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6 No.1 pp.30-55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22.36.1.30

Vascular Plant Diversity of Sambong and Jaung Mountains in Paju City, Border Area of the Korean DMZ1a

Jin-Heon Song2, Kyung-Ryul Byun3, Hee-Young Gil4*
2DMZ Botanic Garden, Korean National Arboretum, Yanggu 24564, Korea (sjh3421@korea.kr)
3DMZ Botanic Garden, Korean National Arboretum, Yanggu 24564, Korea (bkr739@korea.kr)
4DMZ Botanic Garden, Korean National Arboretum, Yanggu 24564, Korea (warmishe@korea.kr)

a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의 “KNA1-2-34, 18-5” 프로젝트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습니다.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warmishe@korea.kr
30/09/2021 02/11/2021 05/01/2022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flora survey in the areas of Mt. Sambong (282m) and Mt. Jaung (263m), located in Paju-si, Gyeonggi-do. A total of 434 taxa, including 6 forms, 34 varieties, 11 subspecies, 383 species, 271 genera, and 94 families, were surveyed in the two mountain areas. The ferns were identified as 24 taxa from 10 families, the gymnosperms as 8 taxa from 2 families, the dicotyledonous plants as 322 taxa from 73 families, and the monocotyledonous plants as 80 taxa from 9 families. Five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Cimicifuga heracleifolia, Forsythia koreana, Paulownia coreana, and Hemerocallis hakuunensi, were identified as the Korean endemic plants. Eight taxa, including Cimicifuga heracleifolia, Tylophora floribunda, and Iris minutiaurea as Vulnerable species, andAristolochia contorta, Viola diamantiaca, Lithospermum erythrorhizon, Lilium distichum, andArisaema heterophyllumas Least Concern species, were designated a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40 taxa, including Rumex crispus, Phytolacca americana, Cerastium glomeratum, Silene armeria, Chenopodium album, Chenopodium ficifolium, Magnolia obovata, Potentilla supina, Amorpha fruticosa, Medicago sativa, Robinia pseudoacacia, Trifolium repens, Euphorbia supina, Hibiscus trionum, and Oenothera biennisaccounting for 9.2 percent of the 434 taxa of the surveyed plants. As this area is a mountainous area close to settlement facilities, it is believed that ecological preservation measures and measures of specialized plants should be implemented.



DMZ접경지역에 위치한 파주시 삼봉산 · 자웅산 일대의 관속식물 다양성1a

송 진헌2, 변 경열3, 길 희영4*
2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전문연구원
3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전문위원
4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임업연구사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삼봉산 (282m), 자웅산 (263m) 지역을 중심으로 관속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 다. 2개 산지 식물상 조사결과, 94과 271속 383종 11아종 34변종 6품종으로 총 434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10과 24분류군, 나자식물이 2과 8분류군, 쌍자엽식물이 73과 322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8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은 특산식물 키버들, 세잎승마, 개나리, 오동나무, 백운산원추리 5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취약종(VU)은 세잎승마, 왜박주가리, 금붓꽃이 확인되었고, 약관심종(LC)은 쥐방울덩굴, 금강제비꽃, 두루미천남성, 지치, 말나리가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 나물, 끈끈이대나물, 흰명아주, 좀명아주, 일본목련, 개소시랑개비, 족제비싸리, 자주개자리, 아까시나무, 토끼풀, 애기땅 빈대, 수박풀, 달맞이꽃 등 총 40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조사식물 434분류군의 9.2%를 차지하였다. 이 지역은 취락시설 과 가까운 산지들로서 특기할만한 식물들의 생태적인 보전·방안 및 대책수립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서 론

