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6 No.1 pp.113-124
DOI :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1a

유기준2, 한봉호3*, 최진우4, 허지연5
2상지대학교 관광학부, 3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4도시생태학연구센터, 5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의 조성과 이용에 따른 지역주민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방법은 이용자 자기 기입식 조사 방법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둘레길 주변 상가 및 민가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평균 3.2점으로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주민이 인식하는 긍정적 영향은 지역 이미지 상승을 통한 지역 주민의 자긍심 고취, 지역경관 및 자연환경의 개선이었다. 지역 이미지 상승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지역경관 및 자연환경 개선에 대한 인식변화로 생태계 보전 효과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실질적 생태계 보전 효과와 지역사회 경제적 효과는 아직 체감되지 못하고 있었다. 부정적 영향은 평균 2.8점으로 교통 혼잡 및 소음 증가를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였고, 환경오염, 저지대 식생 파괴에 대해 비교적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주민의 지역사회 인식은 전반적으로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만족도가 높았고 청년층의 만족도는 낮았다. 다양한 연령 계층이 만족하기 위해서 만족도가 낮은 청년층을 위한 인프라 및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둘레길의 부정적 측면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탐방객의 태도 변화와 수평적 탐방문화의 가치와 자세에 대한 교육과 캠페인이 필요할 것이다.

A Study on Community Member Perception due to Impacts on Development of the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1a

Bong-Ho Han 3, Ki-Joon Yoo2, Jin-Woo Choi4, Ji-Yeon Hur5
3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 of Seoul
2Division of Tourism, Sangji Univ., 4HUNECO Urban Ecology Research Center HUNECO, 5Graduate School, Univ. of Seoul
Received 8August 2011, Revised(1st: 3 December 2011, 2nd: 3 January 2012), Accepted 4 January 20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munity members' perception due to impacts on use and development of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 The stud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survey sent to community members of the vicinity of Dulegil. Average score of positive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was 3.2. Positive impacts mentioned by community members were ‘heightened pride in their community with increased community image’ and ‘improvement of landscape and natural environment.’ Improved residents’ awareness of landscape and natural environment indicated that Dulegil almost accomplished intended goal of preservation of ecosystem. However, actual effects on ecosystem preservation and local economy were not perceptible yet. Score of negative impact was 2.8 on average. ‘Traffic congestion’ and ‘increase in noise level’ were considered the most serious among the negative impact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of vegetation in the lowland were deemed relatively bad. Regarding resident awareness of community, those in their 50s and older were quite satisfied with the community. However, young people showed lower level of satisfaction. In order to satisfy all ages, infrastructure and programs for the youth should be in place. To minimize negative awareness of impacts of Dulegil, visitor’s attitude should be changed, and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value and mind set of horizontal hiking are required.

26(1)_11-(113-124) 한봉호.pdf674.7KB

서 론

 최근 정상정복형 탐방문화의 개선으로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국립공원 관리 노력의 일환으로서 국립공원 인근 지역에 지리산 둘레길, 변산반도 마실길, 태안해안 해변길 등이 조성되었으며, 2019년까지 국립공원 경계 내·외곽 및 저지대를 중심으로 계룡산국립공원 53㎞, 치악산국립공원 69㎞의 둘레길을 조성할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자연생태자원인 국립공원은 정상으로의 탐방객 이용 집중으로 인한 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에 속하는 산림 고지대의 훼손과 야생 동·식물 서식지의 파괴 등의 폐단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산행문화 변화를 위한 둘레길 조성이 시행되고 있다. 둘레길은 비법정 탐방로인 기존 샛길과 마을길을 이용함으로써 샛길 차단을 통해 국립공원을 보존하고, 저지대의 탐방 인프라 구축을 통해 탐방객의 이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새로운 걷기탐방 문화로 주목받고 있다.

