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8-131X(Online)
연평도 일대의 식물상 연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Is. Yeonpyeongdo Regions
Abstract
- 27(2)-01 KE2012-61 이유미.pdf741.6KB
서 론
도서지역은 식물들이 육상의 식물과는 다르게 그 지역의 전형적인 환경에 적응하여 분포하며, 대부분은 내륙으로부터 오랫동안 격리되어 독특한 자연환경에 적응했기 때문에 고유종이나 희귀식물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주요한 지역으로 평가된다(Lee et al., 2007). 연평도 역시 신생대 제4기 후빙기 해면상승으로 현재 옹진반도와 연평도 사이의 일부 낮은 지역이 침수되어 섬으로 격리된 것으로 추측되는 지역으로 오랜 시간 육지와 단절되어 있었던 곳이다(Kimet al., 1992).
연평도는 특수하게 형성된 지형이라는 지리학적 특징과 기후와 식생대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특수한 지역이라 할수 있다. 기후는 대륙성 기후이지만 극동아시아 지역의 연안수와 제주도 서쪽을 지나 서해안으로 북상하는 쿠로시오난류, 그리고 중국 동부해안을 따라 남하하는 한류 등 해류의 영향을 받아 한서의 차가 큰 특징을 갖는다(Kim andNo, 2000; Nam et al., 2006). 또한 생물지리구계적으로 장산곶, 강화도, 영종도 등 서해중부도서를 중심으로 한 중서부도서지역에 속하는데 특히 남방계의 상록활엽식물과 북방계의 상록침엽식물이 혼재하는 한반도 서해상의 식생전이대로서의 특징을 보인다(Kong, 1989). 식물구계학적으로도 남부아구에 속하나, 위치상 중부아구와 인접하여 북방계 식물이 분포할 수 있는 지리적 특이성을 갖는 지역이다(Lee and Yim, 2002).
연평도는 청동기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던 곳으로 특히조선시대에는 연평도에 목장과 봉수를 설치하였던 기록도 있을 만큼 인간에 의한 식물의 이용이 꾸준히 있었던 지역이다(Nam et al., 2006). 또한 최근에는 조기나 꽃게 등의주요 어장으로 인간의 많은 간섭이 있어왔을 뿐 아니라 군사적 요충지로서 해안 지형의 상당부분에 군사시설이 들어와 자연이 일부 훼손된 상태이다(Min and No, 2000).
Kim et al.(1992)은 연평도의 식물상 조사를 통해 79과225속 343분류군의 관속식물 목록을 보고한 바 있고, Kimand No(2000)는 환경부 자연환경조사보고서에서 염생식물11과 20종을 보고한 바 있으며, Nam et al.(2006)은 서해연안 해양평화공원 지정 및 관리방안 연구에서 전체 식생을 간략하게 보고하여 연평도의 식물 및 식생의 전반적인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연평도 식물상에 대해 기존에 조사된 자료(Kim et al., 1992)와 비교함으로써 시간경과에 따른 연평도의 식물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평도 지역의 전반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식물상 목록을 제시하고, 조사지역의 식물지리학적 특이성과 중요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특산식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등의 주요 분류군들의 분포를 파악하여 정확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1. 조사지 개황
연평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한 섬으로 지리적으로북위 37˚36´10.20˝~ 37˚40´45.84˝와 동경 125˚40´42.79˝~125˚43´28.30˝에 위치한다. 인천에서 서북방향으로145km, 북한의 황해도 부포리와는 직선거리로 10km 정도 떨어져 있어 북한과는 가장 가까운 섬이다. 크게는 직사각형 모양인 연평도는 대연평도와 소연평도 2개 섬을 중심으로 주위에 30여개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진 군 도서이며 면적은 7.29㎢이고, 해안선의 길이는 36.67km이다.
연평도의 지질은 선캠브리아 원생대말의 상원계에 해당하는 지층이 기반을 이루고 있는데, 이들 변성퇴적암은 신생대 제4기의 분출물로 추정되는 현무암류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있고, 현생의 충적층으로 일부 덮혀 있다(Nam etal., 2006)
연평도의 토지이용현황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것은 산(임야)으로 전체 면적의 71.7%인 5.59㎢이고, 밭(전)은 9.1%인 0.67㎢, 논(답)은 6.2%인 0.45㎢이다(IncheonMetropolitan City, 2005).
