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8 No.2 pp.128-141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4.28.2.128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1a

Bong-Ho Han2, Jeong-In Kwak3*, Seok-Cheol Park4, Ji-Yeon Hur4
2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Urban Sciences, Univ. of Seoul, Seoul 130-743, Korea
3Environmental Ecosystem Research Foundation, 239, Garak-ro, Songpa-gu, Seoul 138-830, Korea
4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 of Seoul, Seoul 130-743, Korea

a 본 연구는 2012년도 산림청 산림과학기술개발사업 기획연구과제 ‘도로 및 환경유형별 가로수 조성․관리 모델 개발’ 과제에 의해 수행되었음.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jikwark78@gmail.com
March 13, 2013 April 24, 2014 April 26, 2014

Abstract

This study established a plan to establish the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and enhancing of urban greenery in Songpa-gu. As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reets, that of the parks, the green axes, sidewalk in Songpa-gu were analyzed. This study derived 19 parks by the roadside and 13 lines to connect green axes. The result of roadside greenery status were selected 56,546m lines by natural green space and constructed green space. The result of sidewalks width were selected 8,600m lines that sidewalks width more than 5m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in Songpa-gu.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lines were selected: Olympic Expressway, Songpa-daero, Nambusunhwan-no and Wiryeseong-gil. To improve the street planting strips, two pla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green structures of the street planting strips mainly with shrubs and to effectively create street planting strips through the green spaces along the streets. A plan to promote the amount of planting street trees in Songpa-gu analyzed the streets. Complements the understory layer sections were the highest the entire length of 34,206 m of 63.6% in strengthening for network streets. Greenspace network streets were calculated for planting of volume by promotion plan. Planting volume increased 4,708 trees before expand planting plan, so the total tree was considered 9,518 trees.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계획 연구1a

한 봉호2, 곽 정인3*, 박 석철4, 허 지연4
2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조경학과
3(재)환경생태연구재단
4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송파구의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와 도시녹지 확충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하였 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를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송파구 관내 공원, 녹지축 현황을 분석하고, 가로변 녹지 현황, 보도폭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로변에 위치한 19개 공원과 녹지축 연계가 가능한 13개 가로를 도출하였다. 가로변 녹지는 자연녹지 및 조성녹지와 연계된 가로가 56,546m이었고, 보도폭은 추가적인 띠녹지 확보 및 보식 가능한 보도폭 5m 이상의 가로가 8,600m이었다. 이를 종합하여 도시녹지 네트워크 가로로 올림픽로, 송파대로, 남부순환로, 위례성길을 선정하였다. 네트워크 가로의 가로녹지 조성 현황을 분석하여 가로녹지 조성 및 가로수 식재량 증진 방안을 도출하였다. 가로녹지 개선은 관목 위주 가로녹지의 녹지구조 다양화, 가로변 녹지를 활용한 가로녹지 보완을 제시하였다. 가로수 식재량 증진은 가로녹지 개선계획을 바탕으로 수목 보완 식재를 통해 식재량 증진이 가능한 가로를 대상으로 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중 아교목 보식(1주) 가능 구간은 전체 길이 34,206m중 63.6%이었다. 녹지 네트워크 가로별 식재량 증진계획에 따른 주수변화를 산정한 결과 4,708주의 추가식재를 통해 전체 9,518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Korea Forest Service

    서 론

    현대의 도시는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라 대기오염 과 같은 각종 환경문제 발생, 생태계 파괴, 도시 열섬현상 (heat island)과 같은 환경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의 공원과 녹지는 생태적 기능, 사회적 기능, 도시미 형성 기능, 생태․환경보전 기능, 방호․방재 기능, 최 근에는 사회병리 현상에 대한 치유기능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Moon, 2001). 하지만 도시 내 공원 및 녹지 는 도시계획시설의 하나로 인식되어 다른 개발정책으로부 터 제외되거나 개발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았고 (Kim, 1997), 도시개발로 인하여 면적 감소 및 차단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생태적 안정성을 잃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녹지의 연결성 확보를 위한 녹지 네트워크 와 생태축의 연결은 도시녹지 조성과 관리의 중요한 사항으 로 고려되고 있으며 선형의 녹지공간을 의미하는 그린웨이 는 녹지 네트워크의 주요 요소로서 주목받고 있다. James and James(1995)는 그린웨이를 공원․녹지 체계의 연결망을 구축하고 자연환경의 조화를 이루어내는 상위개념으로 인 식하고 있으며, 유럽에서 그린웨이는 가벼운 비동력원의 교 통수단을 위한 교통로의 개념과 필수적인 일상 또는 여가활 동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이동로, 재활성화된 특정지역의 교통로로 설명되고 있다(The European Greenways Association, 2000). 이에 따라 그린웨이는 광의적 개념으로 산책이나 자전거를 이용한 사람들의 이동통로부터 야생동 식물의 생태통로까지를 포함한 도시전체의 공원, 녹지 체계 를 구축하는 다양한 스케일의 선형 오픈스페이스를 의미한 다. 따라서 그린웨이는 동식물을 위한 생태통로, 보행로, 자 전거도로 등을 포괄하는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이해 할 수 있고(Jung et al., 2007), 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물리적 인 측면에서 연결(Links), 중심(Hurb) 그리고 장소(Sites)라 는 핵심적 구성요소를 가지게 된다(Niall, 2003).