 북한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서울 외곽에 위치하여 자연경관이 양호하고, 역사·문화 유적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수도권 도시민이 즐겨 찾는 도시형 국립공원이다. 국립공원 입장료가 폐지된 2007년 이후 북한산국립공원을 찾는 탐방객이 480만명에서 1,000만명으로 증가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은 급등하는 탐방객의 영향으로 법정탐방로 75개 노선 164.7㎞ 이외의 샛길이 338개 노선 206㎞(2009. 12 기준)로 형성되어 북한산국립공원 전체가 579개 조각으로 쪼개져 생태계 파편화 및 훼손이 가중되고 있었다(KNPS, 2011).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사업은 2008년도 기존 미군 작전도로 개념으로 개설했던 우이령길의 개방에 관한 찬반여론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하면서 제기되었다. 2009년 예약제로 개방된 우이령길을 통하여, 저지대를 중심으로 국립공원의 생태, 문화, 경관을 테마로 조성된 탐방로가 국립공원을 보존하고 탐방객의 이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탐방문화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Cho  et al., 2009). 2009년 하반기 북한산의 4.19 묘역이 있는 수유동의 순례길을 시작으로 북한산국립공원 주변에 산재해 있는 자연·문화·경관자원 등을 현장 조사하여 2009년 9월 44㎞, 13개 노선을 개통하였고, 2011년 6월 나머지 구간 26㎞, 8개 노선을 현장 특성에 맞게 조성하여 개통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은 전체 70㎞, 21개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은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저지대의 길을 중심으로 노선을 선정하여 무분별하게 발생한 샛길을 차단하고 복원할 수 있는 생태계 복원의 개념에서 착안되었다. 그리고 산의 정상에 오르는 행위가 당연하게 인식되어 온 정상정복형 수직 탐방행태를 수평적 탐방으로 유도하고 저지대에서 편안하고 즐겁게 탐방하기 위하여 적정한 탐방시설 인프라 및 다양한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장애우, 노인 등 사회적 약자층에게 국립공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둘레길을 기반으로 관계기관 및 지역주민과의 협력과 공원 주변 마을 상가의 균형적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Han  et al., 2010). 하지만 국립공원 지역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자원이용과 국민 다수를 위한 환경보전을 위해 소수의 지역주민들 사유재산에 대한 희생을 강요하고 이익을 보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이 미흡하여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협조 없이는 국립공원지역 자연생태계의 보전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Lee, 2009). 또한 국립공원관리주체와 지역주민과의 갈등은 지역주민의 권리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지방정부로부터 국립공원관리의 지원과 협조를 어렵게 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Han, 2008).

 현재 국립공원 지역의 둘레길을 주제로 하는 국내 연구 중 기조성된 지리산 둘레길, 변산반도 마실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하다. 반면에 태안해안 해변길과 북한산 둘레길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학술논문으로 태안해안국립공원 해변길 조성계획 연구(Han  et al., 2011)와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계획 연구(Han  et al., 2010),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의 생태적특성을 고려한 탐방로 조성방안 연구(Cho at al., 2009)가 있으며,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울시민의 인식 연구(Kim, 2011)와 북한산 둘레길 이용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Cho at al., 2011)가 있다. 또한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체로 단기간(2009.9〜2009.12) 설문을 통한 이용객 만족도 및 시민인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앞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겠지만 현재는 국내 연구들이 주로 국립공원 지역의 둘레길 조성을 통한 효과나 영향을 탐방객 또는 시민인식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둘레길 조성 사업을 통한 다양하고 정밀한 효과 진단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및 지역주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대체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적 영향(economic impacts), 사회·문화적 영향(social cultural impacts),  환경적 영향(environmental impacts)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있는데(Moon, 2011), 국립공원지역과 연관성 있는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여행비용을 조사하여 지역사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Lee, 2009) 하였으며, 2009년 6개 국립공원(설악산, 북한산, 지리산, 경주, 한려해상, 태안해안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지역경제 파급효과 연구(NPRI, 2009)와 2010년 계룡산, 속리산, 내장산, 다도해해상, 변산반도, 월출산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지출비용을 비교하여 지역경제에 미치는 지역 내·외 파급효과 연구(NPRI, 2010)가 수행되었다. 기존 연구는 일정 국립공원 지역 전체에 대해 경제적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인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주민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둘레길이 실질적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형 국립공원인 북한산국립공원의 둘레길 조성과 이용에 따른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국립공원과 인접한 지역사회와 더불어 발전할 수 있는 둘레길 관리 방향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중 2009년 9월 개통한 북한산지구의 13개 노선이 분포하는 5개 지역(우이지구, 수유지구, 정릉지구, 구기지구, 산성지구)을 위주로 분석하였다. 우이지구는 북한산국립공원의 도봉산지구와 맛닿아 있으며 탐방로 입구로 향하는 도로 양측으로 상가가 위치하며, 주변에 단독주택지와 저층빌라가 분포한다. 우이지구에는 우이령길과 소나무숲길이 포함되며, 우이령길의 오봉전망대에서 오봉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수유지구는 4.19  국립묘지가 있는 지역으로 순례길이 포함되며, 주변 저층 주거지가 분포하고 있다. 또한 흰구름길에서는 북한산과 도봉산 봉우리와 서울시 전경을 한눈에 조망 가능한 구름전망대가 있으며, 우리전통양식인 섶다리와 짐검다리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정릉지구는 도시로부터의 사색을 목표로 하는 솔샘길과 명상길이 위치한다. 구기지구는 은평뉴타운과 인접하며 서울성곽과 유서깊은 도읍의 분위기를 풍기는 옛성길과 평창마을길, 구름정원길이 포함된다. 산성지구는 면적이 가장 넓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내시묘역이 위치한 내시묘역길과 마실길, 효자길, 충의길이 분포하고 있다. 

