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야생조류의 분포는 먹이, 식생, 기온 및 경사 등의 자연적 요인들과 함께 도로, 거주지 등 인위적 요인에 의하여 결정 될 것이다(Franklin, 2009). 특히 두루미류와 같이 인간의 교란에 대하여 민감한 조류의 경우 자연적 요인들 보다 인 위적 교란에 의해 분포가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Yoo et al., 2011). 두루미류에 있어서 거주지 및 개발지역에 대한 영향 은 서식 저해요인으로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어 왔다(Herr and Queen, 1993; Pae, 2000; Austin and Richert, 2001; Lee et al., 2001; Su, 2003; Cao and Liu, 2008). 또한 도로 는 야생조류에게 있어서 방해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Lee et al., 2001; Benítez-López, 2010). 구체적으로 도로는 야생동물에게 로드킬, 사람과의 조우기회 증가, 소 음 등의 방해, 직․간접적 서식지의 감소 및 서식지의 파편화 등의 영향을 준다(Klein et al., 1995; Evink, 1996; Forman and Alexander, 1998; Ruediger, 1998; Cain et al., 2003; Yoo et al., 2007). 하지만 도로 주변의 지역은 다른 지역과 는 달리 방해에 민감하지 않은 종의 서식처로서 기능을 수 행하거나(Bergin et al., 1997), 경쟁의 감소로 인해 먹이취 득 효율이 높아져 방해요인에도 불구하고 취식지로 선택되 기도 한다(Amano et al., 2004; Yoo et al., 2007).
철원지역은 거주지가 특정지역에 밀집하여 존재하고 통 행이 제한된 민간인통제지역(CCZ)의 존재로 인하여 거주 지 및 개발지역에 의한 영향이 명확하게 나타난다(Yoo et al., 2008a). 또한 조류의 서식에 있어서 비닐하우스의 영향 은 먹이터 등의 감소로 인한 서식지 이용 감소의 양상으로
나타날 것이다. 토지를 인간위주의 배타적 이용만 가능하게 하는 비닐하우스는 심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소개되고 있지만,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는지 계량화되지 않았다. 특 히 전 지역을 뒤덮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산개하여 분포할 경우 등 밀도와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날 경우에는 어떤 영 향을 주는지는 정량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비닐하우스의 분 포와 밀도에 따라 두루미류의 밀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시설의 간접적 교란에 의한 두루미 류의 공간분포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거주지, 군사시 설, 도로, 비닐하우스의 영향에 대하여 요인과의 거리 및 밀도를 기준으로 검증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두루미와 재두루미 간 서식특성의 공통점 및 차이를 밝히고, 인위적 교란요인에 의한 두루미류의 분포양상을 도출하고자 하였 다.
연구방법
1.연구범위
조사는 2009년 1월부터 2014년 1월까지 6개 월동기간 동안 이루어졌으며, 매년 1월의 분포를 조사하여 분석에 활 용하였다. 전체 조사지역은 82.5㎢ 이며, 민통선에 해당하 는 지역은 61.5㎢, 민통선 외의 지역은 21.1㎢ 이다(Yoo et al., 2012). 서부지역은 산지사이 계단식 논이 많이 분포 하고 있고, 중앙부는 넓은 평야가 존재하며, 농업용 저수지 가 분포하고 있다. 동부지역은 한탄강의 상류이며, 경지정 리가 된 논과 구릉지 계단식 논이 존재한다.
2.조사 및 분석방법
1)두루미류의 취식지 분포
두루미류의 취식지 분포에 대한 조사는 2002년부터 2014 년까지 개체군변동이 낮은 1월에 실시하였다(Pae, 2000). 조 사 범위는 Figure 1과 같다. 현장조사는 2인 1개조, 4개 팀으 로 나뉘어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정해진 구역과 순서로 조사 하였다. 조사시간은 혹한기에 두루미류가 취식지로 늦게 나 오는 것을 고려하여 오전 10시부터 14시까지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조사자간 조사구역이 인접하는 부분을 함께 조 사하도록 하여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였다. 조사가 완료될 시점에서 전체 두루미류 서식지가 조사되도록 하였으며, 조 사시 조사자에 의한 방해 혹은 기타 방해요인에 의하여 두루 미류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위치를 표시하여 중복되지 않도 록 하였다. 분포도는 두루미류의 취식무리를 대상으로 GoogleEarth의 위성영상을 이용하였고, 현 위치와 현장의 지 형 및 논의 배치를 참고해 작성하였다. 10m 이상 떨어진 무리는 다른 무리로 구분 하였다(Yoo et al., 2009).
