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3 No.2 pp.131-167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9.33.2.131

Florist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1a

Hyun-Hee Chae2, Young-Chul Kim3*, Kyu-Song Lee4, Gi-Heum Nam5, Sae-Rom Lee6, Yoon-Joong Lee7, Yoon-Kyeong Lee8
2Department of Biolog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7, Jukheon-gil, Gangneung-si, Gangwon-do 25457, Korea
()

3Research Center for Natural Scienc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7, Jukheon-gil, Gangneung-si, Gangwon-do 25457, Korea
()

4Department of Biolog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7, Jukheon-gil, Gangneung-si, Gangwon-do 25457, Korea
()

5Plants Resource Division,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 42, Hwangyeong-ro, Seo-gu, Incheon 22689, Korea
()

6Plants Resource Division,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 42, Hwangyeong-ro, Seo-gu, Incheon 22689, Korea
()

7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65 Ipchun-ro Wonju-si, Gangwon-do 26461, Korea
()

8Division of Ecological Assessment, Bureau of Ecological Monitoring &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33657, Korea
()
a

본 연구는 2018년 국립생태원의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정밀조사의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modemipool@hanmail.net
28/02/2019 07/04/2019 19/04/2019

Abstract


Securing reference information (inventory) is essential for prope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Moreover, the investigation results should be available for comparison and evaluation. For this study, we established seven investigational lattices and carried out the field examinations to obtain comparable data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We conducted a total of 16 field surveys and identified a total of 830 taxa that is composed of 127 families, 408 genera, 716 species, 10 subspecies, 88 varieties, and 16 forms. We identified a total of 487 taxa in the 6th investigational lattice and 457 taxa in the 4th. We observed 6 species (grade Ⅱ)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the endangered plants, one “species to monitor”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23 taxa designated as endemic species. Regarding the floristic characteristics plants, 15 taxa of grade Ⅴ, 27 taxa of grade Ⅳ, 38 taxa of grade Ⅲ, 31 taxa of grade Ⅱ, and 19 taxa of grade Ⅰ were identified. The 6th investigational lattice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taxa at 70. A total of 58 taxa were identified as the naturalized plant, and the 6th investigational lattice showed the most at 35 taxa.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was assessed to be an extremely important area to conserve and maintain plants species diversity not only in the regional scale but also national scale.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관속식물1a

채 현희2, 김 영철3*, 이 규송4,남 기흠5, 이 새롬6, 이 윤중7, 이 윤경8
2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박사과정
3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4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교수
5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연구사
6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연구원
7환경부 원주지방환경청 팀장
8국립생태원 생태조사평가본부 생태조사연구실 전임연구원

초록


보호지역에서 적절한 보전과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초 정보의 확보는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조사결 과를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 가능한 정보 확보를 위해 7개의 격자를 설정하고 정밀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16회의 조사를 통해 127과 408속 716종 10아종 88변종 16품종 830분류군이 정리되었다. 중점조사지역 6번에서 가장 많은 48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다음으로는 중점조사지역 4번에서 45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관찰종으로 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국고유종으로는 총 23분류군이 조사 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Ⅴ등급이 15분류군, Ⅳ등급이 27분류군, Ⅲ등급이 38분류군, Ⅱ등급이 31분류군 그리고 Ⅰ등급이 19분류군이 정리되었고 중점조사지역 6번에서 가장 많은 70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5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중점조사지역 6번에서 가장 많은 3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동강유역생태·경관보전지역은 지역 적인 규모에서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규모에서 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보전하는데 있어서 중요성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서 론

    석회암지대는 상대적으로 비석회암지역에 비해 다양한 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02;Nam et al., 2012;Kim et al., 2016a). Nam et al.(2012)은 우리나 라의 중부지방을 관통하는 석회암 지대 중 평창군과 영월군 일원에 분포하는 식물로 1,145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다. 이 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약 25%에 해당한다. Kim et al.(2016a)은 석회암지대에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 백부자(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 왕 제비꽃(Viola websteri Hemsl.), 넓은잎제비꽃(Viola mirabilis L.),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대 흥란(Cymbidium macrorrhizum Lindl.), 분홍장구채(Silene capitata Kom.), 큰바늘꽃(Epilobium hirsutum L.), 연잎꿩 의다리(Thalictrum coreanum H. Lév.), 구름병아리난초 (Gymnadenia cucullata (L.) Rich.),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 Sw.). 대성쓴풀(Anagallidium dichotomum (L.) Griseb.)이 분포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석회암지대는 빙하기 이후 기후의 온난화가 진행되는 동안 북쪽으로 후퇴 하지 못한 다양한 식물의 피난처로 기능함에 따라 지역적인 규모에서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규모에도 식물다양성의 보 전을 위해 중요성이 매우 높다(Nam et al., 2012;Kim et al., 2016a;Song et al., 2016).