Figure 1. Location of study area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2011년 1월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2010년 9월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이 1차 개통된 후 2010년 9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3.5개월 동안 둘레길 구간별 탐방객은 둘레길 시범구간으로 가장 먼저 조성된 순례길에 탐방객 이용이 가장 집중되어 있었으며, 소나무 숲길, 흰구름길, 내시묘역길의 이용 집중도가 높았다. 지역별로 분석해본 결과, 순례길, 흰구름길을 포함하는 수유지구는 비교적 짧은 거리에 비해 탐방객이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었으며, 솔샘길, 명상길을 포함하는 구간이 가장 짧은 정릉지구의 이용 집중도가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수유지구를 제외한 각 지구별 이용 집중도는 둘레길 구간 길이에 상대적인 것으로 이용집중도가 유사하다고 판단되었다(Table 1).   

Table 1. Length of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and number of visitors by section

2. 조사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1년 3월 23일부터 31일까지 9일간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주변 우이지구, 수유지구, 산성지구, 정릉지구, 구기지구에서 실시되었다. 조사방법은 이용자 자기 기입식 조사 방법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은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을 이용하는 일반 탐방객을 제외한 둘레길 주변 상가 및 민가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으로 총 300부의 설문자료를 획득하여 그 중 응답내용이 미완성되었거나 불성실한 응답으로 자료의 가치가 없는 67매를 제외한 233매를 유효표본으로 분석하였다. 응답내용이 미완성된 표본은 수유지구 60부로 지역주민 여부가 불확실하여 제외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은 7부였다. 표본 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서 ±6.42% point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둘레길에 대한 관심도 및 평가 3문항, 둘레길 조성 효과 4문항, 둘레길 조성을 통한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9문항, 부정적 영향 8문항의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24개 변수를 5점 리커드 척도로 구성하여 각 문항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분석은 24개의 변수를 통해 지역주민과의 연관성을 도출해 내기 위해 기술통계의 교차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등의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산분석을 통하여 항목별 평균의 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의 통계적 처리와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의 지역사회 영향 설문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조사 항목은 성별, 연령, 거주지 성격, 지역, 거주기간, 직업 등이었다 응답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 42.9%, 여성 56.7%로 여성이 약 14% 높은 비율을 보였고, 연령대는 40대(37.3%)에서 50대(24.5%)의 비율이 약 62%로 40대 이상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거주지는 민가(70.4%)에 거주하는 주민이 많았으며, 구기, 산성, 정릉, 우이 지구의 응답자 비율은 약 25%로 유사하였다. 응답자의 거주기간은 10년 이상이 44.6%이었고, 10년 미만은 응답 비율이 20% 이하로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이 조성되기 전부터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많이 응답하여 둘레길 조성을 통한 효과를 예측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응답자의 직업 분포비율은 자영업 38.6%, 판매서비스직 14.6%, 전업주부 12.9% 이었다(Table 2).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2.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에 대한 관심도 및 평가

북한산국립공원 지역주민의 둘레길에 대한 관심도 및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둘레길 관심도의 평균 점수는 리커드 5점 척도 기준 3.9점으로 대체로 관심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둘레길 조성에 대한 평가 점수는 3.9점으로 비교적 잘한 일로 평가되었으며, 관리에 대한 평가 점수는 3.6점으로 둘레길 조성에 대한 평가보다 낮았다.

