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5 No.1 pp.1-23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21.35.1.1

The Flora of Three Eastern Mountains(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of Paroho Lake in Yanggu-gun, Korea

Jin-Heon Song2, Hyun-Tak Shin3, Ho-Geun Yun3, Sang-Jun Kim2*
2DMZ Botanic Garden, Korea National Arboretum, Yanggu 24564, Korea
3DMZ Botanic Garden, Korea National Arboretum, Yanggu 24564, Korea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E-mail: genius3807@korea.kr
25/09/2020 07/11/2020 15/12/2020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flora at Mt. susdolbon(508m), Mt. seongjubong (625.3m), and Mt. sulibong(596.2m), located in Yanggu-gun, Gangwon-do. A total of 403 taxa, including 6 forms, 43 varieties, 4 subspecies, 350 species, 255 genera, and 84 families, were surveyed in the three mountain areas. 18 taxa from 5 families of ferns, 3 taxa from 1 family of gymnosperms, and the dicotyledonous plants as 302 taxa from 69 families of the dicotyledonous plants were identified. The remarkable plants included 11 taxa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Cimicifuga heracleifolia, Aconitum pseudolaeve, Clematis trichotoma, Echinosophora koreensis, Vicia chosenensis, Salvia chanryoenica,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4 taxa, including Echinosophora koreensis as endangered species (EC), Cimicifuga heracleifolia, Epimedium koreanum, and Lilium cernuum. The Least Concern species (LC) were 13 taxa, including Persicaria orientalis, Exochorda serratifolia, Viola diamantiaca, Lithospermum erythrorhizon, and Trigonotis icumae.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8 taxa, including Persicaria orientalis, Rumex crispus, Phytolacca americana, Cerastium glomeratum, Chenopodium album, Chenopodium ficifolium, Amorpha fruticosa, Robinia pseudoacacia, Trifolium pratense, Trifolium repens, Oxalis dillenii, Euphorbia supina, and Oenothera biennis, accounting for 6.9 percent of the 403 taxa of the surveyed plants.



강원도 양구군 파로호 동부 3개 산지(숫돌봉, 성주봉, 수리봉)의 관속식물상

송진헌2, 신현탁3, 윤호근3, 김상준2*
2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전문연구원
3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임업연구관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양구군에 위치한 숫돌봉(508m), 성주봉(625.3m), 수리봉(596.2m) 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3개 산지 식물상 조사결과, 84과 255속 350종 4아종 43변종 6품종으로 총 403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5과 18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3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9과 302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80분류 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은 특산식물이 은사시나무, 키버들, 세잎승마, 진범, 등 총 11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위기종(EN) 개느삼 등 1종 취약종(VU) 세잎승마, 삼지구엽초, 솔나리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약관심종(LC) 도깨비부 채, 가침박달, 태백제비꽃 등 총 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털여뀌,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흰명아주, 좀명아주, 족제비싸리,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토끼풀, 들괭이밥, 애기땅빈대, 달맞이꽃 등 총 28분류군으로 조사 되어, 조사식물 403분류군의 6.9%를 차지하였다.



    서 론

    양구군은 강원도의 중부에 위치하며, 조사대상지인 숫돌봉 (508m), 성주봉(625.3m), 수리봉(596.2m)은 좌표상 동경 128° 54'∼127° 55', 북위 38° 07'∼38° 09'에 위치한다. 태백 산맥의 서쪽에 자리 잡고 있어 영서지방에 속하며, 동쪽으로는 인제군, 서쪽으로는 화천군, 남쪽으로는 춘천시, 북쪽으로는 강 원도 북부의 창도군·금강군과 접한다. 동서 길이는 27㎞, 남북 길이는 35.5㎞이며, 면적은 706.57㎢로 강원도 전체 면적의 약 4.2%에 해당한다. 행정구역은 1읍 4면으로 이루어져 있으 며, 동면·방산면·해안면의 일부는 민간인 통제구역이다. 성주 봉에 속한 파로호의 지류는 북한강(北漢江)의 지류인 수입천 (水入川)과 서천(西川)이 남류하다가 남서부의 파로호(破虜 湖)로 흘러든다(Yanggu-gun, 2020).