    국내에서는 2005년 제정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선형의 녹지를 연결녹지라는 이름으로 새로 도입 하였으나 조성 시 최소 폭 10m 이상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어, 기성시가지 생활권내의 설치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Yang et al., 2007). 따라서 도시생태환경 네트 워크를 위해서는 시가화지역 내에 분포하고 있는 대규모의 공원이나 가로수 등의 녹지를 최대한 활용하여야 하며(Kim and Kim, 2002), 이중 가로수는 도심 내 대표적인 공공공간 인 가로 내에 위치하고 있어 가로 여건에 대한 충분한 고려 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도심 내 녹을 확보할 수 있는 요소라 할 수 있다. 보스톤 그린웨이 코리도(Corridor)의 형태적 구 성요소에도 도시가로가 포함되어 있으며, 뉴욕시 도시 내 그린웨이 잠재자원으로 도시가로가 포함되어 있어(Jung et al., 2007) 가로공간이 도시 녹지의 생태적 연결기능을 강화 할 수 있는 잠재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가로공간은 가로수와 가로수 하부에 선형으로 조성되는 띠녹지로 구성된 가로녹지의 조성공간으로서 녹지확보에 있서 토지보상 등의 의무가 없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충 분한 녹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성이 높다. Sung et al.(2002)은 가로수가 녹지 네트워크의 요소로서 면적, 점적 녹지를 연결하려면 단지 선적인 요소로서 만으로는 부족할 것이며, 생태적인 기능과 요소도 충분히 갖출 수 있어야 하 기 때문에 단순히 1열의 교목 가로수보다는 2열, 3열 이상 의 가로수 식재, 또한 가로수 하층에는 초본류를 조성하고, 관목류를 식재하여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복층식재가 되도록 함으로써, 곤충류, 조류, 소동물들의 이동통로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도심에서 가로녹지의 기능으로는 미기후조절 기능, 환경 공학적 기능, 건축적 기능, 미적 기능(Byon, 2009)과 함께 생물적 요소가 빈약한 도심지 내에서 야생동물 및 유전자 보호, 거주환경의 보전 및 보건휴양, 여름철 쾌적한 그늘 제공 등 중요한 생태적 서비스 기능을 갖고 있으며(Beckett et al., 2000), 특히 파편화된 도시녹지를 연결하는 선형의 녹지축으로서 연결녹지(Corridor)의 역할을 하고 있다. 가 로수는 도로와 함께 조성되는 선형녹지로서(Kim and Shin, 2007) 차단된 도시녹지의 연결 축으로서의 그 역할이 중요 하고(Han, 1995; Sung and Min, 2003), 가로수 주변의 거점 녹지와 연계할 때 그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Byon, 2009). 도심에서 네트워크를 위해서는 시가화지역 내에 분포하고 있는 대규모의 공원이나 가로수 등의 녹지를 최대한 활용하 여야 한다(Kim and Kim, 2002).

    이와 같이 가로수 및 가로녹지가 도시녹지 네트워크의 요소로서의 기능과 도심 내 새로운 녹지를 확보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가로수 및 가로 녹지와 관련된 연구는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가로수 현황 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 며(Han, 1995; Shin and Lee, 2004; Kim, 2008; Byon, 2009), 가로수 및 가로녹지가 갖는 문제점 해결에 집중하고 있어 도심 내 연결녹지, 그린웨이로서 네트워크 기능에 중 점을 둔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70년 대 도시개발로 인해 파편화된 녹지가 분포하는 서울시 송파 구를 대상으로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개선을 통해 송파구 관내 주요 녹지의 연결을 통한 도시녹지의 생태적 네트워크 강화와 도심 내 녹량 증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연구방법

    1.연구대상지

    서울시 송파구는 서울 25개 구 중 남동부에 위치하며 33.88km2으로 670,519명(2014년 1월 기준)의 인구가 거주하 고 있다(http://www.mospa.go.kr). 송파구는 과거 한강 이 남의 경작지로 강남권 개발에 따른 가락․잠실지구 구획정리 사업이 완료된 신개발지역으로(Kim, 2005) 체계적으로 계 획된 대규모 격자형 가로망이 발달해 있어 가로녹지를 통한 체계적인 도심녹지 연결 잠재성이 높았으며(Songpagu, 2012), 현재 송파구 도심 내부에는 잠실동, 가락동, 방이동 등을 중심으로 대규모 공동주택지와 상업시설지가 밀집되 어 있어 도시개발로 인해 녹지가 크게 감소하고 파편화 되 었다. 현재 송파구는 외곽으로 서울의 중심 하천인 한강과 탄천, 장지천, 성내천 등 하천이 둘러싸고 있고, 도심 내부에 는 서울종합운동장, 올림픽공원과 같은 대단위 종합체육시 설과 79개의 어린이공원, 1개 소공원, 43개의 근린공원이 산재되어 있다(Songpagu, 2012). 따라서 송파구는 도심 내 가로망을 활용하여 파편화 된 녹지의 연결을 통해 도시녹지 의 기능 강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대상지는 송파구 관내 현재 가로수가 식재되어 있는 전체 가로 및 가 로수 식재가 가능한 소로 이상의 가로 중 자동차도로 2개 노선을 제외한 총 68개 노선 약 107km(편도)를 선정하였다 (Table 1, Figure 1).

