. 교목층에서 낙엽성 참나무 류인 굴참나무, 졸참나무와 함께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나 곰솔의 경우 대부분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일부에서만 확인 되고 있어 현재 곰솔군락에서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으로 의 천이가 진행되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지리적인 특성의 영향으로 아교목층에서 소사나무가 세력을 가장 넓 게 형성하고 있다.

    소나무군락(군락 Ⅲ)의 교목층은 소나무가 상대우점치 69.3%로 가장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졸참나무(I.P. 25.1%), 쇠물푸레나무(I.P. 22.7%)가 관목층에서는 쇠물푸 레나무(I.P. 20.3%), 진달래(I.P. 14.5%)의 세력이 우세하였 다. 소나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교목층과 아교목 층에서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 가 세력을 키우고 있어 현재 소나무가 쇠퇴를 시작하고 낙엽 성 참나무류가 세력을 넓혀가는 초기 단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으로의 천이가 예상된다.

    군락 Ⅳ는 낙엽활엽수혼효군락-Ⅰ로 교목층에서는 졸참 나무(I.P. 16.1%), 개서어나무(I.P. 15.5%), 굴참나무(I.P. 15.4%), 벚나무류(I.P. 15.1%) 등이 비슷한 세력을 형성하며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층에서는 개서어나무(I.P. 31.1%)와 벚나무류(I.P. 24.2%)가 관목층에서는 덜꿩나무(I.P. 27.7%) 와 비목나무(I.P. 17.6%)의 출현비율이 높았다. 다양한 종류 의 낙엽활엽수가 혼효된 군락으로 현재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에서 개서어나무로의 천이가 진행 중 인 군락으로 보여 진다.

    군락 Ⅴ는 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으로 교목층 에서는 개서어나무(I.P. 24.4%), 밤나무(I.P. 21.8%), 갈참 나무(I.P. 21.6%)가 비슷한 비율로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 층에서는 소사나무(I.P. 26.5%), 개서어나무(I.P. 25.6%), 때죽나무(I.P. 18.1%)의 세력이 우세하였다. 갈참나무에서 개서어나무로의 천이가 진행 중인 군락이긴 하나 교목층에 밤나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사람의 간섭이 있었던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아교목층과 관목 층에서 밤나무가 출현하지 않고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밤나무의 비율은 낮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아교목층에 서는 소사나무와 개서어나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추후 교목층에서는 개서어나무가 아교목층에서는 소사나 무가 우점하는 군락으로의 변화가 예상된다.

    낙엽활엽수혼효군락-Ⅱ인 군락 Ⅵ은 교목층에서 굴피나무 (I.P. 27.7%), 굴참나무(I.P. 21.6%), 개서어나무(I.P. 18.2%), 팽나무(I.P. 15.5%) 등 다양한 낙엽활엽수가 경쟁하듯 출현 하고 있으며, 아교목층에서는 개서어나무(I.P. 25.6%), 팥배 나무(I.P. 17.2%), 굴피나무(I.P. 12.8%) 등이 관목층에서는 쥐똥나무(I.P. 33.0%)와 비목나무(I.P. 19.6%)가 우점하였 다. 다양한 수종이 우점하고 있으나 아교목층에서 개서어나 무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개서어 나무의 세력이 점점 높아져 최종적으로 개서어나무로의 천 이가 예상된다.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인 군락 Ⅶ은 교목층에서 개서어 나무(I.P. 39.6%)와 서어나무(I.P. 21.0%)가 우점하는 가운 데 갈참나무(I.P. 14.2%)와 굴참나무(I.P. 10.4%)가 뒤를 이 어 확인되고 있으며, 아교목층에서는 서어나무(I.P. 36.1%) 와 단풍나무(I.P. 28.0%)가 우점하였으며, 관목층에서는 단 풍나무(I.P. 32.4%)가 우점하는 가운데 조릿대(I.P. 18.5%), 국수나무(I.P. 12.3%), 덜꿩나무(I.P. 12.1%)가 뒤를 이어 확인되었다. 갈참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하던 군락에서 개 서어나무와 서어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운산도립공원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는 30년 동안 실시되지 않았고, 30년 전 실시된 연구 또한 연구방법의 차 이로 직접비교는 어려우나 조사결과 30년 전 연구와 동일한 소나무,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갈참나 무 등의 군락이 우점하는 것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군락별 주요 우점종에 대한 식생의 임분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흉고직경급별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4). 떡갈나무- 낙엽활엽수혼효군락(군락 Ⅰ)에서 떡갈나무는 흉고직경 (DBH) 27cm 이하의 소・중경목 구간에서만 확인되고, 나머 지 수종은 모두 DBH 17cm 이하의 소경목 구간에서만 출현 하였다. 관목층에서는 수리딸기의 개체수가 가장 많이 확인 되었다. 군락 Ⅱ(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에서 굴참나 무는 DBH 2~52cm 사이에서 84개체, 곰솔은 DBH 2~32cm 사이에서 36개체, 졸참나무는 DBH 2~42cm 사이에서 112 개체, 소사나무는 DBH 2~27cm 사이에서 183개체가 확인 되었다. 관목층에서는 쇠물푸레나무가 244개체, 비목나무 가 212개체로 많은 개체가 출현하였다. 소나무군락인 군락 Ⅲ의 경우 소나무는 소경목에서 대경목에 이르는 구간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중 DBH 7~27cm의 소・중경목 구간에서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고, 졸참나무는 DBH 2~22cm의 소경 목구간에서 142개체가 확인되고 있으며, 관목층에서는 쇠 물푸레나무가 328개체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다. 군락 Ⅳ(낙 엽활엽수혼효군락-Ⅰ)에서 개서어나무, 굴참나무, 벚나무 류, 졸참나무 등 다양한 낙엽활엽수가 DBH 37cm 이하의 소・중경목 구간에서 출현하고 있는데, 이중 개서어나무는 DBH 52cm 이상의 구간에서도 1개체가 출현하고 있다. 군 락 Ⅴ(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의 경우 개서어나 무, 밤나무, 갈참나무는 DBH 37cm 이상의 대경목 구간에 서 각각 1개체, 2개체, 1개체가 확인되다. 군락 Ⅵ은 낙엽활 엽수혼효군락-Ⅱ로 굴피나무, 굴참나무, 개서어나무, 팽나 무 등의 다양한 낙엽활엽수가 DBH 32cm 이하의 소・중경목 구간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관목층에서는 쥐똥나무가 가장 많이 확인되었다. 군락 Ⅶ은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으로 개서어나무는 DBH 7~37cm 구간에서 7개체, 서어나무는 DBH 2~32cm 구간에서 17개체가 확인되고 있으며, 관목층 에서는 단풍나무가 60개체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4. 연령분석

