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6 No.1 pp.1-29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22.36.1.1

A Study on the Flora and Its Naturalized Plants of Mt. Teomo · Hyeolgu(Incheon, Ganghwa-gun) in the Western Part of DMZ, Korea1a

Jong-Won Lee2, Ho-Geun Yun3, Dong-Hak Kim3, Jin-Hun Song3, Sang-Jun Kim4, Hee-Young Gil4*
2DMZ Botanic Garden, Korean National Arboretum, Yanggu 24564, Korea
3DMZ Botanic Garden, Korean National Arboretum, Yanggu 24564, Korea
4DMZ Botanic Garden, Korean National Arboretum, Yanggu 24564, Korea

a 이 논문은 산림청(국립수목원)에서 지원하는 DMZ일원 미조사지역 식물조사 및 중점관리종 모니터링 체계 구축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warmishe@korea.kr
29/11/2021 19/01/2022 08/02/2022

Abstract


This study surveyed the Mt. Teomo·Hyeolgu and surrounding areas in Ganghwa Island, located in Ganghwa-gun, Incheon, to identify vascular flora and alien plant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remarkable plants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survey was carried out 13 times from March 2019 to October 2020. The identified vascular flora of Mt.Teomo·Hyeolgu was 101 families, 321 genera, 517 species, 13 subspecies, 38 varieties, 5 forms, and 573 taxa. They accounted for about 12.35% of a total of 4,641 taxa of vascular plants in Korea. The identified Northern lineage plants, endemic plants, and rar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as designated by IUCN were 68 taxa, 10 taxa, and 9 taxa, respectively. 69 taxa were classified as floristic target species. Three taxa, including Maui sedge [Carex thunbergii var. appendiculata (Trautv. & C.A.Mey.) Ohwi] were identified s Class IV and 14 taxa, including Violet Stanavoi clematis (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were identified as Class III. The naturalized plants that appeared in the study site were 63 taxa, including daisy fleabane [Erigeron annuus(L.) Pers.],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L.] and Canadian fleabane [Conyza canadensis(L.) Cronquist]. The above three species were found to have spread throughout Ganghwa Island and surrounding areas such as Seokmo Island, Gyodong Island, and Gimpo city. As introduced disturbing plants like prickly lettuce [Lactuca scariola L.], bur cucumber [Sicyos angulatus L.] and field dock [Rumex acetosella L.] have been newly reported in the Mt. Teomo·Hyeolgu area, mid- to long-term conservation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for native plants, such as remarkable plants, and also management measures like physical removal should be prepared at an early stage.



서부 DMZ일원 퇴모·혈구산(인천광역시 강화군)의 식물상 및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1a

이 종원2, 윤 호근3, 김 동학3, 송 진헌3, 김 상준4, 길 희영4*
2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박사후연구원
3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석사후연구원
4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임업연구사

초록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퇴모·혈구산의 관속식물상과 강화도 및 주변 지역의 외래식물 등을 파악하여, 조사된 식물들의 체계적인 관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퇴모·혈구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총 101과 321속 517종 13아종 38변종 5품종 573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641분류군의 약 12.35%로 나타났다. 퇴모·혈구산에서 확인된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청나래고사리 등 68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늦둥굴레 등 10분류군, IUCN 지정 희귀식물은 께묵 등 총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69분류군으로 파악 되었다. Ⅳ등급은 뚝사초 등 3분류군, Ⅲ등급은 종덩굴 등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지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개망초, 돼지풀, 망초 등 6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개망초, 돼지풀, 망초 3종은 강화도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인 석모도, 교동도 김포 등에도 전방위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가시상추, 가시박, 애기수영 등 생태계교란식물이 퇴모·혈구산에 처음으로 보고되어 퇴모·혈구산 내 특기할만한 식물 등 자생식물에 대해 중장기적인 보전 대책을 수립하 고 정기적으로 물리적인 제거 등의 관리방안 대책을 조기에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서 론

    인천광역시 강화군은 경기만에 있고, 강화도를 비롯하여 크고 작은 17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화군에서 가장 큰 섬인 강화도는 면적이 약 302㎢로 전국에서도 4번째로 큰 섬이다. 강화도의 북쪽은 북한의 황해도 개풍군과 연백군, 동쪽은 경기도 김포시, 남쪽은 인천광역시 웅진군과 서구에 접하고, 서쪽은 황해와 만난다. 강화도는 서쪽과 남쪽은 경기 만에 걸쳐 있고, 북쪽은 한강 및 예성강 하구를 사이에 두고 있으며, 동쪽은 염하(鹽河)를 끼고 김포반도와 마주 본다. 강화도는 본래 김포반포와 연결되어 있었으나 오랜 침식으로 평탄화된 후 침강운동으로 육지로부터 분리되었고 비교적 산악이 많으나 지리상 노년기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부는 대체로 둥근 모양의 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이를수 록 경사가 완만해지는 형태를 나타내 일반적으로 평균 고도 는 매우 낮은 편이다(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1, Ganghwa county, 2021).

