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6 No.2 pp.139-155
DOI :

전남 가거도의 식물상

윤경원2, 황용3, 소순구3, 김무열3*
2순천대학교 한약자원학과, 3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생물다양성연구소
가거도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한국의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가거도의 관속식물은 93과 246속 289종 7아종 36변종 9품종으로 총 34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열매가 노란색인 참식나무의 새로운 품종이 발견되어 노랑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Bl.) Koidz. for. koreana M. Kim 라고 명명하였다. 가거도의 특산식물은 흑산도비비추, 처진물봉선, 새끼노루귀, 개족도리풀 등 8종이 발견되었으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박달목서와 으름난초 등 3종이 발견되었다. 식물지리학적으로 흥미있는 종은 푸른가막살, 가거꼬리고사리, 가거애기닥나무 등 9종이다. 귀화식물은 11종이며 귀화율은 3.2%이다.

Flora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Korea

Muyeol Kim3*, Kyeong-Won Yun2, Yong Hwang3, Soonku So3
3Dept. of Biological Sciences and Korean Institute for Biodiversity Research, Chonbuk Natioanl Univ.
2Dept. of Oriental Medicine Resources, Sunchon National Univ.
Received 18 November 2010, Revised(1st: 16 November 2011, 2nd: 8 April 2012), Accepted 9 April 2012

Abstract

Vascular plants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August, 2005 to August, 2011. In the result of survey, the flora of this island consists of 341 taxa totally; 93 families, 246 genera, 289 species, 7 subspecies, 36 varieties and 9 forms. Yellow-fruit bearing plants of Neolitsea sericea which were found in this island are newly named as Neolitsea sericea (Bl.) Koidz. for. koreana M. Kim. There were 8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Hosta yingeri, Impatiens furcillata, Saussurea pseudo-gracilis, etc. Also 3 Korean endangered species which is designating by Ministry of Environment such as Osmanthus insularis and Cyrtosia septentrionalis and 9 rare and remarkable species such as Viburnum japonicum, Asplenium yoshinagae, Broussonetia kazinoki for. koreana, etc. were found in this island. Furthermore, 11 taxa of naturalized plants (3.2%) were also observed in this island.

kjee-26-2-1-f1.jpg86.8KB

서 론

가거도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며, 북위 34° 04', 북위 125° 07'에 위치하는 한국의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본 섬은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으며 북쪽에 639m인 독실산이 위치하고 있다. 가거도는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황칠나무, 감탕나무, 굴거리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상록활엽수림이 잘 보전되어 있는 섬이다. 

가거도에 관한 식물학적 연구는 기초적인 식물상과 식생에 대한 연구(Chung and Hong, 1954; Lee and Kim, 1987; Kim and Park, 1988; Im and Kim, 1994)와 가거도에만 서식하는 미기록종인 푸른가막살(Viburnum japonicum (Thunb.) Sprengel)를 처음으로 보고한 연구가 있다(Hong and Im, 2003). 또한 Lee et al.(2008)은 꼬리고사리과의 미기록종인 거거꼬리고사리(Asplenium yoshinagae Makino)를 발견하여 보고한 바 있다. 최근에는 한지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꾸지나무(B. papyrifera)와 애기닥나무(B. kazinoki)의 자연교잡종인 닥나무(Broussonetia × hanjiana M. Kim)의 자생지가 이곳 가거도에서 발견되었다(Yun and Kim, 2009). 이같은 단편적인 연구이외에 가거도의 식물상에 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최서남단인 가거도의 관속식물상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을 비롯하여 특산식물에 관한 종보전 전략을 세우는데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본 조사는 2005년 8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가거도의 독실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조사경로는 가거1구 - 회룡산 - 가거2구 - 독실산 - 거거3구 - 등대로 이루어졌다(Figure 1). 

Fig. 1.Location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Korea

조사한 종들은 종별로 1개이상의 확증표본을 제작하였으며, 분포학적으로 흥미있는 종들은 GPS 위치정보와 종특이적인 생태정보를 수집하였다. 증거표본은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표본실(JNU)에 보관하였다. 조사지에서 동정된 일부의 종은 증거표본없이 목록에 추가하였다. 