    양구군 일대의 30년간(1981∼2010) 기상 데이터 자료는 양구군에 기상관측소가 없어 가까운 인제군 기상관측소에서 기상 데이터 자료를 이용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평균기온 10.1℃, 평균 최고기온 16.5℃, 평균 최저기온 4.7℃, 평균강 수량 1210.5㎜, 평균상대습도 69.6%, 평균일조시간 2128.1hr 이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9).

    조사대상지 일대는 DMZ 접경지역으로 접경지역 지원 특 별법에 의하여 민간인 통제선 이남의 지역 중 민간인통제선과 의 거리 및 지리적 여건과 비무장지대는 제외하되 비무장지대 내 집단취락지역은 접경지역으로 불리며, 자연생태적으로나 역사문화적으로 가치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Korea Law Center, 2019).

    조사대상지인 양구군 3개산지 식물상 연구는 시도된 적 없 으나 양구군 주변에 위치한 식물상 조사로는 Min et al. (2000) 은 대암산(강원·양구, 인제)과 그 인근 산지의 식물을 조사한 결과 258분류군,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에 의해 대암산․ 대우산․ 도솔산의 식생,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728 분류군, Choi et al. (2009)은 도솔산, 대우산, 가칠봉에 대하여 식물을 파악한 결과 229분류군,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에 의해 백석산, 대암산, 건봉 산, 향로봉의 식생, 식물상 조사한 결과 797분류군, Han and Yoo (2010)이 백석산의 식물상으로 513분류군이 확인되었으 며, Kim et al. (2014)는 도솔산(강원, 양구) 일대의 관속식물 상을 조사한 결과 510분류군, Heo et al. (2017)은 대암산과 봉화산 사이에 위치한 광치령을 대상으로 514분류군의 관속식 물을 파악하였고, Kim et al. (2017)은 백석산 남쪽에 위치한 사명산의 식물상은 538분류군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 대상지인 숫돌봉, 성주봉, 수리봉은 민간인통제선 (Civilian Control Zone: CCZ) 이북과 그 배후 접경지역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출입이 제한되어 보존 상태가 더욱 양호한 곳이다. 3개 산지의 서식지 유형을 제대로 파악한다면 한반도 에서 멸종 위기에 있거나 멸종한 종들을 찾을 수도 있는 최적의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식물상 연구가 시도된 적이 없다. 따라서 생태계 현황을 밝히고 생태적 가치를 발굴하여 식물생태계 보 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DMZ 식물자원조사를 통해 DMZ의 식물상을 이해할 수 있는 큰 의 미를 지니고 있다.

    연구방법

    2019년 5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양구지역 3개 산지의 관속식물 분포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Table 1, Fig. 1). 조사경로는 3개 산지의 기준이 되는 산지의 계곡부, 능선부, 사면부 등을 다양하게 조사하였고, 조사루트는 산지 하나당 3팀으로 나눠서 조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5월, 8월에 조사가 국한되어 미흡한 부분 있었는데 추가조사를 통해 표본 및 화상자료 등 내용을 채울 예정이다. 식물에 대한 정확 한 동정을 위하여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중심으로 채집하였 다. 조사과정 중 부득이하게 식물표본을 채집하지 못한 일부 종에 대해서는 화상자료를 확보하였다. 채집된 모든 식물표본 에 대해서 채집 번호와 좌표를 부여하였으며, 증거표본은 DMZ자생식물원에 보관하였다. 3개 산지에서 조사된 관속식 물의 목록은 Engler의 분류 체계(Melchior, 1964)를 따라 작 성하였으며(Appendix 1), 과(Family) 내에서는 속명과 종명 의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고, 양치식물은 국립수목원(Korean Fern Society, 2005)에 준하여 정리하였다. 학명과 국명의 사 용은 국가표준식물목록(http://www.nature.go,kr/kpni/;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을 따랐으며, 작성된 관속 식물목록을 바탕으로 한반도특산식물목록(Chung et al., 2017),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9)에 따라 작성하였다. 침입외래식물에 대한 자료정리는 침입외래식물에 대한 자료정리는 Jung et al., (2016)이 제시한 목록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상

