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7 No.2 pp.170-195
DOI :

경주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남산, 토함산, 단석산을 중심으로 ‐

윤정원2, 김용식3, 신현탁4, 김기송2, 성정원2, 이창현2, 박기환2, 이명훈2*
2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3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4 국립수목원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남산, 토함산, 단석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총 7회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관속식물은 96과 284속 385속 4아종 41변종 6품종으로 총 43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7분류군, 특산식물은 13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41분류군으로 Ⅴ등급 1분류군, Ⅳ등급 3분류군, Ⅲ등급 9분류군, Ⅱ등급 4분류군,Ⅰ등급 24분류군이다. 한편 귀화식물은 29분류군으로 확인하였으며, 귀화율은 6.65%, 도시화지수는 9.03%이다. 조사된 436분류군의 유용도는 목초용 자원식물이 182분류군(41.7%), 식용 176분류군(40.4%), 약용 147분류군(33.7%), 관상용 52분류군(11.9%), 목재용 18분류군(4.1%), 염료용 16분류군(3.7%), 섬유용 8분류군(1.8%), 공업용 자원식물이 1분류군(0.2%) 그리고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79분류군(18.1%)으로 나타났다.

Vascular Flora of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Mt. Nam, Mt. Toham, Mt. Danseok ‐

Myung-Hoon Yi2*, Jung-Won Yoon2, Yong-Shik Kim3, Hyun-Tak Shin4, Gi-Song Kim2, Jung-Won Sung2, Chang-Hyeon Lee2, Ki-Hwan Park2
2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 Gyeongsan(712-749), Korea
3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712-749), Korea
4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487-821), Korea
Received 25 August 2013; Revised(1st: 2 March 2013, 2nd: 13 March 2013); Accepted 14 March 2013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flora of Mt. Nam, Mt. Toham, and Mt. Danseok in Gyeongju NationalPark .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or 7 times from July 2011 to May 2012.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436 taxa,96families, 284 genera, 385 species, 4 subspecies, 41 varieties, and 6 forms. The 13 taxa were categorized as Korean endemicplants species and the other 7 taxa as rare plants species, which categoriz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Based on theFloristic Degrees categorized by the Specific Distribution of Plants Species, one taxa grouped as the Floristic Degree Ⅴ,3 for Floristic Degree Ⅳ, and 9 for Floristic Degree Ⅲ, 4 for Floristic Degree Ⅱ, and 24 taxa for Floristic Degree I. The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as 29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ization Index were recorded as 6.65%,and 9.03% ,respectively. 436 taxa listed consists of 182 taxa(41.7%) of pasturing plant, 176 taxa(40.4%) of edible plants,147 taxa(33.7%) of medicinal plants, 52 taxa(11.9%) of ornamental plants, 18 taxa(4.1%) of timber plants, 16 taxa(3.7%)of stain plants, 8 taxa(1.8%) of fiber plants, 1 taxa(0.2%) of industrial plants and 79 taxa(18.1%) of unknown plants.

27(2)-02 KE2012-75 윤정원.pdf835.5KB

서 론

우리나라의 국립공원은 지리산 국립공원(1967년 12월 29일 지정)을 시작으로 현재 20개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국립공원은 자연자원을 기반으로 한 생태계와 육상환경, 해상환경을 바탕으로 지정되었다(Kang et al., 2012). 이에 반해 국내 유일의 사적형 국립공원인 경주국립공원은 남산, 토함산, 단석산, 구미산, 화랑, 대본, 소금강 및 서악지구 등 8개 지구로 총 면적은 약 138,715㎢ 로 구성되며, 지리산에 이어 두 번째로 1968년 12월 3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2). 경주국립공원의 지정문화재는 국보 11점, 보물 22점, 사적 9점, 천연기념물 3점, 시․도 유형문화재 12점, 시․도 기념물 1점 및 문화재 자료 4점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0여 종의 동․식물이 함께 서식하고 있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2).

경주국립공원의 자연자원 조사는 대부분 식생과 식물상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관련 연구동향으로는, 경주국립공원 생태계연구(National Science Museum, 1997), 경주국립공원 관리계획(Gyeongju City, 2005), 경주국립공원 자연자원 조사(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8) 등 경주국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남산일대 식생, 식물군집구조, 식생관리 및 식생보존방안(Lim et al., 2000; Yi and Choi, 2000; Lim, 2002; Choi, 2002), 남산과 토함산의 식생분류(Kim, 2007), 화랑지구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You et al., 2011) 등 대부분 남산 위주의 연구가 대부분이다. 특히 경주국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수행한 2008년의 자연자원 조사의 경우 지구별로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8개 지구의 넓은 면적은 조사경로 등에 따라 식물상이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1997년 생태계연구와 2005년 수행된 조사의 경우 남산과 토함산 위주로 진행 되었으며, 단기간 조사가 수행되어 일부 부족한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You et al., 2011).

