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7 No.1 pp.113-126
DOI :

골프장내 잔존림을 활용한 친환경적 프로그램 적용가능성 연구1 a - 인천시 S 골프장을 대상으로 -

강현경2*, 백승준3
2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3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골프장 잔존림내 식생현황을 파악하여 친환경 골프장으로서의 생태교육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한 S골프장으로 전체면적 약 3,298,428㎡이었으나 잔존림 면적은 약 225,143㎡이었다. 잔존림을 대상으로 기존 토지이용, 지형구조, 식물상,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를 실시하였다. 잔존림은 기존 토지이용현황(1999)과 비교•분석한 결과, 산림지역(89.2%)과 나대지내 삼목토성을 포함한 주변지역(10.8%)에 존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존림이 분포하는 두 개 코스(오션, 하늘)의 식생현황으로 오션코스는 참나무류 혼효림, 상수리나무림과 같은 자연림, 암반지역내 곰솔 복원림, 삼목토성 인공림(가중나무-아까시나무림, 아까시나무림) 및 상수리나무-보리수나무 대경목지로 구분되었다. 하늘코스는 인공림인 리기다소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이 중심식생이었다. 본 식생유형별 조사구(단위면적 100㎡)내 참나무류 자연림에서는 26~28종, 곰솔복원지 3종, 하늘코스의 인공림은 5~7종으로 자연림, 복원림, 인공림에 있어 대조적인 양상의 식생종 분포현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식생현황에 기초하여 오션코스는 참나무류 자생숲, 곰솔 복원숲, 삼목토성의 생태 이야기로 구분하여 공간별 생태적 테마를 구상하였다. 하늘코스는 아까시나무 및 리기다소나무 중심의 인공숲 관찰지와 아까시나무 향기숲 공간으로 구상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골프장 친환경인정제의 도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골프장 잔존림별 식생현황을 토대로 골프장 생태환경에 대한 인식향상 및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에도 주요한 자료로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Applic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Program for Using Relict Forest in Golf Course 1a - Focusing on the “S” Golf Course in Incheon -

Hyun-Kyung Kang2*, Seung-Jun Back3
2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
3Graduate School,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
Received 29 January 2013, Revised 1st: 15 February 2013, Revised 2nd: 22 February 2013, Accepted 23 February 2013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troduc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as for reporting the current vegetation state within the remaining trees as ecological golf course and to provide basic data. The survey site was S Golf course, which is located in Woonseodong, Incheon city. Its total area was about 3,298,428㎡, but the relict forest was about 225,143㎡. Existing landuse, topological structure, the flora, actual vegetation, and plants community structure survey were performed within the relict forest. As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isting land use, the relict forest was distributed in the forested areas (89.2%) and around the area (10.8%) which had been bare land and SAMMOK earthen ramparts. There were two courses (Ocean and Hanul) with the relict forests. The ocean course was compared of a natural forest, such as Quercus spp. mixed forest, Quercus acutissima forest, Pinus thunbergii forest within the rock fields, and an artificial forest (Ailanthus altissima-Robinia pseudoacacia forest, Robinia pseudoacacia forest) and Quercus acutissima - Elaeagnus umbellata forest. On the Hanul course, Pinus rigida forest and Robinia pseudoacacia forest were the main vegetation, which were artificial forest. It was the contrast aspect of vegetation species in a natural forest, a restoration forest and an artificial forest, which were Q. spp. mixed forest 26~28 species in a natural forest within the vegetation type per investigation area, 3 Pinus thunbergii forest species, and 5~7 artificial forest species on the Hanul course. Based on these vegetation status, the Ocean course was designed into ecological theme spaces named 'Quercus spp.' indigenous forest, 'Pinus thunbergii' restoration forest and ecological story of 'SAMMOK earthen ramparts'. The Hannul course was designed into an artificial forest observation area of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and a fragrance forest area of 'Robinia pseudoacacia'. At the time of the discussion about the introduction of eco-friendly approval system of golf course, it would be estimated that this survey would work as a major material not only raising awareness of the golf course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but also providing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the community.