    2.조사분석 방법

    1)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설정

    Yang et al.(2007)은 도시 그린웨이 네트워크는 단순한 연계(Linkage, Connection)만으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며, 물리적 요소, 상․하위 관련계획의 연계, 운영체계의 세 요소가 통합된 시스템으로 운영될 때 구축 가능하다고 하였다. 따라 서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설정을 위해 송파구 관내 행정자료 와 상위계획을 바탕으로 주요 녹지분포와 녹지축 설정 현황 을 분석하였다. 2013년 1월 기준으로 송파구 관내 공원 현 황을 분석하였으며, 녹지축 현황은 산경표와 대동여지도와 같은 고문헌에 의한 산림 자연축과 1918년 서울 및 주변지 역 지형도에 의한 산림 자연축 및 하천축, 기존 연구결과와 도시 외곽 대규모 녹지와 도심 소규모 녹지의 최단거리 연 결성을 파악한 서울시 녹지축 자료(Seoul, 2004)와 송파구 관내 자료(Songpagu, 2008)를 바탕으로 설정하였다. 가로 변 녹지 현황은 녹지 유형을 자연녹지와 조성형 녹지로 (Kim, 2004) 분석하여 네트워크 가로의 인접 녹지현황을 분석하였다. 보도폭 현황은 해당노선을 걸으며 현황을 기록 하고 도면에 구간을 표시하여 1/1,000 수치지형도에 도면화 하였으며 Autodesk 2004와 Arc gis 10.0 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항목별 노선 길이를 도출하였다.

    2)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세부 현황

    송파구 공원, 녹지축, 가로변 녹지, 보도폭 현황을 송파구 관내 행정자료와 선행연구 자료를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네 트워크 가로를 선정한 후 세부 현황을 조사하였다. 가로수 수종과 식재유형은 해당 노선을 따라 걸으면서 도로 좌우측 에 식재된 가로수의 수종을 야장에 기재하였으며, 수종과 함께 수고, 지하고, 수관폭 등 규격을 함께 조사하고, 1/1,000 수치지형도에 선형으로 도면화 하였다. 가로녹지 조성 현황은 노선을 따라 걸으면서 가로수 식재지역, 가로 띠녹지를 조성한 지역의 식재구조 현황을 조사하여 유형화 하고 도면으로 작성하였다. 식재구조는 가로폭×20m 크기 의 조사구 내에 식재된 수목을 대상으로 교목․아교목층은 흉고직경(DBH) 2cm 이상, 관목층은 2cm 미만으로 구분하 여 각 수목의 수종명, 수고, 지하고, 수관폭 등 규격을 조사 하였으며, 분포 위치와 가로 현황을 도면화하였다.

    결과 및 고찰

    1.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설정

    1)공원 현황

    송파구 관내 도시공원은 총 125개소로 근린공원 43개소, 어린이공원 79개소, 소공원 1개소, 역사공원 2개소이었다. 기타 공원으로 놀이터, 강변공원, 광장 등은 총 7개소이었 다. 송파구 내 전체 공원 현황은 총 132개소, 총 면적이 3,703,771.5m2(2013년 1월 기준)로 송파구 전체 33.88km2의 10.9%이었으며, 도심 내부에 파편화되어 산재하였다. 송파 구 내 근린공원은 장지, 송파나루, 오금, 천마, 아시아 등 43개소로 전체면적이 1,828,181.6m2이었고, 어린이공원은 늘봄, 아름, 새싹 등 총 79개소로 전체면적이 126,686.5m2이 었다. 소공원은 마천 2동에 입지한 늘푸른 1개소로 전체면 적이 921.0m2이었고, 역사공원은 백제초기적석총과 방이동 고분을 포함하여 2개소, 75,431.5m2이었다. 기타 공원은 강 변공원으로 성내천, 탄천이 포함되었고, 광장에 대규모 면 적의 올림픽공원 등이 포함되어 총 7개소 1,672,550.9m2이 었다(Table 2, Figure 2).