Figure 2. Residents’ interest level and evaluation of Dulegil

 둘레길 관심도 및 평가 문항별 성별과 거주지 성격을 비교 분석한 결과, 성별과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거주지 성격은 둘레길 관리 평가 문항에 대하여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둘레길 관리 평가는 상가 평균 3.32점, 민가 평균 3.80점으로 유의수준 1% 내에서 유의미한 차이(t=-3.953, p=0.000)를 보였다(Table 3). 거주지 성격은 3개 문항에 대하여 상가지역보다 민가지역의 평균값이 높아 둘레길에 대한 민가지역의 관심도가 높고 조성 및 관리 문항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Table 3. Comparison of residence for interest in and evaluation on Dulegil(T-test)

둘레길 관심도 및 평가 문항별 연령과 응답지역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연령은 둘레길 조성 평가에 대하여 F=3.454, p=0.005로 유의수준 1% 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응답지역은 둘레길 관심도(F=5.914, p=0.001)와 둘레길 조성 평가(F=5.050, p=0.002) 문항에 대하여 유의수준 1%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둘레길 관리 평가에 대해 F=3.030, p=0.030로 유의수준 5% 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귀무가설을 기각하였다(Table 4).

Table 4. Comparison of age and response place for interest in and evaluation on Dulegil(One-way ANOVA)

 연령, 응답지역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에 대하여 Duncan Test를 실시한 결과, 둘레길 조성 평가의 연령 항목은 만18〜29세/30대, 40대/50대/70대 이상, 60대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으며, 50대와 60대가 평균(3.9점)보다 높았고 만18~29세의 평균값이 가장 낮았다. 응답지역 항목은 둘레길 관심도, 둘레길 조성 평가, 둘레길 관리 평가 모든 문항에서 구기지구/우이지구와 산성지구/정릉지구 두 집단간 차이가 있었으며 구기지구와 우이지구의 평균이 높았다(Table 5).

Table 5. Comparison between age, response place and composition evaluation on Dulegil(Duncan Test)

3.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 효과

 둘레길 조성 효과에 해당하는 문항은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효과를 간접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본 항목에서는 둘레길 조성으로 인한 효과를 ‘도시민에게 활동적인 야외활동 기회제공 효과(이하 활동적 야외활동 기회제공)’, ‘북한산의 생태환경을 보존하고 향유할 수 있는 효과(이하 생태환경 보존 및 향유)’, ‘북한산 주변 지역의 역사 및 문화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효과(이하 역사 및 문화의 중요성 부각)’, ‘북한산 주변 지역사회의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효과(이하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 지역주민이 둘레길 조성으로 인한 효과 중 가장 긍정적 반응을 보인 문항은 평균 점수 3.9점인 ‘활동적인 야외활동 기회제공’으로 국립공원 관리 측면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에 ‘생태환경 보존 및 향유’, ‘역사 및 문화의 중요성 부각’,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 문항은 평균 점수가 ‘활동적인 야외활동 기회제공’보다는 낮았으나 평균점수 각 3.5점, 3.6점, 3.6점으로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3. Effect of creating Dulegil in Bukhansan Natinoal Park

 둘레길 조성 효과 문항별 성별과 거주지 성격을 비교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인식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둘레길 조성 효과는 성별과 거주지 성격별 응답 비율이 유사하였으며, 거주지 성격에 따른 평균은 상가지역보다 민가지역이 다소 높았다.

 둘레길 개통 후 많은 탐방객이 둘레길 주변 마을을 방문하고 있지만, 특정 지역 및 상가 이외의 전반적인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 측면에서는 아직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역주민이 체감하는 경제 활성화 효과는 탐방객들이 지출한 총 비용을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와 연계된다. 2009년 북한산국립공원 탐방객이 지출한 총 비용이 전체 경제에 발생시킨 직·간접 연간 경제적 파급액을 분석한 결과, 국립공원 중 북한산의 경제유발효과가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NPRI, 2009). 따라서 북한산국립공원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성에 비해 둘레길 주변 지역주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측면 효과보다 국립공원이 지니는 장소성, 자원성, 역사·문화성 등의 요소들이 더 부각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레길 조성 효과 문항별 연령과 응답지역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연령과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응답지역은 활동적인 야외활동 기회제공 효과 문항에 대하여 F=4.317, p=0.006으로 유의수준 1% 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귀무가설을 기각하였다(Table 6).  