27(1)-10 KE2013-11 강현경.pdf4.23MB

서 론

우리나라의 고도 성장에 따른 소득수준의 향상과 주 5일제 시행으로 레저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여가활동에 대한 소비 또한 증대되고 있다. 특히 중장년층의 여가소비 방법으로 골프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골프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골프장 수는 2011년 기준으로 410개(회원제 223개, 대중제 187개)로 연간 내장객이 2,690만여명으로 2010년 대비 4.6%의 증가세에 이르고 있다(Korea Golf Course Business Association, 2011). 이러한 골프인구의 증가는 골프장의 과잉공급으로 이어져 본격적인 골프장 경쟁시장 형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Shin, 1998).  

골프장 시장의 지속적인 생존과 생장을 위한 관점에서 전략적 변화로서 친환경 골프장 조성을 위한 많은 논의와 연구가 지속되어 오고 있다. 세부적으로 친환경골프장 계획이나 설계(Ahn, 2006; Kim, 2008)의 관점에서 우리나라는 산악지형으로서의 입지적인 문제로서 산업용지의 재활용을 제안하였으며 골프장 친환경설계란 코스, 조경, 건축의 3대 조화가 이루어짐으로서 웰빙개념의 적용과 함께 과거의 기존 골프장과는 다른 차별화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추세와 함께 폐탄광이나 폐기물매립지를 활용한 골프장 조성 방안(Jin, 2007; Han, 2011)을 제시하거나 친환경 골프장 조성을 위한 평가(Kim et al., 2003) 및 골프장의 생태적 리노베이션 방안(Lee and Kang, 2004) 등을 통하여 친환경성의 특화기법을 제안하였다.  

실질적으로 골프장은 자연의 모습을 한 반(反)환경적인 공간으로 인간의 레저활동을 위하여 대규모의 자연환경을 변형하여 조성한 인위적인 대규모 위락공간이다. 따라서 기존의 토지이용에 근거하여 골프장의 생태적 조성 및 환경친화적인 복원방안, 방치되어 있는 잔존림에 대한 현황 파악 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최근 환경부에서 ‘지속가능한 친환경골프장 인정제도’ 도입을 위한 공청회 시행(2012년 5월)과 연계하여 파악할 수 있다. 오래전부터 골프가 대중화되어 있는 미국, 영국 등의 외국은 이미 이러한 인정시스템이 활성화 되어 친환경적 골프장 운영·관리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부에서 발표한 “지속가능한 친환경골프장 인정제도”란 골프장 운영과정의 환경친화성을 평가하고 이를 국가가 인정하여 친환경적 골프장 운영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러한 친환경성 평가는 생태환경, 에너지, 지역사회 공헌 등 6가지 평가분야와 15개 분야별 세부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평가항목에 있어서는 급경사지 훼손면적 및 복원, 생물서식지 지정 및 보전, 기존 대지의 생태적 가치, 직원 및 지역사회의 환경의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등이 포함되어 있다(Eco media, 2012). 이와 같이 친환경골프장 인정제에 대한 평가에 있어 기존 대지의 생태적 가치 규명을 위한 현황파악과 직원·지역사회의 환경의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제시 등이 세부 평가항목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골프장 잔존림을 중심으로 기존 토지현황과 연계하여 현재의 식물상, 식생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지역생태에 대한 교감을 전달할 수 있는 생태교육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및 조사시기

본 연구의 대상지는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하며 인천국제공항이 인접하고 있으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인천대교고속도로가 지나고 대상지로의 직접적인 접근은 지방도에 의해 가능하다(Figure 1). 전체 골프장 면적은 약3,298,428㎡이며 잔존림 면적은 약 225,143㎡이다. 현지 조사는 2010년 9월 ~ 2011년 8월 동안 3회(봄, 여름, 가을)에 걸쳐 실시하였다.  

2. 연구진행체계 및 방법

본 연구는 환경생태 현황조사 및 분석, 식생현황에 기초한 생태적 테마 구상의 2단계로 진행하였다. 연구구분에 따른 연구항목으로는 1단계에서는 잔존림의 환경생태 현황조사로 토지이용현황, 지형구조, 식물상, 현존식생도, 식물군 집구조조사를 하였고 2단계에서는 식생현황에 기초한 테마구상을 제안하였다(Table 1). 

