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8 No.3 pp.365-373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4.28.3.365

Classification Analysi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Bicycle Road1a

Ho-Gyeong Moon2, Dong-Pil Kim3*, Song-Hyun Choi3, Jin-O Kwon4
2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Bureau of Ecological Conservation Research, Seocheon-gun 325-813, Korea
3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 Miryang 627-706, Korea
4Forest Soil & Water conservation Div.,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130-712 , Korea

a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자유과제 학술연구비(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kimdp@pusan.ac.kr
February 25, 2014 April 29, 2014 May 29, 2014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conduct spatial data for bicycle road system in changwon. Index for evaluation index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s. Th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weight have been modified through experts review. Finally, index with eight categories such as greenness(40% over), bicycle road connectivity(1.8, 9.8%), road type bike(bicycle lane, 24.4%), pave type(asphalt 72.5%), illegal parking(none, 93.9%), bike road surface visibility(exist, 46.8%), vehicle speed limits(30km, under), vehicle traffic(500/hr under, 44.3%) have been applied to empirical investigation. Collected data has been hierarchically classification by ArcGIS Program. The Highest grades(score 31-35, level 1) occupied 35% of target destination. High level of greenness and load type has contributed to high score. In addition, average level of greenness of those destination was 35% and higher, which provide high degree of security and freshness for bicycle riding. Meanwhile, lowest level(level 5, which earned 15 point or less) occupied 24.5%. illegal parking, low level of greenness, and no surface sign caused low score.


자전거 도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등급화 연구1a
-창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문 호경2, 김 동필3*, 최 송현3, 권 진오4
2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본부
3부산대학교 조경학과
4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토보전과

초록

본 연구는 자전거도로 시스템이 활성화되어 있는 창원시를 대상으로 자전거 도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공간 데이터 를 구축하여 자전거도로 환경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물리적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는 문헌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 으며 각 평가 지표의 중요도 평가 및 가중치 설정을 위하여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8개의 물리적 환경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rcGIS Program을 이용하여 등급화 하였다. 평가 지표별로 높은 점수를 획득한 구간의 면적비율은 녹시율(40%이상, 9.3%), 연결성(1.8이상, 9.8%), 자전거도로 유형(자 전거 전용도로, 25.4%), 포장유형(아스팔트, 72.5%), 불법주차(무, 93.9%), 노면표시(유, 46.8%), 제한속도(30km 이하, 48.5%), 교통량(500/hr 이하, 44.3%)으로 나타났다. 8개의 평가지표를 중첩한 결과 1등급의 구간은 31-35점으로 대상지 의 전체 도로 면적에서 12.4%로 나타났으며 득점요인은 도로의 유형과 녹시율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 녹시율이 35% 이상으로 나타나 자전거 이용에 있어 안전성과 쾌적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15점 미만을 획득한 5등급 구간의 경우 전체 도로면적의 24.5%를 차지하며 주요 요인은 불법∙주정차, 노면표시 미비, 낮은 녹시율로 나타났다.


    Pusan National University

    서 론

    오늘날 우리나라는 사회, 경제의 성장한 데 따른 소득향 상으로 승용차 보유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자동차 등 록대수가 2010년에 이미 1,700만대를 넘어섰으며 2014년 에는 2000만대 시대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http://www.index.go.kr). 이에 따른 교통난을 비롯하여 심각한 환경문 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정책이 국가적 과제 로 진행되고 있다(Park, 2005). 교통 혼잡과 에너지 문제, 환경오염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녹색교통수단인 자전거교통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대되었으며 교통수요 의 일부를 자전거로 전환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중앙 정부 차원에서 자전거 도로정비사업과 함께 자전거타기 운 동전개 등 자전거이용 활성화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 고 있다(Lm, et al., 2007).

