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6 No.5 pp.801-811
DOI :

도시공원의 토지피복 및 식재구조에 따른 온도 영향요인 규명 연구1 - 성남시 분당구 중앙공원을 사례로 -

기경석2, 한봉호3, 허지연4*
2도시생태학연구센터, 3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4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토지피복 및 식재구조에 따른 온도 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성남시 분당구 중앙공원을 대상으로 전 지역에 대한 토지피복 및 식재현황을 파악하였으며 30개의 조사구를 설정하여 정밀 토지피복 및 식재구조를 파악하고 온도는 10회 반복 측정하였다. 온도 영향요인은 토지피복유형, 식재유형, 층위구조, 녹지량(녹피율, 녹지용적계수)을 선정하여 실측 온도와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지피복유형, 식재유형, 층위구조와 실측 온도와의 분산분석 결과, 토지피복유형에서 목본 식재지는 저온역으로 초지와 포장지는 고온역으로 구분되었다. 식재유형은 침엽수 및 활엽수 식재지는 저온역으로, 초지와 포장지는 고온역으로 구분되었다. 층위구조는 교목층과 교목층+하부식재 유형은 저온역으로, 초지와 포장지는 고온역으로 구분되었다. 녹지량과 실측 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는 모두 실측 온도값과 고도의 음(-)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녹지량과 실측 온도와의 회귀모형에 의하면 녹피율은 1% 증가할 때마다 -0.002℃, 녹지용적계수는 1㎥/㎡ 증가할 때마다 -0.122℃의 온도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f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and Cover and Planting Structure in the City Park1 ‐ A Case Study of Central Park in Bundang‐gu, Seongnam ‐

Ji-Yeon Hur4*, Kyong-Seok Ki2, Bong-Ho Han3
4Graduate School, Univ. of Seoul
2Urban Ecology Research Center, 3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 of Seoul
Received 7 October 2012, Revised(1st: 29 October 2012), Accepted 30 October 20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land cover and planting of an urban park influence temperature. Field research on the land cover and planting status was conducted for Bundang Central Park in Sungnam-si. 30 study plots in the site were selected to closely analyze land cover type and planting structure.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10 times for each plot. Land coverage type, planting type, planting layer structure and green space area (the ratio of green coverage, GVZ) were chosen as factors impacting temperature and statistics were analyzed for the actual temperature measured. Analysis on how the land coverage type influences temperature showed that planting site had a low temperature and that grassland and paved land had a high temperature. When it comes to planting type, the temperature at the land planted with conifers and broad-leaved trees was low, while the temperature at grassland and paved land was high. With regard to planting layer structure, canopy and canopy-underplanting type showed low temperature, while grassland and paved land showed high temperature. An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rea and temperature found out that both ratio of green coverage and GVZ had a high level of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emperature measured. According to regression model of green space area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for every 1% increase in the ratio of green coverage, temperature is expected to lower by 0.002℃. Also, for every 1㎥/㎡ increase in GVZ, temperature is expected to go down by 0.122℃.