환경생태 현황조사 및 분석에서 토지이용현황은 골프장 조성 전·후의 변화상을 파악하였으며 지형구조는 고도, 경사, 향분석을 Arcgi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식물상은 잔존림내 전수조사를 통하여 전체적인 식물종 현황을 파악하였다. 현존식생도는 대상지 내 출현하는 식물종의 식생상관에 근거하여 우점종 군락을 1/1,000 수치지형도 에 표시, 사면부까지의 식생분포현황을 도면화하여 표시하였고, 조사된 식물은 Fuller와 Tippo방법을 취하는 대한식물도감(Lee, 1980)의 관속식물문(Tracheophyta)에 따라 정리, 귀화식물의 경우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Park, 2009)에 의거하여 정리하였다. 식물군집구조는 현존식생현황을 토대로 방형구법(Quadrat method)을 이용하여 10m×10m(100㎡)를 설정하였다. 식생조사는 흉고직경 2cm를 기준으로 교목층과 아교목층, 그 이하를 관목층으로 구분하였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수목규격으로 흉고직경, 근원직경과 수고, 지하고를 측정하고 관목층은 수고 및 수관폭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식생현황자료에 근거하여 과거 토지이용과 연계, 잔존림별 테마를 구상하여 골프장 지역내 직원 및 이용객의 생태환경에 대한 인식향상 및 지역사회에 기여할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에도 주요한 자료로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1. Research contents and procedure

Figure 1. The map of research site

결과 및 고찰

1. 환경생태현황

1) 토지이용현황

대상지는 기존 영종도, 삼목도와 신불도를 매립하여 조성한 골프장으로서 하늘코스, 레이크코스, 클래식코스, 오션코스로 4개의 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오션코스는 드나드는 목이 셋이라는 뜻에서 지명이 유래된 삼목도 자리에 조성되었고 인천국제공항이 건설되기전 농경지가 넓고 비옥하였던 마을지역이었으며 정상부근에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삼목토성(해발고도 35m)이 발견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말 목장으로도 활용되었으며 그 이후, 사람이 살면서 경작지로 이용된 지역이었으나 현재, 방치되어 식생으로 피복된 현황이었다. 레이크코스, 클래식코스는 기존 바다와 염전이 위치하였던 곳으로 매립 후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하늘코스는 신불도에 조성된 코스로 과거 대부분 산림지역이었다. 

대상지의 기존 토지이용현황(Table 2)은 산림, 나대지, 폐염전, 매립지 4가지 유형으로 조사되었으며 산림이 39.8%로 대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바다 매립지(29.7%)와 나대지(18.0%), 폐염전(12.5%) 으로 구분되었다. 이와 같이 삼목도와 신불도는 1992년 이후 인천국제공항건설 공사가 시작되면서 산림지역은 토취장 및 골재채취장으로도 이용되었으며 이후, 방치되었다가 현재의 골프장이 조성되었다(Incheon, 2005). 특히, 1999년 나대지는 기존 마을이 형성 되었던 지역으로 주거지, 삼목토성 및 경작지가 분포하였으나 1996년 지역주민들이 이주를 시작하면서 방치되어 왔다(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2000). 현재, 토지이용의 변화상에 있어서 Figure 2와 같이 오션코스와 하늘코스에 잔존림(225,143㎡)이 파편화되어 존치하였다. 기존 산림지역내 가장 넓은 잔존림(200,770㎡, 89.2%)이 남겨져 있는 현황이었으며 나대지내 삼목토성 및 마을숲 등이 방치되면서 소면적의 잔존림(24,373㎡, 10.8%)이 분포하였다. 오션코스의 잔존림은 기존의 산림 및 방치된 나대지내 삼목토성, 소면적의 숲이 방치되면서 일부 존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클래식 및 레이크 코스는 바다 매립지, 폐염전, 나대지 전 지역이 골프장 코스로 바뀌었으며 하늘코스는 전 지역이 산림이었으나 코스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골프장 외곽부에 아까시나무 및 리기다소나무 중심의 인공림을 조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2. The area and ratio of landuse in research site(1999)

Figure 2. The map of landuse in research site

2) 지형구조

골프장 잔존림내 지형현황에 있어 해발고는 20~30m(35.2%)가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10~20m는 30.2%, 30~40m는 19.5%, 10m이하는 7.9%, 40m이상은 7.2%를 나타내었다. 경사도는 대상지에서 완경사지(경사 5~15°)가 35.5%로 가장 넓었고 경사 20~30°이상은 20.3%, 15~20°이상은 16.1%, 5°이하는 16.9%, 30°이상은 11.2%로 전체적으로 완경사지가 52.4%를 나타내었다. 오션코스내에서 완경사지(경사 15°이하)가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이용자들의 접근이 용이할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삼목토성내 평탄지가 존치되어 있는 현황이었다. 향은 전체대상지에서 남서향이 18.3%, 남동향이 17.3%, 동향이 17.7%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서향, 북동향, 남향이 9.9∼11.8%, 평지 및 북향, 북서향이 3.6~5.5%이었다(Table 3~5). 잔존림은 대체적으로 낮은 구릉지 형태이었으며 일부 토취 및 골재채취장으로 훼손된 후, 조성되거나 복원이 이루어진 사면부내경사가 30° 이상을 나타내었다. 