    이와 더불어 자전거이용 증대를 위한 연구나 자전거 타기 에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자전거 이용자의 행태 및 만족에 관한 연구로 Kim (2000)은 자전거 전용도로의 경관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주요 요인으로 녹음량, 식재상태 등과 같은 심미적 인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Moon(2007)은 대전 시를 중심으로 자전거 이용 실태 및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 과, 자전거 통행의 위험성과 도로구조상의 문제점이 주요 불만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전거 관련 제도 및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로 Hwang(2001)은 자전거 이용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법적·제도적 여건 개선방향을 제시하였으며 Kim(2008) 은 자전거 이용에 관한 해외의 법적·제도적 사례를 분석하 여 우리나라의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전거 도 로 환경개선에 관해서는 Hwang(2005)은 자전거 도로 설계 및 시공사례 분석을 통하여 자전거 통행의 특성을 고려한 설계 개선안을 제안 하였으며 Choi, et al.(2011)는 기존의 자동차 중심적인 지구교통체계에서 자전거를 중시하는 지 구교통정비로서 자전거주행환경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전거 도로 이용에 대한 만족도, 이용실태분석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최근에 는 제도적 여건개선에 관한 연구 및 자전거 도로환경에 대 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하지만 자전거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서는 자전거도로의 환경요소를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분석방법과 평가 틀을 마련하여 대상지역의 자전거 도로환 경을 정확히 파악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에서 는 자전거도로 개설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문제점에 대한 개선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전거 타기 활 성화를 위한 물리적 환경 인자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도시계획에 반영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인자 들에 대한 공간자료의 수집, 지도 작성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관련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자전거도로와 시스템이 잘 갖추어진 창원시를 대상으로 자전거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리적 환경 요소에 대한 평가지표를 국내․외 문헌 및 선행연구사례를 고찰하여 도출하였으며 아울러 현장조사 를 통하여 평가지표에 대한 실질적인 측정을 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GIS Program을 이용하여 평가지표별 분석을 통 해 자전거도로 환경을 가시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 는 자전거이용환경 개선방향에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방법

    1.연구대상지

    우리나라 최초의 계획도시인 경상남도 창원시를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창원시는 2006년 전국 최초로 환경 수도를 선언하고 전국 최고 규모인 94km에 이르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구축·정비와 공용자전거 시행과 함께 전국 최고 의 자전거 도시로 발돋움 하고 있다(Cho, 2009). 또한 지자 체 중 처음으로 시청 3km 이내 거주 직원들의 자전거 출퇴 근 의무화 시행을 하고 있다. 대상지는 시청에서 3km 이내 에 있는 한 개의 동(용지동)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Figure 1).

    2.연구 과정 및 방법

    1)연구절차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우선적으 로 국내․외 걷기, 자전거, 보행환경 등과 관련한 선행연구들 을 검토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rcGIS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GIS 프 로그램의 중첩분석을 이용하여 가시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자전거 도로환경 평가를 하고 자전거 이용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 하는 과정으로 진행 하였다(Figure 2).

    자전거도로 및 보행 환경은 목적지까지의 거리, 도로의 네트워크, 주변환경 등 여러 가지 물리적 요소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는다(Moudon et al, 2003). 따라서 환경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할 필 요가 있으며 자전거도로 환경에 대한 평가지표를 선정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국내·외 관련연구를 분석하여 지표추출 을 실시하였다. 우선 자전거도로 환경을 계량화하기 위한 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기존 문헌을 검색하였다. 사용된 키워드는 bicycles, evaluation, environment, gis, conditions, pedestrian, physical activity 등 자전거, 육체적 활동, 평가 지표, 환경 등과 관련된 단어를 이용하거나 유사 단어들을 조합하여 국내·외 문헌들을 수집하였다.