2)인위적 요인에 대한 조사
조사지역의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거주지와 도로 를 추출하였다. 거주지는 2개 이상의 거주용 건물이 인접한 것으로 구분하여 최외곽선을 연결하여 작성하였다. 도로는 포장된 농로와 비포장 소로 등을 제외하고 차량의 통행이 많은 도로를 추출하였다(Yoo, 2004). 수치지도에서 거주지 와 도로의 추출은 ArcGIS(10.2)을 이용하였다. 통행량에 의 한 구분은 민간인통제지역 외곽의 도로는 통행이 많은 도 로, 민간인 통제지역 내의 관광도로를 통행량이 중간인 도 로, 그 외 농업용으로 이용되는 도로를 통행량이 낮은 도로 로 구분하였다(Yoo et al., 2007). 비닐하우스의 밀도는 1개 소씩 지도에 표기하였으며, 여러개의 비닐하우스가 집단으 로 지어진 경우에는 비닐하우스의 개수를 세어 표기하였다.
3)분석방법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는 농경지의 취식무리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개체수를 구분하지 않았다. 10개체 이상이 무리 를 이루는 경우에는 중심부를 분포지역으로 표기하였다. 500m 범위를 참조하는 KDE(Kernnel Density Estimation) 을 이용하였다. 밀도의 격자는 250m 격자로 나타내었다. 각 격자의 중심부로부터 인위적 요인(거주지, 군사시설, 도 로)까지의 거리는 ArcGIS(10.2)를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요인으로부터 100m 단위로 묶어서 평균서식밀도를 작성하 였다. 비닐하우스 밀도 KDE를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5개 /㎢를 기준으로 평균 두루미류 서식밀도와의 상관관계를 구 하였다.
결과
1.두루미류의 분포경향
동일한 격자 내의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서식밀도는 상관 관계를 가졌다(Figure 2. Pearson’s correlation, RCC-WNC: r=0.737, n=1,356, p<0.01). 즉, 두루미와 재두루미가 선호 하는 지역이 유사한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1:1의 밀도상관 과 비교한다면 상대적으로 두루미의 밀도가 높은 곳에는 재두루미의 서식밀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두루미의 밀도가 낮은 곳에서 재두루미의 서식밀도가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났다.
n=1,055, p<0.001). 3㎞ 이상으로 멀어질 경우 두루미와 재 두루미의 서식밀도는 공통적으로 감소하였다. 군사시설물 에 가까운 지역은 약 0.7~0.8㎞ 까지 밀도가 증가하는 양상 을 보였다(Figure 4, RCC: r=0.148, n=497, p<0.01; WNC: r=0.111, n=497, p<0.05). 하지만 거주지의 영향과 비교할 때 영향거리가 멀지 않았으며, 군사시설물과 가까운 지역에 서도 민간인의 거주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나타났다.
2.거주지 및 군사시설물에 의한 영향
두루미류에게 인위적 교란요인에 해당하는 거주지, 군사 시설물과의 거리에 따른 밀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두루미 와 재두루미의 서식밀도는 거주지에 가까울수록 감소하였 고, 멀어지면서 2.5㎞ 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Figure 3, RCC: r=0.631, n=1,055, p<0.001; WNC: r=0.583, n=1,055, p<0.001). 3㎞ 이상으로 멀어질 경우 두루미와 재 두루미의 서식밀도는 공통적으로 감소하였다. 군사시설물 에 가까운 지역은 약 0.7~0.8㎞ 까지 밀도가 증가하는 양상 을 보였다(Figure 4, RCC: r=0.148, n=497, p<0.01; WNC: r=0.111, n=497, p<0.05). 하지만 거주지의 영향과 비교할 때 영향거리가 멀지 않았으며, 군사시설물과 가까운 지역에 서도 민간인의 거주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나타났다.
3.도로에 의한 영향
두루미류의 서식밀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도로 의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서식밀 도는 통행량이 많은 도로에 가까울수록 감소하였다(Figure 5). 반대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서식밀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Figure 5, RCC: r=0.378, n=1,356, p<0.001; WNC: r=0.270, n=1,356, p<0.001), 두루미가 재두루미에 비해 도로로부터 가까운 지역에서 서식밀도가 낮게 나타났 다. 통행량이 많은 도로로부터 2㎞ 까지 거리에 따른 두루 미류의 서식밀도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Figure 5, RCC: r=0.531, n=835, p<0.001; WNC: r=0.444, n=835, p<0.001).