따라서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에서 남산지구, 토함산지구, 단석산지구 등 비교적 해발고가 높은 3개 지구의 남산, 토함산, 및 단석산을 중심으로 관속식물상과 희귀식물, 특산식물, 구계학적 특정식물, 귀화식물 등의 주요 분류군들의 분포를 파악하여 경주국립공원의 식물종의 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 조사지 개황

경주국립공원을 포함한 경주시는 경상북도 동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동해, 서쪽은 영천시와 청도군, 남쪽은 울산광역시, 북쪽은 포항시와 접해 있고, 단석산(827m), 토함산(745m), 금오산(495m) 및 남산(468m) 등의 높고 낮은 산들이 감싸고 있다. 경주국립공원지역은 북위 35° 39‘ ~ 36° 04‘, 동경 128° 58‘ ~ 129° 31‘에 위치한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8). 조사지역의 5년간(Gyeongju City, 2007; 2008; 2009; 2010; 2011) 연평균 기온은 13.5℃, 연평균 최고기온 평균값은 35.8℃와 연평균 최저기온 평균값은 -8.9℃이었으며, 평균연교차는 44.7℃이다(Table 1). 한편 연평균 강수량은 918.0mm이며, 2006년에 1,157.0mm로 최고 강수량과 2009년에 768.5mm로 최저 강수량을 기록하였다(Table 2).

Table 1. The annual temperature of Gyeongju National Park (unit: ℃)

Table 2. The annual precipitation of Gyeongju National Park (unit: mm)

2. 조사방법 및 분석

 본 조사는 2011년 7월 6일부터 2012년 5월 25일까지 7회에 걸쳐 경주국립공원 남산지구(남산), 토함산지구(토함산), 단석산지구(단석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Table 3,Figure 1).

Table 3. The dates and routes of field surveys

Figure 1. The map of studied sites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현지에서 모든 분류군을 채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희귀식물 중 개체수가 적거나 분포면적이 좁은 개체에 한해서는 디지털 사진촬영으로 대체 하였다. 수집한 분류군은 동정을 거쳐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였으며, 증거표본 및 사진은 영남대학교 조경식물생태연구실에 소장하였다. 동정 및 분류는 Lee(2003), Lee(2006), 일부 양치식물의 동정은 Korean Fern Society(2005), 귀화식물의 동정은 Park(2009) 등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의 목록은 확증된 증거 표본을 바탕으로 동정된 종만을 대상으로 Engler(Melchior, 1964)의 체계를 일부 보완하여 만든 Lee(2006)의 체계에 따라 작성하였으며, 속 이하의 범주는 알파벳 순으로 배열하였다. 이때 사용한 학명과 국명은 국립수목원의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에 따랐다. 희귀식물은 Korea Forest Service(2009)에 따라 작성하였고, 특산식물은 Kim(2004),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Kim(2000), 귀화식물은 Lee et al.(2011)에 따라 원산지, 생활형을 구분하였으며, 귀화도는 Kariyama and Kobatake(1988)의 문헌을 따랐다. 특히 귀화도는 등급을 5단계로 나뉘며, 귀화도 1은 분포지역과 개체수가 아주 적은 종, 귀화도 2는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개체수도 적은 종, 귀화도 3은 널리 분포하지만 개체수가 적은 종, 귀화도 4는 국지적·지역적으로 분포하지만 개체수가 많은 종, 귀화도 5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은 종으로 구분 하였다. 또한 귀화식물의 이입 시기는 Park et al.(2002)의 의견을 반영하여 이입시기를 3기로 나누어 제시한 Lee et al.(2011)의 문헌을 참고 하였다(1기: 개항이후부터 1921년까지, 2기: 1922년부터 1963년까지, 3기: 1964년부터 현재까지). 자원식물의 유용도 분석은 Lee(1976)에 따라 작성하고 식물목록에 별도로 표기하였다 (Appendix 1).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상

경주국립공원의 남산, 토함산, 단석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96과 284속 385종 4아종 41변종 6품종 등 총 436분류군으로 확인 되었다(Table 4). 남산, 토함산, 단석산 일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을 각각 살펴보면 남산 일대는 89과 225속 285종 3아종 35변종 6품종으로 329분류군, 토함산 일대는 79과 183속 223종 4아종 26변종 4품종으로 257분류군, 단석산 일대는 75과 180속 216종 3아종 25변종 4품종으로 248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4). 조사한 관속식물 중에서 다양성이 높은 상위 8개과는 국화과(46분류군), 벼과(35분류군), 콩과(24분류군), 장미과(23분류군), 백합과(19분류군), 마디풀과(14분류군), 꿀풀과(12분류군) 및 사초과(11분류군) 순으로 전체 436분류군의 42.2%에 해당한다(Table 5).