Table 6. Comparison of response place foreffect items of creating Dulegil(One-way ANOVA)

둘레길 조성 효과 중 활동적인 야외 활동 기회제공 효과는 산성지구/우이지구/구기지구와 정릉지구 두 집단간 차이가 있었으며, 산성지구, 우이지구, 구기지구의 평균값이 높았다. 그 외 항목은 응답지역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생태환경 보존 및 향유 효과는 구기지구와 산성지구의 값이 평균 이상으로 높았고, 역사 및 문화의 중요성 부각 효과는 우이지구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우이지구에 역사 문화자원이 집중되어 있는 순례길이 인접하여 도출된 결과로 추측할 수 있었다. 지역사회의 경제 활성화 효과는 산성지구, 정릉지구/구기지구, 우이지구 세 집단간 차이가 있었으며, 구기지구가 가장 높았고 다른 지역은 평균보다 낮거나 유사하였다(Table 7).

Table 7. Comparison between response place and effect items of creating Dulegil(Duncan test)

4. 북한산국립공원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1) 긍정적 영향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이 개통되면서 각종 언론보도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졌다. 개통 후 초기의 언론보도는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의 긍정적인 측면을 위주로 길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부각되었으나,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주변의 지역주민의 불만사항을 중심으로 일부 탐방객의 추태로 피해를 보는 주민들이 소개되었고, 이에 대하여 사전에 충분한 논의를 통한 주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아쉬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Segyeilbo, 2010). 따라서,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주변 지역주민의 의견청취를 통하여 둘레길 조성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하게 분석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중 지역주민이 느끼는 긍정적 측면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역주민 삶의 질 증대, 지역 자긍심 상승, 지역 이미지 상승, 지역상권 활성화, 일자리 창출, 지역주민 소득 증대, 부동산 가격 상승, 지역경관 개선, 자연환경 개선 등 9개 문항의 응답을 5점 척도 기준에 준하여 점수를 도출하였다. 평균 점수는 3.2점이었으며 각 문항의 점수는 2.8∼3.5점으로 전반적으로 보통임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높은 점수로 분석된 문항은 지역 이미지 상승으로 평균 점수 3.5점으로 긍정적 영향 전체 평균 3.2점보다 높았다.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을 통하여 국립공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지역 이미지가 상승하였다. 지역이미지는 긍정적인 것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지역민, 관광객 등, 대상에 대한 경험이나 지식, 정보, 그리고 대상의 평가척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Koh, 2005).

또한 지역 국립공원 지역의 주민이라는 소속감과 더불어 지역 자긍심이 상승했다고 연관지을 수 있었으며, 지역 자긍심 상승, 지역경관 개선, 자연환경 개선 문항의 점수는 3.4점으로 평균보다 높은 점수가 도출되어 긍정적 영향에 대하여 ‘그렇다’ 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반면에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의 일자리 창출, 지역주민 소득 증대, 부동산 가격 상승의 문항은 평균 점수 3.2점보다 낮아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긍정적 영향이 비교적 낮았다. 

둘레길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성별, 거주지 성격과 비교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의 평균은 유사하였으며 ‘보통이다’, ‘그렇다’로 응답한 지역주민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응답지역과 유의수준 5% 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지역주민 삶의 질 증대(t=-2.324, p=0.021), 지역 자긍심 상승(t=-2.349, p=0.020)은 두 문항 모두 민가지역의 평균 점수가 상가지역보다 다소 높았으나 응답 항목의 비율은 유사하여 거주지 성격과는 연관성이 적었다(Table 8).

Figure 4. Positive effect of creating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on the local community

Table 8. Comparison of residence for positive effect items on the local community(T-test)

 둘레길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연령, 응답지역과 비교 분석한 결과, 연령은 지역 자긍심 상승(F=3.181, p=0.009), 자연환경 개선(F=5.180, p=0.000)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응답지역은 긍정적 영향에 해당하는 9개 모든 문항에 대하여 유의수준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귀무가설을 기각하였다(Table 9).

Table 9. Comparison of age and response place for positive effect items on the local community(One-way ANOVA)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연령 항목은 유의성을 보인 지역 자긍심 상승, 부동산 가격 상승 문항에 대하여 ‘50대’, ‘60대’, ‘70대 이상’의 평균값이 각 문항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만18~29세 평균이 가장 낮았다(Table 10). 응답지역 항목은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모든 문항에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자리 창출 문항은 정릉지구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이 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8개 문항은 구기지구의 평균이 가장 높아 구기지구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긍정적 영향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구기지구는 둘레길의 긍정적 영향뿐만 아니라 둘레길 관심도, 조성 및 관리상태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가 도출되었다. 응답지역 중 정릉지구와 우이지구에서 응답한 지역주민의 평균이 대체로 낮았으며 ‘보통이다’, ‘그렇다‘의 비율이 유사하였다(Table 11).