대연평도의 면적은 7.01㎢로 북쪽의 해발고도 127m의 산을 중심으로 주변에 경사지를 이루고 있으며, 전체적으로해발고도 50~100m의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대연평도의 식생은 전체적으로는 2차림이며 상층엔 우점종인 곰솔(Pinus thunbergii Parl.)과 주변으로 상수리나무(Quercusacutissima Carruth.), 졸참나무(Quercus serrata Thunb.),오리나무[Alnus japonica (Thunb.) Steud.], 신나무(Acerginnala f. coccineum Nakai), 소사나무(Carpinusturczaninowii Hance), 팥배나무[Sorbus alnifolia (Siebold& Zucc.) K.Koch], 야광나무[Malus baccata (L.) Borkh.],밤나무(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등이, 초본층에는 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 With.), 양지꽃(Potentillafragarioides var. major Maxim.), 서양민들레(Taraxacumofficinale Weber), 청사초(Carex breviculmis R.Br.), 왕포아풀(Poa pratensis L.), 큰고랭이(irpus lacustris var.creber (Fern.) T.Koyama), 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Steud.) Ohwi], 바랭이[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등이 출현한다. 특히 북쪽에 위치한 습지 옆 계곡에 수백그루의 뇌성목이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연평도의 중심부는 해발고도가 낮아 마을이 집중 형성되어 있으며, 동부지역은 해변 지역으로 군부대 및 군사시설이 위치해 있다. 북부지역은 주로 논과 밭이 있으며, 임도공사가 진행 중이다. 서부지역은 구리동 해수욕장과 등대공원등이 위치해 관람객의 유출입이 많으나, 서남쪽 지역에는 소각장이 위치하고 있어 사람들의 출입이 거의 없다.
소연평도의 면적은 0.24㎢로 대연평도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다. 소연평도의 식생 또한 전체적으로 2차림이며 숲이형성된 곳에만 상층에 곰솔과 졸참나무, 물오리나무(Alnussibirica Fisch. ex Turcz.), 팽나무(Celtis sinensis Pers.), 팥배나무, 야광나무, 소사나무 등이 드문드문 출현하였으며, 하층에는 전호(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조선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er), 황새냉이, 청사초,개고사리(Athyrium niponicum (Mett.) Hance), 뱀딸기(Duchesnea indica (Andr.) Focke), 까마중(Solanumnigrum L.),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L.) 등이 출현하였고, 특히 남쪽 해안 주변은 절벽이며 동백나무 자생지가있다. 중심부의 해발고도 214m의 산이 소연평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비교적 경사가 급한 지형을 보이며, 산을중심으로 마을과 개간한 농경지들이 있고, 서북쪽으로 항구가 있다(Kim et al., 1992; Nam et al., 200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05~2009)에 따른 연평도의 기후는 최근 5년간 연평균기온이 11.3℃, 월평균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이 각각 31.0℃와 -10.7℃이며, 평균연교차는 41.7℃이다(Table 1). 또한, 5년간 연평균강수량은 853.6㎜, 월평균강수량은 71.1㎜로 확인되었다(Table 2).
Table 1. The annual mean temperature of Is. Yeonpyeongdo (unit: ℃)
Table 2. The annual rainfall of Is. Yeonpyeongdo (unit: ㎜)
2. 조사 방법 및 내용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5월 21일부터 2010년 10월 19일까지 총 4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Figure 1, Table 3).
Figure 1. Outline of investigation area in this study(↔,→: investigation route).
Table 3. The dates and routes of investigations
연평도는 크게 대연평도와 소연평도 2개의 섬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소연평도의 경우 면적이 워낙 작고, 뱃길 이동의 어려움이 많아 2차까지만 조사하였으며, 3차 조사부터는 소연평도와 대연평도를 하나의 연평도로 간주하여 대연평도만 조사가 이루어 졌다. 확보된 표본들은 건조표본 또는 액침표본으로 제작하였으며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 식물표본실(KH)에 보관하였다. 분류군의 동정은 Chung(1956;1957), Lee(1996a; 1996b), Lee(1996c), Lee(2003a; 2003b)등의 도감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일부 벼과와 양치류의 동정에 있어서는 각각 Korea National Arboretum(2004;2007)의 도감을 참고하였다.