    조사구의 우점종 및 특징적인 수목에 대한 연륜 및 생장 량을 조사・분석하였다(Table 5). 분석결과, 예측연령이 가 장 오래된 나무는 소나무로 약 63년이었다. 소나무는 가장 많은 조사구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는 수종으로 수령 은 약 29~63년, 연평균 생장량은 1.6~4.3mm로 나타났다.

    5. 종다양도 및 종수, 개체수 분석

    종다양도와 종수 및 개체수 분석은 각각의 군락에 대해 단 위면적(100m²)당 평균치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Table 6).

    종다양도 분석결과, 군락별 평균 종다양도는 0.9353이었 으며, 가장 높은 종다양도를 나타내는 군락은 군락 Ⅵ(낙엽 활엽수혼효군락-Ⅱ)으로 1.0340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소나무군락(군락 Ⅲ)이 0.9633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종 다양도를 나타낸 군락은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군락 Ⅶ)으로 0.7942로 확인되었다.

    층위별 평균 출현 종수 및 개체수 분석결과, 각 조사구당 평균 출현 종수는 13.9±3.0종이었으며, 평균 출현 개체수는 95.0±35.0개체였다. 군락별로 살펴보면, 종수의 경우 떡갈 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인 군락 Ⅰ의 종수가 17.5±2.1종 으로 가장 많았으며, 군락 Ⅶ의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이 11.5±1.3종으로 가장 적었다. 개체수 또한 군락 Ⅰ이 150.0±60.8개체로 가장 많은 출현하였으며, 가장 적은양의 개체수가 출현하는 군락은 군락 Ⅳ(낙엽활엽수혼효군락- Ⅰ)로 67.0±16.7개체가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존에 연구된 자료 중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변산반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종다양도를 비교하였다. 변산반도국 립공원 내소사지역 능선부의 종다양도는 소나무군락 0.665, 소나무-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1.169(단위면적 2,000m²; Kim and Um,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 신선봉지역 능선부 는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1.497, 개서어나무군락 1.237 (단위면적 2,500m²; Um et al.,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소나무군락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관목층에 조릿대가 크게 우점하는 군락의 경우 0.2756~0.9627, 조릿대가 우점 하는 군락을 제외한 경우 0.8365~1.3879(단위면적 400m²; Choi et al., 2009)로 확인되었으며, 선운산도립공원의 경우 0.7942~1.0340(평균 0.9353, 단위면적 100m²)으로 단위면 적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이를 고려해 볼 때 전체적으로 변산반도국립공원에 비해 조금 높거나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 유사군락 및 동일군락을 대상으로 종다양도를 비교한 결과, 서울지역 서어나무림의 경우 삼육대지역 0.9673, 도봉산지역 0.8577, 진관동지역 0.7399(단위면적: 100m²; Park et al., 2009)로 삼육대지역과 도봉산지역은 높게 나타 났으며, 진관동지역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경주국립공원 서어나무군락의 경우 0.4899~0.9490(단위면적: 100~600m²; Hong et al., 2012)으로 단위면적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5개의 서어나무군락 중 1개 군락을 제외하면 다소 높게 나 타나고 있다. 순천시 조계산 선암사골 계곡부의 개서어나무 군락은 0.8452~1.2312(단위면적: 400m²; Kim, 2012)로 다 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소나무군락의 경우 순천시 조계산 운수암 계곡부의 소나무군락 0.9273(단위면적: 400m²; Han et al., 2014)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낙엽활엽 수혼효군락 또한, 순천시 조계산 운수암 계곡부의 낙엽활엽 수군락 0.9945(단위면적: 400m²; Han et al., 2014), 순천시 조계산 선암사골 계곡부의 낙엽활엽수혼효군락 0.8044~ 1.1404(단위면적: 400m²; Kim, 2012)에 비해 다소 낮게 나 타나고 있다.