    본 연구 대상지인 퇴모산(338m)과 혈구산(466m)은 고려 산(436m) 정상에서 혈구산을 거쳐 퇴모산을 지나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위치하며, 이 능선은 암릉으로 구성되어 있고, 덕정산 (325m), 진강산(443m)을 거쳐 마니산(469m) 까지 이른다. 그래서 동북쪽은 마식령산맥과 맞닿아 있고, 멀게는 백두산까지 이어져 있다. 지리적으로는 북위 37° 4 1′~ 37° 44′, 동경 126° 23′~ 126° 26′사이 위치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은 한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대륙성 기후에 속하지만, 서해안의 섬 지역이라는 지리적인 특성 때문에 해양성 기후가 나타난다(Lee et al., 2005). 강화도 일대의 30년간(1990~2020)의 기상 데이터에 따르면, 평균 기온 11.3℃, 평균 최고기온 16.3℃, 평균 최저기온 6.6℃, 평균 강수량 1,301.7mm 그리고 평균 상대습도는 69.4%로 산출되었다. 하지만 최근 5년간 2016년부터 2020년 사이에 는 평균 강수량이 약 1,100mm로 과거보다 감소하는 추세로 분석되었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

    강화도의 산지는 소나무 및 참나무류가 군집을 이루며, 생태적으로 인위적인 교란으로 산림이 황폐화된 이후 2차 천이가 진행되는 지역이라 보고하였다(Cho, 1998). 이러한 2차 천이는 마니산의 서어나무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Shin et al., 2014). 또한, 강화도의 산줄기는 대간이 나 정맥에서 갈라진 지맥이 아닌 단순히 남북을 가르는 형 태이다(Ganghwa-county, 2021). 그리고 남부지방에 주로 자생하는 동백나무 및 도깨비쇠고비 등 12종의 상록활엽식 물이 인근 지역인 덕적도에서도 분포하는 것은 서해 난류의 영향인 것으로 보고하였다(Lee and Choi, 2008). 따라서 기후온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 식물의 분포역 변화는 시시각각 변할 것으로 판단된다.

    강화도를 대상으로 한 식생 및 식물상에 관한 선행연구는 2000년대 들어서 2007년 Woo et al. 의 연구 이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Woo et al. (2007)년 인천광역시 강화 지역 의 식물상연구에서 67과 164속 215분류군을 확인하였고, 대상지인 퇴모·혈구산은 주로 밤나무, 신나무, 곰솔 등이 우점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2010년 이후 강화도의 식물 상 연구는 김중현 등에 의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 선, Kim and Kim (2013)은 강화도의 길상산(335m)의 관속 식물상 122과 359속 529종 7아종 51변종, 2품종, 3교잡종 총 595분류군을 확인하였고, 각시족도리풀과 금붓꽃 등의 특기할만한 식물 출현을 보고하였다. Kim et al. (2015)은 강화도 최서북단인 별립산(416m)의 관속식물상 연구에서 116과 355속 505종 8아종 52변종 7품종 2교잡종 총 574분 류군이 확인되고, 붉은조개나물 및 모새달 등의 주요한 식 물을 확인하였다. 2016(Kim et al.)년과 2018(Kim et al.)에 는 각각 진강산(441m)과 덕정산(320m)의 연구에서 114과 336속 495종 7아종 53변종 4품종 1교잡종 총 560분류군과 서울제비꽃과 큰제비고깔 등 희귀·특산식물을 파악하였고, 107과 305속 423종 8아종 48변종 4품종 1교잡종 총 484분 군과 좀목포사초 및 쑥방망이 등의 희귀·특산식물을 확인하 였다. Kim et al. (2016)은 강화도 서쪽과 서북쪽 지역 국수 산, 별립산 및 봉천산 3개 산지를 대상으로 총 93과 280속 392종 4아종 53변종 6품종 총 455분류군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였다. 이후 마니산의 관속식물상 연구에서 107과 306속 456종 7아종 43변종 1품종 2교잡종 총 508분류군과 붉노랑상사화와 왜박주가리 등의 적색목록 및 애기수영 등 의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을 보고하였다(Kim and Park, 2018).