또한 식물목록은 채집 표본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식물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http://www.nature.go.kr/kpni/; KoreaNational Arboretum, 2010)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양치식물을 제외한 식물목록의 정리는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1964)에 따라 과를 배열하고, 속 이하는 알파벳 순서로 배열하였으며, 양치식물은 Nakaike(1992)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하였다(Appendix 1). 한반도 고유종과 희귀식물,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각각 Oh et al.(2005)와 Korea National Arboretum(2008), Ministry of Environment(2006)를 참고하였고, 귀화식물은 Park(2009)과 Lee et al.(2011)에 따라목록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기존의 문헌과 비교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연평도의 관속식물
본 연구 결과 연평도의 관속식물은 90과 315속 459종4아종 53변종 8품종으로 총 524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증거표본으로는 총 1,587점의 표본이 확보되었다.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940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중의 10.6%에 해당한다. 이들의 구성비는 양치식물이 5과 9속 13분류군으로 2.5%, 나자식물이 2과 4속 5분류군으로1.0%, 쌍자엽식물 70과 226속 357분류군으로 68.1%, 단자엽식물 13과 76속 149분류군으로 28.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4).
Table 4. Summary on the Floristics of the Is. Yeonpyeongdo
Kim et al.(1992)에 의해 보고된 기존의 연구결과를 보면 총 79과 225속 296종 43변종 4품종 총 343분류군으로, 2010년 조사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분류군이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조사경로와 증가된 조사일수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주변에 위치한 섬들 가운데 조사가 이루어진 백령도(Kimet al., 1992)는 동경 125°로 연평도와는 1°차이가 나고, 면적이 45.39㎢로 연평도에 비해 6배 정도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1992년 당시 570분류군이 조사되어 동시에 조사가 이루어졌던 연평도의 식물상보다 1.5배 정도 많은 식물이 조사된 바 있다. 면적의 차이로 인해 조사된 분류군 수에서의 상대적인 차이는 있지만, 식생의 경우 상층을 구성하고 있는 우점종이 곰솔이며, 남부수종과 북부수종이 함께나타난다는 점에서 유사한 식생을 가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사된 관속식물 중 다양성이 높은 과를 순서대로 배열하면 벼과(13.9%)가 73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국화과(13.7%), 사초과(6.5%), 콩과(4.6%), 장미과(3.8%)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화과(14.9%), 벼과(8.5%),장미과(5.5%), 콩과(5.2%), 백합과(4.1%) 등의 순서로 나타나는 Kim et al.(1992)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벼과 식물의 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사초과 식물 또한 4배 정도 많이 조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벼과와 국화과, 사초과는 보통 광조건이 풍부한 곳에서 잘 자라는데, 연평도의 경우 제일 높은 산이 127m로 전체적으로 숲이 우거진 지역보다는 개활지나 들판, 임도 등 빛이 차단되는 지형이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Table 5).