서 론

26(5)-15 KE2012-85 허지연.pdf3.07MB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인구가 급증하고 시가화구역이 확대되었으며 도심 내 녹지는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 녹지로 파편화되었다. 최근 우리나라 도시지역은 토지이용이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지표면의 인위적 변화는 도시기온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Ki, 2006). 도시 녹지는 기온을 감소시키고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등 도시의 인공적인 기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Bernatzky, 1982), 도심 내 인공열의 증가와 녹지의 파편화에 따른 도심열섬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요즘 토지피복 및 녹지에 의한 기온 영향 요인을 밝히는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도시 녹지의 미기후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 왔다. Ki(2006)는 대규모 도시개발에 따른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변화와 온도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녹지율이 10% 증가할 때마다 -0.430℃만큼의 온도저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Yoon and Kim(2008)은 자연피복율이 10% 상승하면 기온은 0.1~0.2℃ 감소하는 관계를 나타낸다고 하였으며, Jo and Ahn(2009)은 식생체적의 10% 증가는 기온을 약 0.14℃ 감소시킨 반면, 건물체적의 10% 증가는 기온을 0.26℃ 증가시키는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도시온도 저감 요인으로는 Cho et al.(2009)은 식재지와 수면, 초지는 기온을 저감시키고 나지, 포장지, 건폐지는 기온을 상승시킨다고 하였다. Yoon et al.(2006)은 식재지가 초지보다 기온저감효과가 크다고 하였으며, 식재지의 층위구조와 기온간의 관계 연구에서는 단층림보다 2~3층의 식재구조가 기온저감효과가 더 높다고 하였다(Yoon, 2001a; 2001b; 2002; 2003; 2004; Yoon and Kim, 2002). 기온은 지표면 피복 재료에 따라 온도 차이가 나며(Lim et al., 2008) 녹지율, 녹피율, 녹지용적 모두 온도값과 음의 상관관계이고(Hong et al., 2005), Yoon(2000)은 도시열섬화 현상에 대한 온도 저감을 시키는 요인으로 수림지 비율 및 초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기온이 저하된다고 하였다. 그 중 교목, 아교목 순으로 수목주수의 증가가 기온저감에 유효하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 연구는 녹지의 양적 증가에 따른 온도 저감 효과, 녹지구조와 온도와의 관계, 토지피복 재료에 따른 온도와의 관계 등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본 연구 또한 도심 내 조성형 녹지의 온도 저감 요인을 밝히는 기존의 연구와 맥락을 함께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중앙공원 내 식재지를 대상으로 토지피복 및 식재구조에 따른 온도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실측 자료로 유용할 것이며, 향후 신규 녹지 조성 시 도시온도 저감을 위한 정량적 녹지량을 제안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1) 대상지 개요

 중앙공원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65일대에 위치하며 면적은 470,560㎡이다. 중앙공원은 계획도시 내부의 근린공원으로서 대상지 남측에는 불곡산이 있으며, 남북으로 탄천이 흐르고 동서로는 대상지 내를 관통하는 분당천이 흐르고 있어 분당의 중심녹지축으로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중앙공원은 중심부에 잔존산림인 영장산(해발고 88m)을 정상으로 분당천 주변 평지에 시설지와 대면적의 조경수가 분포하고 있다. 중앙공원은 포장지, 식재지, 초지 등 다양한 유형의 피복지 및 식재지를 지니고 있어 토지피복 및 식재구조에 따른 온도 영향요인 규명에 적합한 대상지 이었다(Figure 1).

Figure 1. Location of study area

2) 조사구 설정

 도시공원의 토지피복 및 식재구조에 따른 온도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중앙공원의 녹지지역과 포장지역을 대상으로 30개의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조사구 설정은 대상지 내 온도 값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 요소를 토지피복유형, 식재유형, 층위구조, 녹지량(녹피율 및 녹지용적계수)을 고려하였으며, 중앙공원 전 지역에 조사구가 고루 분포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Figure 2).

Figure 2. Location of plot in Bundang Central Park

2. 조사분석 방법

1) 토지피복 및 식생분포 현황

 1/1,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중앙공원 전체 지역의 토지피복 현황과 식생분포 현황을 도면으로 작성하였다. 토지피복 현황은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와 포장지로 구분하였고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산림, 식재지, 초지, 수공간으로 포장지는 포장지와 기타공간으로 세분한 후 도면화하고 면적 및 비율을 산출하였다. 식생분포 현황은 식재지와 기타지역으로 구분하였고 식재지는 침엽수 식재지, 활엽수 식재지, 관목 식재지, 초지로 기타지역은 잔존 산림과 기타(수면, 건폐지, 포장지)로 세분하였다. 식생분포 현황은 교목층 수종의 식생상관(vegetational physiognomy)에 따라 중앙공원 전체 지역의 식재유형 현황을 도면으로 작성하였으며, 면적 및 율을 산출하였다.

2) 온도 영향요인 분석

 조사구별 온도 영향요인으로 토지피복유형, 식재유형, 층위구조, 녹지량(녹피율 및 녹지용적계수)을 분석하였다. 토지피복유형은 선행연구(Cha et al,. 2006; Cho et al., 2009; Yoon et al., 2006; Ahn et al., 2007)를 바탕으로 목본식재지, 초지, 포장지로 분류하였다. 식재유형은 수종에 따라 침엽수, 활엽수, 초지, 포장지로 분류하였다.