    본 연구 대상지의 동쪽에 위치한 혈구산의 선행연구도 진행되었다. Park and Kim (2017)은 2105년 3월부터 10월 까지 조사하여, 99과 276속 383종 7아종 47변종 3품종 총 440분류군과 털둥근이질풀과 금붓꽃 등의 주목할만한 식물 을 파악하였다. 한편 혈구산과 능선이 이어진 고려산의 관 속식물상의 연구에서 112과 371속 568종 10아종 45변종 2품종 4교잡종 총 629분류군을 파악하였고(Kim and Park, 2020), 인천시 관속식물 1,065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7)의 59.1%이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접경지역은 백두대간과 도서지역과 함께 국가 3대 핵심 생태축 중 동서간의 핵심 생태축으로 포함된 지역으로 자 연·생태적이나 역사·문화적으로 가치있는 공간으로 인식되 고 있다(Son et al., 2016). 하지만 접경지역 동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해발고도가 낮은 서부 DMZ지역은 미조사된 산지가 다수가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 대상지인 퇴모·혈구 산도 혈구산에서 일부 조사가 진행되었지만, 고려산과 경계 인 고비고개를 기점으로 퇴모산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으 로 조사가 진행되지 못한 실정이다. 그리고 고려 시대 무역 의 중심 벽란도와 가까운 강화도의 지리적 입지는 동아시아 는 물론이고, 북한의 개성시 등 그리고 DMZ 이남 지역을 연결하는 완충지역 기능을 한다. 이러한 강화도의 중앙에 위치한 퇴모·혈구산은 식물 분포에 있어 외부의 영향을 다 양하게 받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퇴모·혈구산의 식물자원조사를 수행하는 것은 서부 DMZ 식물분포 변화 양상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조사 자체로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더불어 서부지역의 해양성기후의 영향으로 상 록활엽식물 분포패턴을 파악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 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강화도 및 주변 산림의 귀화식물 의 분포양상을 파악하여, 귀화식물의 대규모 확산을 선제적 으로 대비함으로써 강화도의 특기할만한 식물 등의 생태적 인 가치를 제고 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다된다. 끝으로 1997 년 이후 강화대교 및 초지대교의 준공 등으로 강화도 및 인근 지역에 확산된 귀화식물 현황을 파악하여 퇴모·혈구산 을 중심으로 강화도 전체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을 선제적으 로 관리방안을 도출해 보고자한다. 특히, 2012년 인천광역 시 강화군 동막해변에서 최초로 영국갯끈풀(Spartina anglica C.E. Hubb.)이 발견되었는데(Kim et al., 2015), 이 종은 갯벌을 단일종으로 초지화 시켜서 염습지의 생태적 기능을 상실시키는 침입성이 강한 식물로, 현재 생태계교란 식물로 지정되어있다(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1). 이러한 섬지역은 자생지의 면적이 극도 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종이나 각종 환경인자 등의 변화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Kim et al., 2017). 따라서 새로운 외래식물의 유입 은 자생지에 대한 위협이 뒤따를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귀화식 물 등의 특성에 맞는 관리방안 도출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연구방법

    1. 재료 및 방법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퇴모·혈구산의 관속식물 현황을 파 악하기 위해 2019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Table 1; Figure 1). 현지 조사는 아르미월드, 신선저수지,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고비고개 및 퇴모·혈구산 정상 등을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현지 조사에서 동정이 까다로운 식물들은 동정을 위해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을 채집하여 증거표본을 수집하였다. 식물 동정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2011;2016;2021), Lee (1996), Lee and Yim (2002), Lee (2003a, 2003b), Lee (2006) 등의 문헌을 활용하였으며, 채집 한 식물표본은 표본목록을 작성하고, 국립수목원 DMZ 자생 식물원 표본실에 보관하였다. 식물목록은 증거표본과 디지 털 사진 등 동정된 식물만을 대상으로 작성하였으며, 분류군 의 배열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에 따라 작성 하였다. 학명 및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등 최신 게재된 연구문헌을 참고하였으며, 각 과내의 속 이하 계급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다.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Amarsanaa et al. (2020)에 따라 작성하였고, 한국의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한반도 특산식물은 Choung et al. (2017)과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귀화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은 침입외래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Kang et al. (2020), 생태계교 란 식물은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1) 에 따라 작성하였다. 그리고 귀화율은 귀화식물의 종수 / 출현식물의 총 종수 × 100 비율로 계산되었고, 도시화지수는 조사지역 내 출현한 귀화식물 식물종수 / 한반도에 유입된 귀화식 식물의 수 × 100으로 산출되었다.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 현황

    1) 관속식물상

    퇴모·혈구산 내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총 101과 321속 517종 13아종 38변종 5품종 573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Table 2). 양치식물은 10과 12속 17종 1변종 18분류군 (3.1%), 나자식물은 3과 4속 8종 8분류군(1.4%),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77과 242속 373종 12아종 29변종 4품종 418분류군(73.0%), 단자엽식물은 11과 63속 119종 1아종 8변종 1품종 129분류군(22.5%)이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나 라 관속식물 총 4,641분류군의 약 12.34%에 해당한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확인된 관속식물상에서 과 (family)별로 분포하는 현황을 살펴보면, 국화과(Asteraceae) 79분류군(13.8%), 벼과(Poaceae) 55분류군(9.6%), 콩과 (Fabaceae) 30분류군(5.2%), 장미과(Rosaceae) 28분류군 (4.9%), 백합과(Liliaceae) 27분류군(4.7%), 사초과(Cyperaceae) 23분류군(4.0%), 꿀풀과(Lamiaceae) 19분류군(3.3%) 및 마 디풀과(Polygonaceae) 18분류군(3.1%) 순으로 분포하였다.