    동강유역생태・경관보전지역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문 산리와 거운리, 평창군 미탄면의 한탄리와 마하리, 정선군 정선읍의 광하리, 귤암리, 가수리와 신동읍의 운치리, 고성 리 그리고 덕천리에 걸쳐 총 72.85km²에 이른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전 지역이 석 회암 지대에 해당하여 석회암이 소유하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따라 침식과 용식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따라 서 사행천이 발달하고 강변을 따라 하안 단애, 충적지형, 돌리네와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여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동강유역은 2002년 영 월다목적댐 건설이 백지화됨에 따라 특징적인 자연경관과 비교적 잘 보전된 생태계의 지속적인 보전을 위해 생태・경 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2007년 영월군 문산리 지역 주민들의 요구와 해당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결과를 바 탕으로 2010년 7.88km²가 추가 지정되었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동강유역생태・경관보 전지역은 한반도중부의 석회암지대에서도 중앙부에 위치 하고 있고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되고 있어 매우 가치가 높 은 지역에 해당한다.

    동강유역에 대한 식물상 조사는 1997년부터 2002년에 걸쳐 한국수자원공사(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997)에서 679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고 환경부(Kim and Han, 1999)에서 482분류군을 그리고 한국수자원공사(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999)에서 552분류군을, 임 업연구원(Forestry Research Institute, 1999)에서 535분류 군을 보고한 바 있다.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로는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 로 Lee et al.(2002)이 551분류군을 보고하였다.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생태계정밀조사’를 통해 101과 323속 475종 74변종 7품종 총 556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다(Lee and Hong, 2007). 문헌에 나타나는 각각의 조사결과에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조사범위의 차이, 조사경로의 차이 그리고 조사자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 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년간에 걸친 생태계변 화관찰 및 식물상 정밀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2008년 환 경부 원주지방환경청(Hong and Kim, 2008)에서 109과 390 속 629종 88변종 10품종 총 727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다.

