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7 No.6 pp.718-732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3.27.6.718

예천 금당실 송림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1a

이수동2, 이찬3, 김동욱4*, 김지석5
2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3Schoo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Landscape, Newcastle University, Newcastle, United Kingdom
4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5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469호로 지정된 예천 금당실 송림의 실질적인 보존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관리 및 보호방안을 제안하였다. 숲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저감하여 숲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형 및 지세, 토지이용, 수목 생육현황, 토양환경, 이용 및 관리현황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예천 금당실 송림은 해발 130~140m의 평탄지에 위치하며, 주변지역은 대부분 경작지로 이용되었다. 송림에 식재된 수목은 총 565주이며, 이중 소나무가 558주이고 25개의 밑둥이 확인되었다. 식재된 소나무는 흉고직경 30~50㎝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평균 수령은 85.4년이었고, 최고 수령은 약 200년으로 추정되었다. 표본목의 가지 생장량은 연간 4.3~5.1㎝이며 가장 생장이 왕성한 중앙의 가지는 3년간 평균 24.2㎝의 생장을 보였다. 7개 조사구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유기물 함량, 전질소, 유효인산, 전기전도도 항목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토양 ㏗, 치환성 양이온 등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하였다. 현재 내부의 시설물와 이용압력은 많지 않은 상태이나, 경작에 의한 잠식 등의 위협요인이 남아있으며, 생태계 관리에 치중한 관리로 시설물, 이용객, 운영 관리 등의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태이 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은 생태계관리, 시설물관리, 이용객관리, 운영관리 4가지 부분을 고려하였다.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Geumdangsil Pine Forest of Yecheon¹a

Donwook Kim4*, Soo-Dong Lee2, Chan Lee3, Jisuk Kim5
4Graduate School, Univ. of Seoul, Seoul 130-743, Korea
2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660-758, Korea
3Schoo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Landscape, Newcastle University, Newcastle, United Kingdom
5Dept. of Bioenvironmental Energy, Pusan Nat'l Univ., Miryang 627-706, Korea
Received 13 August 2013; Revised (1st: 2 December 2013, 2nd: 17 December 2013); Accepted 18 December 201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for the basic research to found the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the Geumdangsil Pine Forest of Yecheon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469.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 efficient sustainable forest preservation and using. In order to achieve the sustainable forest preservation, this study was to analyse topography, land use, tree growth, soil environment, forest usage and forest management, etc. According to analysis the results, the site area is located in the flatlands where is from 130 to 140 m above sea level. The around forest was transformed into agricultural land. The 565 individuals of Pinus densiflora grows in the forest, whereas, 25 trees was cut down or died. There are signs of 25 stumps. The most of 565 trees’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was centerized between 30 ㎝and 50 ㎝, moreover,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trees were 85.4 years. The oldest age of tree was estimated to be 200 years. The Sample trees of rate of branch growth is from 4.3 ㎝to 5.1 ㎝per year. The middle branch which is more vigorous growth grow 24.2 ㎝ for 3 years. Moreover, the result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alysis of 7 plots, 4 categories which i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ic acid, specific electrical conductance was generally good, however, the 2 categories which is soil ㏗, exchangeable cation needed improvement. Currently, the site was not pressured by facilities and usage, however, there might be threaten by agriculture such as encroaching on forest. Therefore, there should establish comprehensive ecosystem management such as facility management, visitors management and operation management In this paper considered 4 fields that is ecosystem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visitors management and operation management for sustainable management.

0054-01-0027-0006-7.pdf6.02MB

서 론

  전통마을은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이 어우러진 복합경관으로 환경 친화적인 공간구조의 틀 속에서 사회적 건전성과 문화적 지속성이 이루어 낸 결과이며 생태적 기능과 문화적 기능이 동시에 행해지는 혼합경관이라고 하였다(Shin, 2004). 마을경관에 포함된 요소들은 과거의 자료, 역사적 변화, 경관과 문화의 변화 등이며, 형태는 자연경관에서 문화경관으로 변천해가는 과정에서 문화요소 유발, 매개체 역할, 다른 인문적 문화요소까지 포함하는 지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였다(Lee and Lee, 2005). Baek and Choi(2002) 는 인간에 의해 창조되는 형태 및 공간이 당대 및 사회의 문화적 영향을 외부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았으며 Lee and You(2001)은 생태적 관점에서 인간의 영향이 미치는 범위라는 점에서 인간의 간섭과 자연의 반응이 균형을 이루면서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결국 마을경관은 주민의 가치관, 사회구조와 제도, 관습, 기술 등의 문화요소가 자연경관에 오랜 세월을 두고 작용하여 자연환경과 생태적 관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역사를 내포하고 있는 공간이라고 하였다(Shin, 2003). 