Table 4. Number of vascular plants recorded in Gyeongju National Park

Table 5. The list of major families in Gyeongju National Park

경주국립공원의 식물상 기록을 보면 National Science Museum(1997)은 448분류군, Gyeongju City(2005)는 문헌 및 현지조사 결과 729 분류군을 보고하였다. Gyeongju City(2005)의 729분류군은 National Science Museum(1997)의 식물상을 포함한 수치이며,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는 703분류군으로 보고하였다. 남산지역의 경우 Lim(2002)이 455분류군을 발표하였으나 식물상 목록은 제시하지 않았다. 식물상 조사 중 다른 문헌에 비해 체계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다고 생각되는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의 문헌을 토대로 이번 조사와 비교해 보면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의 남산(464분류군), 토함산(520분류군), 단석산(479분류군)의 총 관속식물은 602분류군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번 조사에서 추가된 분류군은 151분류군, 누락된 분류군은 317분류군이다.

 이처럼 분류군의 차이는 대상지의 크기, 조사 시기 및 경로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며, 본 식물상은 증거표본을 대상으로 목록을 작성하였기 때문에 분류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희귀식물

경주국립공원 남산, 토함산, 단석산 일대의 희귀식물은 위기종(EN) 2분류군, 약관심종(LC) 3분류군 및 취약종(VU) 2분류군 등 총 7분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6). 꼬리말발도리(Deutzia paniculata Nakai)는 단석산 일대의 계곡부에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신선사의 계곡부를 따라 큰 개체가 다수 분포하였다. 특히 신선사에서 위쪽 방향의 계곡부에 큰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숲이 우거진 곳에서는 빛 부족으로 인해 생육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였다. 왕둥굴레(Polygonatum robustum (Korsh.) Nakai)는 단석산 일대의 계곡부에 소규모 군락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생육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였다.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은 토함산의 임연부와 길 가장자리에서 분포하며, 제초작업이 이뤄진 상태여서 생육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였다. 솜양지꽃(Potentilla discolor Bunge)은 남산과 단석산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양지바른 풀밭이나 묘지 주위에서 자라고 있으며, 여러 개체가 확인되었다. 참좁쌀풀(Lysimachia coreana Nakai)은 토함산의 임연부에 소규모 군락으로 분포하며,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 Miq.)는 단석산의 등산로 가장자리의 풀밭에서 확인하였다. 천마(Gastrodia elata Blume)는 토함산의 등산로 인근 하천 가장자리 풀숲과 부식질이 많은 토양에서 10여 개체를 확인하였다.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의 문헌과 비교해 보면 꼬리말발도리, 왕둥굴레, 쥐방울덩굴, 솜양지꽃, 왜박주가리, 천마 등 5분류군은 본 조사를 통해서 새롭게 확인 되었으며, 고란초, 측백나무, 주목, 털조장나무, 백작약, 옥녀꽃대, 끈끈이주걱, 태백제비꽃, 단풍박쥐나무, 시호, 덩굴꽃마리, 용머리, 개박하, 산분꽃나무, 도라지모시대, 냇씀바귀, 말나리, 꽃창포, 노랑붓꽃, 노랑무늬붓꽃 등 20분류군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특히 천마의 경우 등산로에 가깝게 위치하여 채집에 의한 훼손이 우려됨에 따라 희귀식물 교육 및 홍보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 하여야 할 것이며, 꼬리말발도리의 경우 자생지 보전을 위해 인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6. List of threatened plants recorded in Gyeongju National Park