    양구지역 3개 산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전체 총 84과 255 속 346종 4아종 42변종 6품종 398분류군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숫돌봉은 60과 117속 128종 2아종 15변종 3품종 148분류 군, 성주봉은 66과 159속 187종 2아종 29변종 1품종 219분류 군, 수리봉은 78과 207속 247종 3아종 32변종 5품종 287분류 군으로 나타났다. 양치식물(Pteridophyta)은 5과 11속 15종 2변종으로 17분류군, 나자식물(Gymnospermae)은 1과 3속 3 종으로 3분류군, 피자식물(Angiospermae)은 78과 241속 328종 4아종 40변종 6품종으로 37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조사한 식물 중 가장 많이 분포하는 분류군은 국화과 (Compositae) 43분류군(10.7%), 벼과(Gramineae) 30분류군 (7.5%), 장미과(Rosaceae) 24분류군(6.0%), 백합과 (Liliaceae) 22분류군(5.5%), 콩과(Leguminosae) 21분류군 (5.2%), 사초과(Cyperaceae) 16분류군(4.0%), 마디풀과 (Polygonaceae) 15분류군(3.7%) 순으로 조사되었다(Fig 2). 한반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4,364분류군(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17)의 약 9.1%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지에서는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관속식물을 분석한 결과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삼지구 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 개느삼(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솔나리(Lilium cernuum Kom.) 등의 희귀식물과 은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푸른마(Dioscorea coreana (Prain & Burkill) R. Knuth) 등 특산식물을 확인하 였다.

    3개 산지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종은 참새발고사리, 야산 고비, 물봉선, 물푸레나무, 융단사초, 괭이사초, 호랑버들 등 207분류군이 나타났다. 숫돌봉, 성주봉을 합친 분류군에 70% 가 공통적으로 출현하였는데 여기에 비해 수리봉은 28%의 출 현율이 보였다. 수리봉이 숫돌봉, 성주봉에 비해 출현율이 낮은 이유는 산의 면적의 크기가 숫돌봉 14㎢, 성주봉 9.6㎢인거에 비해 수리봉은 7.4㎢로 나타나 면적의 차이, 숫돌봉, 성주봉과 다르게 수리봉은 등산로 전역이 군사시설 및 군사도로로 되어 있어 출현율이 낮게 나오는 원인으로 판단된다.

    조사대상지 주변에 위치한 사명산은 92과 308속 466종 3아 종 62변종 7품종 538분류군이 나타났다. 사명산에 비해 본 연구에서 추가된 종은 으아리, 이스라지, 태백제비꽃, 사상자, 서울족도리풀, 융단사초, 붉은토끼풀, 귀박쥐나물, 솔나리, 말 나리, 참나리, 구슬사초, 좀네모골 등 104분류군의 다른 종이 출현하였다. 사명산 문헌에 보고된 진고사리, 왁살고사리, 참나 도히초미, 산일엽초, 분버들, 숲개별꽃, 회리바람꽃, 꿩의 바람 꽃, 속리기린초, 숙은노루오줌, 민눈양지꽃, 지리산오갈피, 오 갈피나무, 벌사상자, 큰구슬붕이, 선메꽃, 소영도리나무, 솔잎 사초, 낚시사초, 산뚝사초, 감자난초 등 234분류군은 본 조사에 서 확인되지 않았다. 분류군 차이를 보였던 것은 전체적인 산의 고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3개 산지는 약 500~600m, 사명산 은 1189m로 고도의 차이가 약 500~600m로 나타났다. 고도차 이로 인해 높은 지역에서 출현한 식물은 뱀톱, 만주우드풀, 잣나 무, 주목, 거제수나무, 동자꽃, 숲개별꽃, 홀아비바람꽃, 꿩의바 람꽃, 회리바람꽃 등 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면적에 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3개산지를 합한 면적이 약 30㎢에 비해 사명산은 75.8㎢로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고도 및 면적에 의 해 총 분류군, 식물 종다양성의 차이에 원인으로 판단된다.