    퇴모·혈구산의 대표 임상은 신갈나무 등 참나무류 군락 과 소나무류가 서로 우점하는 혼효림 군락이 분포하고 있었 고, 이외에 대상지 내 우점하는 주요 수목은 백합나무, 곰솔, 밤나무, 일본잎갈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2) 한반도 북방계식물

    한반도 내 북방계식물은 북한, 러시아 및 중국 북부지역 등 기온이 낮은 지역에 생육하며, 한반도의 중부 이상 지역 인 북한과 인접한 접경지역에서만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이다(Amarsana et al., 2020). 북방계식물은 616분류군 으로 목록이 작성되었고, 이러한 식물들은 기후변화에 취약 하고 특히, 지속적인 기온이 상승이 일어나거나, 남획 등 인위적인 위협이 노출되면 생육에 위협을 받아 절멸에 이를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장기적인 보전 대책 및 관리방안이 절실하다.

    퇴모·혈구산에서 확인된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토끼고사 리[Gymnocarpium dryopteris (L.) Newman], 청나래고사리 [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 나래회나무[Euonymus macropterus Rupr.], 솜방망이[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찰피나무[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등 총 68종으로 전체 한반도 북방계식물 616종의 11.02%가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대상지 내 출현한 관속식물의 11.96%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Appendix 1).

    3) 특산식물

    퇴모·혈구산에서 조사된 관속식물 중 한국 특산식물은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Nakai],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늦둥굴레[Polygonatum infundiflorum Y.S.Kim, B.U.Oh & C.G.Jang],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서울제비꽃[Viola seoulensis Nakai] 등 10종 으로 한반도 특산식물(Chung et al. 2017) 360분류군의 약 3.05%가 출현하였다(Table 3). 개나리는 사묘 등에서 관상 용으로 식재한 것으로 판단되고, 할미밀망은 고비고개와 혈 구산 정상 방향에서 발견되었다. 백운산원추리, 병꽃나무, 서울제비꽃은 퇴모·혈구산 등산로 곳곳에서 확인되었다. 늦 둥굴레와 붉노랑상사화는 신선저수지에서 퇴모산 정상 방 향에서 확인되었고, 은사시나무와 오동나무는 퇴모·혈구산 의 임연부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2. IUCN 지정 희귀식물

    퇴모·혈구산에서 출현한 IUCN 지정 희귀식물은 우선 산 림청 국립수목원에서 평가한 자료에 따르면, 총 9종으로 IUCN 기준 위기종(Endangered: EN) 등급인 께묵[Hololeion maximowiczii Kitam.], 취약종(Vulnerable: VU) 등급인 땅 나리[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산들깨[Mosla japonica (Benth.) Maxim.] 및 버들금불초[Inula salicina var. asiatica Kitam.], 약관심종(Least Concern: LC) 등급인 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Blume]과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 자료부족종(Data Deficient, DD) 등급인 토끼고사리[Gymnocarpium dryopteris (L.) Newman] 및 늦 둥굴레[Polygonatum infundiflorum Y.S.Kim, B.U.Oh & C.G.Jang]가 확인되었다(Table 4). 또한 환경부 생물자원관 에서 평가한 자료는 준위협종(Near Threatened, NT)은 깨묵 1분류군,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LC)은 땅나리와 모새 달 2분류군, 미평가종(Not Evaluated, NE)은 토끼고사리와 늦둥굴레 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희귀식물 중 께묵은 신선저수지 북쪽에서 3-4 개체가 확 인되었다. 하지만 저수지 주변 낚시터와 숙박시설이 자리잡 아서 관광객의 증가로 인위적인 위협이 진행될 것으로 판단 된다. 땅나리는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옆 공동묘지에서 퇴 모산 정상 방향에서 2-3 개체가 확인되었다. 산들깨와 버들 금불초는 퇴모산과 혈구산 능선 사이에서 출현하였고, 모새 달은 신산저수지, 두루미천남성과 토끼고사리는 고비고개 에서 혈구산 정상, 쥐방울덩굴은 안양대학교에서 퇴모산 정 상 방향 및 늦둥굴레는 신선저수지에서 퇴모산 방향에서 확인되었다.

    1)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자연환경 평가를 위한 식물군으로 국내 주요 종의 보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등급화하여 어느 특정한 지역공간 내에서 이들의 분포 현황을 통해 자연환경 우수성의 정도 및 비교 우·열세를 파악하는 데 이용하고자 선정한 관속식물종을 의 미한다(Kim, 2000;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퇴모·혈구산에서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69류군 으로 Ⅳ등급인 등[Wisteria floribunda (Willd.) DC]., 왕김의 털[Festuca rubra L.] 및 뚝사초[Carex appendiculata (Trautv. & C.A.Mey.) Kük.] 3분류군이 확인되었고, Ⅲ등급 은 바위손[Selaginella tamariscina (P.Beauv.) Spring], 개발달 나무[Betula chinensis Maxim.], 종덩굴[Clematis fusca Turcz. var. violacea Maxim.], 병아리꽃나무[Rhodotypos scandens (Thunb.) Makino] 등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Ⅱ 등급은 갯장구채[Silene aprica Turcz. var. oldhamiana (Miq.) C.Y.Wu], 퉁퉁마디[Salicornia europaea L.], 산꿩의 밥[Luzula multiflora (Ehrh.) Lej.] 등 17분류군이 확인되었 고,Ⅰ등급은 야산고비[Onoclea interrupta (Maxim.) Ching & P.C.Chiu],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Maxim.], 장구 밥나무[Grewia biloba G.Don], 수염개밀[Hystrix longearistata (Hack.) Honda] 등 35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5).