Table 3. The area and ratio of elevation in research site

Table 4. The area and ratio of slope in research site

Table 5. The area and ratio of aspect in research site

3) 식물상

잔존림내 분포하고 있는 식물상 조사 결과, 총 62과 184종 27변종 3품종으로 총 214종이 발견되었으며 자생종은 182종, 귀화종은 32종이 발견되었다(Table 6). 세부적으로 국화과 식물이 48종으로 전체의 22.4%를 차지하였으며 콩과식물(11.2%), 벼과식물(8.4%) 등이 출현하였다(Table 7). 자생종(85.0%)에 있어서는 기존 산림성 수종인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등의 참나무류와 해안성 수종인 곰솔이 대표적인 교목성 수종이었으며, 귀화종(15.0%)으로 목본류는 아까시나무, 가중나무를 중심으로 초본종은 미국자리공,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주홍서나물, 비짜루국화, 망초, 개망초, 토끼풀, 미국가막사리 등이 출현하였다. 특히, 귀화종 중에서 국화과 식물(43.8%)의 출현율이 높았으며 삼목토성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어 귀화종 관찰을 위한 생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구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6. The flora of in research site

Table 7. Taxon of plants in rearch site

4) 식물생태
(1) 현존식생

잔존림이 존치되어 있는 오션코스와 하늘코스의 현존식생 조사결과, 오션코스의 현존식생은 곰솔림, 곰솔-상수리나무림, 상수리나무림, 상수리나무-밤나무림, 상수리나무-보리수나무림, 참나무류 혼효림, 아까시나무림, 아까시나무-상수리나무림, 가중나무-아까시나무림 9개 유형으로 구분 되었으며, 그 가운데 6개 식생유형에서 자생종인 곰솔, 상수리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우점종이었다(Table 8).  

자연림 유형으로는 참나무류 혼효림(24.2%), 해안지역의 대표식생인 곰솔림(19.3%)과 곰솔-상수리나무림(16.6%)이 우점군락이었다. 삼목토성터는 과거 목장으로 이용되었던 지역으로 가중나무-아까시나무림(16.5%) 면적이 상당히 넓게 분포하였으며, 식재한 것으로 예상되는 보리수나무가 대경목으로 분포하여 상수리나무-보리수나무림(4.9%)이 소면적으로 분포하였다. 오션코스의 잔존림은 전체적인 자생종 중심의 군락이 32,156㎡로 69.8%의 높은 분포면적을 나타내었으며 인공림은 대부분 삼목토성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늘코스는 과거 산림지역이었으나 골재채취 등으로 이용되면서 대부분 훼손이 이루어졌고 인공림이 조성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상지 내부는 코스지역으로 개발되었고, 외곽부를 따라 리기다소나무림, 리기다소나무-물오리나무림, 아까시나무림, 아까시나무-사방오리나무림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대상지 경계부에 식재된 리기다소나무-물오리나무림(32.8%)과 아까시나무림(32.3%)이 주요 식생유형이었으며 그 외 리기다소나무림(21.1%), 아까시나무-사방 오리나무림(13.8%)이 분포하였다(Table 9). 대상지는 과거 인천국제공항건설, 골프장 조성으로 인하여 계속적인 훼손이 이루어진 지역으로 하늘코스는 잔존림이 인공 식재림이 었으나 오션코스는 곰솔, 참나무류와 같은 자연림의 분포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서 생태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8. The area and ratio of actual vegetation in research site(Ocean course)

Table 9. The area and ratio of actual vegetation in research site(Hanul course)

Figure 3. The map of actual vegetation in research site(Ocean & Hanul course)