    종수 및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 사~내변산 구간 소나무군락의 평균출현 종수는 2.7±13.3종 (Choi and Cho, 2009)으로 선운산도립공원 소나무군락(Ⅲ, 14.7±3.3종)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개체수의 경우에 는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내변산 구간의 소나무군락은 평균출현 개체수가 101.2±227.0개체(Choi and Cho, 2009) 로 선운산도립공원 소나무군락(Ⅲ, 110.8±44.3)에 비해 월 등히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관목층의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경우 흉고직경 2cm 이하의 모든 수목을 관목층으로 설정한데 비해 선운산도립공원의 경우 수고 2m 미만 0.5m 이상의 수목만을 관목층으로 설 정한 것이 작용된 것으로 보여 진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소사~내변산 구간의 단위면적(100m²)당 평균출현 종수는 4.1±15.8종, 평균출현 개체수는 90.9±179.8개체(Choi and Cho, 2009)로 선운산도립공원의 단위면적(100m²)당 평균 출현 종수 13.9±3.0종, 평균출현 개체수 95.0±35.0개체 보 다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Figure

    KJEE-33-1-75_F1.gif

    Map of the surveyed sites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KJEE-33-1-75_F2.gif

    The dendrogram of classification by TWINSPAN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Qs: Quercus serrata, Fs: Fraxinus sieboldiana, Rm: Rhododendron mucronulatum, Ct: Carpinus tschonoskii, Si: Stephanandra incisa, Ctu: Carpinus turczaninowii, Vo: Vaccinium oldhamii, Pd: Pinus densiflora, Cl: Carpinus laxiflora, Mj: Mallotus japonicus, Lg: Lindera glauca)

    KJEE-33-1-75_F3.gif

    DCA(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ordination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Table

    General description of the physical and vegetation of the seven communities

    Similarity index among seven communities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Importance percentage of major woody species by the stratum for each community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The DBH distribution of major woody species for each community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The age and the number of standard tree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Various species diversity indices and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each community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Unit: 100m²)

    Reference

    1.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 Choi, J.W. , J.I. Kwak, K.J. Lee and W.K. Choi(2009) A Study for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3(5): 447-4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S.H. and H.S. Cho(2009)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from Naesosa to Naebyeonsan District of the Bye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3(2): 151-1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 Ecology32:476-496.
    5. Han, B.H. , J.W. Choi, T.H. Noh and J.Y. Hur(2014)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the Woonsooam Valley in Jogyesan (Mt.), Sunch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8(1): 45-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 For sci.24(2): 153-166.
    7. Hill, M.O. (1979a)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99pp.
    8. Hill, M.O. (1979b)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pp.
    9. Hong, S.H. , J.W. Cho, J.S. Kim, S.D. Lee and S.H. Choi(2012) Characteristics of the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6(6): 934-9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B.G. and T.W. Um(2009)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idge Area of Naesosa in the Byunsan Peninsula National Par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3(2): 135-1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U. and Y.J. Yim(1986) A Gradient Analysis of the Mixed Forest of Seonunsan Area in Southwestern Kore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9(4): 225-230.
    12. Kim, J.U. and Y.J. Yim(1987)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Seonunsan Area, Southwestern Kore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10(4): 159-164.
    13. Kim, J.Y. (2012) The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in Seonamsagol(Valley), Jogyesan(Mt.) Provincial Park, Suncheon City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6(4): 593-6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Park, B.H. , C.H. Oh and C.W. Cho(2009)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Carpinus laxiflora Communities in Seou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3(4): 333-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ark, I.H. (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Seoul Natinal Univ.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4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ielou, E.C. (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Y., 385pp.
    17. Seonunsan Provincial Park(2018) http://www.gochang.go.kr/seonpark.
    18. Um, T.W. , G.T. Kim and G.C. Choo(2009) Vegetation Structure of Sinseonnbong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3(2): 143-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Yim, Y.J. and J.U. Kim(1986)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of Seonunsan Area, Southwestern Kore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9(4): 209-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