  한편, 마을경관의 일부를 차지해온 마을숲은 정주지와의 공존을 전제로 현재도 조성․관리되는 살아있는 토속적 숲으로 마을 고유문화의 상징이나 공동체적 가치관이 무너지면 순식간에 소실되는 자원이다(Lee and Lee, 2005). 마을과 운명공동체였다는 것은 마을숲이 과거에는 공유지였으나 해방 이후 국유지로 전환되면서 많은 숲들이 소실된 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시기적으로는 해방 이후 사회적 혼란기와 6⋅25전란, 전후 복구와 새마을운동 등 개발의 시대를 거치는 동안 가장 많이 훼손된 것으로 보이며, 역사문화 경관으로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Ryu, 1979; Kim, 1986). 마을숲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이후, 바람, 온도, 습도 조절 등 기능적인 측면(Park et al., 2003; Lee, 2004)과 식물상, 구조적인 특성 등 식생학적 측면을 연구하였으며(Jang and Lee, 1997; Kang, 2004; Kim and Lim, 2006; Oh et al., 2007) 자료가 축적된 후에는 원형경관 또는 초기 양호한 경관으로 복원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었다(Kim et al., 2003; Choi and Kim, 2007; Kim et al., 2008; Shin et al., 2008). 입지적인 특성은 문화경관으로서 전통마을의 일부인 마을숲이 가지는 문화행사, 제례, 주거지보완, 재해방지 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주민과의 유대감 상실을 훼손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었다(Nam and Yoon, 1999; Kwon et al., 2008; Choi, 2008). 

  우리나라는 보전가치가 높은 자연유산을 천연기념물, 생태경관보전지역 등 보호지역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마을숲은 민족의 역사성을 확인시켜주는 역사문화 경관으로서 대부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되고 있으며 2013년 총 427건 중 마을숲 등과 같은 수림지는 90건으로 약 21%를 차지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보전가치를 상실한 천연기념물에 대해서는 해제가 진행되었는데 1962년 56건을 포함하여 2009년까지 총 113건이 해제되었다. 2000~2013년까지 최근 14년간 수림지 중 6건이 자연재해 및 생육환경 악화에 의한 수목 고사, 훼손, 번식지로서의 기능상실 등의 사유로 해제되었다. 현재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하더라도 자연재해, 기후변화, 인위적 간섭에 의한 면적감소 등 훼손 위험이 항시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보호 및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현황 파악을 통한 관리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469호로 지정된 예천 금당실 송림의 실질적인 보존․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관리 및 보호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예천 금당실 송림은 예천군의 북서쪽 용문면 남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21,864㎡이다. 송림 북쪽으로 금당실 마을이 위치하고 있으며, 송림 남쪽으로 금곡천이 서에서 동으로 흐르고, 북쪽에는 해발 424.2m의 망월봉, 동쪽에는 육년봉, 남쪽에는 백마산이 입지해 있다. 주변 교통 시설은 송림과 금곡천 사이로 928번 지방도가 통과한다. 주요 공공시설로는 동쪽에 용문면사무소와 용문초등학교가, 서쪽에 용문중학교가 위치해 있다. 금당실 마을은 조선시대 중기 격암 남사고가 꼽은 십승지지(十勝之地)중 한 곳으로 금당실 주민들은 수백년 전 북서쪽의 용문사 계곡과 북쪽의 청룡사 계곡에서 발원하는 물이 만나는 삼각주에 나무를 심어 하천의 범람을 억제하고 겨울철의 북서한풍을 막기 위해서 약 2㎞에 달하는 소나무숲을 조성하였다(Lee, 2009). 조성 당시 금당실 송림은 오미봉에서 시작하여 금곡천을 따라 성현리의 정자산 건너편까지 상금당실과 하금당실을 감싸안으면서 배치되었다고 한다(Choi, 2011). 금당실 마을은 풍수지리상 배 모양의 형국을 띠고 있는데, 110여 년 전배를 붙들어 매는 줄 역할을 하는 오미봉을 파헤쳐 금을 캐려는 광부가 마을 주민에 살해당하는 사건이 있어났고, 이에 대한 배상금과 주민을 구원하기 위한 비용충당을 위해 소나무가 베어졌다고 한다(Lee, 2009). 1890년 무렵에는 금당실 송림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을 주민들을 중심으로 사산송계(四山松契)가 결성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있다(Choi, 2011). 1863년 동학을 전파하던 최제우가 체포되어 처형되는 과정에서 민심이 동요되어 큰 나무들이 일부 벌채되고 1894년 동학혁명 당시 노비구출 비용 마련을 위한 벌채가 심하여 1895년(고종 32년) 법무대신이던 이유인이 금당실에 95칸의 집을 짓고 거주하면서 이 숲을 보호하였다고 전하기도 한다. 근래에는 집과 학교가 세워지고 길이 넓어지면서 원래의 소나무 숲은 4분의 1로 줄어들었고(Lee, 2009), 조성 당시 2㎞에 달했던 숲은 현재 약 800m만이 남아있다. 오랜 기간 마을 주민들이 마을 보호를 위하여 이 숲을 보호하고 관리하여 왔을 뿐만 아니라, 마을의 휴식처와 행사의 중심지로 활용되는 등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큰 숲으로 2006년 3월 28일에 천연기념물 제469호로 지정되었다. 