    송파구 내부의 파편화된 면적 녹지 중 하나인 공원의 연 결은 향후 송파구 녹지의 양적․질적 향상을 위해서 꼭 필요 하였으며, 이를 위해 송파구의 가로녹지를 활용한 녹지 네 트워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시의 가로수는 각종 개발로 파편화된 녹지의 기능을 부분적으로 보완시켜 줄 수 있으며 도시 녹지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서 선상의 연결 녹지축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Lee, 1996) 가로녹지 조성을 통한 이들 대규모 녹지의 효과적인 연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녹지축 현황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 원지형, 기존 연구결과, 공원녹지 분포현황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Seoul, 2004) 광역적인 차 원에서의 산림과 하천을 연결하는 주녹지축과 과도한 개발 로 인해 단절되고 파편화된 생활권 녹지를 연결하는 지선녹 지축 등 송파구 녹지축 현황을 파악하였다. 송파구의 녹지 축은 한강과 탄천, 성내천 등이 송파구 외곽으로 하천축을 형성하였고 하천이 없는 남측으로는 외곽산림축이 형성되 어 있었다. 송파구는 도시계획에 의해 조성된 대규모 체육 시설 및 근린공원 등 조성녹지가 거점녹지로서 분포하였는 데, 남북방향으로는 마천동 산림⟶방이동 경작지⟶올림픽 공원⟶성내천⟶한강으로 연결되는 축과 장지동⟶한강으로 연결되는 축, 탄천⟶한강으로 연결되는 축이 설정되었다. 동서방향으로 설정된 녹지축은 탄천⟶올림픽공원으로 연 결되는 축과 탄천⟶방이동 경작지로 연결되는 축이었다 (Songpagu, 2008). 이들 녹지축과 연계된 가로 현황을 살펴 보면 남북방향으로는 위례성길, 토성로, 강동대로, 송파대 로, 삼전로, 잠실로 등 6개소가 선정되었고, 동서방향으로는 올림픽로, 백제고분로, 도곡로, 가락로, 남부순환로, 중대로, 동남로 등 7개소가 선정되었다(Table 3, Figure 3).

    송파구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녹지축의 연계는 도심 내 파편화된 잔존산림과 조성녹지를 선형의 가로공간 내 띠녹 지 확보 및 확대 등 가로수 식재구조 개선과 수목 보완식재 를 통해 녹지 및 녹량의 증진을 통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 었고 이들 네트워크상의 가로공간은 생물의 이동 및 녹지축 의 연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 다.

    3)가로변 녹지 현황

    송파구 내 조성된 가로녹지와 연계가 가능한 가로변 녹지 분포현황을 파악한 결과, 자연녹지 중 산림과 인접한 가로 는 1,333m로 전체 가로의 0.8%에 해당하였으며 하천에 인 접한 가로는 2,119m로 1.2%이었고, 기타 자연녹지와 인접 한 가로는 781m로 0.5%에 해당되었다. 조성형 녹지 중 공 원과 인접한 가로는 5.2%, 공개공지 녹화지역이 1.4%, 기 타 시가화지역내 완충녹지 및 학교녹지, 아파트단지 녹지 등 조성형 녹지와 인접한 가로는 40,672m, 23.3%이었다. 가로변에 녹지가 분포하지 않는 가로는 67.6%이었다(Table 4, Figure 4). 가로변에 녹지가 분포하고 있는 가로는 가로 녹지와 연계를 통해 보다 풍부하고 쾌적한 가로 환경을 조 성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보도폭 현황

    가로 내 2열, 3열 이상의 가로수 식재 및 보도 내 띠녹지 조성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송파구 보도폭 현황을 분석하 였다. ‘보행안전통로 및 안전시설의 설치기준’에 따른 보도 최소 설치폭은 2m로, 폭 1m 이내의 띠녹지 확보를 위해서 는 보도폭 3m 이상인 보도가 필요하므로(Han et al., 2013) 보도 내 띠녹지 조성이 가능한 최소한의 보도폭을 3m로 설정하였다. 송파구 전체노선 174,473m 중 보도가 없는 가 로는 1.6%, 중앙분리대 녹지 3.0%, 보도 내 녹지조성이 불 가능한 보도폭 2m 이하의 가로는 8.8%이었다. 1m 미만의 녹지조성이 가능한 보도폭 2~3m 가로는 61.0%, 1m 내외의 녹지조성이 가능한 보도폭 3~5m 가로는 20.6%, 2m 이상의 면적녹지 조성이 가능한 보도폭 5m 이상인 가로는 전체가 로의 4.2%, 광폭의 면적녹지 조성이 가능한 보도폭 10m 이상인 가로는 0.7%이었다(Table 5, Figure 5).