    보호지역내에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매우 중요 하다(Elzinga et al., 1998;Chae et al., 2017). 특별히 보호 지역에서 생태계의 현황을 파악하고 과거 조사된 결과와 비교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관리가 적절한지를 평가한 후 관리의 방향을 재설정하는 과정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Elzinga et al., 1998;Chae et al., 2017). 그럼에도 과거의 조사결과는 조사범위, 조사경로 등의 차이로 변화의 정도를 비교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또한 보호지역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야생식물 및 보전이 필요한 특이식물에 대한 현황 이 충분히 조사되지 않아 보호지역에 대한 관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기적인 조사의 가능성, 식생환경의 차이를 바탕으로 동강유역생 태・경관보전지역 내에서 7개의 중점조사구역을 설정하고 1) 각 격자 내에서 식물다양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거나 과거 조사과정에서 나타난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경로를 설정하였고, 2) 각 격자에 대해 주기적으로 또는 3개의 계절 에 걸쳐 적어도 1회 이상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3) 멸종위기 야생식물 및 특징적인 식물의 분포 현황을 정밀조사 하였 고, 4) 표본을 수집하여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여 향후 재검 토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조사의 목적은 동강유 역생태・경관보전지역의 보전활동에 필요한 비교 가능한 정 보를 확보하는데 두었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 대상지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정선군 정선읍 광하리의 광하교로부터 영월군 영월읍 거운리의 거운교까지 총 42km의 구간과 그 주변에 위치한 지천과 산지를 포함한다 (Hong and Kim, 2008). 행정구역으로는 강원도 정선군 정 선읍 광하리(격자 1), 귤암리, 가수리(격자 2)와 신동읍 운치 리(격자 3, 4), 덕천리(격자 5의 동쪽), 평창군 미탄면 한탄 리, 마하리(격자 5의 서쪽) 그리고 영월군 영월읍 거운리, 문산리(격자 6, 7)의 3개군과 9개 리를 포함한다(Figure 1). 본 조사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변화상을 비교하고 평가하여 보호지역의 관리에 이용하기 위해 중점조사구역 (7개)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중점조사지 역 이외 지역에 대해서는 멸종위기야생식물 및 지역적인 특이성이 있는 식물의 조사를 위해 계획한 경로에서 조사가 진행되었다. 각 중점조사지역은 현존식생, 주거지, 경작지 의 규모 그리고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7개 격자(4km², 2km x 2km)를 선정하였다(Figure 1). 중점조사지역 1은 정선군 정선읍 광하리 일원으로 하천과 하천 주변에 발달한 급경사 의 단애 그리고 경작지와 동강생태체험학습장, 병방치스카 이워크 관광지가 포함되었다. 중점조사지역 2는 정선군 정 선읍 가수리 일원으로 동강의 본류와 지천인 지장천 그리고 주변의 경작지, 주거지 및 산지가 포함되었다. 중점조사지 역 3은 정선군 신동읍 운치리 일원으로 하천과 하천 주변에 발달한 단애, 충적지형, 경작지와 주거지 및 비교적 완만한 산지가 포함되었다. 중점조사지역 4는 정선군 신동읍 운치 리 일원으로 비교적 넓은 경작지와 주거지 및 하천, 하천 주변에 발달한 단애 그리고 백운산(883m) 동쪽 일원이 포 함되었다. 중점조사지역 5는 백운산의 서쪽과 남쪽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 일원과 영월군 영월읍 문산리 일부를 포함한다. 중점조사지역 5의 영월군 영월읍 문산리 일원은 동강을 건너야 조사가 가능하지만 강을 건너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금번 조사에서는 조사되지 않았다. 중점조사지역 6은 영월군 영월읍 문산리 의 문산교 일원으로 하천과 하천 주변에 발달한 단애, 경작 지, 주거지를 포함한다. 특히, 잘 발달한 충적지형이 존재하 고 이 지역에 경작지와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 라 래프팅 활동의 출발지에 해당하고 캠핑장이 설치되어 있어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지역에 해당한다. 중점조사지 역 7은 2010년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에 추가로 편입 된 지역으로 대부분이 산지와 경작지에 해당하였다. 또한 경작지의 상당부분은 국유지로 매수되어 경작이 중단되어 방치되어 2차 천이가 진행되고 있거나 인위적으로 수목을 식재하는 식생복원이 이루어졌다.

    2. 조사기간

    본 조사는 2018년 4월 3일부터 10월 8일까지 총 16회에 걸쳐 중점조사지역인 1∼7번 조사지역과 중점조사지역 외 부 지역 중 멸종위기야생식물 및 보전가치가 높은 식물의 분포가 조사되었거나 보고된바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다(Table 1).

    3. 연구방법

    각각의 조사대상지역별로 식생과 입지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식물의 분포가 예상되는 지역 및 특정식물(멸종위기 야생식물 및 희귀식물)의 분포 가능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동강유역생태경관보전지역 일원에서 진행한 멸종위기야생식물분포조사, 특이식물 분포조사 및 생태계 변화관찰(2016년∼2018년)과정에서 확보한 기초 정보를 활용하여 조사 경로를 설정하였다. 선정된 경로를 따라 이 동하면서 출현하는 식물을 기록하였고 디지털 카메라로 촬 영하였다. 비교적 흔하게 분포하는 종에 대해서는 식물체를 수집하여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표본은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 식물건조표본수장고(KB)에 보관하였고 출현식물 목록(Appendix 1, Voucher No.)에 정리하였다. 멸종위기야생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5) 및 분포 범위가 좁고 개체수가 적은 분류군은 표본을 수집하지 않았 고 대신에 사진자료를 확보하였다. 특히 멸종위기야생식물 과 동강유역생태경관보전지역에서 특이성이 높은 식물은 GPS를 이용하여 좌표를 기록하였고 분포 면적, 분포 개체 수를 기록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Lee(1980), Lee(1996a, b), Lee(2003a, b), Lee(2006a, b)을 이용하였고 귀화식물은 Park(2009)을, 멸 종위기야생식물은 환경부(Ministry of Environment, 2015) 를, 한반도 고유종은 국립생물자원관(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3)을,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과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환경부(Ministry of Environment, 2012)를 참고하였다. 적색목록에 따른 출현식물의 구분은 국립생물자원관(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을 참고하였다. 출현식물의 목록은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Park, 2007)'를 따라 정리하였고 속 이하는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다. 또한 위의 문헌으로 동정이 어려운 식물과 분류학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분류군 에 대해서는 Cho et al.(2016), 한국양치식물연구회(Korean Fern Society, 2005), 국립수목원(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Hong et al.,(2012), Park et al.,(2015)을 참고하였다. 재배종은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식재종은 목록에 표기 하였다(Appendix 1).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