    본 조사대상지는 DMZ 접경지역으로 한반도 생물다양성 에 있어서 중요한 지역이며, 반세기 가까이 보전되어 오는 동서생태축이고, 온대중부림과 온대북부림이 만나는 곳이 다. 남방계식물, 북방계식물이 공존하며, 동서 끝자락에는 바다를 끼고 있어 해안생태계부터 하천 배후습지, 농경습 지, 산간계곡습지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살아있는 생 태계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천혜의 자연환경으로 알려지 며, 보전되고 있지만, 남북의 상황과 자연환경에 의해 DMZ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군부대 진지구축, 군사도로 및 시 야확보를 위한 인위적인 산불, 제초제작업 등에 DMZ가 몸 살을 앓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의 자연환경적 변화 및 파괴, 침입외래종의 증가로 인해 희귀, 특산식물의 개체 수 감소 등 DMZ의 생물다양성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 (Cho, 2019).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DMZ 접경지역에 대한 식물조사를 실시하여 정보를 바탕으로 앞으로 DMZ 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대비, DMZ의 식물을 모 르는 연구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DMZ 연구가 활발하 게 진행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DMZ 접경지역은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에 의거하여 군 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비무장지대 또는 해상의 북방 한계선과 시·군, 민간인통제선 이남 지역, 그 외 비무장지대 내 집단취락지역을 접경지역으로 보고 있다. 접경지역의 무 분별한 개발을 방지하고 자연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기 위하여 기초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자연환경 보전대책을 수립해야하는 가치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Korea Law Center, 2021).

    조사대상지인 삼봉산(282m), 자웅산(263m)이 포함된 파 주시는 좌표상 동경 126° 53'∼126° 54', 북위 37° 50'∼37° 51'에 위치하며, 최서단 DMZ에 접해 있는 접경지역으로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 김포시, 남쪽으로 고양시와 인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양주시가 있다. 대부분 낮은 산지인 구릉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파주시의 면적은 672.78㎢로 경기도 전체 면적의 약 6.6%에 해당한다. 행정구 역은 4개 읍, 9개면, 7개 행정동으로 되어 있으며, 동쪽에는 감악산(675m)·노고산(401m)·금병산(293m)·팔일봉 (464m)·앵무봉(622m)이 양주시와, 남쪽에는 황룡산(135m)· 명봉산(248m) 등이 고양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중앙에는 파평산(496m)·봉서산(216m)·월롱산(229m)·박달 산(368m) 등이 남쪽으로 낮게 펼쳐져 있다(Paju-si, 2021).

    파주시 일대의 30년간(1991∼2020) 기상 데이터 자료는 파주시 기상관측 데이터에 따르면 평균기온 11.0℃, 평균 최고기온 17.3℃, 평균 최저기온 5.6℃, 연평균강수량 1295.8㎜, 평균상대습도 71.6%, 평균일조시간 2288.3hr이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

    파주시에 위치한 산지 중 지금까지 식물상 조사가 이루어 지지 않은 삼봉산과 자웅산을 조사대상지로 선택하였다. 삼 봉산과 자웅산의 식물상 조사를 통해 최서단 DMZ 접경지 역인 경기도 파주 지역의 식물다양성을 이해하고, 침입외래 식물, 생태계 교란식물 관리뿐만 아니라 희귀식물, 특산식 물 등의 보전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삼봉산과 자웅산의 관속식물 분포 조사는 2020년 5월부 터 2020년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실시하였다(Table 1, Figure 1).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는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각 산지의 계곡부, 능선부, 사면부 등을 다양하게 조사 경로를 선정하였고, 산지별로 여러 팀으로 나눠서 조사를 진행하였다. 식물에 대한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중심으로 채집하였다. 조사과정 중 조사 즉시 동정이 가능한 분류군은 야장에 기록하거나 화상자료로 확 보하였다. 채집된 모든 식물표본에 대해서 채집 번호를 부 여하였고, 증거표본은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에 소장 중이다. 2개 산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의 목록은 Engler의 분류 체계(Melchior, 1964)를 따라 작성하였으며(Appendix 1), 과(Family) 내에서는 속명과 종명의 알파벳순으로 배열 하였고, 양치식물은 국립수목원의 국가표준식물목록(http:// www.nature.go,kr/kpni/;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에 준하여 정리하였다. 학명과 국명의 사용은 국가표 준식물목록(http://www.nature.go,kr/kpni/;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을 따랐으며, 작성된 관속식물목록을 바 탕으로 한반도특산식물목록(Chung et al., 2017), 희귀식물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외래식물목록은 Kang et al., (2020)에 따라 정리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상

