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4 No.2 pp.99-105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20.34.2.99

A Comparative Study of Juvenile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Home Range in Gujido and Chilsando Islets, South Korea

Seok-Jun Son2†, Jung-Hoon Kang3, In-Ki Kwon4, Dal-Ho Kim5, Ki-Sup Lee6†, Jeong-Chil Yoo7*
2Department of Biology and Korea Institute of Ornighology, Kyung Hee University, Seoul 02447, Republic of Korea
3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aejeon 35204, Republic of Korea
4Research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Yeongyang 36531, Republic of Korea
5Korea Institute of Environmental Ecology, Daejeon 34014, Republic of Korea
6Waterbird Network Korea, Seoul 03147, Republic of Korea
7Department of Biology and Korea Institute of Ornighology, Kyung Hee University, Seoul 02447, Republic of Korea
a

이 논문은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지원하는 연구비(NRICH-2005-A14F-1)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co-first author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jcyoo@khu.ac.kr
06/02/2020 20/02/2020 24/02/2020

Abstract


Migratory birds use a variety of breeding and wintering sites, and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understand more information on breeding and feeding site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ndangered species.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are an international endangered species distributed in East Asia. The majority of black-faced spoonbills breed on uninhabited islets off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breeding season, and they are distributed in East Asia such as Taiwan, Hong Kong, southern China, Japan, and Jeju island during the winter season. In this study, we used a wild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to analyze and compare home ranges of three black-faced spoonbills spending the post-fledging stage in Gujido islet in Incheon and Chilsando islet in Yeonggwang each in 2015. The tree black-faced spoonbills in Guji islet showed a home range in coastal areas in Hwanghaenam-do and Gangneung-gun. The home range size (mean±SD) was estimated to be 425.49±116.95 km2 using 100% MCP, 43.61±18.51 km2 using KDE 95%, and 7.46±3.68 km2 using KDE 50%. The tree black-faced spoonbills in Chilsando islet showed a home range in the Baeksu tidal flat and the Buan Saemangeum area with a size of 99.38±55.29 km2 using 100% MCP, 19.87±6.05 km2 using KDE 95%, and 1.16±0.53 km2 using KDE 50%. The figured indicated that the tree black-faced spoonbills breeding in Gujido islet had a wider home range than those breeding in Chilsando islet.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the home ranges of black-faced spoonbills were mostly breeding in mudfla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human intervention, such as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structures and the human access, to protect the habitats during the period.



구지도, 칠산도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 비교 연구

손 석준2†, 강 정훈3, 권 인기4, 김 달호5, 이 기섭6†, 유 정칠7*
2경희대학교 생물학과 및 한국조류연구소 박사과정
3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4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선임연구원
5한국환경생태연구소 팀장
6한국물새네트워크
7경희대학교 생물학과 및 한국조류연구소 교수

초록


철새는 다양한 번식지와 월동지를 이용하며, 특히 멸종위기 종의 번식지와 취식지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종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저어새는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국제적인 멸종위기 종으로 전 세계 번식 개체군의 대부분이 한반도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하며, 대만과 홍콩, 중국 남부 지역, 일본, 제주도 등에서 월동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도 인천 구지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와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를 대상으로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을 분석, 비교하였다. 구지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경우 북한 황해남도와 강령군 등의 해안지역 에서 행동권을 보였으며, 행동권 크기는(Mean±SD) MCP 425.49±116.95 km2, KDE 95% 43.61±18.51 km2, KDE 50% 7.46±3.68 km2이었으며, 칠산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경우 영광 백수 갯벌 및 부안 새만금 간척 지역에서 MCP 99.38±55.29 km2, KDE 95% 19.87±6.05 km2, KDE 50% 1.16±0.53 km2의 행동권을 보여 구지도 번식 개체가 칠산도 번식 개체에 비해 더 넓은 행동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번식지인 구지도, 칠산도에서 이소한 저어새의 행동권은 주로 갯벌 지역이었으며, 이 인근 일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도로, 건설, 인간의 출입 등 인간의 방해를 최소화하는 서식지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NRICH-2005-A14F-1

    서 론

    국가간 이동하는 철새들은 각기 다양한 번식지와 월동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서식지를 파악하고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종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Martin and Finch, 1995;Burton et al., 2006;Nebel et al., 2008). 특히 멸종위기종의 번식지와 취식지 등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종의 보전 및 관리 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Ueng et al., 2007;Kang et al., 2016).