Table 10. Comparison between age and positive effect items on the local community(Duncan test)

Table 11. Comparison between response place and positive effect items on the local community(Duncan test)

2) 부정적 영향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중 지역주민이 느끼는 부정적 측면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역문화 변질, 범죄, 폭력 등 증가, 주변 물가 상승, 지역 주민 세금부담 증가, 환경오염, 교통 혼잡 및 소음 증가, 저지대 식생 파괴, 건축 관련 소음 및 비산먼지 발생 등 8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측면 문항의 평균 점수는 2.8점이었으며, 각 문항의 점수는 2.8∼3.5점으로 전반적으로 보통임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높은 점수로 분석된 문항은 교통 혼잡 및 소음 증가로 평균 점수 3.4점으로 부정적 영향 전체 평균 2.8점보다 높았다. 또한 환경오염, 저지대 식생 파괴 문항의 점수는 각 3.2점, 3.0점으로 평균보다 높아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으로 제기되는 문항이었다. 반면에 주변 물가 상승, 지역문화 변질, 범죄, 폭력 등 증가, 지역 주민 세금부담 증가, 건축 관련 소음 및 비산먼지 발생의 문항은 평균 점수 2.8점보다 낮아 부정적 측면의 영향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비교적 낮다고 판단되었다.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부정적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리기관의 시스템 보완을 통한 방안이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탐방객의 인식과 태도가 변화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탐방객을 위한 거점시설의 확충과 구체적인 탐방 인프라 및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단순한 탐방안내뿐만 아니라 수평적 탐방문화의 가치와 자세에 대한 교육과 캠페인이 필요할 것이다.  

둘레길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성별, 거주지 성격과 비교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부정적 영향과 연관성이 적었다. 반면에 둘레길이 지역사회에 인식하는 부정적 영향을 연령, 응답지역과 비교 분석한 결과, 연령은 교통 혼잡 및 소음 증가(F=3.674, p=0.003) 문항에서 유의수준 1% 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응답지역은 범죄,  폭력 등 증가(F=2.672, p=0.048), 주변 물가 상승(F=3.301, p=0.021), 지역 주민 세금부담 증가(F=9.620, p=0.000), 교통 혼잡 및 소음 증가(F=5.465, p=0.001) 문항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귀무가설을 기각하였고(Table 12), 지역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5. Negative effect of creating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on the local community

Table 12. Comparison of age and response place for negative effect items on the local community(One-way ANOVA)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문항의 연령 항목은 유의성을 보인 교통 혼잡 및 소음 증가 문항에 대하여 50대 이상의 평균이 전체 문항 평균 점수인 3.4점보다 높았으며, 만 18~29세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 범죄, 폭력 등 증가 문항은 정릉지구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주변 물가 상승, 지역 주민 세금부담 증가, 교통 혼잡 및 소음 증가 문항은 구기지구에서 평균이 가장 높아 구기지역 주민이 인식하는 부정적 영향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구기지구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측면의 점수 또한 가장 높아 양측면의 지역주민 인식정도가 민감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 문항은 응답 지역별 통일성이 없었으며, 지역별 특징과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Table 13).

Table 13. Comparison between response place and negative effect items on the local community(Duncan test)