Figure 1. The location map of survey site

2.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2010년 2~8월에 실시되었으며 예천 금당실 송림의 생태적 특성 및 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지 및 주변지역의 환경생태 현황, 수림지 이용 및 관리 현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수림지 보전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환경생태 현황으로 지형 및 지세, 토지이용 현황, 지형 단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송림 내부의 수목 식재 현황, 주요 표본목의 직경생장량 및 가지 생장량, 토양환경을 분석하였고, 병충해 발생현황을 파악하였다. 이용 및 관리 현황으로는 이용 및 훼손현황, 시설물 현황, 관리사업 실시 현황을 파악하였다. 

  지형 및 지세, 토지이용 현황은 현재 송림으로 보호되고 있는 대상지를 비롯하여 조성당시 송림의 경계로 예상되는 금곡천과 금당실 마을 북측의 하천 합수부를 포함하는 주변 지역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송림과 금당실 마을의 전체적인 배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형 및 지세는 Arcview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정된 조사지역의 표고, 경사, 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도면화하였다. 토지이용은 조사지역 전체를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 공공시설지, 교통시설지, 도시기반시설지, 나지 및 공사지역, 경작지, 자연녹지, 습지 및 하천, 인공녹지 등 11개 유형으로 대분류 한 후 각 유형별 1~5유형으로 세분하여 수치지형도에 도면화하였다. 대상지 내부에 식재되어 있는 전체 수목을 대상으로 수목의 수종, 식재위치,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 등을 실측하여 도면으로 작성하였으며, 수종 및 흉고직경급별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식재 수목의 생육상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 흉고직경급에 해당하는 교목층 수목 13주를 표본목으로 선정하여 연륜분석과 가지생장량을 분석하였다. 연륜분석은 지상 1.2m 가슴높이에서 생장추를 이용하여 목편을 추출하였고, 정확한 수령 파악을 위하여 수(pith)를 관통하도록 하였으며, 수령 측정은 정확한 생육년도를 파악하고자 크로스데이팅(cross-dating)을 실시하였다(Fritts, 1976). 가지생장량은 지상부 3~5m 높이에 위치한 가지의 최근 3년간 생장부를 채취하여 생장연도별 가지수와 연도별 생장량 및 3년간의 생장량, 엽량, 낙엽율 등을 파악하였다. 토양은 식물생육의 기반이 되는 요소로 토양분석을 위한 시료는 송림 내 주요 지점에 대해 유기물층을 걷어내고 A층에 해당하는 토양층에서 채취하였으며 토양 ㏗,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전기전도도 등을 분석하였다. 병충해에 대해서는 전문가 자문을 통해 현재 수림지에 발생한 병충해의 병징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용 및 관리 현황은 송림 전체를 대상으로 동선, 시설물현황을 도면화하였으며, 관리주체인 예천군에서 실시한 연차별 관리사업 현황을 파악하였다.  

Figure 2. Survey plots map of soil (left) and sample tree (right)

Figure 3. The topographic analysis map in survey site

결과 및 고찰

1. 환경생태 현황

1) 지형 및 지세

  예천 금당실 송림이 분포하는 지역과 그 일대는 해발 120~230m에 분포하였다.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북고남저의 지형을 이루고 있었으며 외곽 산림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해발고 120~150m에 분포하였고 대상지는 해발고 130~140m에 위치하였다. 경사는 송림 주변지역의 70.8% 가 평탄지, 18.4%가 완경사지로 완만하였으며 연구대상지는 평탄지에 해당되었다. 향은 조사지역 전체에 일조량이 많은 남향, 동향, 남동향, 평지가 우세하였으며 송림은 남동향, 동향에 해당되었다. 