 층위구조는 조사구 내 층위별 식생 피복률을 준으로 교목층, 교목층+하부식재, 초지, 포장지로 구분하였다. 층위구조 구분은 흉고직경(DBH) 2㎝ 이상의 수목군을 교목층으로, 2㎝ 이하를 관목층으로 하였고, 교목층은 다시 위치에 따라 교목층, 아교목층으로 나누었다(Lee and Han, 1998; Monk, 1969).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유무는 식피율을 고려하여 30%를 기준으로 하였다(Kwon, 2003; KICT, 2000).

 녹피율은 조사구 내 수목의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을 기준으로 조사구 면적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잔디식재지의 피복률은 현장조사를 통해 비율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녹지용적계수(GVZ: Grüvolumenzahl)는 단위면적당 수관용적의 합계를 나타낸 것이다(Kim, 2012). 녹지의 용적량에 따라 온도값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녹지의 풍부함을 비교하기 위한 정량적 자료를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당 평균적인 녹지용적(㎥/㎡)으로서 녹지용적계수를 분석하였다(Table 1).

Table 1. Equation of greenspace quantity

3) 온도 실측

 대상지의 기상현황 파악을 위해 주변으로부터의 영향이 적은 공원 중심부 잔디식재지에 AWS(Automatic Weather System)를 설치하였다. AWS 측정은 2011년 8월 29일 온도가 높은 시간대인 오후 3시부터 4시까지 1시간 동안 풍향, 풍속, 온도, 습도를 측정하였다. 조사구별 온도 실측은 TES-1341 계측기 5개를 사용하여 지상 1.5m에서 측정하였다. 온도 실측은 AWS 측정과 동일한 오후 3시부터 4시까지 1시간 동안 계측기 5대를 사용하여 동시간대에 측정 지점별로 10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Table 2).

Table 2. Meteorological instrument status

4) 온도 영향요인 규명

 중앙공원의 토지피복 및 식재구조에 따른 온도 영향요인 규명을 위하여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토지피복유형, 식재유형, 층위구조는 총 30개소 조사구 내에서 명목변수로서 온도 값과의 관계분석을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토지피복유형은 목본식재지, 초지, 포장지, 식재유형은 침엽수, 활엽수, 초지, 포장지, 층위구조는 교목층, 교목층+하부식재, 초지, 포장지의 유형별 평균 온도 값을 비교분석하여 유사한 그룹과 상이한 그룹을 분류하였다. 녹지량(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은 연속형 변수로 온도 값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피어슨의 단순 상관계수(Peason's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고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유무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가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토지피복 현황

 중앙공원 전체 지역의 토지피복 현황을 분석한 결과,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전체의 85.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산림인 영장산이 50.2%를 차지하여 가장 넓었고 조경수식재지가 31.3%로 비교적 넓게 분포하였다. 그 외 잔디식재지를 비롯한 초지와 수공간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포장지는 전체 면적의 13.8%로 불투수포장지, 틈새투수포장지 등 포장지가 12.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건폐지, 시설지 등 기타 지역(1.3%)이 일부 분포하고 있었다(Table 3, Figure 3).

Table 3. Area and ratio per land coverage type in Bundang Central Park

Figure 3. Land coverage type of Bundang Central Park

2. 식생분포 현황

 중앙공원의 식생분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조경수식재지는 소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등 침엽수 식재지 6.5%, 느티나무, 자작나무 등 활엽수 식재지 15.1%, 관목 식재지 4.4%, 초지 5.1%로 전체 면적의 31.1%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타 지역은 전체의 68.9%로 수공간과 건폐지, 포장지 등 기타지역 17.6%, 잔존산림 51.3%로 분포하고 있었다(Table 4, Figure 4).