    천연기념물 제205-1호 저어새(Platalea minor)는 국제적인 보호종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list)에 멸 종위기종(Endangered)으로 지정되어 있다(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5;BirdLife International, 2017) 저어새 는 동아시아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대만, 홍콩, 중국, 일본, 제주도 등에서 월동하고, 한반도 서해 무인도서와 중국, 러시아 등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et al., 2016;Birdlife International, 2017; Sung et al., 2018). 전 세계 저어새 번식 개체군의 약 93% 정도가 한반도 서해 무인도 서에서 번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국내 번식지 중 영광 칠산도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번식지가 인천만, 경기만 일 대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won, 2017).

    영광 칠산도는 국내 최남단 저어새 번식지로, 섬의 면적이 비교적 넓고, 취식지인 갯벌과 농경지와의 거리도 가까워 번식 여건이 비교적 양호하기 때문에 인천만, 경기만에 집중되어 있 는 저어새 번식 개체군을 분산시켜 국내 번식 개체군 증가에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며(Kwon et al., 2015; Lee et al., 2017), 실제로 2005년부터 지속적으로 번식 개체 군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Kwon et al., 20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5;Kwon, 2017). 특히 칠산도 인근의 영광 백수 갯벌은 칠산도에서 번식 한 저어새 및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 개체군에 적 합한 취식지로 알려져 있다(Kim, 2006;Kang et al., 2017;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9).

    한편 인천만에 위치한 구지도는 저어새 최대 번식지 중 하나 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100쌍이 넘는 번식 개체군이 확인되었으며(Kwon, 2017), 선행연구에 따르면 2014년도 구 지도에서 번식하여 이소한 저어새 유조는 북한 옹진군과 연안 군 일대 갯벌로 이동하여 서식하였다(Jung et al., 2015). 하지 만 2개체에 불과하여 구지도에서 번식한 개체군들의 다른 서식 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추가적인 서식 지 파악 및 행동권 분석을 통한 서식지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CDMA telemetry system)를 이용한 이동경로추적을 활용하여 구지도 와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의 서식 지역을 파악하고, 행동권을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각 번식지역의 서식지로 알려 져 있는 북한 황해남도 지역과 영광 백수 갯벌의 서식지 여건이 저어새 행동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나아가 저어새 보전을 위한 서식지 정보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 지역

    연구 지역인 구지도는 남북한의 접경지역인 인천광역시 옹 진군 연평면 연평리에 위치한 무인도서로(37˚38΄14.63˝ N, 125˚40΄53.02˝ E), 국내 저어새 최대 번식지로 알려져 있다 (Kwon, 2017). 인근 유인도인 대연평도와 약 700m 떨어져 있으며, 가장 가까운 육지인 북한 황해남도와 직선거리로 약 15km 정도 떨어져 있다. 칠산도는 국내 최남단 저어새 번식지 로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송이리에 위치하고 있으며(35˚19 ΄17.82˝ N, 126˚16΄31.35˝ E), 천연기념물 제389호로 지 정되어 있고, 일산도, 이산도, 삼산도, 사산도, 오산도, 육산도, 칠산도의 7개의 무인도서로 이루어져 있다(Figure 1).

    2. 연구 방법

    저어새 포획을 위해 문화재청으로부터 현상변경허가를 받아 2015년 6월 24일과 27일에 각각 구지도와 칠산도에 입도하여 mist-net을 이용하여 이소 직전 시기의 저어새 유조를 각각 3개체씩 포획 후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GPS-Mobile phone-based Telemetry built in Solar System, KoEco, Korea)를 부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착한 WT-200은 30g 이 하이며, 포획한 저어새는 체중이 1kg 이상으로 체중의 3% 이 하였다. 추적기는 테프론 끈을 이용해 개체의 등에 하네스 형태 로 부착하였다(Ueta et al., 2000). WT-200은 GPS가 위치정 보를 수신 및 저장한 후 WCDMA를 통해 상용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방식으로, 2시간 간격으로 GPS좌표를 수 신하도록 설정하였고 매일 2차례 위치정보를 수신하였다 (Kang et al., 2015; Tiunov et al., 2018).