2) 토지이용

  토지이용 조사결과 전체 조사지역은 주거지, 상업지, 공공시설지, 교통시설지, 도시부양시설지, 나지 및 공사지역, 경작지, 자연녹지, 습지 및 하천, 인공녹지 등 10개 유형으로 대분류 되었으며 각 유형별 특성에 따라 총 27개 토지이용유형으로 세분되었다. 실제 송림 면적은 22,761㎡로 지정구역 면적인 21,864㎡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주변지역은ㅡ대부분 경작지로 활용되고 있었는데 전체 조사지역의 약 62%(논경작지 41.6%, 밭경작지 17.4%, 기타 2.8%)를 차지하였으며 산림, 잔존녹지 등 자연녹지 12.2%, 주거지 8.6%, 습지 및 하천 5.5% 등이 주요 유형이었다. 금복천을 포함한 2개의 하천이 송림과 마을을 감싸는 형상을 띠고 있었으며 대상지는 마을 서쪽에 위치하여 겨울철의 북서풍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북측의 산림은 개간되어 대부분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었고, 조성 당시 송림의 북측 경계로 추정되는 오미봉 남서측은 논경작지로 이용되고 있었다. 금당실 송림은 조성 당시 그 길이가 2㎞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Figure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송림의 남측 경계부로 예상되는 하천 합수부에서 현재 대상지의 남측 경계까지의 1㎞ 이상 지역은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으며, 대부분 경작지와 주거지, 공공시설지로 이용되고 있었다. 대상지의 북측과 남측 경계부에 입지하고 있는 학교와 서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업시설은 당초 송림이었던 지역을 잠식한 것으로 판단되며, 송림 내부에도 주거지가 위치하고 있어 공공시설과 주거지 개발, 경작 등으로 인하여 대상지가 지속적인 압력을 받아온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송림은 대상지 서측의 상업지와 동측의 주거지를 연결하는 4개의 도로로 인하여 5개 구역으로 단절되어있는 상태이며, 주거지, 상업지, 공공시설지 등 도시화지역으로 에워싸여 고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으나 관리 소홀, 무분별한 이용 등이 이루어질 경우 답압에 의한 나지 노출, 경계부 개발로 인한 식생 파괴 등 지속적인 개발압력에 의해 훼손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확한 실태파악에 따른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able 1. The survey site's area and ratio of landuse

Figure 4. The landuse map in survey site (The legends of the landuse map referred from Table 1)

3) 송림 단면

  Figure 5는 북서측 용문중학교 주변의 단면으로 송림은 하천으로부터 약 110m 떨어져 위치하고 있었으며 폭은 35m이었다. 단면을 살펴보면 금복천, 도로, 학교, 주거지, 상업지 등 도시화지역, 송림, 주거지 또는 농경지로 이행되는 구조이었다. 대상지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용문중학교, 용문초등학교 같이 경계가 구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행되는 구간도 있으나 대부분 돌담, 펜스 등에 의해 경계부 식생은 보호받고 있었다. 하지만 도로에 의해 분할되어 있고 자유로운 출입으로 인해 주연부가 훼손되고 있어 주거지, 학교보다는 도로와의 경계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ure 5. Sectional view in survey site

4) 수목 식재 현황

  예천 금당실 송림의 수목 식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체지역을 대상으로 식재된 수목의 위치 및 수종, 흉고직경, 수고, 지하고, 기타 사항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식재 수목은 소나무 558주, 회화나무 1주, 감나무 2주, 밤나무 1주, 호두나무 1주, 고욤나무 1주, 뽕나무 1주로 총 565주이었으며 소나무를 제거하여 남은 밑둥이 25개 확인되었다. 식재된 수목의 흉고직경은 6.9∼89㎝로 평균39.3㎝이었다. 식재된 수목의 흉고직경을 10㎝ 단위의 총 9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그 분포 현황을 나타낸 것이 Table2 와 Figure 6이다. 흉고직경급별 분포현황을 살펴보면 10㎝ 미만에 뽕나무 1주, 10∼20㎝에 소나무 54주, 회화나무 1 주, 감나무 1주, 고욤나무 1주, 20∼30㎝에 소나무 85주, 감나무 1주, 밤나무 1주, 30∼40㎝에 소나무 145주, 호두나무 1주가 분포하였고 40∼50㎝에 소나무 176주, 50∼60㎝에 소나무 66주, 60∼70㎝에 소나무 26주, 70∼80㎝에 소나무 4주, 80∼90㎝에 소나무 2주가 분포하였으며 흉고직경 30∼50㎝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나무의 경우 밀식에 의한 생장불량으로 흉고직경급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겠으나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식재, 관리해오고 있어 경급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흉고직경 30㎝ 미만의 수령이 30~40년생이므로 약 139주는 최근에 식재한 것으로 예측되며 관리에 의해 양호한 숲 생태계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보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Table 2. The distribution of trees in each Diameter at Breast Heigh