Table 4. Area and ratio per planting type in Bundang Central Park

Figure 4. Planting type of Bundang Central Park

3. 온도 영향요인 분석

 Table 5는 조사구별 온도 영향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조사구의 토지피복유형은 목본식재지, 초지, 포장지로 구분하였다. 초지는 조사구 12, 20으로 2개소, 포장지는 조사구 01, 19, 27, 29로 4개소이었고 나머지 24개 조사구는 수목이 식재된 목본식재지이었다. 식재유형은 4가지 유형으로 침엽수, 활엽수, 초지, 포장지로 구분하였다. 소나무, 메타세콰이아, 스트로브잣나무, 전나무, 리기다소나무 등의 수종이 식재되어 있는 조사구는 침엽수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느티나무, 단풍나무, 물박달나무, 참나무류, 자작나무, 벚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는 조사구는 활엽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잔디식재지는 초지로 구분하였으며, 식생이 없는 포장지역은 포장지로 구분하였다. 층위구조 유형은 교목층, 교목층+하부식재, 초지, 포장지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층위구조의 교목층 유형은 조사구 19개로 가장 많은 조사구가 해당되었으며, 교목층+하부식재 유형은 5개 조사구가 해당되어 대부분 하부 관목층에 철쭉류가 식재된 지역이었다. 잔디식재지는 초지로 분류하였으며, 포장지역은 포장지로 구분하였다.

Table 5. Influence temperature type per study plot

 총 30개의 조사구 중 식재지의 조사구별 녹피율 및 녹지용적계수를 산정하였다. 조사구별 녹피율은 56.4~339.1%로 분포하였으며, 평균 96.5%이었다. 녹피율이 가장 높은 조사구는 녹피율 339.1%로 교목층에 소나무가 식재되어 있고 하부는 나지 형태인 조사구 26이었다. 조사구 10, 28은 스트로브잣나무가 밀식되어있고 하부가 나지 형태로 녹피율은 각각 277.9%, 302.2%로 비교적 높았다. 잔디식재지와 포장지역을 제외하고 녹피율이 가장 낮은 조사구는 소나무와 철쭉류 식재지인 조사구 18 지역이 녹피율 56.4%로 낮았다. 녹지용적계수는 0.5〜6.4㎥/㎡이었으며, 평균 2.7㎥/㎡이었다. 녹지용적계수가 가장 높은 조사구는 녹지용적계수 6.4㎥/㎡로 교목층에 참나무류가 식재되어 있고 하부가 나지 형태인 조사구 11이었으며, 녹지용적계수가 가장 낮은 조사구는 조사구 16으로 0.5㎥/㎡ 이었다.

4. 온도 실측

1) AWS 기상측정

 중앙공원의 AWS 측정값은 오후 3시부터 4시까지 1시간 동안 풍향은 주로 북동풍이 불었으며, 풍속은 0.5~1.1m/sec, 평균 0.8m/sec로 매우 약하였다. 습도는 최대 64%, 최소 62%, 평균 62.6% 이었고 온도는 최고 30℃, 최저 29℃, 평균 29.6℃로 비교적 균일한 온도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풍향과 풍속, 습도, 온도 등 AWS를 통해 분석된 기상 측정 결과는 시간별 미세한 차이가 있었으나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조사구별 10회 반복 측정하는 동안의 실측 온도에 영향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6).

Table 6. AWS measurement per study plot

2) 조사구별 온도실측

 조사구별 온도실측 결과, 최저온도는 28.3℃, 최고온도는 32.8℃이었고, 모든 조사구의 10회 측정 평균온도는 28.4〜32.0℃로 전체 평균은 30.1℃ 이었다. 온도 값이 가장 높은 지점은 불투수포장지인 조사구 27로 평균 온도는 31.6℃이었다. 포장지인 조사구 1과 잔디식재지로 초지인 조사구 12의 온도 값이 비교적 높았으며, 포장지와 초지 조사구의 온도가 비교적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온도 값이 가장 낮은 지점은 메타세콰이어가 밀식되어 있는 지역으로 조사구 3이 해당되었으며 평균 온도는 28.4℃이었다. 조사구 2는 전나무가 밀식되어 있는 지역으로 평균온도 28.8℃로 비교적 온도가 낮았으며, 조사구 21도 소나무와 철쭉류 식재지로서 평균 온도가 29.1℃로 비교적 낮았다. 온도가 낮은 조사구는 침엽수가 밀식되어 있거나 다층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7).

Table 7. Temperature per study plot

5. 온도 영향요인 규명

1) 토지피복유형

 토지피복유형별 온도분석 결과, 식재지의 최저 온도는 28.3℃, 최고 온도는 32.0℃, 평균 온도는 29.9℃이었다. 초지는 평균 30.5℃로 최저 온도 29.7℃, 최대 온도 31.1℃ 이었으며, 포장지는 평균 30.7℃로 최저 29.6℃, 최대 32.8℃로 평균온도와 최대 온도값이 가장 높았다.