    3. 행동권 및 통계 분석

    구지도와 칠산도에서 번식하여 이소한 저어새 유조의 행동 권 분석을 위해 총 7,987개의 위치정보를 이용 하였으며, 번식 둥지에서 이소 후 월동지로 이동하기 전까지의 위치정보를 분 석에 이용하였다(Table 1). 행동권 분석은 시간대별 위치정보 를 바탕으로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여 최소블록다각형법 (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MCP), 핵심분포추정 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을 사용하였다. 100% MCP는 개체 좌표의 최외곽선을 연결하여 블록다각형으로 행 동권을 표현하는 분석법으로 주로 이용하지 않은 범위도 행동 권 내에 포함된다는 단점이 있다(Murphy and Dowding, 1995;Walton et al., 2001). KDE는 행동권의 밀도 분포를 곡선으로 표현하는 분석법으로, 95%는 일반적 행동권을 나타 내고 50%는 핵심 행동권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eaman et al., 1999;Walton et al., 2001). 본 연구에서는 100% MCP와 95% KDE, 50% KDE 를 이용하여 저어새 유조 6개체의 행동권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은 ArcGIS 10.3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ESRI, 2015).

    구지도와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를 대상으로 각 번 식지 개체의 행동권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지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 체와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의 두 번식지 개체 간의 행동권 크기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Mann-Whitney U-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R 3.5.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R Development core Team, 2018).

    결과 및 고찰

    본 연구는 2015년도에 구지도와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의 번식지 행동권을 분석하고, 구지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와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의 행동권 을 비교하였다. 구지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는 번식 지인 구지도와 북한 황해남도와 강령군 등의 인근 갯벌 지역에 서 행동권을 보였다(Figure 2). 구지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행동권 크기는(Mean±SD) MCP 425.49±116.95 km2, KDE 95% 43.61±18.51 km2, KDE 50% 7.46±3.68 km2 이었으며 (Table 2), 행동권 크기는 개체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Kruskal-Wallis Test, p=0.367). GJ1501 개체의 경우 구지도 저어새 유조 3개체 중 가장 큰 행동권을 보였으며 (Table 2), 핵심 행동권인 KDE 50%는 번식지인 구지도와 북한 황해남도 갯벌, 양식장 등에서 나타났다(Figure 2). GJ1502 개체도 마찬가지로 황해남도 갯벌에서 행동권을 보였 으며, GJ1501 개체의 핵심 행동권 지역으로부터 서쪽으로 약 19km 떨어진 창린도 인근 갯벌 만에서 핵심 행동권(KDE 50%)을 보였다(Figure 2). GJ1503 개체의 경우 다소 작은 행동권을 보였는데, 해주시 벽성군 갯벌 만에서 핵심행동권 (KDE 50%)을 보였으며, 핵심행동권 지역으로부터 북서쪽으 로 약 18km 떨어진 농경지 인근 저수지에서 행동권(KDE 95%)을 보였다.

    칠산도에서 번식하여 이소한 저어새 유조 3개체의 행동권 크기는(Mean±SD) MCP 99.38±55.29 km2, KDE 95% 19.87±6.05 km2, KDE 50% 1.16±0.53 km2 이었으며(Table 2), 개체 간의 유의한 행동권 크기 차이는 없었다(Kruskal- Wallis Test, p=0.788). 칠산도 저어새 유조 3개체 모두 칠산 도에서 최단거리 갯벌인 영광 백수 갯벌에서 서식하며 행동권 을 보였으며, 그 중 CS1501 개체는 영광 백수 갯벌에 서식하다 가 부안 지역으로 이동하여 또 다른 행동권을 보였다(Table 2; Figure 3). CS1501 개체는 부안 일대 서해 방조제 지역과 만경강, 동진강 하구 지역에서 행동권을 보이며 핵심 행동권인 KDE 50%는 부안 새만금간척 지역에서 나타났다. 새만금 지 역은 저어새를 포함한 철새들에게 매우 중요한 서식지로 알려 져 있다(Lee et al., 2002;Kang et al., 2011). 한편 CS1502, CS1503 개체는 번식지인 칠산도와 영광 백수 갯벌에서 핵심 행동권을 보이며 서식하였다(Figure 3). 저어새는 얕은 수심의 습지를 천천히 걸으면서 취식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으며(Yu and Swennen, 2004), 영광 백수 갯벌과 인근 배후습지는 저어새에게 적합한 취식지라고 할 수 있다(Kim, 2006;Kang et al., 2017;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9;Son et al., 2020).