5) 표본목 분석
(1) 직경생장량

  Table 3은 13개 표본목을 대상으로 수령 및 연간 직경생장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표본목의 흉고직경은 17.0~58.0 ㎝로 평균 43.9㎝이었고 수령은 31~117년으로 평균 85.4년이었다. 연간 직경생장량은 평균 0.7~6.3㎜(0.4~10.6㎜)의 생장을 보였으며 연간 평균 생장량은 평균 2.2㎜(1.5~3.3 ㎜)이었다. 분석을 통해 파악된 표본목의 평균 흉고직경, 수령, 연간 평균 직경생장량을 바탕으로 식재된 소나무의 평균 수령 및 최고령 수목의 수령을 추정해 본 결과 수림지 남쪽부터 1~5구간으로 구분(Figure 6과 같이 수림지 내부를 통과하는 도로를 경계로 하여 5개 구간으로 구분)하였을때 구간별 규격 및 수령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3. The sample tree age and growth amount of D.B.H

Figure 6. The distribution map of trees

 1, 4, 5구간은 약 110년 전 식재되었던 수목이 잔존해 있는 지역으로, 평균 흉고직경은 1구간 40.2㎝, 4구간 42.7 ㎝, 5구간 41.8㎝이었다. 1, 4, 5구간 내 표본목의 평균 연간 생장량은 1.9㎜이며 평균 수령은 약 110년 내외로 분석되었다. 2구간의 경우 대부분 수목이 새로 식재된 상태로 판단되며 평균 흉고직경은 22.7㎝이었고, 2구간내 분포한 표본목의 평균 연간 생장량이 2.8㎜로 평균 수령은 약 40년이었다. 3구간의 경우 약 110년 전 식재된 수목과 최근 식재된 수목이 함께 분포하였으며 평균 흉고직경 32.6㎝, 평균 연간생장량은 2.6㎜로 평균 수령은 약 60년이었다. 조사된 수목 중 흉고직경이 가장 큰 수목은 89.0㎝이었으며 연간 평균직경생장량 2.2㎜를 적용하였을 때 최고 수령은 약 200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Figure 7은 최근 식재한 수목과 약 110년 전 식재한 수목의 생장량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최근 식재한 수목의 표본인 4번 소나무는 수령 35년으로 초기부터 현재까지 연간 1~4㎜의 생장을 보여 생장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생장량은 1993년 4.2㎜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1986 년 0.8㎜로 최소치를 보였고 평균 2.4㎜이었다. 누적생장량 그래프를 확인하면 표본목은 생장 초기부터 현재까지 유사한 생장량을 보이는 직선형의 그래프를 그렸다. 약 110년 전 식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8번 소나무는 수령 114년으로 초기부터 현재까지 연간 약 0.5~4.5㎜의 생장을 보였다. 연간생장량은 1912년에 5.1㎜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1979년 0.4㎜로 최소치를 나타내었고 평균 1.9㎜이었다. 누적생장량 그래프를 확인하면 표본목은 생장 초기부터 현재까지 유사한 생장량을 보이는 직선형의 그래프를 그렸다. 

Figure 7. The graph of Pinus densiflora's annual cumulative annual cumulative growth amount

  이상을 종합해 보면 신규 식재목과 기존 식재목은 다소 차이는 있으나 생육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관리상태는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약 110년 전 식재된 수목에 비해 신규 식재목의 평균 연간생장량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노령목과 유령목의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관리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가지 생장량

  가지 생장량은 3년지, 2년지, 1년지로 구분하여 유효가지 수, 생장량, 엽량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연도별 낙엽율을 구하였다. 또한 유효가지 중 가장 생장이 왕성한 중앙 가지의 3년간 생장길이를 산출하였다. 

  Table 4는 표본목의 연간 가지 생장량 및 낙엽율, 3년간 최고 생장량을 나타낸 것으로 평균값을 살펴보면 3년지의 경우 유효가지수 2.9개, 가지별 평균 생장량은 5.1㎝이었고 평균 엽량은 1.8㎝로 낙엽율은 73.2%이었다. 2년지의 경우 유효가지수 5.8개, 가지별 평균 생장량 4.4㎝이며 평균 엽량은 1.3㎝, 낙엽율은 70.8%이었다. 1년지의 경우 유효가지수 9.7개, 가지별 평균 생장량은 4.3㎝이었으며 가지별 평균 엽량 1.0㎝로 낙엽율은 76.2%이었다. 가장 생장이 좋은 중앙 가지의 3년간 최고 생장 길이는 평균 24.2㎝이었다. 