5. 종합 고찰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주변 지역주민의 둘레길 관심도는 3.9점으로 비교적 높았으며, 둘레길 조성(3.9점) 및 관리(3.6점) 평가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둘레길 관심도와 평가 문항은 민가지역의 관심도가 높았고 특히 50대, 60대와 구기지구에서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둘레길 조성 효과는 도시민에게 활동적 야외활동 기회 제공의 효과(3.9점)가 가장 높았고, 그 외 항목은 평균 3.5점 이상으로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민가지역의 지역주민이 상가지역보다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구기지구와 우이지구 지역주민의 긍정적 체감 효과가 가장 높았다.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둘레길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북한산 둘레길 이용자 만족 보고서(KNPS, 2010)에  보고된 둘레길 탐방객의 종합 만족도는 4.4점이었으며, 지역주민이 느끼는 긍정적 영향의 평균 점수는 3.2점으로 탐방객의 종합 만족도 보다 낮았다. 지역주민이 느끼는 긍정적인 영향은 지역 이미지 상승을 통하여 지역 주민의 자긍심이 고취되며, 지역경관 및 자연환경의 개선이었다. 긍정적 영향 평균값은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가장 높았으며, 일자리 창출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 대해 구기지구 지역주민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역이미지 상승에 대해 가장 크게 인식하였다는 것은 가시적인 효과를 발생하는 경제적 측면보다는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영향이 더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Moon, 2007). 또한 지역경관 및 자연환경 개선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은 간접적으로 생태계 보존에 가까운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볼 수 있으나 생태계 보전 효과는 아직 체감될 정도로 인식되지 못하여 미약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민의 지역사회 인식은 전반적으로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만족도가 높았고 청년층의 만족도는 낮았다. 다양한 연령 계층이 만족하기 위해서는 만족도가 낮은 청년층을 위한 탐방인프라 확충 및 스토리가 있는 고품격 탐방서비스 제공 등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의 평균 점수는 2.8점으로 교통 혼잡 및 소음 증가, 환경오염, 저지대 식생 파괴에 대해 비교적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부정적 영향 또한 중장년층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의 항목에 대해 구기지구 지역주민이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역주민은 둘레길을 방문하는 탐방객들로 인한 교통 혼잡과 소음 증가 문제에 대해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레길 탐방객의 이용패턴이 평일은 물론 휴일의 이용강도가 높아 지역주민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지역의 토지이용 특성과 교통체계 등을 고려한 둘레길 노선 조정이 필요하며, 둘레길 이용 시 행동지침 등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으로 인한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탐방객의 인식과 태도가 변화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탐방객을 위한 기반시설과 자원 정비 등 물리적 환경 조성과 함께 수평적 탐방문화의 가치와 자세에 대한 교육과 캠페인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인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둘레길이 지역사회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진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하지만 설문 분석과정에서 북한산국립공원 지역사회의 중요한 지역인 수유지구가 불분명한 응답으로 제외되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향후 수유지구 및 추가로 2011년 개통된 도봉산 권역의 보완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둘레길의 관리방법 및 이용행태에 따른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역사회 협력 및 경제 활성화 프로그램에 따른 지역사회 영향 분석에 대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Reference

1.Cho, W., J.S. Kim, J.Y. Kim and K.J. Lee(2009) A study on Nature Trail Considering Ecological Characteristic in Wooiryeong Road, Bukhansan National Park. Presented at the 19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Jeonju, Korea, October 16, pp. 111-114.
2.Cho, W.K., H.J. Yun and S.B. Im(2011) A Study on Visitor Satisfacation for Bukhansan Dulegil. Journal of the Koream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4): 60-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Han, B.H., J.W. Choi, K.J. Yoo and T.H. Noh(2010) A Study on Eco Trail Planning in Bukhansan National Park. Presented at the 20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Seoul, Korea, April 16, pp. 193-197.
4.Han, B.H., J.W. Choi, T.H. Noh and S.S. Im(2011) A Study on Beach Trail Planning in Taeanhaean National Park. Presented at the 21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Daegu, Korea, April 15, pp. 128-132.
5.Han, S.Y.(2008)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Hallasan National Park Using an Input-Output Model. Kor. J. Forest Recreation 12(2): 2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Kim, J.M.(2011) Preceptions on the Nature Trail in the National Park in the City - Focused on the Seoulite's Perception on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 Kor. J. Env. Eco. 25(1): 102-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KNPS(2010)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Report, Seoul, Korea, 27pp. (in Korean)
8.KNPS(2011) Study on the effect of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Report, Seoul, Korea. 39pp. (in Korean)
9.Koh, M.S.(2005)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ity Image - adapting the place marketing concept -. Ph. 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9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Lee, M.H.(2009) Estimating the rippl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y of Jirisan National Park.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5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Moon, C.H.(2007) The Effect of Ecotourism Development on Local Community: Focus on Residents` Consciousness Status in Economic,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Journal of regional studies 15(1): 7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Moon, K.W.(2011) A Study on Social and Cultural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Local Residents : Focusing on Kangwon Lan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6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NPRI(2009) Econimic Impacts of National Park Using Regional Input-Ouput Model.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Report, Namwon, Korea, 170pp.
14.NPRI(2010) Econimic Impacts of National Park Using Regional Input-Ouput Model.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Report, Namwon, Korea, 158pp.
15.Segyeilbo(2010) http://www.segye.com/.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