    5)송파구의 네트워크 가능 가로 선정

    송파구의 네트워크 가능 가로는 공원, 녹지축, 가로변 녹 지, 보도폭 현황을 종합하여 도출하였다. 송파구 공원 현황 을 통해 도심 내 파편화된 조성 녹지 132개소 3,703,771.5 m2를 파악했으며, 가로변에 있어 연결이 가능한 공원은 아 시아공원(올림픽로), 올림픽공원(올림픽로, 위례성길, 강동 대로), 잠실공원(백제고분로), 송파근린공원(백제고분로), 백제초기적석총(백제고분로), 삼전공원(백제고분로), 석촌 호수공원(송파대로), 방이고분공원(가락로, 오금로), 한양 공원(송이로), 송이공원(송이로, 남부순환로), 태양공원(강 동대로), 잠실유수지공원(탄천동로), 웃말공원(남부순환 로), 백토공원(중대로), 오금공원(중대로, 마천로, 동남로, 오금로), 가락공원(중대로), 개롱근린공원(동남로), 두댐이 공원(문정로), 문정근린공원(문정로) 등 총 19개소이었다. 녹지축 현황에서는 송파구 남측 외곽산림축과 한강, 탄천, 성내천을 중심으로 한 하천축을 유기적으로 네트워크 할 수 있는 송파구 내 13개 가로를 도출하였다. 가로변 녹지 현황에서는 자연녹지 및 조성녹지와 연계된 송파구 내 가로 56,546m를 파악하였으며, 송파구 네트워크 가능 가로 보도 폭은 5m 이상으로 설정하여 8,600m를 도출하였다. 보행자 도로는 통상적으로 통행가능 최소폭을 성인 1명이 0.75m, 휠체어 1대 0.9m, 유모차를 동반한 성인 1명 1.5m, 아이 1명을 동반한 성인 1명은 1.2m로 한국, 일본, 미국, 영국, 독일 등 대다수의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규정하고 있다(Lee, 2009). 또한 국내에서 보행자 도로를 설치함에 있어 장소 및 방법은 국토해양부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에서는 보도의 최소 폭을 1.5m로 규정하고 있으며, 주간선․ 보조간선도로의 경우에는 3m 이상을 제시하고 있다. 교통 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에서는 보도의 최소 유효 폭은 2m 를 확보하도록 하며, 이는 0.9m의 폭을 지닌 휠체어 사용자 2인이 서로 불편함이 없이 통행이 가능한 최소 폭에 해당된 다. 본 연구에서 네트워크 가로는 교행하는 성인 4인을 기준 으로 보행공간 폭 3m와 충분한 가로녹지 조성을 위한 폭 2m를 고려하여 네트워크 가로의 최소폭을 5m 이상의 가로 로 선정하였다. 송파구의 네트워크 가능 가로는 송파구 녹 지축 선상에 해당하는 13개 가로 중 가로변에 자연녹지 및 조성녹지가 있으며, 보도폭 5m 이상의 구간이 분포하는 가 로를 선정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능 가로는 올림픽로, 남부순환로, 송파대로, 위례성길 등 총 4개소를 선정하였으 며, 강동대로의 경우 강동구와 송파구의 경계에 위치한 도 로로 제외하였으며, 잠실로와 도곡동로는 해당 구간이 짧아 제외하였다. 올림픽로는 송파구 서측 탄천에서 아시아공원, 올림픽공원, 송파구 동측 성내천까지 연계할 수 있는 가능 성이 높은 도로이었으며, 송파대로는 송파구 북측 한강에서 송파구를 남북으로 관통하여 송파구 남측 탄천까지 연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았다. 남부순환로는 송파구 서측 탄천 에서 송이공원, 웃말공원, 올림픽공원, 성내천까지 연계할 수 있는 잠재성이 높았으며, 위례성길은 올림픽공원에서 방 이동경작지, 마천동 산림지역까지 연계할 수 있는 여건이 양호한 도로이었다(Table 6, Figure 6).

    2.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세부 현황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에 식재되어 있는 가로수 현황은 네트워크 가로 전체 구간 175,649m 중 은행나무(29.8%), 양버즘나무(25.2%), 느티나무(10.4%)가 주요 수종이었으 며 튤립나무(7.9%), 튤립나무-느티나무(0.6%), 소나무 (2.8%)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가로수가 식재되지 않은 가 로는 전체구간 175,649m 중 7.5%인 2,570m이었다. 주요 가로수종별 대상 가로를 살펴보면 은행나무가 식재되어 있 는 가로는 남부순환로, 올림픽로, 위례성길이었으며, 양버 즘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가로는 남부순환로, 송파대로, 올 림픽로이었다. 느티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가로는 송파대로 이었다. 튤립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가로는 송파대로, 올림 픽로이었고, 튤립나무-느티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가로는 올 림픽로이었다. 소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가로는 송파대로이 었다.

    가로수 식재유형 조사결과 가로수가 식재되어 있는 가로 중 교목층 1열+관목 식재구간이 47.6%로 가장 많았으며 교목층 2열과 관목은 14.5%이었다. 교목층 2열 식재구간 10.8%, 교목층 1열 식재구간 14.0%이었다. 관목이 식재되 지 않은 가로는 24.8%로 향후 녹지량 증진을 위해 다층구조 의 가로녹지 식재가 필요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보 도폭 현황은 5~10m 구간이 전체 35,609m 중 61.3%이었고, 3~5m 구간은 12.2%이었다. 10m 이상은 8.3%, 2m 이하는 1.9%, 2~3m는 1.2%이었고 중앙분리녹지가 설치된 가로는 14.7%이었다.

    송파구 가로 내 조성된 띠녹지 조성폭별 현황을 살펴보면 5m 이상의 넓은 띠녹지가 조성된 가로가 전체 가로 35,609m의 9.7%이었고, 3~5m폭의 녹지 조성 가로 13.0%, 2~3m 폭의 녹지 조성 가로 9.5%, 폭 1~2m 녹지 조성 가로 40.9%, 폭 1m 미만 녹지 조성가로 1.5%이었다. 가로녹지 미조성 가로는 25.5%이었고, 면적 녹지로 교통섬 녹지 43,675m2가 조성되어 있었다. 송파구의 녹지가 조성되지 않 은 가로는 전체가로의 25.5%로 추가적인 녹지 조성이 필요 하였다(Table 7, Figure 7).