 조사구별 토지피복유형에 따른 측정온도의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조사구 토지피복유형별 측정온도에 따른 분산의 동질성 검정 결과, 유의확률 p = 0.000로서 유의수준 a= 0.01보다 작아 각 그룹별 분산이 다르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따라서 유의수준 1% 내에서 조사구별 토지피복유형에 따른 측정온도의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었다(Table 8).

Table 8. Distribution analysis on temperature per land coverage type of study plot

 분산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토지피복유형별 측정온도의 사후검정(Duncan Test)을 실시하였다(Table 9). 목본식재지는 초지 및 포장지와 서로 다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목이 식재된 목본식재지는 저온지역에 해당되었으며, 초지와 포장지는 고온지역에 해당되었다. 포장지는 재질 차이로 인한 비열의 차이에 기인하여 포장지역의 온도가 더 높게 측정된 것으로 판단되었다(Kim, 2012). 초지는 포장지와 함께 고온역으로 구분되었는데 이는 초지, 포장지, 도로가 고온역에 속한다는 Han et al.(2010)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특히 초지지역이 고온역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초지 상부에 일사를 차단해주는 목본층이 없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도심 내 공원의 도시열섬저감효과 증진을 위해서는 초지 면적을 줄이고 목본식재지 면적을 늘려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9. Grouping of land coverage types depending on temperature(Duncan Test)

2) 식재유형

 식재유형별 온도분석 결과, 침엽수의 최저 온도는 28.3℃, 최고 온도는 30.8℃, 평균 온도는 29.8℃이었다. 활엽수는 평균 30.1℃로 최저 온도 28.6℃, 최대 온도 32.0℃ 이었으며, 초지는 평균 30.5℃로 최저 29.7℃, 최대 31.1℃ 이었다. 포장지는 평균 30.8℃로 최저 29.6℃, 최대 32.8℃로 평균온도와 최대 온도값이 가장 높았다.

 조사구별 식재유형에 따른 측정온도의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구 식재유형별 측정온도에 따른 분산의 동질성 검정 결과, 유의확률 p = 0.000로서 유의수준 a= 0.01보다 작아 각 그룹별 분산이 다르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따라서 유의수준 1% 내에서 조사구별 식생유형에 따른 측정온도의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었다(Table 10).

Table 10. Distribution analysis on temperature per planting type of study plot

 Table 11은 식재유형별 실측온도의 Duncan Test 결과이다. 식재유형은 침엽수, 활엽수와 초지 및 포장지의 두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식생이 있는 지역 중 침엽수, 활엽수와 같은 목본이 식재되어 있는 지역은 저온지역에 해당되었고, 잔디식재지와 같은 초지와 포장지역은 고온지역에 해당되었다. 침엽수와 활엽수는 침엽수의 평균 온도가 더 낮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간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11. Grouping of planting types depending on temperature(Duncan Test)

 침엽수 식재지의 경우 활엽수 식재지와 비교하여 식재밀도가 높고 지엽이 치밀하여 평균 온도가 더 낮은 것으로 판단되나, 금번 조사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향후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층위구조

 층위구조별 온도분석 결과, 교목층의 최저 온도는 28.3℃, 최고 온도는 32.0℃, 평균 온도는 30.0℃이었다. 교목층+하부식재는 평균 29.9℃로 최저 온도 28.9℃, 최대 온도 30.8℃ 이었으며, 초지는 평균 30.5℃로 최저 29.7℃, 최대 31.1℃ 이었다. 포장지는 평균 30.8℃로 최저 29.6℃, 최대 32.8℃로 평균온도와 최대 온도값이 가장 높았다.

 조사구별 층위구조 변화에 따른 측정온도의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구 층위구조별 측정온도에 따른 분산의 동질성 검정 결과, 유의확률 p = 0.000로서 유의수준 a= 0.01보다 작아 각 그룹별 분산이 다르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따라서 유의수준 1% 내에서 조사구별 층위구조에 따른 측정온도의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었다(Table 12).