Table 4. The growth amount of sample tree branch

6) 토양환경

  토양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7개 지역의 토양시료를 채취한 후 분석하였다(Table 5). 토양 분석 결과 토성은 사양토이었고, 토양 ㏗는 평균 4.64(3.97~5.43)으로 전국 산림토양의 평균값인 4.80보다 낮았으며 조사구 4, 5는 각각 3.97, 4.34로 불량하여 개선이 필요하였다. 토양 내 유기물은 평균 4.01(2.19~6.15)% 이었으며 전국 산림토양의 평균값인 5.60%와 비교해서 낮은 값을 보여 유기질 비료를 시비할 필요가 있었다. 토양 내 질소는 평균 0.138(0.047~0.213)%로 나타났으며 조사구 1에서 0.06% 미만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나머지는 비교적 양호하였다. 유효인산은 평균 260.77(32.05~694.85)㎎/㎏으로 조사구별 편차가 심하였다. 조사구 1, 6, 7의 경우 한국조경학회의 조경설계기준에 제시된 평가등급 기준(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3)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00㎎/㎏ 미만으로 하급에 해당하였으나, 산림의 5.60㎎/㎏과 비교해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수목의 생장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나머지 조사구는 모두 200㎎/㎏ 이상으로 상급에 해당되었다. 조사구 2, 3의 경우에는 타 지역보다 유효인산의 함량이 매우 높았는데 이는 훼손된 송림의 복원을 위해 신규 수목을 식재한 지역으로 식생관리 및 기타 요인에 의해 유효 인산이 다량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치환성 양이온의 경우 칼륨(K+)은 평균 0.22(0.10~0.42)c㏖/㎏, 칼슘(Ca++)은 평균 1.63(0.31~3.13)c㏖/㎏, 나트륨(Na+) 은 평균 0.05(0.04~0.07)c㏖/㎏, 마그네슘(Mg++)은 평균 0.29(0.12~0.49)c㏖/㎏으로 나타났다. 치환성양이온의 칼슘이 산림 평균인 2.27c㏖/㎏보다 낮은 경우를 제외하면 식물의 생장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염분(NaCl)은 평균 15.19(10.98~21.60)㎎/㎏, 전기전도도는 평균 0.057(0.032~ 0.086)dS/m으로 생장에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개 조사구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유기물 함량, 전질소, 유효인산, 염분, 전기전도도 항목은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토양 ㏗ 등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7) 병충해 발생 현황

 병충해 조사결과 응애, 소나무좀, 솔잎혹파리 및 설해피해 등이 확인되었다. 수림지 전체 구간에서 소나무좀, 응애의 가해로 인한 소나무 피해가 약하게 관찰되었으며 솔잎혹파리의 피해가 확인되었다. 솔잎혹파리의 경우 개체별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신초의 50% 가량 피해 받은 수목도 관찰되었다. 설해에 의한 가지 부러짐 현상이 일부개체에서 관찰되었고 복토로 인하여 지엽밀도가 적고 수세가 쇠약한 수목이 일부 나타났다.

2. 수림지 이용 및 관리 현황

1) 수림지 이용 및 훼손

  예천 금당실 송림은 소나무 단순림의 형태를 띠고 있는 수림지로 200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수림지는 현재 마을 주민의 이동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는 정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기간 동안 약 5회의 실태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수림지 내부에서 휴식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등의 이용행태는 관찰되지 않았다. 

  수림지는 학교, 민가 등과 인접하여 있으며 학교-마을도로-주거지역으로 인해 5개 구간으로 단절되어 있는 상태이었다. 남쪽부터 두 번째 위치한 구간의 경우 소나무의 대부분이 새로 식재한 것으로 보이며 이전에 경작으로 잠식된 지역을 복원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수림지 내부 일부 지역은 경작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주변에는 폐가 및 폐창고 등이 일부 방치되어 있고 주거지와의 경계부 담장 역시 노후하여 경관은 양호하지 못하였다. 또한 용문초등학교 이용차량의 수림지 내부 진입, 테니스장, 식당 등 학교 시설물의 입지, 경작에 의한 잠식 등 위협요인이 아직까지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시설물 현황

  예천 금당실 송림의 천연기념물 지정 구역은 21,864㎡로 실제 송림과 경계가 일치하지 않아 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송림 내 설치된 시설물은 총 5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안내시설로 안내판 및 지정석 3개소, 휴게시설로 벤치 2개소, 퍼골라 1개소, 운동시설로 체육시설 1개소가 설치되어 있었다. 펜스는 높이 80㎝와 60㎝의 2가지 종류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림지 외곽으로 주거지와 학교 등을 제외한 지역에 약 480m 설치되어 있었다. 기타 산책로는 데크 등의 시설물을 설치한 것이 아니고 사람들의 통행에 의해 자연스럽게 나지화 되어 있는 동선을 조사하였으며 그 길이는 총 803m이었다. 