    2) 귀화식물 및 침입외래식물

    퇴모·혈구산의 귀화식물 및 침입외래식물은 각각 63분류 군과 6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귀화식물 (Naturalized Plant)은 침입외래식물 중 자연생태계에 적응 하여 지속적으로 개체군을 형성하고, 10년 이상 생육, 번식 및 확산을 통해 자생종과 구분 없이 융화되어 자라는 종이 고,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은 국내에 의도 또 는 비의도적으로 유입되어 야생화된 외래식물이다(Korean National Arboretum, 2019). 침입외래식물과 귀화식물은 주로 고비고개,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주변, 신선저수지에 서 퇴모산으로 접근하는 임도, 퇴모산과 혈구산 능선 등에 서 관찰되었다. 특히 고비고개 와 퇴모·혈구산 정상부는 좁 은 면적의 나지 및 초지임에도 불구하고 귀화식물 및 침입 외래식물이 20분류군 이상 분포하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귀화율(Naturalized Index)은 10.99%, 도시화지수(Urbanized Index)는 17.95%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산림의 귀화율은 4% 이상일 경우 교란이 진행되는 것으로 평가되는데, 본 연구 대상지인 퇴모·혈구산의 입지별 귀화율은 논경작지나 도심하천 정도의 교란으로 상당히 심각한 상태로 보인다 (Kim et al., 200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Kang et al. (2020) 은 산림 내 침입외래식물의 분포지역과 확산을 고려하여, 광분포종(Widespread Species: WS), 심각한 확산종(Serious Spread Species: SS), 확산 위험종(Spread Risk Species: SR), 확산 우려종(Spread Concern Species: SC), 확산 진행 종(Continue Spreading Species: CS) 등 320분류군의 침입 외래식물에 대해 5개 등급으로 나누어 위협을 구분하였다 (Table 6).

    퇴모·혈구산에 분포하는 침입외래식물 중에서 광분포종 은 망초[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붉은서나물 [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 등 18분류군, 심각한 확산종은 지느러미엉겅퀴[Carduus crispus L.], 애 기땅빈대[Euphorbia maculata L.] 등 14분류군, 확산 위험 종은 털여뀌[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큰조아재비 [Phleum pratense L.] 등 9분류군, 확산 우려종은 울산도깨 비바늘[Bidens pilosa L.], 주걱개망초[Erigeron strigosus Muhl. ex Willd.] 등 11분류군, 확산 진행종은 털독말풀 [Datura innoxia Mill.], 애기나팔꽃[Ipomoea lacunosa L.] 등 8분류군으로 총 61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어 확산을 막기 위한 제거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Figure 2)

    3. 주요식물 보전방안 및 선행 연구 비교

    1) 주요식물 보전방안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6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나, 북방계 식물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 및 목록 재정리 등 추가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산식물은 서울제비 꽃 등 10분류군으로 대부분의 희귀식물이 등산로와 가까운 곳에서 출현하여, 현지 내 관리가 조속히 진행되어야 한다. 한편 한반도 특산식물이자 희귀식물인 늦둥굴레는 강화도 전역에 퍼져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늦둥굴레 자생지 조사가 강화도 전역을 대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UCN 지정 희귀식물은 께묵 등 9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우선 께묵의 신선저수지 자생지 인근에 낚시터가 들어서 관광객의 증가로 빠른 시일내로 자생지에서 절멸할 것으로 판단되어, 현지 외 복원을 추진한 후에 자생지 복원을 진행 되어야 하고, 땅나리의 경우도 공동묘지 이외에도 사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펜스 설치 등을 추진해야 할 것 이다. 산들깨와 버들금불초는 퇴모산과 혈구산 능선 사이를 친환경 데크 등으로 이동 동선을 제한하고 안내판으로 경식 심을 고취시키는 방법으로 현지 내 보전을 추진해야 할 것 이다. 하지만 선행연구에 파악된 금붓꽃 등이 출현하지 않 아 추가 정밀조사가 요구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69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들 중에서 토끼고사리, 일엽초, 참 갈매나무, 소엽맥문동 등은 기존의 분포역과 다른 패턴을 보였다. 토끼고사리는 충북 이북의 산지에서 주로 자라지 만, 드물게 남부지역에서 소집단을 이루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종으로 고비고개에서 혈구산 정상 방향에서 불연 속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갈매나무는 주로 중 부이북의 아고산대 자라며, 특히 북한지역에 널리 퍼져있 다. 하지만 석모도자연휴양림에서 가까운 전석지 주변에 소 집단을 이루어 자라고 있었다. 일엽초와 소엽맥문동은 남부 지방에서 주로 자라지만, 퇴모산 능선 바위 뒤와 퇴모산 정 상에서 아르미월드 방향에서 각각 조사되었다. 추가 조사를 통하여 분포패턴에 대한 재정립을 요구되며, 기후온난화에 취약한 북방계식물 및 북한식물 현황 파악이 보다 더 면멸 히 이루어져야 하고, 식물구계학적 Ⅲ등급을 기준으로 지속 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장기적인 생물다양성 증진 및 생태 보전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2) 선행연구 비교