    2. 희귀식물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은 희귀식물의 범주를 야생멸종(Extinct in the Wild, EW),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 CR), 위기종(Endangered Species, EN), 취약종 (Vulnerable, VU), 약관심종(Least Concerned, LC), 자료부 족종(Data Deficient, DD)으로 구분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위기종(EN)인 개느삼, 취약종(VU)인 세잎승마, 삼지구엽초, 솔나리, 약관심종(LC)인 도깨비부채, 가침박달, 태백제비꽃, 지치, 덩굴꽃마리, 참배암차즈기, 미치광이풀, 귀박쥐나물, 말 나리가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의 희귀식물로 여겨지는 571분 류군의 약 2.2%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희귀식물 EN등급인 개느삼은 3개 산지에서 출현하였는데 숫돌봉에 출현한 개느삼은 임도 옆 민가 부근에서 자생지를 확인하였는데 근방에 건물을 짓기 위해 인공적으로 평탄화 작 업을 한 것으로 보아 개발로 인해 훼손될 우려가 있어 각별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성주봉에 출현한 개느삼은 정 상 능선 부근에서 소규모 군락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수리봉 에 출현한 개느삼 마찬가지 정상 능선 부근에서 소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었으며, 현재의 생육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VU등급인 세잎승마는 수리봉의 남동사면에 소규모 개체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솔나리는 남서사면 능선 부근에서 소규모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VU등급인 삼지구엽초는 숫돌봉의 남쪽 사면에서 소규모 개체가 출현하였는데 출현한 곳 오른쪽에 작물을 키우는 밭이 있었으며, 그로 인해 인위적인 훼손이나 개발이 우려되므로 자생지 보호를 위한 관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치, 참배암차즈기는 숫돌봉의 북서쪽 임연부에서 소규모 개체, 군락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말나리는 수리봉의 남동쪽 등산로 초입에서 분포하고 있었는데 초입 주변이라 침입외래식 물이 많은 것으로 보아 자생지를 위협받을 우려가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개 산지는 DMZ 접경지역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군의 영향 을 많이 받는 곳이다. 훈련장, 사격장, 군사임도, 참호 등 여러 군 시설물이 초입부터 정상까지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물리적 인 훼손은 물론 침입외래식물의 침입으로 인해 점차 침입 범위 가 확대되어 희귀식물의 자생지가 위협받을 수 있기에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JEE-35-1-1_B1.gif