조사된 관속식물의 목록은 한반도속식물지(F. K. E. C., 2007)의 배열에 따라 작성하였으며, 속이하의 범주는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다. 학명과 국명도 한반도속식물지(F. K. E. C., 2007)에서 제시한 것을 따랐다. 한국특산식물은 Kim(2004)이 제시한 목록에 의해 분류하였다. 멸종위기식물은 환경부의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목록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으며(Kyohaksa, 2005), 희귀식물은 산림청지정 희귀식물 목록(Korea Forest Service, 2008)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Kim(2000)의 분류를 따랐다. 또한 귀화식물은 한국의 귀화식물(Park, 2009)에 의해 분류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가거도의 식생 및 종다양성

가거도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한국의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본 섬은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으며 북쪽에 639m인 독실산이 위치하고 있다. 가거도는 상록활엽수림이 잘 보전되어 있는 섬이다. 교목층은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황칠나무, 감탕나무, 굴거리나무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관목층은 동백나무, 광나무, 사스레피나무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이곳의 초본층은 개족도리풀, 새끼노루귀, 섬사철란, 겨울딸기, 백화등, 송악, 자금우, 밀사초 등이 자라고 있다. 

거거도의 식물상에 대해 Chung and Hong(1954)은 247분류군, Lee and Kim(1987)은 439분류군, Kim and Park (1988)은 647분류군, Im and Kim(1994)은 616종으로 발표하였으나(Table 1), 이번 조사를 통해 가거도의 관속식물은 93과 246속 289종 7아종 36변종 9품종으로 총 34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Appendix 1). 이처럼 학자마다 종수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섬지방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조사기간이 짧고, 학자마다 종동정을 세분한 경우도 있고, 재배식물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1.Comparison on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in Island Gageo, Korea

2. 가거도의 신분류군

Neolitsea sericea (Bl.) Koidz. for. koreana M. Kim for. nov. Figure 2-A
Korean name: 노랑참식나무 Norang-Chamsiknamu
English name: Yellow Japanese Silver Tree
    Forma affinis Neolitsea sericea, sed differt a forma fructus aurea.
    This form looks like Neolitsea sericea, but it has a yellow fruits.
Type Locality: Is. Gageo, Province Jellonamdo, Korea.
Holotype: M. Kim 10005. Dec. 8. 2008. Herbarium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NU). Is. Gageo in Korea. 

비고: 노랑참식나무는 참식나무와 똑같은 외부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단지 열매가 빨강색 대신에 노랑색으로 성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신품종은 가거도 주민인 임진욱씨가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3. 가거도의 한국특산식물

Fig. 2.Some remarkable taxa in Island Gageo (A: Neolitsea sericea (Bl.) Koidz. for. koreana M. Kim, B: Hosta yingeri S. B. Jones, C: Impatiens furcillata Hemsl., D: Viburnum japonicum (Thunb.) Sprengel)

Kim(2004)에 의해 분류한 한국의 특산식물 472종중 8종이 이곳 가거도에 자라고 있다. 
1)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 S. B. Jones): 흑산도비비추는 흑산도의 주변 섬인 홍도와 장도를 비롯하여 이곳 가거도에도 수십개체가 독실산 주변에 자라고 있다(Figure 2-B).
2) 처진물봉선(Impatiens furcillata Hemsl.): 처진물봉선은 그동안 거제물봉선으로 알려진 종으로 거제도와 함께 이곳 가거도의 독실산주변에 수십개체가 작은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다(Figure 2-C).
3) 가야산은분취(Saussurea pseudo-gracilis Kitamura): 가야산은분취가 이곳 가거도의 독실산 암벽에 수십개체가 자라고 있다.
4) 개족도리풀(Asarum sieboldii for. maculatum (Nakai) Yamaji): 개족도리풀은 제주도와 남쪽 섬에만 분포하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가거도의 독실산 주변에 수백개체가 분포하는 개족도리풀은 제주도와 남쪽 섬들의 군락과는 달리 잎에 무늬가 전혀 없는 개체들로 이루어져 있어 매우 흥미롭다.
5) 새끼노루귀(Hepatica insularis Nakai): 새끼노루귀는 제주도와 남쪽 섬에만 분포하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6) 홍도원추리(Hemerocallis hongdoensis M. G. Chung & S. S. Kang): 홍도원추리는 홍도와 흑산도를 비롯하여 이곳 가거도에서도 자라고 있다.
그 외 황칠나무(Dendropanax trifidus var. morbiferum (Levl.) M. Kim)와 소사나무(Carpinus turczainovii for. coreana (Nakai) M. Kim)가 자라고 있다. 