    2014년 혈구·퇴모산(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1)과 Park and Kim (2017)의 2015년 혈구산 선행연구를 본 조사에 서 확인된 연구결과를 비교하였다. 두 선행연구의 목록을 합하여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1)에 적용하여 목록을 작성하였다. 두 선행연구를 종합한 식물상 은 101과 320속 472종 11아종 41변종 1품종 총 528분류군으 로 확인되었다. 북방계식물은 청나래고사리, 애괭이사초 등 6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키버들, 할미밀망 등 1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털둥근이질풀, 병조희풀 등이 관 찰되지 않고 붉노랑상사화 등이 새롭게 출현한 것으로 나타 났다. 희귀식물은 버들금불초(VU), 멱쇠채(VU), 금붓꽃 (VU) 등 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나, 멱쇠채와 금붓꽃은이 이 번 조사에서는 출현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어 추가 조사를 통해 소재파악을 한 후에 보전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Ⅳ등급 가는범꼬리와 왜미나리아 재비 2분류군, Ⅲ등급 개박달나무 등 13분류군, Ⅱ등급 꿩고 비 등 13분류군, Ⅰ등급 야산고비 등 30분류군 총 5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퇴모·혈구산에서 파악된 귀화식물은 31분류군에서 63분 류군으로 32분류군이 추가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혈구산 이외에 퇴모산까지 전방적으로 조사한 결과와 조사 횟수의 증가 등으로 귀화식물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귀 화율은 7.0%에서 11.0%로 4.0%가 증가하였고, 도시화지 수는 8.8%에서 17.9%로 9.1%가 증가하였다(Table 7). 퇴 모·혈구산 내 귀화식물의 분포는 전체적으로 급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사된 귀화식물 중에서 환경부 지 정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이 6분류군 확인되었는데, 본 조사 에서 가시박,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 4분류군이 새롭게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퇴모·혈구산의 임연부에 확산한 교란 야기용 식물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확산하기 전에 조기에 물리적인 제거 등의 조치가 빠르게 진행되어야 한다.

    3) 대상지 주변 지역 귀화식물의 분포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소재한 퇴모·혈구산의 귀화식물 현 황을 파악하기 강화대교 및 초지대교가 개통된 1997년 이후 의 퇴모·혈구산 주변에서 보고 선행연구의 자료를 참고하였 고, 해당된 분류군들 중에서 국명 등은 국가표준식물목록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을 기준으로 목록을 작성 하였다. 강화군 및 주변의 귀화식물상은 30과 99속 141종 3아종 1변종 1품종 총 14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Appendix 2). 이것은 우리나라 귀화식물 351분류군 중에서 약 41.6%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강화도 일대에 새로 유입된 것으로 확인된 귀화식물은 유럽전호[Anthricus caucalis M. Bieb.]와 큰이삭풀[Bromus catharticus Vahl.] 2분류군이 었다. 강화군 본섬 내에 위치한 산지 중에서 선행연구가 진행 된 9개의 산지와 강화도 주변의 석모도, 교동도, 김포 문수산, 영종도 및 용유도 4곳 총 13곳과 본 연구에서 확인된 귀화식 물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였다(Fig. 1). 우선 강화도 내 위치한 고려산의 귀화식물 분포는 개망초 등 75분류군으로 나타났 다(Jeon, 1998;Kim, 2012, Kim and Park, 2020). 국수산은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등 20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Kim et al., 2016), 길상산은 지느러미엉겅퀴 및 털빕새귀리 등 64분 류군으로 파악되었다(Kim et al., 2013). 이외에 강화도 주요 산지의 귀화식물상은 덕정산 46분류군(Kim et al., 2018), 별립산 49분류군(Kim et al., 2015;Kim et al., 2016), 봉천산 25분류군(Kim et al., 2016;Park, 2016), 진강산 44분류군 (Kim et al., 2016), 마니산 64분류군(Kim et al.,2018;Lee and Kim, 2003) 및 혈구산 31분류군(Park and Kim, 2017)으 로 각각 파악되었다. 강화도 서쪽에 위치한 석모도와 교동도 는 28분류군과 25분류군이 각각 확인되었다(Lee and Kim, 2003). 강화도 동쪽에 위치한 김포 문수산은 80분류군(Kim et al., 2010;Oh et al., 2017;Yun et al., 2021), 남쪽에 위치한 영종도 및 용유도는 92분류군(Lee et al., 2012)의 귀화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강화도 및 주변 지역 침입외래식물 분포