    7개의 중점조사지역과 조시지역 외부를 포함하는 동강유 역생태・경관보전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은 127과 408속 716종 10아종 88변종 16품종 830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Table 2). 국립환경과학원(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이 보고한 636분류군과는 195분류군의 차이가 있었 다. 그러나 이 결과는 단순하게 조사된 분류군의 수만을 비 교한 것으로 2013년(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의 조사에서 보고하였지만 금번 조사에서 145분류군을 확인하지 못했고 반면에 금번 조사에서 추가 로 33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그 차이는 보다 큰 것 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와 같은 차이는 첫째, 최근의 연구를 통해 분류학적인 위치가 변경된 경우, 둘째, 분류학적인 견 해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군으로 동정한 경우, 셋째 서로 다른 조사 경로와 범위에 따라 관찰되는 식물의 차이 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격자별로는 중점조사지역 6에서 가장 많은 487분류 군이 조사되었다. 다음으로는 중점조사지역 4에서 457분류 군이 조사되었다. 반면에 중점조사지역 1에서는 가장 적은 331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3).

    특정한 지역에서 식물다양성을 만드는 원리는 여러 가지 생태학적인 이론과 가설로 설명할 수 있다(Kim et al., 2015;2016a;2016b). 대표적으로 중간교란가설(Wilkinson, 1999) 에 따라 몇 가지의 종에 의해 생육지의 자원이 독점되지 않도록(Grubb, 1977)하여 다양한 식물종이 생육지를 점유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새로 점유할 수 있는 다양한 생육지 가 제공되는 원리(Pickett and Thompson, 1978;Pickett, 1980)가 존재할 경우 다양한 식물이 분포할 수 있다. 동강유 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석회암이 소유하는 물리적, 화학 적 특성에 따라 침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그 결과로 식생 의 발달이 지속되지 못하여 새로운 공간이 생성되는 원리가 잘 작동하고 있다(Pickett, 1980). 그에 따라 다양한 천이 단계의 공간이 존재한다(Pickett and Thompson, 1978). 결 과적으로 다양한 식물이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천이단계의 식생이 존재하고 지역적인 규모에서 식물다양성을 부양하 는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 지역에는 서로 다른 생태적 지위를 부양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생육지(단애, 충적지형, 석회암 초원, 관목림, 산림식생 등)가 존재한다(Hutchinson, 1957;Pearman et al., 2007).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에 다양한 식물이 분포할 수 있는 조건을 소유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의 결과로 나타난 830분류군의 식물은 이와 같은 특성을 반영한 것으 로 판단된다.

    2. 법정보호종(환경부 고시 멸종위기야생식물 및 관찰종)