    3. 특산식물

    3개 산지(숫돌봉, 성주봉, 수리봉)에서 확인된 특산식물 (endemic plants)은 은사시나무, 키버들, 진범, 세잎승마, 할미 밀망, 개느삼, 노랑갈퀴, 참배암차즈기, 백운산원추리, 푸른마, 솜분취로 한국특산식물 360분류군(Chung et al., 2017)의 3.0%에 해당한다(Table 4.). 개느삼은 3개 산지 전체에서 출현 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임도, 사면, 능선부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Kim et al. (2020)의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의 개체군 특성 문헌에서 수광량이 높은 능선부에서 생 육조건이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3개 산지의 생육조건도 이와 같았다. 개느삼을 보전하기 위해 양구군에서 양구군 전역 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는데 조사 당시 개느삼은 생육상태가 좋은 곳도 있었지만, 보통이거나 좋아지지 않는 곳 도 있었다. 향후 피압이나 광환경의 변화, 종간경쟁에서 개느삼 을 보전하기 위해 양구군에서 장기적인 보전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은사시나무는 성주봉의 북동사면 임연부에서 군락으로 분포 하고 있었으며, 키버들은 수리봉의 남쪽사면 임연부에서 군락 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세잎승마는 수리봉의 남동사면 계곡부 그늘진 곳에서 단생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노랑갈퀴, 푸른마는 수리봉의 남쪽 사면 임연부에서 1m 떨어진 도로 부근에서 단 생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육환경은 도로에 가깝게 자생하고 있었기에 현재는 주변에 외래식물이 존재하지 않았지 만, 이후 인위적인 영향을 받아 외래식물이 특산식물 자생지를 침입해 교란할 것으로 판단된다. 백운산원추리는 수리봉의 서 쪽 사면 임도에서 1m 떨어진 부근에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 였으며, 생육환경은 주변에 인위적인 영향이나 외래식물이 없 는 것으로 보아 현재의 상태를 유지, 관리를 이어나가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대부분의 특산식물은 임연부에 서식을 하고 있었는데 그보다 조금 더 떨어진 도로 지역에서 출현하거 나 임도와 가까운 곳에서도 출현한 종도 있었다. 임연부, 계곡 부에 출현한 특산식물은 생육하는데 문제가 없었지만 도로, 임 도 근처에서 출현한 특산식물은 훼손의 우려가 있어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JEE-35-1-1_B2.gif

    4. 침입외래식물

    본 연구대상지에서 분포하는 침입외래식물은 털여뀌, 소리 쟁이,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흰명아주, 좀명아주, 취명 아주, 족제비싸리 등을 확인하였다(Table 5). 출현한 침입외래 식물 중 국화과가 10분류군으로 가장 많았다.

    출현한 대부분의 침입외래식물은 숫돌봉의 경우 3개 산지에 비해 적은 비율로 출현하였는데 성주봉, 수리봉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외래종이 출현한 것으로 보아 성주봉은 파로호 낚시 터의 영향 때문에 민가가 산지 부근에 형성되어 침입외래식물 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되며, 수리봉의 임연부에서 멀지 않은 곳에 도로, 마을이 형성되어 인위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이 다른 침입외래식물에 비 해 상대적으로 군락을 이룬 곳이 많았는데 농지, 밭 주변, 산지 의 임연부에 많은 분포를 하고 있었다. 또한 알레르기를 일으키 는 화분병으로 인간에게도 매우 해로운 식물이다.

    KJEE-35-1-1_B3.gif

    이들이 생육하는 곳에 말나리, 태백제비꽃 자생지를 확인하 였기 때문에 서식지의 감소가 우려되며, 정확한 자생지 현황파 악을 통하여 지속적인 제거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요

    본 연구대상지 조사결과 3개 산지 관속식물은 총 84과 255 속 350종 4아종 43변종 6품종 403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숫 돌봉은 60과 117속 129종 2아종 15변종 3품종 149분류군, 성주봉은 67과 160속 189종 2아종 30변종 1품종 222분류군, 수리봉은 78과 208속 252종 3아종 32변종 5품종 292분류군 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위기종(EN)인 개느삼, 취약종(VU)인 세잎승마, 삼지구엽초, 솔나리, 약관심종(LC)인 도깨비부채, 가침박달, 태백제비꽃, 지치 등 총 11과 13속 12종 13분류군이 확인되었 다.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키버들, 진범, 세잎승마, 할미밀망, 개느삼, 노랑갈퀴, 백운산원추리 등 7과 12속 10종 1변종 11분 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털여뀌, 소리쟁이, 미국 자리공 등 11과 24속 28종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3개 산지 중 숫돌봉 가장자리에 파로호수변국가생태문화 탐방로 데크가 설치되어 있다. 데크길을 따라가다보면 등산로로 이어 져 있어서 예전에 숫돌봉을 몰랐던 등산객들의 발길이 잦아졌 다. 그로 인해 전보다 침입외래식물이 숫돌봉 가장자리에서 점 차 세력을 확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보전대책은 물리적인 제거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세력을 확장해나가 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성주봉의 상무룡1리를 지나다보면 북부지방산림청, 양구국 유림관리소에서 관리하는 임도가 여러 곳이 나오는 것으로 보 아 성주봉은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 침입외래식물이 숫돌봉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속해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현지외 보전을 해나가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리봉은 사람들의 발길이 잦은 곳은 아니였지만 침입외래 식물이 생각보다 많이 발견되었다. 이유는 군부대 훈련장, 군사 도로로 오래전부터 이용되고 있었으며, 조사 당시 현지외 보전 을 실행한 흔적을 찾기 힘들었다. 따라서 현지외 보전을 통해 침입외래식물 뿐만 아니라 자생하는 식물들의 보전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KJEE-35-1-1_F1.gif