3. 우리나라 특산식물

우리나라 특산식물은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유일하고도 독특한 식물로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귀중한 유전자원이다(Kim, 2004). 본 일대에서 확인한 우리나라 특산식물은 꼬리말발도리, 해변싸리, 참좁쌀풀 및 털중나리 등 총 13분류군으로 전체 2.98%로 확인되었으며 키버들, 털조록싸리, 노랑갈퀴 및 병꽃나무는 남산, 토함산,단석산 일대에 공통적으로 분포하였다(Table 7, Appendix 1). 특히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Ohwi)는 남산의 활엽수림 하부에서 몇 개체가 생육하고 있었으며, 생육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였다.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L.H.Bailey)는 남산, 토함산, 단석산 일대에서 모두 확인하였으며, 등산로, 계곡부 등 여러 곳에서 흔하게 자라고 있었다. 지리대사초(Carex okamotoi Ohwi)는 남산과 토함산에서 발견되었으며, 활엽수림 하부의 계곡부 가장자리와 등산로의 북사면에서 소규모 군락으로 연속적으로 분포하였다.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의 문헌과 비교해 보면 병개암나무, 꼬리말발도리, 해변싸리 털조록싸리, 노랑갈퀴, 털잔대, 실제비쑥 등 7분류군은 본 조사를 통해서 새롭게 확인되었으며, 개비자나무, 은사시나무, 흰술패랭이꽃, 진범,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옥녀꽃대, 노각나무, 꽃산수국, 왕벚나무(식재), 좀찔레, 산오이풀, 나래완두, 개나리(식재), 네잎갈퀴, 톱풀, 담배취, 노랑붓꽃, 노랑무늬붓꽃 등 19분류군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Table 7.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recorded in Gyeongju National Park

4.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본 조사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Ⅴ등급에 천마 1분류군, Ⅳ등급에 비술나무, 꼬리말발도리등 3분류군을 확인하였다. Ⅲ등급은 금족제비고사리, 산팽나무, 털괴불나무 등 9분류군, Ⅱ등급에 노랑제비꽃, 애기며느리밥풀 등 4분류군을 확인하였고, Ⅰ등급은 왜박주가리, 쥐방울덩굴 등 24분류군을 확인하여 전체 41분류군으로 전체의 9.40%에 해당된다. 특히 Ⅴ등급인 천마는 등산로 인접지역에 있어 개화시기에 탐방객들에 의한 훼손이 우려된다(Table 8, Appendix 1). 특히 비술나무(Ulmus pumila L.)는 남산의 소하천 가장자리에서 2개체를 확인하였으며, 금족제비고사리(Dryopteris gymophylla (Baker) C.Chr.)는 남산의 활엽수림 하부의 바위 사이에서 10여 개체를 확인하였다. 털괴불나무(Lonicera subhispida Nakai)는 등 산로 가장자리 암석지대에서 1개체 확인하였으며, 생육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였다. 애기며느리밥풀(Melampyrum set -aceum (Maxim.) Nakai)은 남산에서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식물이며, 광량이 비교적 많은 곳에서 연속적으로 분포하였다.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의 문헌과 비교해 새롭게 확인된 분류군은 Ⅰ등급에 8분류군으로 거미고사리, 쇠고비, 쥐방울덩굴, 산괭이눈, 까치밥나무, 찰피나무, 노랑어리연꽃, 왜박주가리, Ⅱ등급에 2분류군으로 개시호, 붉은병꽃나무, Ⅲ등급에 7분류군으로 금족제비고사리, 분버들, 산팽나무, 노랑갈퀴, 좀목형, 털괴불나무, 무늬천남성, Ⅳ등급에 2분류군으로 비술나무, 꼬리말발도리, Ⅴ등급에 천마 등으로 확인되었다. 누락된 분류군은 Ⅰ등급 26분류군, Ⅱ등급 11분류군, Ⅲ등급 8분류군, Ⅳ등급 4분류군(측백나무, 승마, 등, 갯강활), Ⅴ등급 4분류군(고란초, 약모밀, 왕벚나무(식재), 노랑무늬붓꽃)으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Table 8. The list of degree specialized plants in Gyeongju National Park

5. 귀화식물

본 조사지역 일대에서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10과 27속 29종으로 총 29분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9). 29분류군 중국화과가 14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벼과가 3분류군으로 뒤를 이었다. 29분류군 중 원산지는 유럽이 11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생활형은 1년생과 다년생이 각각 11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2년생은 7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9). 귀화도는 5등급이 14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3등급이 10분류군으로 뒤를 이었다(Table 9). 또한 이입 시기는 1기(19분류군), 3기(6분류군), 2기(4분류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Table 9).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436분류군 중 귀화율은 6.65%이며, Lee et al.(2011)의 우리나라 귀화식물321분류군에 대한 도시화 지수는 9.03%이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의 평균 귀화율 10.3%(Koh et al., 1995)나 경주국립공원 화랑지구의 12.37%(You et al., 2011) 보다 낮은 수치이나 대체적으로 귀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의 문헌과 비교해 보면 애기수영, 끈끈이대나물, 흰명아주, 애기땅빈대, 창질경이,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원추천인국, 개쑥갓, 큰방가지똥, 만수국아재비, 큰이삭풀, 오리새, 큰조아재비 등 14분류군은 본 조사를 통해서 새롭게 확인되었으며, 닭의덩굴, 털여뀌, 미국자리공, 자리공, 좀명아주, 약모밀, 족제비싸리, 아까시나무, 벳지, 가죽나무, 큰개불알풀, 별꽃아재비 등 12분류군은 본 조사에서 확인하지 못하였다. 특히 소리쟁이, 토끼풀, 달맞이꽃, 미국가막사리, 개망초, 털별꽃아재비 및 서양민들레 등 7분류군은 남산, 토함산, 단석산 일대에 공통적으로 분포하며,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만수국아재비, 큰이삭풀 등은 분포면적이 넓어 향후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Table 9, Appendix 1).