Table 5. List of major families in Is. Yeonpyeongdo
조사결과 남방계 상록식물인 사철나무, 줄사철나무, 동백나무 등과 북방계 식물인 조선현호색, 야광나무, 큰엉겅퀴 등이 함께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는 본지역이 식물구계학적으로 한반도의 8개의 아구 중 남부아구에 해당하며 중부아구와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며(Lee and Yim, 2002), 식물학적으로 이 지역이 남방계 식물의 북한계선이거나 북방계 식물의 남한계선임을 언급한 Kim et al.(1992)의 의견을 뒷받침하고 있다. 연평도의 식생으로 바닷가와 인접한 지역에는 주로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f.)와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L.) Roem. & Schultb.], 갯완두(Lathyrus japonicus Willd.),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과 가는잎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 f. angustifolius (Debeaux) Kitag.],애기원추리(Hemerocallis minor Mill.), 참나리(Liliumlancifolium Thunb.), 해국(Aster sphathulifolius Maxim.),곰솔(Pinus thunbergii Parl.),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viiHance)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바닷가와 인접하고 있지 않은 산지에는 상층에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Siebold & Zucc.)와 곰솔(Pinus densiflora Siebold &Zucc.)이 우점하고 있었으며, 하층에는 갯쑥부쟁이(Asterhispidus Thunb.), 산국[Dendranthema boreale (Makino)Ling ex Kitam.], 으름덩굴[Akebia quinata (Thunb.) Decne.],억새[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Rendle], 등골나물(Eupatorium japonicum Thunb.),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Beauv.], 맑은대쑥(Artemisia keiskeana Miq.), 제비쑥(Artemisia japonicaThunb.), 참취(Aster scaber Thunb.), 마타리(Patrinia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뚝갈[Patrinia villosa(Thunb.) Juss.] 등 육지의 산지에 분포하는 종들과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특기할만한 식물
1) 한반도 고유종
연평도 일대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은 서울제비꽃(Violaseoulensis Nakai)과 은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T.B.Lee) 2분류군이며, 이는 조사된 소산식물의 0.4%에 해당한다(Table 6). 서울제비꽃은 북쪽 습지지역 도로변에서 10개체 정도가 발견되었는데, 주변에 들다닥냉이(Lepidium campestre R.Br.), 김의털아재비(Festuca parviglumaSteud.), 콩제비꽃(Viola verecunda A.Gray), 세잎양지꽃(Potentilla freyniana Bornm.), 애기부들(Typhaangustifolia L.), 고비(Osmunda japonica Thunb.), 야광나무(Crataegus maximowiczii C.K.Schneid.), 꿩고비(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Copel.), 호랑버들(Salix caprea L.) 등이 함께 자라고 있었으나, 2차조사시 임도공사로 인하여 생육지역에 훼손이 있었다. 또한, 은사시나무는 5개체를 확인하였으나 자생이 아닌 식재된 것으로 보인다.
Table 6. List of the endemic species of Korea in Is. Yeonpyeongdo
Kim et al.(1992)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은사시나무만이 동일하게 조사되었고,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Nakai),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갈퀴아재비(Asperula lasiantha Nakai), 바늘엉겅퀴[Cirsiumrhinoceros (H.Lev. & Vaniot) Nakai] 4분류군의 경우 본조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조사일수가 늘고, 조사경로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연평도에 1999년부터 2009년까지 북한군의 공격이 2~3차례 있으면서 한국군의 부대시설 증강으로 인한 인위적인 교란이 일어남에 따라 기존에 분포했던 종들의 확인이 어려워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조사결과 대부분의 한반도 고유종들은 생육지가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훼손되거나 그 지역에서 사라질 수도 있는 상황으로 보호용 울타리나 알림판 등을 설치하여 중요한 식물자원이라는 것을 주민들에게 인식시키는 등의 보호대책이 필요하다.
2) 한국 희귀식물
연평도일대에 분포하는 한국 희귀식물은 초종용(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쇠채(Scorzoneraalbicaulis Bunge), 쑥방망이(Senecio argunensis Turcz.)등 9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7). 조사된 9분류군 중 초종용(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VU)은 대연평도의동쪽 아이스크림바위가 있는 해변 근처 산지에 10여 개체가산재하여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주변에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닭의덩굴[Fallopia dumetorum (L.) Holub], 가을강아지풀(Setariafaberii Herrm.), 방동사니(Cyperus amuricus Maxim.), 큰방가지똥[Sonchus asper (L.) Hill], 큰조롱[Cynanchumwilfordii (Maxim.) Hemsl.], 참새귀리(Bromus japonicusThunb.), 산조풀[Calamagrostis epigeios (L.) Roth] 등이 함께 자라고 있었다. 