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8-131X(Online)
평창, 영월(강원도)의 석회암 지역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County Pyeong-chang and Yeong-wol including Limestone Regions (Prov. Gangwon-do) from Korea
Abstract
- 26(1)_02-(11-38) 김중현.pdf2.32MB
- 서 론
- 재료 및 방법
- 1. 조사지 개황
- 2. 조사 일자 및 지역선정
- 3. 식물의 동정 및 목록 작성
- 결과 및 고찰
- 1. 관속식물상
- 2. 법적보호종
- 3.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 4. 한국고유종 및 귀화식물
- 5. 석회암지대에 분포하는 특이식물
서 론
한국의 석회암지역은 주로 강원도 남부와 충청북도 북부지방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경북의 울진, 문경, 안동, 충북 괴산, 영동, 전북 진안, 전남 장성, 화순 등지에 산재되어 있다(Park, 1981). 석회암지대의 대부분은 Cambro-Ordovice기에 해당하는 고생대 조선계의 대석회암통(조선누층군)에 속하며, 일부 평안누층군과 시생대의 변성퇴적암층이 협재되어 있다(Park, 1981). 석회암 지역의 토양은 다량의 칼슘과 탄산이온을 함유하고 있어 pH가 높고(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단립구조가 발달하여 배수가 잘되기 때문에 다른 토양보다 쉽게 건조해지는 등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징으로 비석회암지대와는 다른 생태계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oshiok, 1973; Kim et al., 1990; 1991).
석회암 지역 식물상 연구는 교통의 불편과 지리적인 격리 등의 문제로 단양 석회암지대의 토양특성과 식물상조사(Lee, 1991), 단양 도담삼봉 식물상(Lee and Oh, 1970; Chung, 1994), 자병산에 대한 식물상 연구(Hong and Im, 1997), 태화산과 인근산지의 식물상(Oh and Kim, 2001), 삼방산과 인근지역의 식물상(Lee and Heo, 2001), 백덕산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Chang and Kim, 2001; Min et al., 2002), 동강 유역의 식물상(Kim and Han, 1998; Lee et al., 2002; Sun et al., 2002; Lee et al., 2007), 덕항산(강원)의 관속식물상과 식물지리학적 연구(Kim et al., 2005), 동강생태경관 보전지역의 식물상(Hong and Kim, 2008), 서강지역(Kim et al., 2009) 등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병취(Im et al., 1997), 동강할미꽃(Lee, 2000), 동강고랭이(Lee and Oh, 2006), 바위종덩굴(Kim et al., 2009) 등 최근 신종이 연이어 보고되고 있다. 또한 강원도의 평창․영월 지역은 연속적인 석회암 분포를 나타내는 지역 중 하나로 백두대간 서쪽의 석회암 지역 식물상을 밝히는데 있어서 중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창, 영월을 중심으로 석회암지대에 나타나는 식물상을 밝히고 식물지리학적 분포 특이성과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개황
강원도 남부의 평창, 영월 지역은 한국의 대표적인 석회암 지대이다. 평창군은 총 면적 1,464.16㎢로 전국 군 중 3번째로 넓은 지역으로 동쪽으로 정선군, 북동쪽으로 강릉시, 북쪽으로 홍천군, 서쪽으로 횡성군, 남쪽으로는 영월군에 접한다. 북쪽과 서쪽에는 오대산(1,563m), 계방산(1,577m), 태기산(1,261m), 백덕산(1,350m) 등이 솟아 있고, 동쪽에는 황병산(1,407m), 발왕산(1,458m), 가리왕산(1,561m) 등 높고 험한 산들이 연봉을 이루고 있다. 평창군의 연평균기온은 10.3℃, 1월평균기온 -6.3℃, 8월평균기온 24.5℃이고, 연평균강수량은 1,082㎜이다.