도로와의 거리에 따른 서식밀도는 통행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통행량이 중간인 도로의 경우 2km 까지의 거 리에서 두루미의 경우 서식밀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Figure 6, r=0.029, n=1,006, p=0.360), 재두루미의 경우 도로와 멀어짐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Figure 6, r=0.118, n=1,006, p<0.001). 이와는 달리 통행량 이 낮은 도로 인근의 지역은 오히려 높은 두루미류의 서식 밀도를 나타내었다(Figure 7,1,151, p<0.001). 결과적으로 통행량이 높은 도로 인근의 취식지는 두루미류에 의하여 선호되지 않는 지역이었다. 반대로 통행량이 낮은 도로 인 근의 취식지는 선호되는 지역이었다.
4.비닐하우스의 밀도에 의한 영향
교란요인 중 두루미류의 서식밀도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 비닐하우스의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비닐하우 스의 밀도가 40개/㎢ 이하인 경우,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높 을수록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비닐하우스 밀도가 40개/㎢를 초과하는 지역에서는 공통적 으로 낮은 밀도를 보였다(Figure 8).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80/㎢ 이상인 경우 더 낮은 서식밀도를 보일 것이라 기대되 었지만, 그 이상의 밀도를 보인 지역이 없었기 때문에 검증 은 불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일정수준 이하의 비닐하우스 밀 도에서는 두루미류가 비닐하우스에 대한 민감성의 증감을 가지며, 일정수준 이상의 비닐하우스 밀도에서는 민감성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고 찰
본 연구에서는 거주지와의 거리, 군사지역과의 거리 및 통행량이 많은 도로와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두루미류의 서 식밀도는 증가 후 감소하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Figure 3-6). 이러한 경향은 교란요인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서식밀도가 증가하는 경향(Benítez-López et al. 2010)과는 일치하지 않는 것이었다. 이러한 양상이 나타난 이유로는,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를 낮아지게 하는 군사시설과 거주지 가 서로 원거리에 있으며 그 요인 사이에 두루미류의 밀도 가 높은 농경지가 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 판단되었다 (Figure 1). 따라서 일정거리 이상에서 교란요인에 반응하 지 않는 두루미류의 반응으로 보았을 때(Yoo et al., 2007), 교란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거리는 두루미류의 밀도증 가 경향이 변화하는 지점(변곡점) 까지의 거리가 타당할 것 이다.
인위적 요인인 거주지의 경우 원거리까지 두루미류의 분 포밀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가까운 지역의 밀도는 상대적으 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루미류가 인간의 활 동이 존재하는 지역을 선호하지 않으며, 넓은 범위까지 영 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또한 개발지역 및 거주지 인근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기존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 다(Pae 1994; 2000). Luo et al.(2012)의 결과에서, 흑두루 미(Grus monacha)의 경우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으며, 방해요인으로서 작용하여 취 식지의 선택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Nagano et al. 1992).
Benítez-López et al.(2010)는 조류는 산업시설로 부터의 거리에 따라 서식밀도가 로그형태로 증가하는 것으로 제시 하였다. 또한 Yoo et al.(2010)은 조류의 종별 차량에 대한 반응거리가 해당종의 날개 및 부척의 길이에 비례하였으며, 무게의 로그값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종의 분포밀도는 전체 서식 지에서 도로 및 거주지로부터 이격되면서 로그형태로 밀도 가 증가한다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Benítez-López et al. 2010). 하지만 본 연구에서 흥미로운 사실은 통행량이 낮은 도로의 경우 가까울수록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증가하였 다는 것이다(Figure 7). 이것은 민간인 통제지역 내의 차량 통행량이나 인간의 활동이 외곽지역에 비하여 크게 낮기 때문에 두루미류에 의하여 취식지로 이용되는 것을 의미한 다(Yoo et al., 2009). 또한 철원지역에서 낙곡을 먹이원으 로 이용하는 간접적 경쟁종인 쇠기러기 Anser albifrons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oo et al., 2007; Yoo et al., 2008b). 경쟁종인 쇠기러기는 큰 집단을 이루는 경우 가 많아 도로변을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변은 잔존 먹이량이 높아서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높 았던 것으로 판단된다(Amano et al., 2004, Yoo et al., 2007). 쇠기러기의 집단과 같이 두루미류의 경우에도 무리 내 개체수가 많은 경우 상대적으로 도로로부터 먼 거리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두루미류의 도로와의 거리에 따른 밀도의 변화를 통해 무리크기별 취식 지 선택의 선호도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두루미류의 서식밀도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되었던 비닐하우스는 본 연구결과에서처럼 두루미류의 밀도에 일 부지역을 제외하고 확연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Figure 8). 이것은 철원지역에서 비닐하우스가 비교적 산개하여 분포 하고 특정지역에 집중되어 분포하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 라 판단된다. 만약 경기도 김포 및 고양, 경남의 김해지역 처럼 비닐하우스가 50% 이상 피복하는 형태로 존재한다면 두루미류의 서식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