쇠채(Scorzonera albicaulis Bunge,VU)는 대연평도의 서쪽 구리동해변 근처 산지와 소연평도에서 확인되었으며, 10여 개체 정도가 군락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었다. 주변에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old& Zucc.), 작살나무(Callicarpa japonica Thunb.), 댕댕이덩굴[Cocculus trilobus (Thunb.) DC.], 갯쑥부쟁이(Asterhispidus Thunb.), 산괭이사초(Carex leiorhynchaC.A.Mey.), 타래난초(Carex maackii Maxim.), 가는잎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 f. angustifolius (Debeaux) Kitag.],개밀[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Hack.)Ohwi], 콩다닥냉이(Lepidium virginicum L.),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 등이 함께 자라고 있었다. 쑥방망이(Senecio argunensis Turcz., VU)는 대연평도 북쪽 습지지역에서 산 위로 올라가는 길에 3~4개체가 임도 옆으로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주변에 조밥나물(Hieracium umbellatum L.), 애기쉽싸리[Lycopusmaackianus (Maxim. ex Herder) Makino], 큰듬성이삭새[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Nees ex Steud.)Honda], 참취(Aster scaber Thunb.), 바디나물[Angelicadecursiva (Miq.) Franch. & Sav.], 지네고사리[Thelypterisjaponica (Baker) Ching], 술패랭이꽃(Dianthus longicalyxMiq.) 등이 함께 자라고 있었다. 물질경이[Otteliaalismoides (L.) Pers., LC]는 대연평도 남쪽 연평파출소 부근의 오래된 묵논에서 확인하였으며, 주변에 둥근매듭풀[Kummerowia stipulacea (Maxim.) Makino], 취명아주(Chenopodium glaucum L.), 벗풀[Sagittaria sagittifolasubsp. leucopetala (Mig.) Hartog], 애기땅빈대(Euphorbiasupina Raf.) 등이 함께 자라고 있었다. 모새달[Phaceluruslatifolius (Steud.) Ohwi, LC]은 대연평도 해안가 근처에서1㎡당 평균 30개체 정도가 가는잎모새달과 혼재하여 분포하고 있었고, 주변에 가는잎모새달, 소리쟁이(Rumexcrispus L.), 속털개밀[Agropyron ciliare (Trin.) Franch.],미국나팔꽃(Ipomoea hederacea Jacq.), 푸른방동사니(Cyperus nipponicus Franch. & Sav.), 알방동사니(Cyperusdifformis L.) 등이 같이 자라고 있었다.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 Blume, LC)은 대연평도 북쪽 습지 부근 계곡에 10개체 정도가 산재하여 분포하고 있었으며, 주변에 뇌성목 군락[Lindera glauca var. salicifolia(Nakai) T.B.Lee Community], 큰천남성[Arisaema ringens(Thunb.) Schott], 민청가시덩굴[Smilax sieboldii f. intermis(Nakai) Hara], 가시오갈피(Acanthopanax senticosus f.inermis Harms),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산달래(Allium macrostemon Bunge) 등이 같이 자라고 있었다.
Table 7. List of the rare plants in Is. Yeonpyeongdo
이와 같이 조사된 결과를 Kim et al.(1992)의 결과와 비교해보면 2분류군이 미확인되었고, 추가적으로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존의 조사보다 희귀식물이 늘어난 이유는 다양한 조사경로와 증가된 조사일수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희귀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은 특히 사람들의이동이 많은 장소인 밭, 논, 임도 주변이기 때문에 인위적인 이유로 훼손되기 전에 특산식물과 마찬가지로 보호용 울타리나 알림판 등을 통해 주민들에게 인식시키는 등의 보호대책이 필요하다.
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을 구계학적으로 나누는 이유는 조사지역 자연환경의 우수성과 종보전에 있어 우선순위를 두기 위한 것으로(Kim, 2000), 등급이 높을수록 고립되어 분포하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며, 분포지역이 협소한 식물들임을 의미한다.
연평도의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8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조사된 소산식물의 7.3%에 해당한다. 조사결과Ⅴ등급에 해변노간주[Juniperus rigida var. conferta (Parl.)Patschke]와 초종용(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2분류군, Ⅳ등급에 산고사리삼[Sceptridium multifidum var.robustum (Rupr.) M.Nishida]과 측백나무(Thuja orientalisL.) 2분류군, Ⅲ등급에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선갈퀴(Asperula odorata L.), 물옥잠(Monochoria korsakowiiRegel & Maack), 갯그령(Elymus mollis Trin.) 4분류군, Ⅱ등급에 큰참나물[Cymopterus melanotilingia (H.Boissieu)C.Y.Yoon], 물질경이[Ottelia alismoides (L.) Pers.]와 시베리아잠자리피(Trisetum sibiricum Rupr.) 3분류군, 그리고Ⅰ등급에 물오리나무(Alnus sibirica Fisch. ex Turcz.), 흰대극(Euphorbia esula L.), 반디지치(Lithospermum zollingeriA.DC.), 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등 2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8). 이처럼 다양한 등급의 식물들이 조사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점은 조사지역의 자연환경이 우수하며 종보전에 있어서도 가치가 있는 지역임을 보여준다.