한편, 영월군은 면적 1127.42㎢로 북쪽으로 정선군·평창군, 서쪽으로 횡성군·원주시, 남쪽으로 충청북도 제천시·단양군 및 경상북도 영주시·봉화군, 동쪽으로 강원도 태백시에 접한다. 북동부에는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뻗어 있고, 남동부에는 소백산맥이 분기하여 동서로 뻗어 그 산맥의 여파가 군내 각지에 미쳐 산악이 중첩하며, 북서부에 백덕산(1,350m), 북동부에 백운산(1,426m), 두위봉(1,466m) 남부에 태화산(1,027m) 등이 솟아 있다. 한강 지류인 평창강과 주천강이 만나 서강을 이루고 다시 동강이 만나 남한강을 이룬다. 연평균기온 10.8℃, 1월 평균기온 -5.7℃, 8월 평균기온 25.5℃이고, 연 강수량은 1,100㎜로 6∼8월에 3/4이 집중되고 있다.
평창군에서 영월군에 걸쳐 남한강으로 흘러드는 한강의 제1지류인 평창강은 곳곳에서 석회암지대의 특이 지형으로 잘 알려진 Doline, Uavle, Lapie 등이 나타나고 고도(300∼400m)는 높지 않으나 급경사의 산지가 곳곳에 분포하고 있다. 길이 약 65㎞의 동강은 석회암층 지역으로 현재도 하천운동으로 인한 퇴적작용과 침식작용 등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2. 조사 일자 및 지역선정
본 연구는 2010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총 16회 27일간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에서 영월군 영월읍까지의 평창강 유역,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에서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까지의 남한강 상류유역, 그리고 영월군과 단양군의 경계에 위치한 태화산 일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석회암층이 나타나는 강변에서 직경 약 5㎞ 일원의 지천변과 인근산지를 주요 조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주요 조사지역은 평창군 ①대화면 하안미리, ②평창읍 다수리, ③평창 바위공원, 영월군 ④한반도면 한반도지형, ⑤한반도면 후탄리(들골), ⑥남면 토교리, ⑦김삿갓면 대야리(가재골), ⑧영월읍 태화산, 충청북도 단양군 ⑨가곡면 가대리(남한강)로 월 1회 이상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외 지역은 조사기간 중 1∼3회 수행하였다(Figure 1).
Figure 1. Investgation area in Pyeong-chang and Yeong-wol
3. 식물의 동정 및 목록 작성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원칙적으로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을 수집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식물들은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였으며 국립생물자원관 식물건조표본수장고(KB)에 보관하였다. 채집된 표본의 동정은 Lee(1980; 2003), Lee(2006), Lee(1996a; 1996b) Park(1995; 2001; 2009), Oh(2006) 등의 식물도감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조사된 관속식물의 소산식물목록 중 양치식물은 Smith et al.(2006), 나자식물은 Engler(Melchior, 1964)의 체계, 피자식물은 Cronquist(1981)의 분류체계에 따라 작성하였으며, 속이하의 계급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다. 학명 및 국명은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에 준하였다. 또한, 영월, 평창지역의 석회암 식물상 완성을 위해 증거표본이 명시된 백덕산(Chang and Kim, 2001), 삼방산(Lee and Heo, 2001), 태화산(Oh and Kim, 2001), 동강유역(Hong and Kim, 2008)의 식물상을 종합하여 조사목록에 통합하였다. 한국고유종은 Ministry of Environment(2005)에 따랐으며, Lee et al.(2011)에 따라 귀화식물을 구분하였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Ministry of Environment(2006)에 준하였다. 이밖에 Kim et al.(1992)에 의거 호석회식물을 파악하고, 북방계 식물들을 별도 표기하였다(Table 2).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상
평창, 영월 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34과 503속 1,010종 11아종 110변종 10품종 4잡종으로 총 1,14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Table 1). 본 조사 결과는 이전의 문헌자료보다 233분류군이 많으며, 이는 한반도 식물종의 1/4에 해당한다.
Table 1.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Pyeong-chang and Yeong-wol including limestone areas
2. 법적보호종
평창, 영월의 석회암 지역에서 야생동․식물보호법의 보호를 받고 있는 법적보호종으로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인 백부자, 연잎꿩의다리, 산작약, 왕제비꽃, 황기, 단양쑥부쟁이, 층층둥굴레의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Figure 2, Appendix 1).