    전체적으로 가로 내 녹지 조성가로 중 대부분이 1~2m 폭의 가로녹지를 조성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보도폭 및 통행량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조성이 가능한 가로의 경우 가로녹지의 추가 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3.녹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계획

    1)네트워크 가로 개황

    선정된 가로별 가로녹지 조성계획을 위해 가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올림픽로는 평균 도로폭 8차선, 평균 보도폭 7m, 평균 녹지조성 폭 0.9m이었다. 상업지변 3m 내외 공개 공지와 평균 1.5m의 자전거도로가 조성되어 있었다. 가로 와 인접하여 지하철 2호선 및 8호선이 있었으며, 가로수로 은행나무, 튤립나무, 양버즘나무가 식재되어 있었고, 중앙 분리대 녹지도 조성되어 있었다. 송파대로는 평균 도로폭 9~10차선, 평균 보도폭 6m, 평균 녹지조성 폭 1.1m이었다. 평균 1.4m의 자전거도로가 조성되어 있었으며, 느티나무, 은행나무, 양버즘나무, 소나무 등 다양한 가로수가 식재되 어 있었다. 일부 가로는 회양목, 사철나무를 이용한 도로측 가로녹지가 조성되어 있었고, 자전거도로와 보도가 분리되 어 녹지가 조성된 지역도 있었다. 남부순환로는 평균 도로 폭 10~12차선, 평균 보도폭 5.7m, 평균 녹지조성 폭 1.1m이 었다. 평균 1.7m의 자전거도로가 조성되어 있었으며, 양버 즘나무, 은행나무가 주요 수종이었다. 일부 구간에는 대규 모 교통섬녹지가 조성되어 있었으며, 오금로 교차로 주변 아파트단지 외곽에는 실개천이 조성되어 있었다. 위례성길 은 평균 도로폭 10차선, 평균 보도폭 7.6m, 평균 1.6m의 자전거도로가 조성되어 있었다. 가로 내부에는 폭 5m 중앙 분리대 녹지가 조성되어 있었고, 송파구 동쪽 녹지축 선상 에 위치하고 있었다. 북측 보도 내 광폭의 녹지가 조성되어 있었고, 남측 보도는 아직 녹지가 조성되지 않았다.

    2)가로녹지 조성 계획대상지 도출

    녹지 네트워크 가로의 가로녹지 조성 가능 현황을 살펴본 결과, 보도 내 1∼2m의 녹지 조성이 가능한 가로가 15.4% 로 가장 많았고, 2~4m 녹지 조성 가능 가로는 7.0%, 1m 미만의 녹지 조성 가능 가로는 2.9%, 가로녹지 확대가 가능 한 가로는 10.8%이었다. 녹지 네트워크 가로의 63.9%는 새로운 녹지조성이 불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선정된 가 로별로 살펴보면 올림픽로는 폭 1~2m 녹지 조성 가능 가로 가 전체 길이 11,605m의 16.2%로 가장 길었으며, 폭 2~4m 가로녹지 조성 가능 가로는 9.5%, 녹지 조성 불가능 구간은 69.3%이었다. 송파대로는 1~2m 폭의 가로녹지 조성 가능 가로가 전체 길이 9,256m의 9.4%이었으며, 폭 1m 이하의 녹지 조성 가능 가로는 5.2%, 녹지 조성 불가능 구간은 85.4%이었다. 남부순환로는 폭 1~2m의 가로녹지 조성 가 능 가로가 전체 길이 6,897m의 34.6%로 가장 많았으며, 가로녹지 확대 조성 가능 가로는 15.5%, 녹지 조성 불가능 구간은 37.7%이었다. 위례성길은 가로 중 가로녹지 확대조 성 가능 가로가 전체 길이 6,448m의 36.3%로 가장 많았으 며, 폭 2~4m 가로녹지 조성 가능 가로는 10.4%, 녹지 조성 불가능 구간은 51.5%이었다(Table 8, Figure 8).

    올림픽로는 넓은 보도폭으로 인해 신규 가로녹지 조성가 능지가 많았고, 송파대로는 녹지 조성 불가능지역이 다른 가로에 비해 높게 분석되었는데, 이는 이미 가로녹지가 많 이 조성되었기 때문이었다. 남부순환로는 올림픽공원과 연 계한 가로녹지 및 가로띠녹지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 었으며, 위례성길은 기존의 조성된 가로띠녹지의 확대가 가 능한 구간이 높게 나타났다.

    3)대상 가로별 잠재성 및 개선 계획

    올림픽로는 평균 보도폭 7m로 현재 가로 내 녹지조성 폭은 0.9m로 가로녹지를 확장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었고, 중앙분리대 녹지가 조성되어 있어 추가적인 수목 보식을 통해 가로녹지 네트워크 강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현재의 중앙분리 녹지 내에 가로수종과 동일한 튤립나무와 은행나무를 식재하고 개나리를 이용한 도로측 가로녹지 조성을 계획하였다. 보도폭을 축소하여 도로측의 가로수 하부 띠녹지 폭을 2.5m로 확장하는 것을 계획하였 으며, 가로수 사이에 아교목 보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보도 내 보행자의 휴식공간 조성과 보도 내 자전거도로 분리녹지 조성을 제시하였다(Figure 9).