    구지도 저어새 유조 3개체와 칠산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행동권 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Mann-Whitney U-test, p<0.05), 구지도 저어새 유조가 다소 큰 행동권을 보였 다(Table 2). 위치좌표의 최외곽선을 연결하여 행동권을 표현 하는 MCP는 구지도 저어새 유조가 월등히 큰 것으로 볼 때, 구지도 저어새 유조는 북한 황해남도 일대 서식지에 정착하기 위해 칠산도 저어새 유조와 비교하여 더 많은 이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핵심행동권인 KDE 50%도 구지도 저어새 유조 가 더 크게 나타났는데, 칠산도 저어새 유조의 서식지로 영광 백수 갯벌이 황해남도 일대 서식지보다 더 안정적인 서식지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과거 칠산도에서 번식하여 이소한 저어 새 유조 3개체도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영광 백수 갯벌에서 주로 서식하며 핵심 행동권을 보였다(Kang et al., 2017). 또한 과거 구지도에서 번식하여 이소한 저어새 유조의 경우 황해남 도 일대에서 갯벌과 유수지 등에서 서식하였지만, 본 연구에서 보인 행동권 지역과 다른 서식지를 이용하였다(Jung et al., 2015).

    본 연구에서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한 저어 새 유조의 행동권은 주로 갯벌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Figure 2;3).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된 행동권 인근 지역에 도로, 건설, 인간의 출입을 제한하는 등 서식지 보호를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 마련이 요구된 다. 한편 한반도에서 번식하는 대부분의 저어새는 주로 비무장 지대와 인천만, 경기만 일대 무인도서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으며(Kwon, 2017), 이러한 지역의 번식 개체군들은 이소 후 본 연구의 저어새 행동권 지역인 황해남도 남쪽 갯벌을 서식지로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추후 세부적인 서식지 유형 분석을 통해 미소서식지를 파악하고, 저어새 서식지 보존 을 위한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동물) 증식·보존 연구’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과제번호: NRICH-2005-A14F-1), 야외조사에 도움을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Figure

    KJEE-34-2-99_F1.gif

    Map of Study areas in South Korea. GJ: Gujido islet, CS: Chilsando islets.

    KJEE-34-2-99_F2.gif

    Home range sizes of Black-faced spoonbills breed in Gujido islet at Incheon, South Korea. a: GJ1501, b: GJ1502, c: GJ1503.

    KJEE-34-2-99_F3.gif

    Home range sizes of Black-faced spoonbills breed in Chilsando islets at Yeonggwang, South Korea. a, b: CS1501, c: CS1502, d:CS1503. CS1501 showed home range at Yeonggwang and Gunsan, South Korea.

    Table

    Summary of wildlife tracker(WT-200) Information for home range analysis of six Black-faced spoonbills

    MCP and KDE(95%, 50%) for home range sizes(km2) of Black-faced spoonbills in the breeding sites, South Korea