Figure 2. Protected taxa by law in Pyeong-chang and Yeoung-wol (A: Aconitum coreanum, B: Thalictrum coreanum, C: Paeonia obovata, D: Viola websteri)
백부자(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는 평창 하안미리, 태화산, 계족산 3개의 지역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다. 연잎꿩의다리(Thalictrum coreanum H. Lév.)는 국내에서의 자생지가 강원도 설악산과 평창 대화면 하안미리 2개 지역만 자생지가 알려져 있다. 본 조사에서는 평창 하안미리 지역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다.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은 평창 하안미리, 영월 한반도지형, 장릉 3개의 지역에서 분포를 확인하였고, 왕제비꽃(Viola websteri Hemsl.)은 영월 한반도지형, 태화산 2개의 지역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다.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는 주로 하천의 퇴적지형에 분포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평창강과 남한강의 강변에 넓게 형성된 퇴적지형에서 연속적으로 관찰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서는 영월 한반도지형, 후탄리(들골), 대야리(가재골), 단양군 가곡리 4개 지역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다. 황기와 단양쑥부쟁이는 본 조사에서 확인하지 못했지만 기존 문헌에 동강유역과 남한강에 자생 기록이 있어 목록에 추가하였다.
평창군 하안미리 지역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종인 연잎꿩의다리, 산작약, 백부자가 자생할 뿐 아니라 북방계식물인 노랑투구꽃, 복사앵도, 시베리아살구, 참골담초, 산새콩, 두메애기풀, 자주꽃방망이, 바위솜나물, 왜솜다리, 싸래기사초 등이 함께 관찰되는 식물지리학적 중요한 지역이므로 추가적인 보완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평창, 영월 지역에 분포하는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Ⅴ등급에 금털고사리(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Tagawa) Ohwi), 백부자(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 분홍장구채(Silene capitata Kom.) 등 24분류군, Ⅳ등급에는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큰제비고깔(Delphinium maack-ianum Regel) 등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Ⅲ등급은 애기석위(Pyrrosia petiolosa (H. Christ) Ching), 개버무리(Clematis serratifolia Rehder), 청괴불나무(Lonicera subsessilis Rehder) 등 60분류군이 확인되었고, Ⅱ등급 45분류군, Ⅰ등급 79분류군이 확인되어 전체 238분류군으로 전체의 20.7%에 해당하여 석회암 지역이 식물구계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지역임을 나타내는 결과로 볼 수 있다(Figure 3, Appendix 1).
Figure 3. Some important taxa in Pyeong-chang and Yeong-wol, in floristically (A: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B: Platycladus orientalis, C: Silene capitata, D: Lonicera subsessilis)
Appendix 1. The list of vascular plants in Pyeong-chang and Yeong-wol including limestone areas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4. 한국고유종 및 귀화식물
평창, 영월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고유종은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Nakai), 연잎꿩의다리(Thalictrum coreanum H. Lév.) 등 총 50분류군으로 전체의 4.36%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그 중 줄댕강나무(Abelia tyaihyoni (T. H. Chung ex Nakai)Hisauti & H. Hara)는 충북 단양의 매포가 최초 자생지로 알려졌으며 영월군 남면 토교리에서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국도변에 위치한 개체군의 경우 지속적인 간섭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끈끈이대나물(Silene armeria L.), 수박풀(Hibiscus trionum L.), 붉은토끼풀(Trifolium pratense L.),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 등 82분류군(7.16%)이 조사되었다(Appendix 1). 이러한 결과는 인접한 동강일원의 61분류군(Hong and Kim, 2008, 8.39%)에 비해 낮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본 조사지역의 경우 넓게 형성된 경작지와 주거지역을 포함하고 있고, 다수의 석회석광산과 시멘트공장이 위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평창강을 따라 관광지가 위치하고 있어 귀화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5. 석회암지대에 분포하는 특이식물
평창과 영월, 단양지역은 한반도 중부내륙으로 대석회암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석회암이 가지는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석회암지대에서만 관찰되는 식물이 다수 발견되었다(Figure 4, Appendix 1). 이와 더불어 일부 북방계식물 또는 해안성 식물이 평창강, 남한강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하안 단애와 단구에 인접한 지역에서만 관찰되었다. 본 조사에서 석회암지대에 특이하게 분포하는 식물은 총 53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2).