4. 가거도의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

2005년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식물 I급과 II급 64종중 3종이 가거도에서 자라고 있다.
1) 박달목서(Osmanthus insularis Koidz.): 박달목서는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2급에 속하는 식물이다. 현재까지 거문도에 커다란 군락을 이루고 있고, 제주도는 몇 개체가 자라고 있다(Lee, 2009). 이번조사를 통해 가거도의 동쪽사면에 소수의 개체들이 자라고 있음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2) 으름난초(Cyrtosia septentrionalis (Rchb. f.) Garay): 으름난초는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2급에 속하는 식물이다. 독실산의 정상부위에서 자라고 있다. 그 외 풍란(멸종위기종 1급)이 아주 드물게 자라고 있다.
2008년 산림청지정 희귀식물 571종중 갈사초, 개족도리풀, 처진물봉선, 금새우난초, 꼬마은난초, 나도생강, 낚시돌풀, 눈향나무, 박달목서, 백량금, 새우난초, 석곡, 으름난초, 혹난초, 흑산도비비추 15종을 가거도에서 확인하였다.

5. 가거도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가거도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중 I등급은 후박나무를 포함하여 43분류군, II등급은 육박나무를 포함하여 3분류군, III등급은 겨울딸기를 포함하여 27분류군, IV등급은 흑산도비비추를 포함하여 3분류군, V등급은 박달목서를 포함하여 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Table 2. The list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 in Island Gageo, Korea

6. 가거도의 식물지리학적으로 흥미있는 종

이번 조사를 통해 전남 가거도의 자생식물중 식물지리학적으로 흥미있는 식물로 9분류군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은 한국특산식물, 산림청지정 희귀식물(Korea Forest Service, 2008),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Kim, 2000)에 포함되는 식물들이다.
1)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var. maki Siebold): 나한송은 Kim and Park(1988)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된 나한송과의 종이다. 본 종은 일본과 중국이 원산지인 난대성 종으로 제주도에 도입되어 일부 식재되어 있을 뿐인데, 최서남단 섬인 가거도 2구에 자라고 있어 흥미롭다.
2) 눈향나무(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 눈향나무는 제주도 한라산에서 볼 수 있는 식물로 이곳 가거도에서도 자라고 있어 식물지리학적으로 흥미롭다.
3) 푸른가막살(Viburnum japonicum (Thunb.) Sprengel): 푸른가막살은 Hong and Im(2003)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된 인동과의 미기록종이다. 이곳 가거도가 세계적으로 푸른가막살 분포의 북한계이다(Figure 2-D).
4) 가거꼬리고사리(Asplenium yoshinagae Makino): 거거꼬리고사리는 Lee et al.(2008)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된 미기록종이다. 이곳 가거도가 가거꼬리고사리 분포의 북한계이다.
5) 갈사초(Carex ligulata Nees.): 갈사초는 백양사초로 알려졌던 종으로 전남 백양사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이곳 가거도의 숲속에서도 관찰되어지는 상록성 다년생 초본이다.
6) 닥나무(Broussonetia x hanjiana M. Kim): 닥나무는 꾸지나무(B. papyrifera)와 애기닥나무(B. kazinoki)의 자연교잡종으로 추정되는 자웅이주 식물이다. 닥나무는 한국의 전통종이인 한지를 만드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그동안 밭뚝에서 재배되어져와 자생지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가거도에서 자생지를 처음으로 발견하였다(Yun and Kim, 2009).
7) 가거애기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for. koreana M. Kim): 애기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bold)와 외부형태가 비슷하나, 자웅이주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가거애기닥나무가 가거도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Yun and Kim, 2009).
8) 윤판나물아재비(Disporum sessile D. Don): 윤판나물아재비는 제주도와 울릉도에서 볼 수 있는 식물로 이곳 가거도에서도 자라고 있어 식물지리학적으로 흥미롭다.
9)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Y. S. Kim & J. H. Kim): 섬회양목은 회양목과 달리 잎이 크고 원형인 특징에 의해 구별된다. 가거도의 상록활엽수림중 관목층을 형성하고 있다.
그 외 자리공(Phytolacca acinosa Roxb.), 나도생강(Pollia japonica Thunb.) 등이 자라고 있다.    