Table 12. Distribution analysis on temperature per planting layer structure of study plot

 Table 13은 층위구조별 실측온도의 Duncan Test 결과이다. 층위구조는 교목층, 교목층+하부식재와 초지 및 포장지의 두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층위구조별 온도분포는 교목층+하부식재, 교목층 유형이 저온지역에 해당되었으며, 초지, 포장지가 고온지역에 해당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단층교목식재지, 다층식재지가 고온역에 속하고, 초지와 포장지가 저온역에 속한다는 Han et al.(2010)의 연구결과와 동일하였다.

Table 13.Grouping of planting layer structure depending on temperature(Duncan Test)

4) 녹피율 및 녹지용적계수

 녹지량과 온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녹피율, 녹지용적계수와 실측온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가 증가할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고도의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유의수준 1% 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귀무가설을 기각하였다(Table 14). 따라서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의 증가는 온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위성영상을 분석하여 서울시 도심지역의 녹지량과 지표면 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에서 녹피율과 녹지용적 모두 온도값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과 동일한 결과이었다(Hong and Lee, 2004; Hong et al., 2005)

Table 14. Relation between ratio of green coverage, GVZ and temperature measured

 중앙공원의 조사구별 실측온도를 종속변수로,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를 독립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녹피율 모형의 상수 R은 0.186, 결정계수 R2 값은 0.035, 추정값의 표준오차는 0.832이었으며, 녹지용적계수 모형의 상수 R은 0.302, 결정계수 R2 값은 0.091, 추정값의 표준오차는 0.808이었다(Table 15).

Table 15. Temperature change model according to ratio of green coverage and GVZ

 Table 16은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회귀계수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량이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조사구별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를 독립변수로 한 온도 변화모형은 녹피율은 Y1 = -0.002 × X1 + 30.261, 녹지용적계수는 Y2 = -0.122 × X2 + 30.411이었다. 본 회귀모형에 의하면 녹피율은 1% 증가할 때마다 -0.002℃의 온도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녹지용적계수는 1㎥/㎡ 증가할 때마다 -0.122℃의 온도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Table 16).

Table 16. Temperature change model coefficients according to ratio of green coverage and GVZ

6. 종합 고찰

 본 연구는 녹지의 토지피복 및 식재구조에 따라 온도 영향요인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측한 온도 값으로 영향요인간 온도와의 관계 분석으로 기초데이터를 구축하여 새로운 녹지 조성 시 온도저감에 보다 효과 있는 유형의 녹지를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토지피복유형과 온도와의 관계는 목본 식재지는 저온역으로, 초지와 포장지는 저온역으로 구분되었다. 즉 공원 내 대면적의 초지는 포장지와 마찬가지로 온도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공원의 냉섬 기능 증진을 위해서는 초지와 포장지 면적을 줄이고 목본식재지의 양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식재유형과 온도와의 관계는 침엽수와 활엽수는 저온역으로 초지와 포장지는 고온역으로 구분되었다. 침엽수와 활엽수의 경우 침엽수가 식재된 지역이 활엽수보다 밀식되어 있고, 지엽이 치밀하여 평균 온도가 활엽수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나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층위구조와 온도와의 관계는 교목층과 교목층+하부식재 유형은 저온역으로, 초지와 포장지는 고온역으로 구분되었다. 이 또한 교목만 식재한 지역과 교목 하부에 식재를 한 지역이 동일한 저온역으로 분석되었는데, 녹지량의 증가에 따라 온도가 저감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를 보았을 때 향후 층위구조에 따른 온도차이를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녹지량과 실측 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 모두 실측 온도값과 고도의 음(-)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기존 연구들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대상지에서의 녹지량과 실측 온도와의 회귀모형에 의하면 녹피율은 1% 증가할 때마다 -0.002℃, 녹지용적계수는 1㎥/㎡ 증가할 때마다 -0.122℃의 온도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계획도시의 조성공원을 대상으로 조사구를 설정하여 토지피복 및 식재유형을 정밀 분석하고 온도를 실측하여 상호 관계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포장지 및 초지보다는 식재지가 온도가 낮고, 녹지량이 증가할수록 온도가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만 녹지 내 미기후를 판단함에 있어 하루 중 오후 3~4시에 국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식재유형(침엽수, 활엽수) 층위구조(다층구조, 단층구조)에 따른 온도 차이를 밝히는 데는 표본수가 적고, 식재지 주변의 영향(도로, 포장지 등)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는 바, 향후 반복조사와 추가적인 조사구 설정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Reference