Figure 4. Unique distribution plants in Pyeong-chang and Yeong-wol (A: Cyrtomium fortunei, B: Asplenium ruta-muraria, C: Carpinus turczaninowii, D: Prunus choreiana, E: Caragana koreana, F: Polygala tatarinowii)
Table 2. The list of the unique distribution plants investigated in limestone areas
이 중 석회암 지역에서 주로 분포가 확인되는 식물로 바위틈고사리(Dryopteris goeringiana (Kunze) Koidz.), 산토끼고사리(Gymnocarpium jessoense (Koidz.) Koidz.),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덕우기름나물(Peucedanum insolens Kitag.) 등 3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히 덕우기름나물(Peucedanum insolens Kitag.)은 일본의 식물학자 Kitagawa(1972)에 의해 신종으로 발표된 한국고유종이다. 최근까지 덕우기름나물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식물 분포와 같은 기초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최초 채집지는 강원도 평창군 덕우산이며, 주로 강원도 일대의 석회암지대에서만 분포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기름나물속에 속하는 다른 종들과 달리 근생엽과 경생엽이 달리는 화서가 뚜렷히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북한이 자생지로 알려진 북방계 식물인 넓은잎제비꽃(Viola mirabilis L.), 복사앵도(Prunus choreiana Nakai ex H. T. Im), 참골담초(Caragana koreana Nakai), 산분꽃나무(Viburnum burejaeticum Regel & Herd) 등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최후빙기 이후 기후변화에 따른 천이과정에서 식생 경쟁과 종의 생식 능력 및 산포의 취약성 등의 원인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거나 단편화되면서 석회암지대의 특이한 환경에 적응하여 격리 분포를 보이는 종으로 추정된다(Kim et al., 2005).
아울러, 남해안이나 서해안 등이 주 자생지인 쇠고비(Cyrtomium fortunei J. Sm.),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wii Hance), 대나물(Gypsophila oldhamiana Miq.)등이 본 지역에서 넓은 분포역을 가지고 있는 것도 특이할 만 하다.
- 26(1)_02-(11-38) 김중현.pdf2.32MB
Reference
2.Chung, G.Y.(1994) A study on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nd con-servation in Todam Sambong area, limestone region. Bull. KACN. 13: 99-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Cronquist, A.(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1,262pp.
4.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482pp.
5.Hong, H.H. and H.T. Im(1997) A Floristic and Conservational Study on Mt. Chabyong. Bull. KACN 16: 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Hong, M.P. and Y.C. Kim(2008) A study on the flora of Nature con-servation area in Dong river.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66pp. (in Korean)
7.Im, H.T., H.H. Hong and C.I. Choi(1997) Saussurea cha-byoungsanica Im (Compositae), a New Species from Mt. Chabyoung-san, Korea. J. Plant Biol. 40(4): 288-290.
8.Kim, C.H. and M.K. Han(1998) The Flora of Dong river area.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pp. 109-156. (in Korean)
9.Kim, J.H., H.T. Mun and Y.S. Kwak(1990)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Limestone Areas. Korean J. Ecol. 13(4): 285-2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Kim, J.H., H.T. Mun and Y.S. Kwak(1991)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Chinese Cork Oak (Quercus variabilis) Forests in Limestone Area. Korean J. Ecol. 14(2): 159-169.
11.Kim, J.H., Y.S. Kwak and H.T. Mun(1992) Classification of Calcicoles and Calcifuges on the Basis of the Ratio of Soluble to Insoluble Ca2+ and Mg2+ in the Leaves. Korean J. Eco. 15(3): 311-328.