    2)자료의 수집 및 분석

    대상지의 자료수집과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은 최종적으로 선정된 물리적 환경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데이 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창원시 1/1000 축척의 수치지 도와 항공영상(2007년, 고해상도 칼라적외선 카메라)을 이 용하여 대상지의 자전거 도로 map을 제작 하였으며 항공영 상이 촬영된 시점 이후의 자전거 도로의 변동사항들은 현장 조사를 통하여 추가하였다. 그 밖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인자별 자료수집은 행정기관문서, 선행연구자료, 등 을 통하여 하였으며 획득된 자료들은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GIS분석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GIS자료는 ArcGIS 9.2 를 이용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shapefile 포맷으로 만들어 졌으며 평가지표별 주제도는 래스터(raster) 자료구조로 구 축하였다. 각각의 주제도는 공간해상도(5m×5m) GRID로 나누었으며 GIS 프로그램의 중첩분석을 통하여 합산한 후 최종 5단계의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3)전문가 설문조사

    지표의 중요도 평가를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는 2010년 1월 11일, 2월 8일, 22일 총 3회에 걸쳐 전문가에게 배포하 였다. 배포그룹은 학계, 연구원, 공무원, 일반기업으로 구분 하였으며 E-mail을 통한 설문과 직접설문을 병행하여 실시 하였다. 중요도 평가는 계층적 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에 기초한 지표 간의 쌍대비교를 통한 설문 을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를 통해 획득된 자료는 통계적 신뢰성를 판단하기 위해 SPSS for windows 13.0을 이용하 여 신뢰도 검정(cronbach α)을 수행하였다. 각 평가지표는 Expert Choice 11.5을 활용하여 비일관성 비율(Inconsistency Ratio: IR)과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하였다. Saaty(1980)는 쌍대비교의 결과에서 얻은 행렬의 관계식으로부터 평가자 가 일관성 있는 판단을 내렸음을 검증할 수 있는 일관성 지수(Consistency Index: CI)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일관성 을 설명하기 위해 비일관성 비율을 다음 식 (1)과 같이 정의 하고 있다.

    IR = CI RI
    (1)

    단, IR:비일관성 비율 CI:일관성 지수 RI:무작위 지수

    비일관성 비율이 10% 미만이면 쌍대비교는 합리적인 일

    관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비일관성 비율이 20% 이내 일 경우 용납할 수 있으나, 그 이상이면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Saaty, 1980; Suh and Yang,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일관성 비율이 20% 이하인 자료만을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하였 다. 각 지표의 가중치는 계측분석에 의해 산출된 중요도를 그대로 활용하였다. 이는 계층분석의 경우 쌍대행렬식을 통 해 각 중요도의 합이 1이 되도록 계산하기 때문이다. 세부지 표의 경우 9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각 지표에 대한 중요도 값을 산술평균하여 분석에 활용하였 다. 가중치 설정방법은 식 (2)와 같은 가법형 함수를 활용하 여 세부지표의 각 부문별 합이 1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부문별가중치 = 세부지표의중요도 각세부지표의중요도
    (2)

    4)평가지표 선정

    자전거 도로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된 연구들을 살펴보고 평가지표로 사용된 인자들을 수집하여 최초 27개의 평가지 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가지표는 Yang, et al.(2009); Hwang, and Kim(2005)를 참조하여 3개의 평가영역으로 재구성하여 하였다. 평가지표의 속성에 따라 도로유형, 폭, 포장재료, 경사도, 연속성, 교차로, 포장패턴 등 자전거타기 의 편의성(Convenience)과 관련된 지표와 횡단시설, 노면 표시, 교통표지판, 불법주차, 차량통행, 차량속도 등 안전성 (Safety)에 관한 지표, 녹음의 양, 휴게시설, 자전거시설, 휴 게시설, 대중교통시설, 굴곡의 유무 등 쾌적성(Comfort)과 관련된 지표로 분류하였다. 이 중 사용빈도가 높은 지표를 중심으로 18개의 예비 평가지표를 도출하였으며 실제 현황

    조사가 가능하고 분석을 실시할 경우 유의미한 결과 도출할 수 있는 인자들로 재정리하여 최종 8개의 지표를 선정하였 다(Table 2).