Figure 8. The Status of facilities map in survey site

Table 7. Status of facilities in survey site

3) 수림지 관리 사업 현황

  예천 금당실 송림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2006년부터 2010년 까지 시행한 보수․정비 관리사업은 2007년 1건, 2008년 1건, 2009년 1건으로 총 3건이 시행되었다. 관리항목을 생태계 관리, 시설물 관리, 이용객 관리, 운영관리 4가지로 설정하여 예천 금당실 송림에서 실시된 보수정비사업내역을 살펴본 결과 생태계 관리를 위한 사업 3건만 시행되었을 뿐 시설물 관리, 이용객 관리, 운영관리를 위한 사업은 시행되지 않았다. 생태계 관리를 위한 사업들은 재선충 예방 토양관주, 재선충 매개충 방제, 솔잎혹파리 방제 등과 같은 병충해 방제와 무기양료 엽면시비, 외과수술, 고사지 및 적체지 제거, 고사목제거, 제초와 같은 생육상태 개선을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매년 1회 실시하였다. 관리 현황을 고찰해본 결과 시설물 관리, 이용객 관리, 운영관리에 대한 내용은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는데, 이는 관리 주체가 현재 송림이 농촌지역에 위치해 있어 이용압이 적을 것이라고 임의로 판단, 소나무 재선충과 같은 생태계 관리에만 치중하는데 그 원인이 있다고 사료된다. 현재 주변 토지이용 현황에 의해 토지이용압박을 받고 있는 상태인바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해서라도 다양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Table 8. Status of management and maintenance in survey site

3. 수림지 보전 및 관리 방안

  예천 금당실 송림은 과거 풍수적 비보림으로 주민들의 관리를 받아왔으나, 시대의 변천에 따른 인식변화와 도시화에 따른 주변 토지이용 변화의 영향으로 마을숲의 고유성 훼손과 잠재적인 숲의 파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예천 금당실 송림이 직면해 있는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숲의 잠식과 훼손이다. 현재 남아있는 숲은 조성당시의 4분의 1 미만으로 주거지와 학교 등 공공시설지의 개발, 지역주민의 경작 등으로 인하여 심각하게 잠식되고 훼손되어 있는 상태이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후 숲 주변으로 펜스를설치하고 숲 내부의 훼손지에 소나무를 식재하는 등의 관리를 진행하였으나, 아직까지도 숲 내부에서 경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되는 등 숲의 잠식과 훼손은 지속되고 있었다. 예천 금당실 송림이 직면한 두 번째 문제점은 관리의 부재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음에도 실제 숲의 경계와 지정구역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지정구역 외부에 위치한 수목은 마을 진입로 확장 등으로 인해 훼손될 위험에 처해있었다. 기존에 수목별로 달아놓은 관리번호는 30% 이상이 손실되었으며, 숲 내부에 일부 설치되어 있는 운동시설 역시 방치되어 있었다. 관할 지자체에서 병충해 방제와 생육상태 개선을 위한 시비 등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시적이고 일회성인 관리로 숲의 정확한 현황 분석과 장기적인 관리방향 설정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천 금당실 송림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을 위해 대상지의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장기적인 안목에서 개선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예천 금당실 송림의 관리방안은 생태계 관리, 시설물 관리, 이용객 관리, 운영관리의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생태계 관리는 숲의 잠식되고 훼손된 지역의 식생복원과 내부 수목의 생육환경 개선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대상지 내부의 개체 수목을 관리하기 위하여 손실된 수목 일련번호를 재부여(전체 구간)하고,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자료를 이용하여 개체수목별 데이터베이스 구축(전체 구간)을 제안하였다. 대상지 내부와 주변부의 경작지와 방치되어 있는 폐가 등을 중심으로 식생복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3구간 및 주변 지역). 병충해 관리와 소나무 하층 관리는 양호한 편으로 지속 유지관리를 제안하였고, 현재 몇몇 구간이 수관 밀도의 영향으로 소나무 생장에 영향을 주고 있어 수형 조절과 후계목의 생장을 위해 수관밀도 조절이 필요하였다(4, 5구간). 시설물 관리는 현재 숲 내부에 방치되어 있는 활용도가 낮고 불필요한 운동시설을 철거하고 예천 금당실 송림을 알리고 보호하기 위한 안내판 설치를 제안하였다. 이용객 관리 부분에 있어서 현재까지 예천 금당실 송림을 이용하는 이용객은 많지 않았으나 금당실 마을의 고택을 중심으로 한 마을 정비와 관광상품화 등이 추진되고 있어 향후 금당실 마을과 연계한 방문객 증가가 예상된다. 이러한 방문객의 효율적인 통제․관리를 위해 소규모 형태의 Visitor Center 설치가 필요하였다. 장기적으로 오미봉 남서측의 경작지 매입 등을 통하여 Visitor Center 및 방문객 이용시설 설치, 송림 복원, 후계목 육성 등을 위한공간 확보가 필요하였다. 마지막으로 운영관리 부분에서 현재 일치하지 않는 숲의 정확한 경계확보와 내부 수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수림지 및 주변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계획 수립이 필요하였으며,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숲을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였다.