    강화도, 석모도, 교동도, 김포시 문수산, 영종도 등 총 13 곳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146종에 대해 출현 빈도를 파악해 보았다(Appendix 2). 개망초, 돼지풀 그리고 망초 3분류군 은 13곳 모두에서 출현하였다. 토끼풀은 국수산을 제외한 나머지 12곳에서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달맞이꽃, 미 국쑥부쟁이, 붉은서나물 등 9분류군은 11곳에서 분포를 확 인하였다. 10곳에서 분포를 확인한 7분류군은 개소시랑개 비, 개쑥갓, 미국가막사리 등이었다. 돼지풀 등 20분류군이 강화도 및 주변에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생태계교란야생식물 16분류군 중에서 가시상추, 애기 수영 등 8분류군이 해당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지인 퇴모·혈구산의 경우 가시박, 단풍잎돼지 풀 등 6분류군의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의 분포가 확인되어 관리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4. 관리방안

    퇴모·혈구산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상을 비교한 결과, 귀 화식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고비 고개를 중심으로 한 주변 숲길, 혈구산과 퇴모산 능선길 주 변, 신선저수지 주변, 안양대학교 주변, 아르미월드 주변 등 에서 다수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강화도의 중앙 에 위치한 퇴모·혈구산의 지리적인 특성과 산의 정상을 기 준으로 북쪽과 남쪽에 도로와 인접하여, 도로 주변지역에서 산지의 임연부로 쉽게 유입되고 확산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퇴모·혈구산 내 특기할만한 식물 등 자생식물의 현지내 보전(in situ conservation) 및 관리를 위해 퇴모산과 혈구산 정상으로 향하는 7코스를 번갈아 가면서 휴식년제 를 실시하고, 등산객의 이용이 잦아 훼손이 심한 지역은 5년 이상 등산로를 폐쇄해서 등산객의 접근을 통제해야 할 것이다.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의 자생지는 추가적인 조사를 거쳐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OECMs,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등으로 지정 하여 관광객들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안내판과 울타리 등을 설치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자생지를 보 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퇴모·혈구산 내 개발사업을 최대한 지양하고 주기적으로 침입 외래식물의 물리적인 제거사업 등을 실시하여 귀화식물의 비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Figure

    KJEE-36-1-1_F1.gif

    The investigated area in this study.

    KJEE-36-1-1_F2.gif

    The number of invasive alien plants by invasion degree.

    Table

    The list of investigated routes in this study

    The flora of Teomo·Hyeolgu (Mt.) in Ganghwa-gun, Incheon, Korea

    List of vascular plants on Teomo·Hyeolgu (Mt) in Ganahwa-gun, Incheon, Korea

    The list of endemic plants on Teomo·Hyeolgu (Mt.) in Ganghwa-gun, Incheon, Korea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KNA and NIBR on Teomo·Hyeolgu (Mt.) in Ganghwa-gun, Incheon, Korea

    The list of the I~IV degree taxa of Korean floristic target species on Teomo·Hyeolgu (Mt.)

    Grade of spread for invasive alien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The comparison of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between 2017 and 2021