(2) 식물군집구조

조사구별 종수, 개체수, 종구성에 따른 출현빈도율을 파악한 결과(Table 10, 11), 오션코스는 총 7개 조사구로 자생군락지와 암반지역내 복원지, 삼목토성 인공식재지로 구분되어 조사되었다. 대표적 자생 식생유형인 참나무류 혼효림(조사구 3)에서는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를 중심 종으로 해안가에서 주로 생육하는 굴피나무 및 팽나무가 출현하였다. 아교목층에서는 9종 15개체로 갈참나무(출현 빈도율 33.1%) 및 굴피나무(출현빈도율 20.0%)가 주요종으로 팥배나무, 생강나무 등의 자생종이 주요종이었다. 관목층에서는 갈참나무, 보리수나무 등이 우점종이었으며 그외 화살나무, 덜꿩나무, 찔레, 누리장나무, 참싸리, 청미래덩굴이 부수종을 이루었다. 상수리나무림(조사구 4)에서는 교목층에 평균 흉고직경 24cm인 상수리나무가 우점종이었고, 생육이 양호한 현황이었으므로 지속적인 자생군집으로서 유지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교목층에서는 굴피나무(출현 빈도율 29.4%)를 중심으로 팥배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때죽나무, 산벚나무 등이 부수종을 이루었다. 관목층에서는 팥배나무, 누리장나무를 우점종으로 갈참나무, 찔레, 생강나무, 청미래덩굴 등이 부수종을 이루어 17종 61개체가 출현하였다. 곰솔-상수리나무림(조사구 1)은 교목층에 2종 10개체로 상수리나무와 곰솔의 평균흉고직경이 각각 26.5cm, 24.3cm의 중경목으로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아교목층은 갈참나무(출현빈도율 50.0%)를 우점종으로 4종 14개체가 출현하였다. 곰솔림(조사구 2)은 기존 산림지내 훼손이 이루어진 후, 복원이 진행되고 있는 단계로 교목층에 곰솔(40주/100㎡)이 중심종으로 평균흉고직경 6cm, 평균수고 3m의 규격으로 매우 밀도 높게 생육하고 있었다. 삼목토성터는 과거 목장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어 왔으며 지속적인 인간 간섭이 높았던 지역으로 현재, 전형적인 귀화식물 생육지역이었으며 가중나무-아까시나무림, 아까 시나무림으로 크게 구분되었다. 가중나무-아까시나무림(조사구 6)은 교목층에 가중나무 평균흉고직경 17cm(6주/100㎡)와 아까시나무 평균흉고직경 13cm(4주/100㎡)가 우점 종이었으며, 관목층에 주연부 식생인 산딸기, 찔레가 주요 종이었다.  

아까시나무림(조사구 7)에서도 교목층에 아까시나무(12주/100㎡) 1종이 출현하였으며 관목층에 멍석딸기(출현빈도율 60.0%)와 사위질빵(출현빈도율 40.0%)이 주요종이었다. 삼목토성터의 북서쪽 상수리나무-보리수나무림(조사구 5)은 과거 식재한 지역으로 판단되었으며 교목층에 상수리나무(6주/100㎡), 보리수나무(4주/100㎡)가 우점종이었으며 특히, 보리수나무는 대부분 지면에서 많은 가지가 분지하는 형태로 근원직경이 15~80cm로 80cm에 이르는 대경목은 삼목토성의 상징적 테마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교목층은 누리장나무(출현빈도율 50.0%)를 중심으로 뽕나무 및 보리수나무가 출현하였다. 관목층은 찔레 및 멍석딸기가 주요종으로 출현빈도율이 각각 37.7%이었으며 그 외 누리장나무, 오갈피나무 등이 부수종이었다.  