    총 6분류군의 멸종위기야생식물과 1분류군의 관찰종의 분포가 본 조사를 통해 관찰되었다(Table 3, Figure 2, 3).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은 중점조사지역 3, 4, 6, 7과 중점조사지역 이외 지역에서 관찰되었고 총 14개 개체 군(아개체군)이 조사되었다. 백부자(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는 중점조사지역 2, 3, 5, 6, 7과 중점조사 지역 이외 지역에서 관찰되었고 총 56개 개체군(아개체군) 이 조사되었다.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 Sw.) 은 중점조사지역 7에서만 관찰되었고 인접하여 3개 아개체 군이 조사되었다.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는 중점조사지역 1과 중점조사 구역 이외 지역에서 관찰되었고 총 3개 개체군이 관찰되었 다. 대성쓴풀(Anagallidium dichotomum (L.) Griseb.)은 중 점조사지역 2에서만 관찰되었고 1개 개체군이 조사되었다.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은 중점조사지 역 이외 지역에서만 관찰되었고 총 2개 개체군(아개체군)이 인접하여 분포하고 있었다. 관찰종으로는 층층둥굴레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가 중점조사지역 1, 3, 4, 5, 6과 중점조사지역 이외 지역에서 총 44개 개체군(아개 체군)이 관찰되었다. 동강유역생태・경관보전지역에서 층층 둥굴레는 동강의 강변에 위치한 미사가 퇴적되는 충적지형 에서 연속적으로 출현하였다(Figure 2).

    중점조사지역 7은 대부분이 산림지역에 해당하고 경작지 가 포함된다. 이 지역에서는 멸종위기야생식물인 백부자와 산작약이 산발적으로 출현하였고 특별히 백부자는 출현 빈 도가 매우 높았다. 따라서 중점조사지역 7 일대의 식생은 백부자의 생육에 적합한 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 고 분포의 중심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분류군에 따라 서로 다른 위협요인 이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개병풍과 가시오갈피, 복주 머니란은 사람의 출입이 많지 않은 지역에 분포지가 위치하 고 있어 훼손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에 대성쓴 풀은 도로변에 분포지가 위치하고 있고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소수 개체만이 관찰되었 다. 2015년 멸종위기야생식물에서 지정 해제되고 관찰종으 로 지정된 층층둥굴레의 분포지는 조사 기간 동안 강변에서 시행하는 도로 확장, 경작지 확대에 의해 훼손이 나타고 있었 다. 층층둥굴레가 멸종위기야생식물에서 지정 해제되었더 라도 보호지역 내에서는 보전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추가 적인 훼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 적색목록식물

    적색목록평가 기준(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에 따라 평가된 식물을 목록으로 정리하였 다(Table 4). 위급종(CR, Critically endangered)은 산작약 1종이, 위기종(EN, Endangered)은 암공작고사리(Adiantum capillisjunonis Rupr.), 대성쓴풀, 복주머니란, 구상나무 (Abies koreana Wilson) 4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이 중 구상 나무는 식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종(VU, Vulnerable) 은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L.) 등 8분류군이 관찰되었 다(Table 4). 중점조사지역 중에서는 7번에서 가장 많은 18 분류군이 관찰되었다(Table 4).

    4. 한국고유종

    본 조사를 통해 분포가 확인된 한국고유종은 총 23분류 군이 정리되었다(Table 5). 중점조사지역별로는 각각 1에서 13분류군, 2에서 11분류군, 3에서 12분류군, 4에서 16분류 군, 5에서 12분류군, 6에서 16분류군, 7에서 13분류군 그리 고 중점조사지역 이외 지역에서 1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Table 5). 조사된 식물 중 구상나무와 개나리(Forsythia koreana (Rdhder) Nakai)는 식재된 것이었다. 식재종을 제 외할 경우 중점조사구역 4와 6에서 15분류군으로 가장 많 은 한국고유종이 분포하였다.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에서 처음 발견되어 ‘동강할미꽃’으로 명명된 동강할미꽃 (Pulsatilla tongkangensis Y.N. Lee & T.C. Lee)의 분포 현황에 대해서는 별도로 정리하였다(Table 6).