    결과 및 고찰

    1.설문결과 및 중요도 분석

    설문을 실시한 결과, 전체 69부의 설문중 38부가 회수되 어 55%의 회수율을 보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크게 평가지 표별 중요도,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관한 설문으로 구성 하였으며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을 크게 쾌적성, 안 전성, 편의성의 3가지 범주에서 세분화하여 작성하였다. 회 수된 38부의 설문지 중 AHP 설문 분석에는 불성실하거나 자료의 누락이 있는 3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5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설문에 응한 전문가들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의 경우 남자가 30명(78.95%), 여자가 8명(8%)으로 나타났고 전공의 경우 조경ㆍ도시와 환경ㆍ생태가 각각 17명(44.71%) 과 12명(31.58%)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직 업의 경우 연구원(23명, 60.53%)이 많은 부분을 점하고 있 음이 확인되었다. 전문가들의 경력을 보면, 10년 미만과 10~19년 사이가 35명(92.1%)으로 대부분이었으며, 평균 연구경력은 8.3년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설문에 대한 일관성을 검정한 결과 유효응답비 율이 84.2%로 전체 38부 중 32부가 일관성을 가졌으며, 각 분야에 대한 부문의 유효응답비율 역시 80.0% 이상으로 나 타났다(Table 3).

    평가 분야에 대한 AHP 결과 평균 비일관성 비율은 0.067 로 0.1보다 낮기 때문에 일관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 된다(Figure 3). AHP 결과에서 나타난 중요도는 가중치와 같은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중요도가 곧 가중치가 된다. 3개 분야 중 안전성 분야가 0.46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 성 분야는 0.321, 쾌적성 분야는 0.233으로 나타났다. 안전 성 분야가 높은 중요도를 보인 것은 도심에서 자전거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가능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세부지표의 가중치 산정결과

    중요도를 토대로 가중치 결정을 위해 안전성, 쾌적성, 편 의성의 3개의 분야와 각 분야별 지표에 대해 AHP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중치는 평가부문별 합이 1이 되도록 설정하 여 산정하였다(Figure 4). 가중치 결과를 살펴보면 안전성 분야 에서 차량통행량(0.418)이 가장 높은 가중치를 보였으 며, 제한속도(0.298), 노면표시(0.284) 순으로 나타났다. 편 의성 분야에서는 연결성(0.589)이, 쾌적성에서는 불법주차 (0.399)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자전거 이용에 있어서 차량 의 통행량이 많을수록 안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자전거 도로의 종류 보다는 도로의 연결성이 높을 수록 자전거 이용이 편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쾌적성 분야 에서는 녹시율이나 포장의 종류보다는 불법 주차의 유무에 따라 자전거 이용 환경이 쾌적할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평가지표들 간 가중치의 편차는 비교적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자전거 이용에 있어 차량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평가지표별 분석결과

    구축된 자료를 이용하여 각각의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Figure 5). 주요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녹시율’에서 1등급 구간(녹시율 40%이상)은 전체면적의 9.3%를 차지하고 있 으며 주로 시청 주변의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로 나타났 다. ‘연결성’에서 1등급 구간(통합도 1.8이상)은 전체면적 의 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거지역의 집산도로에서 간선 도로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구간으로 나타났다. ‘자전거도 로 유형’에서 자전거 전용도로는 전체면적의 25.4%로 가장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는 43.5%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포장종류’에 서는 1등급 구간인 아스팔트가 72.5%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전거전용도로, 자전거자동차겸용도로 대부분의 포장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불법주․정차’ 지역은 대상지 전체에서 6.1%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주로 버스, 택 시 승차장 주변, 주택지 주변의 이면도로에서 나타났다. ‘노 면표시’가 되어있는 구간은 46.8%로 나타났으며 자전거 이 용이 비교적 많은 시청주변에는 정비가 잘 이루어지만 횡단 보도 주변, 아파트 입출구부의 경우 높은 통행율로 인해 지 워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한속도’가 30km로 지 정된 구간은 4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거지역의 자전거 보행자겸용 도로로 나타났다. ‘차량통행량’은 주거지역의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가 500대/hr 이하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면적의 44.3%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 별 주제도를 Grid 중첩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5개의 등급으 로 구분하였다(Figure 6).