하늘코스는 기존 훼손지내 녹화를 위해 침엽수종으로 리기다소나무, 활엽수종으로 아까시나무가 식재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리기다소나무림(조사구 9)은 교목층에 리기다소나무(평균흉고직경 7cm, 13주/100㎡) 1종이었으며 관목층에는 주연부 식생인 진달래와 산초나무의 출현빈도율이 각각 18.2%로 주요종이었으며 그 외 노간주나무, 참싸리 등이 출현하였다. 리기다소나무-물오리나무림(조사구 8)에서 교목층에서 2종 7개체, 아교목층에서 3종 13개체가 분포하였으며 관목층에서는 참싸리, 산초나무, 좀작살나무, 누리장나무 등 5종 11개체가 출현하였다. 아까시나무림(조사구 11)에서는 교목층에 아까시나무 1종 3개체가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 아까시나무(출현빈도율 50.0%)를 중심으로 리기다소나무, 팥배나무, 졸참나무가 출현하여 4종 12개체가 조사되었으며 관목층에서도 아까시나무와 칡이 주요종이었다. 아까시나무-사방오리나무림(조사구 10)에서는 교·아교목층에 3종 13개체로 단순한 현황이었고 관목층에서도 아까시나무, 참싸리가 우점종으로 산초나무, 청미래덩굴, 족제비싸리가 부수종이었다. 하늘코스의 식생현황은 인공림의 전형(5∼7종/100㎡)으로 리기다소나무 및 아까시나무림 중심의 단순림 유지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10.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dominant vegetation (unit area: 100㎡)

Table 11.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 woody plants in research site (unit area: 100㎡)

Table 11. (Continued)

2. 종합고찰

본 연구는 골프장 친환경인정제의 도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골프장의 생태환경에 대한 자료구축의 중요성과 적용방향성을 도출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따라서 골프장 대상지내 과거 토지이용현황과 연계하여 잔존림의 특성을 파악하고, 현재의 식생현황을 조사함으로서 식생종을 중심으로 한 생태적 테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골프장의 잔존림(약 225,143㎡)은 골프장 전체면적(약 3,298,428㎡)의 6.8%에 불과하였으며 해발고 10~30m(65.4%)의 완만한 구릉지 형태의 지형구조를 나타내었다. 잔존림내 분포하고 있는 식물상 조사 결과, 총 62과 184종 27변종 3품종으로 총 214종이 조사되었으며 자생종은 85.0%, 귀화종은 15.0%를 나타내었다.  

골프장 식생현황에 기초한 잔존림별 특성은 기존 토지이용에 근거하여 존치된 자생림, 훼손 후 자연회복이 진행 중인 복원림, 경계부 녹화를 위해 식재된 인공림으로 구분되었다. 오션코스에는 자생종 중심의 높은 종다양성(11∼28종/100㎡)과 친근한 정서를 전달할 수 있는 참나무류 혼효림과 상수리나무림, 곰솔-상수리나무림으로 구분되었다. 암반노출지내 자생적 회복이 이루어지고 있는 밀도 높은 곰솔복원림은 해안가의 자생 침엽수인 곰솔의 강인한 생명력을 소재화 하여 골프장 곳곳에 노출되어 있는 암반지내 자연녹화 잠재종으로 특화가능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와 같은 자연림과 대조적인 양상으로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이용압력이 높았던 삼목토성의 식생현황은 귀화식물군락지로 변화되어 가중나무-아까시나무림, 아까시나무림이 대면적을 차지하였고 교목층의 단순한 종구성, 관목층에 있어 주연부식생의 피복율이 매우 높아 접근이 어려운 현황이었다. 소면적지로 남아있는 상수리나무-보리수나무림에 있어 근원 직경 30∼80㎝에 이르는 보리수나무는 향후, 삼목토성의 역사적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상징목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늘코스내 잔존림은 코스 경계부에 차폐 및 완충기능을 위해 조성된 리기다소나무 및 아까시나무림(5∼7종/100㎡)으로 과거 산림지역에 골재채취장으로 이용되었다가 녹화된 지역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늘코스의 잔존림은 단순한 인공림의 전형으로 오션코스의 자생적인 식생현황과는 대조적인 양상을 나타내어 이에 따른 생태적 교육 아이템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러한 식물조사자료에 의거하여 잔존림의 생태적 프로그램 적용이 가능한 위치 및 식물자원, 테마를 Table 12와 같이 제시하였다. 오션코스는 4번 홀 주변 잔존림으로 곰솔 중심의 복원숲, 8번 홀 주변 삼목토성은 보리수 언덕과 귀화종 중심의 관찰 숲, 11번 홀 주변 잔존림은 참나무류 중심의 자생숲으로 제안하였다. 하늘코스는 1번, 2번 홀 잔존림내 아까시나무 및 리기다소나무 식재지로서 인공림 관찰숲, 14번 홀 주변 잔존림은 아까시나무 중심의 향기숲으로 테마를 구상하였다.  