    남부순환로는 평균 보도폭 5.7m로 넓었으나 현재 가로 내 녹지조성 폭은 1.1m로 가로녹지를 확장할 수 있었고, 도로 축소를 통한 중앙분리대 녹지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오금로 교차로 주변 아파트단지 외곽 일 부 구간에는 아파트단지 외곽에 실개천이 조성되어 있었다. 세부 계획내용은 광폭의 도로를 일부 축소하여 중앙분리녹 지를 조성하고 오금로에서 발생하는 지하수를 활용하여 오 금로와 연계되는 실개천 조성을 계획하였다. 또한 자전거도 로를 도로측을 이동하고 보도와의 경계녹지를 조성하고자 하였으며 가로수 사이의 아교목 보식 및 가로녹지의 화관목 보식을 통해 녹지량 증진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 자 하였다(Figure 10).

    위례성길은 평균 보도폭 7.6m로 가로녹지 확보가 가능하 였고, 녹지가 조성되지 않은 곳은 신규 녹지 조성이 가능하 였다. 세부 계획내용은 녹지가 미조성된 남측 보도를 중심 으로 녹지를 조성하고 북측 가로녹지에는 자생수종을 이용 한 층위구조를 이루는 녹지로 구조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또한 가로수 사이에 아교목을 보식하여 녹량을 증진하며 보도 내 자전거도로와의 분리녹지 조성을 제시하였다 (Figure 11).

    송파대로는 평균 보도폭 6m로 추가적인 가로녹지가 확 보가 가능하였고, 보도 내 폭 10m 가로녹지는 녹량이 풍부 한 수종으로 갱신하고 하부에 관목을 식재할 필요가 있었 다. 세부계획 내용은 상징적으로 소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석촌호수 구간을 제외한 송파사거리 북측을 느티나무로 수 종을 갱신하고 가로수 사이에 백목련, 살구나무 등 꽃이 아 름다운 아교목을 보식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로측 가로녹지 에 화관목을 보식하여 도시 미관 개선 효과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였으며, 특히 다양한 꽃과 화분을 이용한 가로녹지 추가 조성 및 공개공지 녹화를 함께 계획하였다. 그리고 보 도 내 자전거도로 분리 녹지가 조성되지 않은 지역에 대해 분리 녹지 추가 조성을 제시하였다(Figure 12).

    4)가로녹지 개선을 통한 식재량 증진

    가로수 식재량 증진은 네트워크 가로로 선정된 가로공간 내 식재유형을 파악하여 가로수 2열 식재, 가로수 사이 1주 의 아교목 보식, 2주의 아교목 보식, 건축선 내 가로수식재, 가로수 훼손지역 보식의 5가지 항목을 제시하였다. 가로수 식재량 증진 세부 기준을 살펴보면 가로수 2열 식재 구간은 보도폭 6m 이상의 가로 중 가로수가 1열 식재되어 있는 가로를 선정하였고, 아교목 보식(1주) 가로는 가로수의 식 재간격이 5~8m인 가로, 아교목 보식(2주) 가로는 가로수의 식재간격이 8m 이상인 가로를 선정하였다. 건축선 안 가로 수 식재 지역은 가로수가 1열 식재되어 있고, 보도폭이 6m 미만인 가로를 선정하였다. 가로수 훼손지역 보식 가로는 현재 가로수가 미 식재 된 지역 중 가로수 식재가 가능한 지역을 선정하였다(Table 9).

    송파구내 네트워크 가로의 식재량 증진이 가능한 가로를 가로녹지 개선계획과 가로 여건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아교목 보식(1주) 구간이 전체 길이 34,206m중 63.6%로 가장 길었다. 가로수 훼손지역 보수 구간은 13.7%, 건축선 안 가로수 식재와 아교목 보식(1주)이 가능한 구간은 6.7%, 가로수 2열 식재와 아교목 보식(1주) 6.7%, 아교목 보식(2 주) 5.0%, 가로수 2열식재와 아교목 보식(2주) 구간이 0.8%, 가로수 2열 식재구간은 0.5%이었다. 네트워크 강화 대상 가로 중 가로수 식재량 증진이 불가능한 가로는 3.2% 이었다. 녹지 네트워크 가로별 식재량 증진계획에 따른 주 수변화를 산정한 결과 올림픽로는 현재 1,264주이었으나 식재량 증진을 통해 1,808주가 추가 식재되어 합계 3,072주 가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송파대로는 식재량 증진 전 1,143 주, 1,286주 추가 식재로 2,429주로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남부순환로는 식재량 증진 전 1,069주, 신규 891주 식재로 총 1,960주로 계획되었다. 위례성길은 식재량 증진 전 1,334주, 신규로 723주가 식재되면서 합계 2,057주로 계획되었다. 녹지 네트워크 가로별 식재량 증진계획에 따른 주수 합계를 도출하면 식재량 증진 전 4,810주에서 추가로 식재가 가능한 주수는 4,708주로 가로내 식재 총량이 9,518 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량 증진을 위해 기존 가로수에 아교목 보식을 하는 것이 녹지 네트워크 강 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10). (Figure 13)