    평가등급별 면적 비율을 살펴보면 1등급인 구간은 전체 도로면적 중 18.31%를 차지하고 있으며 2등급은 19.55%로 1등급과 비슷한 면적 비율을 보였다. 3등급은 21.69%, 4등 급은 15.27%차지하고 있으며 5등급은 18.31%인 것으로 나 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1등급 구간에서 21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지점은 주택지와 인접한 자전거 전용도로 이며 도로의 통합도는 2.0으로 대상지에서 접근성이 가장 높은 구간으로 나타났다. 전체 통합도가 0.4~0.6 이하이면 접근성이 낮은 공간으로, 1.0 이상이면 통합성이 높은 공간 으로 볼 수 있다(Shin, 2006). 반면 평가점수가 가장 낮은 6점 이하의 구간은 주택지 주변의 집산도로로 나타났으며 낮은 녹시율(5%이하)과 높은 불법주·정차 차량비율이 주요 요인이었다.

    4.고찰

    본 연구는 자전거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창원시 자전거도로를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 에 대한 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각 평가지표에 대 한 DB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자전거 이용에 영향 을 미치는 각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자전거 이용 공간으로 열악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구간과 우수한 구간에 대한 환경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등급의 구간은 31-35 점으로 대상지의 전체 도로 면적에서 12.4%로 나타났으며 주요 득점요인은 도로의 유형과 녹시율로 나타났다. 창원시 는 도시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주 간선도로를 주축으로 자 전거전용도로를 설치하였으며 자전거도로폭도 1.5m 이상 이다. 또한 평균 녹시율이 35% 이상으로 나타나 자전거 이 용에 있어 안정성과 쾌적성이 높은 공간으로 판단할 수 있 다. 15점미만을 획득한 5등급 구간의 경우 전체 도로면적에 서 24.5%로 나타났으며 주요 요인은 불법․주정차, 노면표 시, 녹시율로 나타났다. 공간적 특징을 살펴보면 주로 중심 상가주변의 자전거도로에서 상시 점유하고 있는 차량들로 인하여 자전거 주행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감 시카메라 및 표지판 설치와 같은 불법주․정차에 대한 단속 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노면표시의 경우 교차로 일부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위한 유도선을 노면에 표시하고 있지만 시청주변을 제외한 대부분의 도로에서는 표시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택지 주변의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의 경우 녹시율이 전 용도로의 경우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났으며(9%이하) 쾌적 한 자전거 이용환경을 위하여 가로녹지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선행연구에서 자전거 이용활성화를 위한 만족요인분석, 문제점 도출 등이 강조(Kim, 2000; Moon, 2007)되었다면 본 연구는 주요 환경적 요인을 도출 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전거 도로의 물리적인 현황을 가시적 으로 파악 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전거 도로의 물리적 현황분석을 기반으로 한 연구 (Ehreth, B.J., 2004; Moudon, A.V., C. LEE, 2003)와 맥락 을 같이 하지만 자전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들을 통합하여 점수화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자 전거 이용 증진을 위해서 자전거 타기에 적합한 공간계획의 수립을 위한 도시계획, 교통계획, 조경계획 분야의 통합과 학제 간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에서 자전거 도로의 환경 지표로 사용된 빈도를 기준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좀 더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지표개발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또한 자료 구축을 위한 조사방법에 대한 신뢰성이 다 소 미흡한 점이 있었다. 즉 1등급으로 평가되었더라도 절대 적인 의미에서 자전거 이용환경이 좋다고 말 할 수 없어 각 요소에 대한 가중치 부여 방법이나 평가등급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향후 이용자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평가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Figure

    KJEE-28-365_F1.gif

    The location of this study

    KJEE-28-365_F2.gif

    The process of this study

    KJEE-28-365_F3.gif

    Result of AHP analysis

    KJEE-28-365_F4.gif

    The AHP results of each field

    KJEE-28-365_F5.gif

    Evaluation indicators by thematic

    KJEE-28-365_F6.gif

    Classification of Bicycle road environment

    Table

    Bicycle road environment indicators of according to the literature

    A: Moudon(2003), B: Ackerson(2004), C: Moon,D.S.(2007), D: Troped(2001), E: Pikora et al. (2003), F: Eherth(2004), G: Lee, B.J.(2001), H: Pikora et al.(2002), I: SI(1994), J: SI(1997), K: Park, D.K.(2002), L: KEI(2007)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Ratio of the effective response rate of inconsistency