    동강할미꽃은 중점조사지역 1, 4, 5, 6에 분포하였다 (Table 6). 이 중 중점조사지역 6에 해당하는 영월군 영월읍 문산리의 분포지는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며 다른 지역의 분포유형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강할미꽃 의 분포지에서 동강할미꽃의 외부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관 찰되었다(Figure 4). 특히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 일원과 영 월군 신동읍 덕천리 일원의 분포지에서 외부형태의 다양성 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인접한 지역에 분 포하는 할미꽃(Pulsatilla cernua var. koreana Yabe ex Nakai)과 자연적인 교잡으로 나타나는 잡종이 함께 관찰되 었다(Figure 4, D, E). 그렇지만 이들 분포지에서는 개화기 에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였고 그 결과로 훼손이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높은 수준의 답압으로 개체군 내 에 어린개체의 보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개체군의 크기 감소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동강할미꽃 외부형태의 다양성이 높은 개체군에 대해서는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하여 자연성이 유 지될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환경부에서 지정한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Ⅴ등급이 15분류군, Ⅳ등급이 27분류군, Ⅲ등급이 38분류군, Ⅱ등급 이 31분류군 그리고 Ⅰ등급이 19분류군이 정리되었다 (Table 3). 중점조사지역별로는 1에서 50분류군, 2에서 57 분류군, 3에서 63분류군, 4에서 65분류군, 5에서 51분류군, 6에서 70분류군, 7에서 53분류군 그리고 중점조사지역 외 지역에서 69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3). 상대적으로 보 전가치가 높은 Ⅴ등급과 Ⅳ등급에 해당하는 식물을 별도로 정리하였다(Table 7). 각 중점조사지역 별로 Ⅴ등급과 Ⅳ등 급에 해당하는 식물은 중점조사지역 이외 지역에서 총 23분 류군이 조사되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6번이 17분류군, 7번이 15분류군 그리고 4번에 1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Table 7). Ⅴ등급과 Ⅳ등급에 해당하는 식물 중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식물로는 세잎승 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아마풀 (Diarthron linifolium Turcz.), 산토끼고사리(Gymnocarpium jessoensis (Koidz.) Koidz.),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큰제비고깔(Delphinium maackianum Regel),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시 베리아살구(Prunus sibirica L.), 돌마타리(Patrinia rupestris (Pall.) Juss.)가 있었고 반면에 소수의 개체만이 관찰된 식 물로는 멸종위기야생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5) 을 제외하고 털기름나물(Libanotis coreana (H. Wolff) Kitag.), 초종용(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좁은잎 덩굴용담(Pterygocalyx volubilis Maxim.), 돌좀고사리 (Asplenium ruta-muraria L.), 사창분취(Saussurea calcicola Nakai)가 있었다. Ⅲ등급에 해당하는 식물은 북방계 또는 남방계의 식물로 2개 아구에 걸쳐 분포하는 식물에 해당한 다. Ⅲ등급으로 총 38분류군이 정리되었고 대부분이 북방 계식물로 평가되었다. Ⅲ등급에 해당하는 식물 중 개부처손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늦고사리삼(Botrychium virginianum (L.) Sw.), 비술나무(Ulmus pumila L.), 개버무리 (Clematis serratifolia Rehder), 좀풍게나무(Celtis bungeana Blume), 개박달나무(Betula chinensis Maxim.), 가침박달 (Exochorda serratifolia S. Moore), 당조팝나무(Spiraea chinensis Maxim.), 갈기조팝나무(Spiraea trichocarpa Nakai),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Ohwi), 개아마(Linum stelleroides Planch.), 털댕강나무(Zabelia biflora (Turcz.) Makino), 솔체꽃(Scabiosa tschiliensis Grüning), 참여로 (Veratrum nigrum var. ussuriense Lose. f.)는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하였고 출현빈도가 매우 높았다. 이러한 점은 동 강유역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리적 위치와 대부분이 석회 암 지역에 해당하는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6.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외래식물