    Figure

    KJEE-28-128_F1.gif

    The location map of surveyed site in Songpa-gu

    KJEE-28-128_F2.gif

    The current figure for parks in Songpa-gu

    KJEE-28-128_F3.gif

    The current figure for green axes in Songpa-gu

    KJEE-28-128_F4.gif

    Roadside greenery distribution status in Songpa-gu

    KJEE-28-128_F5.gif

    The current status for types of sidewalks width in Songpa-gu

    KJEE-28-128_F6.gif

    The selected streets to enhance green network

    KJEE-28-128_F7.gif

    The current status figure network streets in Songpa-gu

    KJEE-28-128_F8.gif

    The figure for plan of creating street greenery in sidewalk in green network

    KJEE-28-128_F9.gif

    The figure for plan of street greenery in Olympic-ro

    KJEE-28-128_F10.gif

    The figure for plan of street greenery in Nambusunhwanno

    KJEE-28-128_F11.gif

    The figure for plan of street greenery in Wiryeseong-gil

    KJEE-28-128_F12.gif

    The figure for plan of street greenery in Songpadaero

    KJEE-28-128_F13.gif

    The figure for plan of enhancing the planting volume of street trees for green network

    Table

    The surveyed sites in Songpa-gu

    Area and ratio of types for parks in Songpa-gu

    Area and ratio of types for parks in Songpa-gu

    Roadside greenery distribution status in Songpa-gu

    The current status for types of sidewalks width in Songpa-gu

    The selected streets to enhance green network

    Length and ratio of characterization for network streets in Songpa-gu

    The types of current status for creation plan of street greenery in sidewalk in green network

    The plans for enhancing the planting volume of street trees

    The change of Number following the plan of enhanced planting volume for green network in each streets

    Reference

    1. Beckett KP , Freer-Smith P , Taylor G (2000) Effective tree species for local air-quality management , J. Arboric, Vol.26; pp.12-19
    2. Byon HO (2009) Design of Street Greenery for the Landscape Specialization and Increase of Green Volume on Street in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pp.129(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Cho W (1998) Planting design in green open space, urban area: Planting evaluation of buffer green space in housing complex , Korean J. Environ. Ecol, Vol.12 (1) ; pp.78-9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an BH , Lee KJ (1996)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growth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street trees in Seoul , Korean J. Environ. Ecol, Vol.10 (1) ; pp.39-4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an BH , Kwak JI , Kim HS (2013) Influence factors of street environment for provision and management of street green , Korean J. Environ. Ecol, Vol.27 (2) ; pp.253-26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an BH (1995) A Study on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Growth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Street Trees in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pp.126(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James DM , James RH (1995) Park, Recreation, Open Space and Greenway Guidelines, The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pp.164
    8. Kim BS , Shin WS (2007) The recognition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and pedestrian on the existence effect of roadside green spaces in local city - Chungju city to -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16 (2) ; pp.159-16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EL (2005) A Study on the Evaluation Ecological Properties for the Urban Neighborhood Park - In the case of Songpa-gu, Seoul -.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pp.82(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im HW (2008) The present conditions and remedial measures of street trees on major road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 Journal of the Industral Technology Honam University, Vol.14; pp.161-17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I (1997) Study on the Methods of Planning and Management Enhancing the Liveliness of Urban Parks: Focusing on the Accommodation Diversity and the Adaptation for Chang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p.97(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SB , Kim HD (2006) Influences of urban trees on the control of the temperatur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30 (3) ; pp.25-3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YY (2004) Study on Planting Method for the Specification of Buffer Green Space - In the case of Songpa-gu in Seoul -.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pp.159(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Lee DS (2009) Study on Planning Standards of Walking and Bicycle in the Green Mode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HyupSung University, pp.114(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5. Lee KJ (1996) A study on the analysis of present status of urban roadside trees and the problem of the improvement for roadside trees in Korea - Focused on Seoul and Inchen - , Journal of the Urban problems, Vol.31 (331) ; pp.74-78(in Korean)
    16. Lee SJ , Lee JS (2012) A study on the lighting distribution on road space by modeling roadside tree types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21 (4) ; pp.391-39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oon CH (2001)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in Seoul through the analysis of decisive factors about degree of users' satisfacti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Vol.9 (1) ; pp.97-11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Niall GK (2003) The art of greenway design: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19. Seoul (2004) The Basic Plan for the Effective Connection of Parks and Green, pp.301(in Korean)
    20. Shin HY , Lee KE (2004)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mprovement plan of street trees in Chuncheon city , J. For. Sci. Kangwon Nat'l Univ, Vol.20; pp.144-16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ongpa-gu (2008)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by Street Trees Basic Plan in Songpa-gu, Songpa-gu, pp.107(in Korean)
    22. Songpa-gu (2012)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by Street Trees Basic Plan in Songpa-gu, Songpa-gu, pp.346(in Korean)
    23. Sung HC , Min SH , Mun DM (2002) A Study on the Planting & Management of Roadside Tree in Kyonggi-Do, Gyeonggi Reaserch Institute, pp.296(in Korean)
    24. Sung HC , Min SH (2003) An analytical study on the air purification effect of urban openspace - Focusing on urban roadside trees -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31 (2) ; pp.48-5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The European Greenways Association (2000) Good Practice Guide, European Commission, pp.91
    26. Yang SW , Jung HJ , Choi JY , Kim KH (2007) A study on the planning system for urban greenway networking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3 (6) ; pp.209-22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http://www.mosp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