1.Ahn, J.S. and H.D. Kim(2007)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Land Cover in Daegu. Journal of Nakdonggang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12(1): 29-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Bernatzky, A.(1982) The Contribution of Trees and Green Spaces to a Town Climate, Energy and Buildings. Elsevier Sequoia, Netherlands 5(1): 1-10.
3.Cha, J.K., E.H. Jung, S.B. Kim, D.W. Kim and J.W. Ryu(2006) Constructing a Green Network to Alleviate the Urban Heat-Island Phenomenon in Focusing on Jung-gu and Nam-gu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15(2): 415-4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Cho, S.M., Y.H. Yoon, R.E. Ryu, B.J. Park and W.T. Kim(2009) The Influence of Land Cover and Zoning on the Urban Heat Island in Cheongju.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18(2): 169-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Han, B.H., H.S. Kim, T.J. Jung and S.H. Hong(2010) The Related Research with the Land Cover State and Temperature in the Outer Space of the Super-High-Rise Building. Kor. J. Env. Eco. 24(6): 751-7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Hong, S.H., K.J. Lee and B.H. Han(2005) Analysis of Temperature Profiles by Land Use and Green Structure on Built-up Area. Kor. J. Env. Eco. 19(4): 375-3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Jo, H.K. and T.W. Ahn(2009) Impacts of Three-dimensional Land Cover on Urban Air Temperatur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3): 54-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Ki, K.S.(2006) A Study on Temperature Change Profiles by the Landuse and the Landcover Change of the Paddy Field in the Metropolitan Area.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9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KICT(2000) Seoul Biotope Research and Establishment of Creating Guideline of Eco-city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Urban Ecology to Urban Planning.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Report, Seoul, Korea, 245pp. (in Korean)
10.Kim, H.S.(2012)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and Coverage and Vegetation Structure of Large-Scale Green Area in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1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Kwon, J.O.(2003)A Study on the Ecological Evaluation for the Nature-friendly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Planning. Ph. D. thesis, University of Seoul, 28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Lee, K.J. and B.H. Han(1998) Model of Plant Management on Consideration of Plants Community Structure in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Bucheon C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28-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Lim, J.Y., H.K. Hwang, D.S. Song and T.Y. Kim(2008) Assessment on Thermal Environment and Human Thermal Comfort in Residential Building Block through Field Measurement. Presented at the 18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Conference, Seoul, Korea, April 12, pp. 311-317. (in Korean)
14.Monk C.D., G.I. Child and S.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15.Yoon, S. H. and S. H. Kim(2008) Correlation between the Trend toward Higher Temperature and Land Cover Structure in Haeundae District of Busan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8(2): 19-2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Yoon, Y.H.(2000) Thermal effect open space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1): 83-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Yoon, Y.H.(2001a) The Study of Cooling Effect on Heat Island by Parks - Relationship between Wind Velocity -.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36(2): 187-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Yoon, Y.H.(2001b) Comparative Study of Maximum Temperature Condition in Green Space. Journal of the Turfgrass Society of Korea 15(4): 181-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Yoon, Y.H.(2002) The Temperature Changes in the Green Tract of Land According to Tree Planting Methods.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37(3): 213-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Yoon, Y.H.(2003) Temperature Lowering Effects Varied by the Arrangement and Types of Vegetation. Journal of the Turfgrass Society of Korea 17(4): 165-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Yoon, Y.H.(2004) Positive Study of How Green Zones in the City Effect the Relief of Micro-Climate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22(2): 279-2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Yoon, Y.H., S.M. Jo, W.T. Kim, B.J. Park and S.Y. Park(2006)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f Green Space by Cloudiness Conditions.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Gangneung, Korea, October 27, pp. 76-78. (in Korean)
23.Yoon, Y.H. and W.T. Kim(2002) Influencing Degree to the Air Temperature of Stratification in the Urban Green Space. Journal of the Turfgrass Society of Korea 16(2): 107-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