    귀화식물은 총 58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Table 8). 중점조사지역별로는 1에서 27분류군, 2에서 23 분류군, 3에서 20분류군, 4에서 29분류군, 5에서 20분류군, 6에서 35분류군, 7에서 22분류군 그리고 중점조사지역 이 외 지역에서 35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8). 중점조사지 역 6에서 가장 많은 귀화식물이 관찰된 것은 조사지역의 중앙부에 경작지와 주거지가 위치하고 있고 래프팅 활동 의 출발지에 해당하여 많은 사람의 왕래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캠핑장의 조성을 비롯하여 귀화식물이 유입되어 분포할 수 있는 공간이 넓은 범위에 걸쳐 지속적 으로 공급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생태계교란외래식물 은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가시 박(Sicyos angulatus L.), 가시상추(Lactuca scariola L.), 서 양등골나물(Eupatorium rugosum Houtt.)이 조사되었다. 돼 지풀과 미국쑥부쟁이는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전역 에 걸쳐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반면에 단풍잎돼 지풀은 정선군 정선읍 귤암리와 신동읍 덕천리의 중점조사 지역 이외 지역에서 관찰되었다. 이 2 지역 모두 동강의 상류지역과 중앙지역에 해당하고 단풍잎돼지풀 종자의 확 산경로 중 하나로 하천의 물을 따라 이동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급격한 확산이 예상되었다. 현재는 최근에 동강에 유 입되어 확산 추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가까운 시일 내 에 제거작업을 통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 다. 가시박은 중점조사지역 3과 중점조사지역 이외 지역인 정선군 정선읍 귤암리의 강변에서 관찰되었다. 이 식물 또 한 최근에 유입되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시 상추는 중점조사지역 1과 중점조사지역 외부인 정선읍 귤 암리에서 관찰되었다.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진입 부에서 주로 관찰되어 유입 초기 단계로 판단되었다. 서양 등골나물은 중점조사지역 7에서 관찰되었다. 종자의 운반 체가 활발하게 이동하는 지역에 해당하여 점차 분포지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가시박, 가시상추 그리고 서양등골나물 모두 주기적으로 확산추세를 모니터 링하고 급격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국립생태원의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정 밀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 사용된 결과 중 일부는 환경부 원주지방환경청에서 수행하는 동강유역생 태경관보전지역 생태계변화관찰 과정에서 확보된 자료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식물은 표본으로 제작 되었고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 건조표본수장고(KB)에 보관하였으며 Appendix 1에 표기하였다.

    Figure

    KJEE-33-2-131_F1.gif

    The map of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A, 1∼7; investigational lattices, A, dotted line; outline of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KJEE-33-2-131_F2.gif

    Distribution of endangered plants and near threaten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① Anagallidium dichotomum (L.) Griseb., ②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③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 ④ Paeonia obovata Maxim., ⑤ Cypripedium macranthum Sw., ⑥ 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 ⑦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near threatened).

    KJEE-33-2-131_F3.gif

    Photographies of endangered plants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A;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B;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 C; Anagallidium dichotomum (L.) Griseb., D; Paeonia obovata Maxim., E; 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 F; Cypripedium macranthum Sw.

    KJEE-33-2-131_F4.gif

    Diverse variations of Pulsatilla tongkangensis Y.N. Lee & T.C. Lee observed on the habitats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diverse phenotype(A ∼C), Pulsatilla tongkangensis x Pulsatilla koreana(D, E), Pulsatilla koreana observed near Pulsatilla tongkangensis habitats.

    Table

    Date and sites of investigation o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he list of vascular plant species observed in the Dong-gang river watershed i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Ex. lattices=External lattices
    **Ⅰ, Ⅱ, Ⅲ, Ⅳ, Ⅴ=grade of floristic characteristics plants, EdⅡ=endangered plants grade Ⅱ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m.=species of monitor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l.=planted, Nt.=naturalized, Iv.=invasive alien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ummary on the floristics of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Summary on the listed items of Dong-gang river watershed i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The list of plants which are include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distributed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he list of endemic plants of Korea distributed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he list of habitats Pulsatilla tongkangensis Y.N. Lee & T.C. Lee distributed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he list of Floristic characteristics plants(grade Ⅴ, Ⅳ and Ⅲ) distributed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Reference