12.Kim, J.S., B.C. Lee, J.M. Chung and J.H. Pak(2005) Flora and Phytogeography on Mt. Deokhang (Gangwon-do), Limestone area in Korea. Korean J. Pl. Taxon. 35(4): 337-3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Kim, J.S., J.M. Chung, S.Y. Kim and J.H. Pak(2009) Clematis cal-cicola J. S. Kim: A new species of Clematis sect. Atragene (Ranunculaceae)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39(1): 1-3.
14.Kim, Y.C., H.H. Chae, J.W. Yoon, J.H. Kwak and H.S. Jeon(2009) The Flora of Seo river in Yeongwol. Korea Botanical Garden, pp. 1-51. (in Korean)
15.Kitagawa, M.(1972) Notulae fractae ob flora Asiae orientalis (29). J. Jap. Bot. 47: 355-357.
16.Lee, H.J., M.P. Hong, H.J. Jang and M.J. Jang(2007) Survey on the Ecosystem of Nature conservation area in Dong river.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pp. 15-52. (in Korean)
17.Lee, H.S.(1991) Studies on the Characters of Soil and Flora on Limestone Area, Danyang. Seowon Univ. J. Basic Sciences 5: 67-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791pp. (in Korean)
19.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Ⅰ, Ⅱ. Hyangmunsa, Seoul, 914pp, 910pp. (in Korean)
20.Lee, W.B., Y.M. Jeon and C.I. Choi(2002) Flora in the Dong River Valley, Korea. Korean. J. Limnol. 35(5): 396-4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Lee, W.T. and K. Heo(2001) The Flora of Mt. Sambang(979m) and Its adjacent regions.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pp. 86-145. (in Korean)
22.Lee, W.T.(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855pp. (in Korean)
23.Lee, W.T.(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1,688pp. (in Korean)
24.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Lee, Y.N. and Y.C. Oh(1970) Flora of Dodamsambong area of Tanyang. J. Korean Res. Inst. Better Living(Ewha Women's Univ.) 5: 101-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Lee, Y.N. and Y.C. Oh(2006) A new genus and a new species of Cyperaceae. Bull. Korea Pl. Res. 6: 24-26.
27.Lee, Y.N.(2000) Pulsatilla in Korea. Bull. Korea Pl. Res. 1: 1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Lee, Y.N.(2006) New Flora of Korea Ⅰ, Ⅱ. Gyohaksa, Seoul, 974pp, 885pp. (in Korean)
29.Melchior, H.(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Gebruder Borntraeger, Berlin-Nikolasse, 666pp.
30.Min, W.K., C.S. Chang, J.I. Jeon, H. Kim and D.Y. Choi(2002) Flora of Mt. Baek-deok-san. Bull. of Seoul Nat'l Univ. Arboretum 22: 20-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Ministry of Environment(2005) Endemic species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pp. 325-417. (in Korean)
32.Ministry of Environment(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pp. 114-155. (in Korean)
33.Oh, B.U. and Y.S. Kim(2001) The Flora of Mt. Taehwa.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pp. 72-114. (in Korean)
34.Oh, Y.C.(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757pp. (in Korean)
35.Park, B.S.(1981) A study on the Phytogeography of Limestone Caverns in Korea. Hansa Univ. 11: 55-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Park, S.H.(1995) Colou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 of Korea. Ilchokak, Seoul, 371pp. (in Korean)
37.Park, S.H.(2001) Colou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 of Korea(Appendix). Ilchokak, Seoul, 178pp. (in Korean)
38.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pp. (in Korean)
39.Smith, A.R., K.M. Pryer, E. Schuettpelz, P. Korall, H. Schneider and P.G. Wolf(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 705-731.
40.Sun, B.Y., J.O. Hyun, C.H. Kim and J.K. An(2002) Report on the Ecosystem of Dong River area. Ministry of Environment, pp. 115-134. (in Korean)
41.Yoshiok, K.(1973) Plant geography. Kyoritsu Shup Pan Co. Ltd., Tokyo, 83pp. (in Jap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