Table 8. List of the level Ⅴ to level Ⅲ species(Ministry of Environment, 2006) in Is. Yeonpyeongdo
Kim et al.(1992)에 조사된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25분류군으로 본 조사에서 13분류군정도 더 많이 조사되었는데,이는 1992년보다 2010년에 조사경로와 조사시기가 다양하였으며, 조사 횟수 또한 증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 귀화식물
연평도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닭의덩굴[Fallopiadumetorum (L.) Holub], 소리쟁이(Rumex crispus L.), 유럽점나도나물(Cerastium glomeratum Thuill.), 취명아주(Chenopodium glaucum L.), 개비름(Amaranthus lividusL.), 가는털비름(Amaranthus patulus Bertol.), 개양귀비(Papaver rhoeas L.) 등 총 66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율은 12.6%로 높게 나타났다.
Kim et al.(1992)에 의해 조사된 귀화식물은 23분류군이며, 귀화율도 6.7%로 약 15년 사이에 모두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9). 이는 연평도에 1999년부터2009년까지 북한군의 공격이 2~3차례 있으면서 한국군의부대시설 증강으로 인해 외부 식물들이 쉽게 유입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사가 이루어지던 2010년에도 대연평도 산 주변으로 임도가 개발되고 있었는데, 자생식물의 생육지 파괴로 인한 귀화식물의 침입이 가속화되면서 귀화식물의 수는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Table 9. List of induced and naturalized plants in Is. Yeonpyeongdo
귀화식물 중 국화과는 연평도 귀화식물의 34.8%인 23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벼과, 십자화과와 메꽃과, 콩과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국화과, 벼과, 십자화과,콩과의 순서로 분류군수가 많은 우리나라 귀화식물 과별분포양상과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Park, 2009; Lee etal., 2011).
생태계교란 야생 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09)은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가시박(Sicyos angulatus L.),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등 4분류군이 마을 어귀에 분포하고 있었고, 돼지풀만이 Kim et al.(1992)에서 조사된바 있다. 4분류군 중 특히 확산의 속도가 빠른 가시박은1차(5월)와 2차조사(7월)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3차조사(9월)시 연평파출소 부근 마을회관 뒤에 텃밭과 숲 가장자리에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4차조사(10월)시에는 5m×40m의 면적에 앞쪽으로는 밭 안쪽, 뒤쪽으로는 숲안으로까지 우점하고 있어 분포지역을 점차 넓혀 가고 있는것을 확인하였다. 가시박은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는데, 종자 생산량이 주당 400~500립이며, 발아적정온도범위는 20~30℃, 토심 16cm아래에서도 발생한다(Ryang,2004). 이러한 특성 때문에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결실전에 제거해야하므로 꽃이 피는 6~9월에 뿌리까지 뽑아 제거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5) 기타식물
본 조사에서는 소연평도에서 부령소리쟁이(Rumex patientiaL.), 소리쟁이(Rumex crispus L.), 참소리쟁이(Rumex japonicusHoutt.) 등이 혼생하여 자라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중 부령소리쟁이는 북한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었으나, Song(2001)에 의하여 강원도와 경기도에서 그 분포가 확인되어 보고된 것으로 남한 내에서는 분포지가 제한적이다. 소리쟁이는 내화피편의 길이가 4~5㎜이며, 수과를 둘러싸는 내화피편 3개 모두에 혹이 존재하는 것에 비해 부령소리쟁이는 내화피편의 길이가 6~7㎜로 수과가소리쟁이에 비해 작아 보이고, 열매자루와 연결된 열매 기부가 V자 형태로 움푹 들어가며, 수과를 둘러싸는 내화피편에 혹이 발달하지 않거나 1개의 내화피편에만 작은 혹이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대연평도 북쪽 해변 근처에서 미기록종인 갯무릇(가칭)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갯무릇(Scilla scilloides var.litoralis Konta)은 무릇[Scilla scilloides (Lindl.) Druce]에비해 잎이 두껍고 폭이 넓으며, 화서는 짧지만 꽃은 많이달리고, 꽃이 성숙 했을 때 잎도 같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Konta et al., 2005). 무릇의 변종인 갯무릇(가칭)의 한국미기록 종으로의 보고는 추후에 정확한 관찰을 통해 발표하고자 한다.