    Location of study area and investigated routes.

    KJEE-35-1-1_F2.gif

    Taxa of the top 7 families by total flora.

    Table

    The investigate routes and date of 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in Yanggu-gun

    The list of vascular plants of 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in Yang-gu-gun

    Summary on the Vascnlar Plants of 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in Yanggu-gun

    The list of rare plants in 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Yanggu-gu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 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Yanggu-gun

    The list of invasive alien plant in 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Yanggu-gun

    Reference

    1. Choi, H.J. and K. Heo (2009) Flora Monitoring of Yongneup, an Wetland, in Mt. Daeam.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3(2): 93-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ung, G.Y. ,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 264-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 Report Survey and Study of Daeamsan·Dosolsan Natural Reserv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297pp. (in Korean)
    4. Encyclopedia of korean folk culture (2020) http://www.folkency.nfm.go.kr.
    5. Han, J.S. and K.O. Yoo (2010) Flora of Baekseoksan (Yanggu-gun, Gangwon-do).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4(2): 68-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eo, T.I. , H.T. Shin, S.J. Kim, J.W. Lee, S.Y. Jung and J.B. An (2017) The Flora of Gwangchiryeong Area Adjacent to the DMZ. Korean Journal Environ. Ecol. 31(1): 0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ung, S.Y. , J.W. Lee, H.T. Shin, S.J. Kim, J.B. An, T.I. Heo, J.M. Chung and Y.C. Cho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265pp. (in Korean)
    8. Kim K.A. , J.S. Han, K.S. Cheon, Y.H. Park, J.S. Kang and K.O. Yoo (2014) Floristic study of Mt, Dosol and its adjacent areas (Yanggu-gun, Gangwon-do), Korean J. Pl. Taxon 44(1): 59-76. (in Korean)
    9. Kim S.D., A.R. Moon, J.B. An, J.Y Jung, W.G. Park and S.W. Jung (2020)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a Endemic Plants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34(1): 18-26. (in Korean)
    10. Kim S.J. , H.T. Shin, J.B. An, J.W. Yoon, J.W. Lee, S.Y. Jung and T.I. Heo (2017) Flora of Mt. Samyeong (Yanggu-gun, Gangwon-do) in DMZ Area of Korea. Korean J. Pl. Taxon, 30(2): 191-212. (in Korean)
    11.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in Korean)
    12.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eninsula; VI. Central Province(Gangwon-do), Daejeon, Korea. (in Korean)
    13. Korea Law Center (2019) http://www.law.go.kr.
    1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9) http://www.kma.go.kr.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1-332pp. (in Korean)
    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000pp. (in Korean)
    18.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1-666pp.
    19. Min, W.K. , C.S. Chang, J.I. Jeon, H. Kim and D.Y.Choi (2000) Flora of Mt. Dae-am-san. Bull. of Seoul Nat’l Univ. Arboretum 20: 30-82. (in Korean)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 Ecological Survey on the DMZ area, in Korea-Ecological Survey in North Region of the Civilian Passage Restriction Lin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1-282pp. (in Korean)
    21. Yanggu-gun (2020) Gangwon-do Yanggu-gun Basic Stat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