    Reference

    1. Ackerson K (2005) JA GIS Approach to Evaluating Streetscape and Neighborhood Walkability , M.S. thesis Univ. of Oregon Eugene U.S.A, pp.61-63
    2. Cho HK (2009) An Analysis of the Status and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the Bicycle Utilization in Changw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1 (2) ; pp.85-93
    3. Choi BG , Park HK , Na YW (2011) A Study on the Design Improv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of Bicycle Road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 ,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Vol.29 (1) ; pp.11-2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Ehreth BJ (2004)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to Evaluate Bicycle Safety Conditions on Existing Road Networks: Case Study of Manhattan , Univ. of Kansas Manhattan Kansas, pp.44-60
    5. Hwang JH , Kim GS (2005) A Study on Evaluation of Plan to Improve Cycling Environment , Korean Society of Transprotation, Vol.23 (8) ; pp.203-21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wang KS (2001) A Study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 for Improving Safety of The Bicycle , Kor. Urb. Man. Ass, Vol.14 (2) ; pp.227-235
    7. KEI (2007) Eco-friendly bicycle culture studies , KEI Annual Report, Eunpyeong-gu, Seoul-si, Korea, pp.1
    8. Kim SY , Bae KM , Lee SL (2008)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Suggestio for Bicycle Use , Kor. Ass. Pro. Geo, Vol.42 (1) ; pp.35-48
    9. Kim YS , Kim SB , Park SM (2000) Analysis on Landscape Satisfaction Factors for Bicycle Lane in Kyongju ,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27 (5) ; pp.1-11(in Korean)
    10. Lim YT , Ruy JY , Hong JY (2007) Improvement System for bicycle use , Collection of Environment treatises, Vol.46; pp.179(in Korean)
    11. Lee BJ , Park YS , Moon N (2001) Travel Behavior Analysis and LISREL Model of Bicycle User , Kor. Soc. Civ, Vol.21; pp.13-2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Moudon AV , LEE C (2003) Walking and Bicycling: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udit Instruments, American ,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8 (1) ; pp. 23-28
    13. Moudon AV , LEE C , Cheadle C A , Collier DW , Johnson D , Schmid TL , Weather RD (2005) Cycl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a US perspective , Tra. Res. Par, Vol.10; pp.245-261
    14. Moon DS (2007) A Study on Method to Increase Bicycle Use in Daejeon , Ms. thesis Univ. of Hanbat Daejeon Korea, pp.50-61
    15. Pikora T , Giles-Corti B , Bull F , Jamrozik K , Donovan R (2003) Developing a framework for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determinantsof walking and cycling , Soc. Sci. Med, Vol.56; pp.1693-1703
    16. Park DK , Lee SG (2002) The Activation Measures of Bicycle Transportation in Small-Medium city , Kor. Urb. Man. Ass, Vol.15; pp.99-12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ark CS (2005) Seminar for Bicycle Use Activation , A Senator Room of Park Chan Suck, pp.2(in Korean)
    18. Saaty T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pp.37-39
    19. Suh JH , Yang HS (2004) A Study on Framing Techniques of Landscape Assessment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32 (4) ; pp.91-10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hin SC (2006)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Effficient Spatial Analysis on General Hospital , Ph. D.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pp.15
    21. Troped Pj , Saunders RP , Pate RR , Reininger B , Ureda JR , Thompson SJ (2001) Associations between Self-Reported and Objectiv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Use of a Community Rail-Trail , United States. Pre. Med, Vol.32; pp.191-200
    22. Yang HM , Jung GC , Kim GS (2009) Effect of Bike trails-Environment factor on Selection Bicycle passing , Korean Society of Transprotation, Vol.2009 (3) ; pp.863-868(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