Appendix 1 List of vascular plants of Yeonpyeongdo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Appendix 1. Continued
Reference
2.Chung, T.H.(1957) Korean Flora. Vol. Ⅱ. Shinjisa. Seoul, 1025pp. (in Korean)
3.Incheon Metropolitan City(2005) http://www.incheon.go.kr (in Korean)
4.Kim, T.W., S.H. Chun and G.H. Kang(1992) Floristic study of Baekryong and Yeonpyong Island within Ongjin Gun, Kyonggi Province. Seoul National Univ. Col. of Agric. 12:30-46.
5.Kim, C.H.(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Korean J. Environ. Biol. 18: 163-198. (in Korean)
6.Kim, S.H. and H.S. No(2000) The study of Sea splder, Cirripedia and Isopoda in Yeonpyeong-do coast.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pp. 1-9. (in Korean)
7.Kong, W.S.(1989) The Biogeographic Divisions of Korea and Their Species Composition.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0: 43-54. (in Korean)
8.Konta, F., S. Matsumoto and T. Katsuyama(2005) New Infraspecific Taxa and a Hybrid of Vascular Plants from Suzaki. Shimoda City, Central Japan, Bull. Natn. Sci. Mus. Tokyo, Ser. B. 31: 133-159.
9.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09) http://www.kma.kr/weather/observation/past_cal.jsp (in Korean)
10.Korea National Arboretum(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Gyeonggi, 520pp. (in Korean)
11.Korea National Arboretum(2007)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Gyeonggi, 547pp.(in Korean)
12.Korea National Arboretum(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Geyonggi, 332pp. (in Korean)
13.Korea National Arboretum(2010)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in Korean)
14.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 87-101. (in Korean)
15.Lee, J.Y., J.W. Jung, H.H. Myeong and H.S. Kim(2007) A Study on the Flora of Cheongsando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 19: 179-203. (in Korean)
16.Lee, T.B.(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1. Hyangmonsa, Seoul, 914pp. (in Korean).
17.Lee, T.B.(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2. Hyangmonsa, Seoul, 910pp. (in Korean).
18.Lee, W.T. and Y.J. Yim(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412pp. (in Korean)
19.Lee, W.T.(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edmy Press, Seoul, 491pp. (in Korean)
20.Lee, W.T.(1996b) Lineamenta Florae Korea. Academy Press, Seoul, 1567pp. (in Korean)
21.Lee, Y.N.(1996c)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1247pp. (in Korean)
22.Melchior, H.(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Gebruder Borntraeger, Berlin, 666pp.
23.Min, B.M. and K.Y. No(2000) The study of seashore halophyte in Yeonpyeong-do.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Gwacheon, pp. 1-16. (in Korean)
24.Ministry of Environment(2006) The investigation guide for specially designated species by floristic region.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Incheon, 76pp. (in Korean)
25.Ministry of Environment(2009) 16 species about an ecosystem disturbance animals and plants.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Incheon, pp. 27-35. (in Korean)
26.Nakaike, T.(1992) New Flora of Japan Pteridophyta(Revised & Enlarged). Shibundo, Tokyo, 868pp.
27.Nam, J.H., W.G. Jang, C.O. Sin, J.Y. Choi, G.H. Yuk, H.J. Choi, G.S. Lee, J.S. Lee and W.G. Lee(2006) Toward Establishing the Marine Peace Park in the Western Transboundary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 Maritime institute 412: 391.
28.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Gyeonggi, 205pp. (in Korean)
29.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59pp. (in Korean).
30.Ryang, H.S., D.S. Kim and S.H. Park(2004) Weeds of Korea(Morphology, Physiology, Ecology).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s.
31.Ryang, H.S., D.S. Kim and S.H. Park(2004) Weeds of Korea(Morphology, Physiology, Ecology). Choripetalae.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s, Seoul, pp. 882-885. (in Korean)
32.Song, J.S.(2001) A Systematic Study on the genus Rumex (Polygonaceae)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3pp.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