7. 가거도의 귀화식물

가거도의 귀화식물은 1구 주변처럼 자연식생이 교란된 곳에 방가지똥, 개불알풀 등이 우점을 이루고 있다. 그 외 미국자리공, 개자리, 선인장, 서양메꽃, 창질경이, 개망초, 방가지똥, 서양민들레, 빕새귀리 총 11종이 조사되었다. 전체 조사종의 3.2%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아주 낮은 귀화율을 보였다.

8. 가거도의 종보전전략

가거도는 한국의 최서남단에 위치하며,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황칠나무, 감탕나무, 굴거리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이 잘 보전되어 있는 섬이다. 이처럼 울창했던 상록활엽수림이 과거에는 화목이나 숯을 만들기 위해 훼손되었으나, 지금은 후박나무의 수피를 채취하기 위해 자연림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직도 상록활엽수림이 잘 보전되어 있는 독실산 정상 주변에서 등대까지의 지역(Figure 1)을 우선적으로 야생식물보전지역이나 국립공원지역으로 지정하여 법적으로 보호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번조사를 통해 환경부 멸종위기종인 박달목서 군락이 발견된 1구 동쪽해안 절벽주변의 자연림(Figure 1)도 시급하게 보존되어야 할 서식지이다. 가거도의 희귀식물중 박달목서는 개체수가 적고 후박나무 수피채취로 인하여 서식지가 파괴될 가능성이 많은 멸종위기종이다. 따라서 박달목서의 서식지 보존에 의한 종보전 전략이 특별히 요구된다.

노랑참식나무는 가거도에서 발견된 개체수가 1그루밖에 없고 서식지도 도로주변에 있어 절실히 보호가 요구된다. 한국에서 가거도에만 분포하는 푸른가막살나무는 후박나무 수피채취로 서식지가 파괴되거나 잡목으로 제거되는 상황에 처해있어 주민들의 자연생태교육이 요구된다. 따라서 후박나무 수피채취는 특정한 지역을 정해서 그곳에서만 채취가 이루워지도록 해야 가거도의 자연식생이 보전될 것으로 사료된다.

Appendix 1. The list of the vascular plants in Island Gageo, Korea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Reference

1.Chung Y.H. and S.W. Hong(1954) Flora of Sohuksando. Biological Research 1(1): 19-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1,482pp.
3.Hong, H.H. and H.T. Im(2003) Viburnum japonicum (Caprifoliaceae):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Kor. J. Plant Tax. 33(3): 271-2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Im, B.S. and H.S. Kim(1994) Studies on flora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Sohuksando Island. 93' Regional Research Report of Natural Environment, pp. 43-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Kim, C.H.(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Kim, C.S. and Y.W. Park(1988)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ohuksan-do. Bull. Inst. Litt. Biota (Mokpo Nat. Univ.) 2: 1-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Kim, M.Y.(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408pp. (in Korean)
8.Korea Forest Service(2008) http://www.nature.go.kr.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Korean)
9.Kyohaksa(2005) Korean Endangered Wild Animal․Plants. Kyohaksa, Seoul, 150pp. (in Korean)
10.Lee, C.S., J.O. Kim and N.S. Lee(2008) First report of Asplenium yoshinagae (Aspleniaceae) from Korea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based on morphology. Kor. J. Plant Tax. 38(2): 79-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Lee, J.H.(2009) A study on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Osmanthus insularis Koidzumi in Korea. Master degree, Chungnam Nat'l Univ., 3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Lee, J.S. and C.S. Kim(1987) Vegetation of Huksan Archipelago. The Report of the KACN 6: 135-1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pp. (in Korean)
14.Yun, K.W. and M.Y. Kim(2009) Taxonomic study of Broussonetia (Moraceae) in Korea. Kor. J. Plant Tax. 39(2): 8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