Table 12. The plants resourse and location for ecological theme

3. 생태적 테마 구상

골프장 잔존림을 중심으로 친환경적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생태적 테마 구상은 Figure 4, 5, 6과 같다. 오션코스는 참나무류 자생숲(Zone A), 곰솔의 생태적 복원숲(Zone B), 삼목토성의 생태 이야기(Zone C)로 구분하였다. Zone A, B지역에는 간이 그늘집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그 지역의 생태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Figure 4).  

오션코스내 완경사지(경사 15°이하)가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이용자들의 접근이 용이할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삼목토성내 평탄지가 존치되어 있는 현황이었다. 현재, 삼목토성 입구부터 기존 길의 흔적이 남아 있으므로 생태교육을 위한 노선 적용이 가능한 지역으로 판단되었다. 식생현황은 귀화종 피복율이 높았으며 과거 토지이용과 연계하여 인간간섭이 높은 지역에서 나타나는 생태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적정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삼목토성은 기존의 간이 그늘집과 연계하여 생태정보 안내판을 설치하고 기존 길을 따라 군락을 이루고 있는 망초, 개망초 등의 귀화초본류 관찰지,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보리수 언덕, 아까시나무 및 가중나무와 같은 귀화목본류 관찰지, 교목층 하부에 산딸기, 멍석딸기, 사위질빵과 같은 주연부 식생 관찰지로 세분화하여 테마노선을 설정하였다(Figure 5).  

하늘코스는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중심의 인공림 관찰숲(Zone A)과 아까시나무 향기숲(Zone B)으로 구분하였다(Figure 6). Zone B지역은 아까시나무 꽃 향기와 연계하여 주변에 계절별 허브식물을 교체식재함으로서 향기가 있는 길을 테마화하고자 하였다. 하늘코스는 대부분 경사가 급한 형태로 세부적인 노선설정 보다는 안내판 등을 활용하여 잔존림의 과거, 현재를 알릴 수 있는 정보 제공의 서비스적인 관점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골프장 잔존림의 식생조사를 통하여 기초적인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친환경적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공간의 테마구상을 제시하였다. 공간별 세부적인 프로그램 및 노선 등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연자원(야생조류, 곤충류, 양서류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병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골프장내 잔존림 외에 잠재공간으로서 갯벌, 초지, 암반 등의 생태적 가치에 관한 세부적 조사 및 복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져 생태교육 루트개발 및 해설 시나리오가 갖추어질 때 대중의 골프장에 대한 인식 변화 뿐만 아니라 나아가 문화콘텐츠와 생태체험이라는 새로운 공원형 골프장으로서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ure 4. The theme plan of Ocean course

Figure 5. The theme plan of SAMMOK earther ramparts

Figure 6. The theme plan of Hanul course

Appendix 1. The list of plants in research site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Reference

1.Ahn, Y.T.(2006) Study 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of golf courses in Korea : centering around the technical administration of golf courses for the nature and human being-. Sport Leisure and industry. Ph. D. thesis, KyungHee Univ., Seoul, Korea, 14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Eco media(2012) Recognition system of ecological golf course. Water resources environment newspaper press, Seoul, vol. 285: 104-106. (in Korean)
3.Han, S.I.(2011) A study on golf course planning in the reclaimed lands. MS thesis, Kyungwon Univ., Gyeonggi, Korea, 7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2000) Site renovation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cheon, pp. 412-413. (in Korean)
5.Incheon(2005) Mountains and rivers of Incheon. Incheon, pp. 138-139. (in Korean)
6.Jin, J.H.(2007) A study on the golf course pl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bandoned coal mine area : A case study of Sangdong, Yeongwol-. MS thesis, Hanyang Univ., Seoul, Korea, 15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Kim, K.D., K.J. Bang and H.K. Kang(2003) Environmental friendliness assessment of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5): 20-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Kim, S.R.(2008) Study on environmentally friendly golf course design. MS thesis, Hongik Univ., Seoul, Korea, 6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Korea Golf Course Business Association(2011) CLUBHOUSE. Seoul, pp. 38-39. (in Korean)
10.Lee, H.J. and H.K. Kang(2004) Vegetation model for naturalness restoration as an ecological renovation in a golf course.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7(2): 75-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80pp. (in Korean)
12.Park, S.H.(2009)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jogak, Seoul, 575pp. (in Korean)
13.Shin, S.P.(1998) Positioning strategy for the green marketing of golf courses business. MS thesis, Sejong Univ., Seoul, Korea, 11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