    Reference

    1. BirdLife International(2017) Platalea minor.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7.
    2. Burton, N.H.K., M.M. Rehfisch, N.A. Clark and S.G. Dodd(2006) Impacts of sudden winter habitat loss on the body condition and survival of redshank Tringa totanu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3(3): 464–473.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5) Announcement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No. 2005-14. (in Korean)
    4. ESRI(2015) ArcGIS 10.3. 1 for Desktop.
    5. Jung, S.M., K.S. Lee, J.H. Kang, S.W. Lee and H.S. Oh(2015) Using GPS-mobile based telemetry(WT-200) to study moving distances and habitat use of juvenile black-faced spoonbills in the border area of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22(1): 21-30.
    6. Kang, J.H., I.K. Kim, K.S. Lee, H.S. Lee and S.J. Rhim(2016) Distribution, breeding status, and conservation of the black-faced spoonbill(Platalea minor) in South Ko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2(3): 162-166.
    7. Kang, J.H., I.K. Kim, K.S. Lee, I.K. Kwon, H.S. Lee and S.J. Rhim(2017) Home range and movement of juvenil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in South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1(1): 3.
    8. Kang, T.H., S.W. Yoo, J.P. Yoo, H.S. Lee and I.K. Kim(2011) A study on the community of wintering waterbirds in Seamangeu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1): 8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I.C.(2006) Breeding status and feeding ecology of black-faced spoonbill(Platalea minor) during its breeding season in South Korea. MSc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pp. 10-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won, I.K.(2017) Breeding and conservation biology of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in Korea. Ph. 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pp. 12-50.
    11. Lee, K.S., U.K. Baek and J.C. Yoo(2002) Important wintering and migrating route for waterbirds on the intertidal mudflat of Mankyung river estuary. Bulletin of the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8: 1-7.
    12. Lee, M.Y., I.K. Kwon, K.S. Lee, S.K. Choi, H.S. Jeon, J.Y. Lee, K.Y. Eo, H.J. Kim, J.H. Kim, W.E. Johnson, J.C. Yoo and J.H. An(2017)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Black-faced Spoonbill(Platalea minor) among its breeding sites in South Korea: Implication for conservation.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71: 106-113.
    13. Martin, T.E. and D.M. Finch(eds.)(1995) Ecology and management of neotropical migratory birds: A synthesis and review of critical issue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32-50.
    14. Murphy, E.C. and J.E. Dowding(1995) Ecology of the stoat in Nothofagus forest: Home range, habitat use and diet at different stages of the beech mast cycle. New Zealand Journal of Ecology 19(2): 97-109.
    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15) Study on the habitat preservation of natural monument (black-faced spoonbill and Chinese egret) (2013-20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Korea, 45pp.
    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19) Management research for reproduction and conservation of natural monument(animal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Korea, pp. 15-32.
    17. Nebel, S., J.L. Porter and R.T. Kingsford(2008) Long-term trends of shorebird populations in eastern Australia and impacts of freshwater extraction. Biological Conservation 141(4): 971–980.
    18. R Development Core Team(2018)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http://www.R-project.org/
    19. Seaman, D.E., J.J. Millspaugh, B.J. Kernohan, G.C. Brundige, K.J. Raedeke and R.A. Gitzen(1999) Effects of sample size on kernel home range estimates. Th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63(2): 739-747.
    20. Son, S.J., J.H. Kang, S.K. Lee, I.K. Kim and J.C. Yoo(2020) Breeding and wintering home ranges of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13(1): 7-12.
    21. Son, S.J., J.H. Kang, S.K. Lee, J.W. Oh and J.C. Yoo(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reeding site environment of natural monument bird species using vegetation mats-Focusing on Chilsan islands(natural monument 389)-.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26(2): 49-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Tiunov, I., I. Katin, H. Lee, S. Lee and E. Im(2018) Foraging areas of streaked shearwater Calonectris leucomelas nesting on the Karamzin Island(Peter the Great Bay, East Sea).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11(1): 25-31.
    23. Ueng, Y.T., J.P. Wang and P.C.L. Hou(2007) Predicting population trends of the black-faced spoonbill(Platalea minor). Wilson Journal of Ornithology 119(2): 246-252.
    24. Ueta, M., F. Sato, H. Nakagawa and N. Mita(2000) Migration routes and differences of migration schedule between adult and young Steller's Sea Eagles Haliaeetus pelagicus. Ibis 142(1): 35-39.
    25. Walton, L.R., H.D. Cluff, P.C. Paquet and M.A. Ramsay(2001) Movement patterns of barren-ground wolves in the central Canadian Arctic. Journal of Mammalogy 82(3): 867-876.
    26. Yu, Y.T. and C. Swennen(2004) Feeding of wintering black-faced spoonbills in Hong Kong: When and how long? Waterbirds 27(2): 135-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