    1. Chae, H.H. , H.U. Ji, J.H. Min and Y.C. Kim(2017) Report on the monitoring of special protection zone in Odaesan national park - Iris odaesanensis Y.N. Lee, Paeonia obovata Maxim.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8: 8-23.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2. Cho, Y.H. , J.H. Kim and S.H. Park(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527pp. (in Korean)
    3. Elzinga, C.L. , D.W. Salzer and J.W. Willoughby(1998) Measuring and monitoring plant population. U.S. Dept. of the Interior, Bureau of Land Management, 477pp.
    4. Forestry Research Institute(1999) The report of forest ecosystem investigation for Dong-gang river basin are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176pp. (in Korean)
    5. Grubb, J.P .(1977) The maintenance of species-richness in plant communities: the importance of the regeneration niche. Biological Review 52: 107-145.
    6. Hong, M.P. and Y.C. Kim.(2008) The flora of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Wonju, 266pp. (in Korean)
    7. Hong, M.P. , Y.C. Kim, G.H. Nam and B.Y. Lee(2012) A new species of Zabelia(Linnaeaceae) from Korea. Journal of Species Research 1(1): 1-3.
    8. Hutchinson, G.E .(1957) Concluding remarks. Cold Spring Harbor Symposia on Quantitative Biology 22: 415-427.
    9. Kim, C.H. and M.K. Han(1999) Natural environment of Yeongwo l・Jeongseon(Dong-gang).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in Korean)
    10. Kim, Y.C. , H.H. Chae and K.S. Lee(2016b)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dynamics of endangered plant, Paeonia obovata Maxi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 658-675.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11. Kim, Y.C. , H.H. Chae, B.R. Hong, H.K. Oh, K.H. Lee and K.S. Lee(2016a) The status of endangered plants distributed in the middle eastern area of Korea and evaluation of the risk factor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 291-307.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12. Kim, Y.C. , H.H. Chae, S.H. Oh, S.H. Choi, M.P. Hong, G.H. Nam, J.Y. Choi, H.S. Choi and K.S. Lee(2015) Florist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first distributional report of Pseudostellaria baekdusanensis M. Kim in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 132-144.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13. Korea Fern Society(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2008) Illustrated flora of Korea Ⅱ -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Gyeonggi-do, 547pp. (in Korean)
    15.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1997) The repor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Yeongwol multipurpose dam.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Daejeon. (in Korean)
    16.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1999) The report of ecological environment investigations for Yeongwol multipurpose dam.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Daejeon. (in Korean)
    17. Lee, H.J. and M.P. Hong.(2007) The reports of ecosystem investigation for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Wonju. (in Korean)
    18.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914pp. (in Korean)
    19.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Ⅰ.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914pp. (in Korean)
    20.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Ⅱ.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910pp. (in Korean)
    21. Lee, W.B. , Y.M. Jeon and C.L. Choi(2002) Ecosystem and biodiversity of the Dong river valley,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5: 396-414.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22. Lee, W.T .(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mdemy Press, Seoul, Korea, 1688pp. (in Korean)
    23. Lee, Y.N .(1996a)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Korea, 1247pp. (in Korean)
    24.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Ⅰ). Gyohaksa, Seoul, Korea, 975pp. (in Korean)
    25.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Ⅱ). Gyohaksa, Seoul, Korea, 885pp. (in Korean)
    26. Ministry of Environment(2012) A guide to the fo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486pp. (in Korean)
    27. Ministry of Environment(2015) Law of Wild animal and plants protection. Ministry of Environment.
    28. Nam, G.H. , J.H. Kim, Y.C. Kim, J.S. Kim and B.Y. Lee(2012) Floristic study of country Pyeong-chang and Yeong-wol including limestone regions(prov. Gangwon-do)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 11-38.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2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390pp. (in Korean)
    3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2013) Endemic plant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912pp. (in Korean)
    3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3) Investigation of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2013 - Dong-gang river basin and So-whang sand dune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562pp. (in Korean)
    32. Park, C.W .(ed.)(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n Editorial Commite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481pp. (in Korean)
    33.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559pp.(in Korean)
    34. Park, S.K. , S.J. Kwon, J.H. Park, M.J. Lee, S.Y. Won, Y.C. Kim, Y.J. Hwang, S.H. Sohn and J.H. Lee(2015) Chloroplast genome of white wild chrysanthemum, Dendranthema sp. K247003, as genetic barcode. Journal of Species Research 4(2): 152-158.
    35. Pearman, P.B. , A. Guisan, O. Broennimann and C.F. Randin(2007) Niche dynamics in space and time. Trends in Plant Science 23: 149-158.
    36. Pickett, S.T.A. and J.N. Thompson(1978) Patch dynamics and the design of nature reserves. Biological Conservation 13: 27-36.
    37. Pickett, S.T.A .(1980) Non-equilibrium coexistence of plants. Bulletin of the Torrey Botanical Club 107: 238-248.
    38. Song, J.M. , H.J. Son, Y.S. Kim, S.C. Kim, D.H. Lee, W.G. Park and S.J. Kwon(2016) The flora of limestone area, Mt. Seokbyeong.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 29: 241-263.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39. Wilkinson, D.M .(1999) The disturbing history of intermediate disturbance. Oikos 84: 145-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