Table 9.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vestigated in Gyeongju National Park

6. 자원식물

본 조사 지역의 436분류군에 대한 자원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Lee, 1976) 목초용 자원식물이 182분류군(41.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용 자원식물이 176분류군(40.4%), 약용 자원식물이 147분류군(33.7%), 관상용 자원식물이 52분류군(11.9%), 목재용 자원식물이 18분류군(4.1%), 염료용 자원식물이 16분류군(3.7%), 섬유용 자원식물이 8분류군(1.8%)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업원료 자원식물이 1분류군(0.2%)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용도를 알지 못하는 자원식물이 79분류군(18.1%)으로 나타났다(Table 10, Appendix 1).

Table 10. Usefulness of vascular plants in Gyeongju National Park

Appendix 1. The list of vascular plants in Gyeongju National Park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Reference

1.Choi, J.Y.(2002) A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a National Park Mt. Namsan's Plan in Kyongju.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and Environment Association.1(4): 157-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Gyeongju City(2005) The management plan in Gyeongju National Park. Gyeongju City, 443pp. (in Korean)
3.Gyeongju City(2007)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ju City. Gyeongju City, 519pp. (in Korean)
4.Gyeongju City(2008)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ju City. Gyeongju City, 575pp. (in Korean)
5.Gyeongju City(2009)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ju City. Gyeongju City, 567pp. (in Korean)
6.Gyeongju City(2010)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ju City. Gyeongju City, 577pp. (in Korean)
7.Gyeongju City(2011)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ju City. Gyeongju City, 625pp. (in Korean)
8.Kang, K.R., D.P. Kim and J.B. Baek(2012) Comparative Study on Monetary Estimates of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Relics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6(2): 273-2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Kariyama, S. and H. Kobatake(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 31-40.
10.Kim, C.H.(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Ⅰ. selection of plant taxa -. Jour. Kor.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Kim, M.Y.(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408pp. (in Korean)
12.Kim, S.W.(2007)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around Mt. Nam and Mt. Toham in Gyeongju City.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 Daegu, Korea, 5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Ⅰ) - Naturalized plants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15pp. (in Korean)
14.Korea Fern Society(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399pp. (in Korean)
15.Korea Forest Service(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332pp. (in Korean)
16.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560pp. (in Korean)
17.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 Investigation on Natural Resource of the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649pp. (in Korean)
18.Korea National Park Service(2012) http://gyeongju.knps.or.kr/
19.Lee, T.B.(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 1: 1-137.(in Korean)
20.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Ⅰ, Ⅱ. Hyangmunsa, Seoul, 914pp, 910pp. (in Korean)
21.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Lee, Y.N.(2006) New Flora of KoreaⅠ, Ⅱ. Gyohaks, Seoul, 974pp, 885pp. (in Korean)
23.Lim, W.H(2002) The ecological vegetation management plan of Mt. Nam-San in Kyongju. The Journal of Kyongju Research. 11: 13-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Lim, W.H., K.H. Kang and D.C. Kim(2000) A study on the plants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the Namsan in Kyongju. Jour. Con. Env. Res. Ins. 3: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Gebruder Bornteaeger, Berlin, 666pp.
26.National Science Museum(1997) Study on the biota of the Kyongju National Park in Korea. National Science Museum, 144pp. (in Korean)
27.Park, J.H., J.H. Shin, Y.M. Lee, J.H. Lim and J.S. Moon(2002)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o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Korea National Arboretum, 184pp. (in Korean)
28.Park, S.H.(2009) New illustration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575pp. (in Korean)
29.Yi, Y.K and S.H. Choi(2000)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of urban forest - The case of Namsan in Kyungju -. Jour. of Kor. Ins. of Landscape Architecture. 28(3): 1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You, J.H., S.J. Mun and W.S. Lee(2011) Management plant and vascular plant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Jour.Kor. Env. Res. Tech. 14(5): 17-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