Table 9. Management plan in survey site

Figure 9. Setting site boundary for management plan

Reference

1.Baek, I.K. and K.S. Choi(200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andscapes associated with confucianism at Lineage village: in the case of Usan village in Sa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3): 26-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Choi, J.S.(2011) A Study o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Traditional Residential Buildings of Geumdangsil-village, Yeochon-Gun. Ph D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15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Choi, J.U. and D.Y. Kim(2007) Preparation of data for restoration of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 from the case study of Hanbam and Goiran Villages.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0(4): 2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Choi, J.U.(2008) A Study for Physic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Dangsan Foreats in Rural and Coastal Villages. M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11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Fritts, H.C.(1976) Tree Rings and Climate. Academic Press Inc. (London)Ltd. 567pp.
6.Jang, D.S. and K.M. Lee(1997) A study on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application plan of traditional city planted-forests in Kyungju and Pohang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5(1): 1-1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Kang, H.K.(2004)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nvironments of growth and management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village groves: focusing on Gyeongbuk, Gyeongnam and Kangwon provinc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2): 19-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Kim, D.H.(1986) A study on the rural settlement forest: 'Dong-soo' of traditional village, Nae-ap in Andong area. Journal of geography 13: 29-4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Kim, H.B., D.S. Jang and B.J. Park(2008) A study on the course of restoration of traditional village grov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2): 42-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Kim, H.B., D.S. Jang and S.J. Lee(2003) A study about improved plans of management of Korean village grov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1(4): 90-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Kim, J.W. and J.C. Lim(2006) A phytosociological review of the forests(Maeul-soop). Keimyung Korean Studies Journal 33: 81-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Kwon, J.O., J.H. Oh, J.Y. Lee, C.R. Park and M.S. Choi(2008) Locations and topographical character of the MAEULSOOP in the southwestern and the easter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 85-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Lee, C.S. and Y.H. You(2001) Cultural landscape of Korea, its entity, changes and values evaluation from new paradigm.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4(5): 323-3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Lee, C.Y.(2009) Winter wind stopper Geumdangshil Pine Forest. Forest and Culture 18(5): 26-29. (in Korean and English)
15.Lee, H.J.(2004) Environmental Geographic Analysis of a Village Grove: With a Case Study on Yugu-eup in Gongju Central Korea.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2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Lee, S.H. and H.L. Lee(2005) Types and characteristics on Choi, Chi-Won's relics an his cultural landscap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2): 60-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Nam, Y.H. and Y.W. Yoon(1999) A study on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village woods: the key subject on Wonju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1): 17-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Oh, H.K., Y.S. Kim and D.G. Kim(2007) The distribution of flora and management status for the inner windbreak forests at Jangsoo-ri and Pyeongsa-ri in Yeosu City. J. Korean Env. Res. Tech. 10(1): 44-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Park, J.C., G.S. Jung and H.H. Jang(2003) Analysis on ground temperature arrangement function of Jinan Hacho village grov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9(4): 35-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Ryu, J.H.(1979) A morphological study of the rural landscape around the Yeoju and Icheon county. Journal of geography 6: 96-11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1.Shin, S.S.(2003)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principles and cultural landscape pattern of the Hahoe·the Yangdong traditional village.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2(4): 383-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Shin, S.S.(2004)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soundness and sustainability of Nagan walled town(樂安邑城) and Oeam traditional village(外岩村).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1): 27-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Shin, S.S., J.H. Rho and H.K. Kim(2008) A study on the seeing of prototype landscape and vegetational restoration design of the Bangdong village groves in Imsil-Gu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3): 78-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13) Landscape Design Criteria. 495pp. (in Korean)
25.Yoo, S.H., K.H. Kim and J.Y. Yun(1995) Distribution of Cs-137 and K-40 in Korean Soils. J. KOREAN SOC. SOIL SOI. FERT. 28(1): 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