    List of naturalized plants on Teomo·Hyeolgu (Mt) in Ganghwa-gun, Incheon, Korea

    Reference

    1. Amarsanaa, G. , S.Y. Jung, W.B. Cho, E.K. Han, S. So and J.H. Lee (2020) Definition and species list of northern lineag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Herb. Med. Inf. 8(2): 183-204.
    2. Cho, W. (1998)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mountain type urban green space in Inchon, Korea: A case study of Kangwhado area. Korean J. Environ. Ecol. 12(2): 119-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 G.Y. ,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 264-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1) Gyodong-do History and Culture. https://folkency.nfm.go.kr. Accessed on 10 October, 2021.
    5. Ganghwa County (2021) Gyodong-do General Information. https://www.ganghwa.go.kr/. Accessed on 18 October, 2021.
    6. Jeon, Y.W. (1998) A Study on the Flora of Mt. Koryo.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3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ng, E.S. , S.R. Lee, S.H. Oh, D.K. Kim, S.Y.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2): 89-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I. Selection of Plant Taxa. KOSEB. 18(1): 163-1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E.K. , J.H. Kil, Y.K. Joo and Y.S. Jung (2015) Distribution an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Alien Weed Spartina anglica in Korea. Weed Turf. Sci. 4(1): 65-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H.H. , D.B. Kim, C.H. Jeon, C.S. Kim and W.S. Kong (2017) Island-Bi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namdo Islands. J. Environ. Impact Assess. 26(4): 273-2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H. and S.Y. Kim (2013) The Vascular Plants in Mt. Gilsangsan (Ganghwa‐Isl.),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7(3): 280-3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H. and S.Y. Park (2018) Floristic Study of Manisan (Ganghwa-gun) in Korea. J. Korean Env. Res. Tech. 21(6): 27-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H. and S.Y. Park (2020) Floristic Study of Mt. Goryeo (Ganghwa-gun)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34(5): 372-3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J.H. , G.H. Nam, C.Y. Yoon and B.Y. Lee (2010) The vascular plants in Mt. Munsu (Gyeonggi-do). JESI 19(4): 459-481. (in Korean)
    15. Kim, J.H. , S.A. Park and C.Y. Yoon (2016) Floristic Study of Jingangsan (Ganghwa-gun), Korea. Korean J. Plant Res. 29(2): 189-2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J.H. , S.A. Park and C.Y. Yoon (2018) Floristic Study of Deokjeongsan Mt. (Ganghwa-gun), Korea. Korean J. Plant Res. 31(2): 149-1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J.H. , S.Y. Kim, C.Y. Yoon, S.A. Park and Y.H. Kim (2015) Floristic Study of Mt. Byeollipsan (Ganghwa-gun), Korea. Korean J. Plant Res. 28(4): 441-4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J.M. , Y.J. Yim and E.S. Jeon (2000) Invasive Alien Plants in Korea. Science Books, Seoul, 284pp. (in Korean)
    19. Kim, N.A. (2012) A Study on vascular plants of Mt. Gorye.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4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S.J. , H.T. Shin, T.I. Heo, J.W. Yoon, Y.H. Kwon and J.B. An (2016) The Flora of Three Mountains in Ganghwa Island, Korea. Korean J. Plant Res. 29(5): 604-6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2021) Open MET Data Portal. https://data.kma.go.kr/. Accessed on 18 October, 2021.
    22.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1)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https://www.law.go.kr. Accessed on 18 October, 2021.
    23. Korea National Arboretum(KNA) (2008a)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547pp. (in Korean)
    24. Korea National Arboretum(KNA) (2008b)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296pp. (in Korean)
    25. Korea National Arboretum(KNA)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600pp. (in Korean)
    26. Korea National Arboretum(KNA) (2016) Illustrated Cyperacea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609pp. (in Korean)
    27. Korea National Arboretum(KNA) (2017)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265pp. (in Korean)
    28. Korea National Arboretum(KNA) (2019) Checklist of Alien Plants in Korea. Dooroo Happy Co. Ltd., Seoul, Korea, 225pp. (in Korean)
    29. Korea National Arboretum(KNA)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http://www.nature.go.kr. Accessed on 18 October, 2021.
    30. Lee, H.J. , S.H. Park, S.G. Ha, H.S. Hwang, K.S. Chang and Y.M. Lee (2012)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Youngjongdo and Yongyudo. Kor. J. Env. Eco. 26(6): 839-8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Lee, J.H. and B.H. Choi (2008) Distribution of broad-Leaved evergreen plants on islands of Incheon, middle part of Yellow Sea. Korean J. Pl. Taxon 38(3): 315-3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Lee, S.H. , I.H. Heo, K.M. Lee and W.T. Kwon (2005) Classification of Local Climatic Regions in Korea. APJAS 41(6).
    33.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Ⅰ. Hyangmunsa, Seoul, Korea, 916pp. (in Korean)
    34.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Ⅱ. Hyangmunsa, Seoul, Korea, 912pp. (in Korean)
    35. Lee, T.S. and S.H. Kim (2003) Study of flora on Ganghwa-do, Gyodong-do and Seokmo-do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cheon Research Institute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ther Books 2: 451-488. (in Korean)
    36.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412pp. (in Korean)
    37.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624pp. (in Korean)
    38.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1270pp. (in Korean)
    39.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lin, Germany, 666pp.
    4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391pp. (in Korean)
    41.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NIE) (2017) Data Book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466pp. (in Korean)
    42.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NIE)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728pp. (in Korean)
    43.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NIE) (2021) Ecological Information Bank. https://www.nie-ecobank.kr. Accessed on 28 December, 2021.
    44. Oh, H. , D. Kim and J. You (2017)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annam-Jeongmaek-Focused on Mt. Munsu, Mt. Gyeyang, Mt. Suri and Mt. Gwanggyo-. J. Environ. Impact Assess. 26(2): 140-1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5. Park, S.A. and J.H. Kim (2017) Vascular plants diversity of Hyeolgusan Mt. (Ganghwado), Korea.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11(1): 22-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6. Park, S.O. (2016) The vascular plants in Bongchonsan (Mt.), Ganghwado Island. Master's thesis, Korean National Open University, 3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7. Shin, H.S. , J.K. Shin, H.J. Kim, S.H. Han, W.H. Lee and C.W. Yun (2014)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ructure for forest vegetation on Manisan, Ganghwado. KJAFM 16(1): 1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8. Son, H.J. , Y.S. Kim, C.H. Ahn and W.G. Park (2016) Analysis of the flora and vegetation community in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s (Mt. Daeseng, Juparyeong), near the DMZ. J. Korean For. Soc. 105(1): 19-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9. Woo, K.B. , C.S. Chang, K.S. Chang, J.K. Eo and E.H. Lee (2007) Flora of Kanghwa area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Bull. Of Seoul Nat'I Univ. Arboretum 26: 47-85. (in Korean)
    50. Yun, H.G. , A.Y. Lee, J.B. An, T.Y. Hwang and J.W. Lee (2021) A Study on the Vascular Flora and its Management Plan at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of Mt. Munsu (Gimpo). Korean J. Plant Res. 34(4): 311-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