    파주지역 삼봉산과 자웅산에 대한 식물상 조사 결과 두개 산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총 94과 271속 383종 11아종 34변종 6품종으로 총 43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삼봉산 은 84과 237속 305종 8아종 26변종 3품종 342분류군, 자웅산 은 82과 206속 260종 9아종 22변종 5품종 296분류군이 조사 되었다. 전체 조사 목록 중 양치식물(Pteridophyta)은 10과 13속 22종 2변종으로 24분류군, 나자식물(Gymnospermae) 은 2과 5속 8종으로 8분류군, 피자식물(Angiospermae)은 82과 253속 353종 11아종 32변종 6품종으로 40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주변에 위치한 다른 산지의 식물상 조사로는 Lee et al. (2016)의 DMZ 일원의 관속식물상Ⅰ- 민통선 이북 서부지 역(파주-연천) 관속식물을 조사한 결과 109과 330속 501종 8아종 48변종 1품종의 총 558분류군, Kim et al. (2016)은 DMZ 접경지역 인근 고령산·개명산 일대의 식물상을 조사 한 결과 91과 279속 391종 4아종 49변종 6품종 450분류군, Namgung et al. (2019)는 서부 DMZ 인근 접경지역의 파평 산(경기도) 일대의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1과 257속 361 종 9아종 36변종 4품종 410분류군, Kim et al. (2019)는 서부 민간인 통제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6과 305속 413종 4아종 41변종 6품종 464분류군으로 보고되었다.

    삼봉산과 자웅산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종다양성이 높은 과는 국화과(Asteraceae) 54분류군(12.7%), 벼과(Poaceae) 38분류군(8.6%), 장미과(Rosaceae) 26분류군(6.1%), 콩과 (Fabaceae) 20분류군(4.5%), 꿀풀과(Lamiaceae) 18분류군 (4.0%), 백합과(Liliaceae) 17분류군(4.0%), 마디풀과 (Polygonaceae) 13분류군(3.6%)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2). 한반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5,504분류군(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21)의 약 8.0%로 나타났 다. Namgung et al.(2019)의 자료에서 국화과 46분류군 (11.2%), 벼과 31분류군(7.5%), 장미과 27분류군(6.5%), 콩 과 18분류군(4.3%)으로 본 조사대상지와 차이가 나타나는 데 원인은 조사 당시의 상황이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건 맞지만, 세부적으로 나누었을 때 국화과 차이가 나타나 는 원인은 조사대상지가 인위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아 침 입외래식물의 많은 출현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삼봉산, 자웅산은 한반도 식물구계 중 중부아구에 속하며,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ume) 등 참나무류가 우점하 고 있었고,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소나 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개옻나무(Toxicodendron trichocarpum (Miq.) Kuntze) 등이 혼재되어있는 온대 중부형 식물상이다.

    조사결과 법원리 390-2구역에서 조사를 진행하다 보면 삼봉산 가기 전 암산이라는 산지가 이어져 있는데 잣나무, 소나무와 같은 상록 침엽수종이 참나무류보다 우점을 하고 있으며, 암산에서 능선을 따라 삼봉산 정상으로 오르면 점 차 침엽수림에서 굴참나무,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떡갈나무(Quercus dentata Thunb.), 상 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uth.) 등과 같은 활엽수 림으로 숲의 구성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밤나무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등과 같은 식재종이 등산로 초입부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과거에 경작지로 사용된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웅산은 대릉리 산 32 조사를 진행하면 삼봉산과 비슷한 식생이 정상 전에는 침엽 수림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정상으로 올라갈수록 활엽수림 이 분포하고 있었다. 자웅산은 삼봉산에 비해 골프장 등 여 러 개발이 이루어진 상태라 초입부는 물론 중간지대까지 침입외래식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개 산지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종은 좀나도히초미 (Polystichum braunii (Spenn.) Fée), 비늘고사리(Dryopteris lacera (Thunb.) Kuntze), 참개암나무(Corylus sieboldiana Blume),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 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 (Siebold & Zucc.) Harms var. trilobum (Miq.) Ohwi), 두릅나무 (Aralia elata (Miq.) Seem.), 향유(Elsholtzia ciliata (Thunb.) Hyl.), 올괴불나무(Lonicera praeflorens Batalin), 백당나무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Rehder) H.Hara) 등 203분류군으로 전체 440분류군에서 절반에 가까운 46%가 공통적으로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삼봉산, 자웅산에 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종 외에 나머지 종을 비교했을 때 삼봉산은 141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자웅산은 95분류군으 로 나타났다. 전체 440분류군과 비교했을 때 삼봉산은 32%, 자웅산은 21%로 나타났다.

    삼봉산의 면적은 2.6㎢이며, 자웅산의 전체 면적은 3.6㎢ 으로 나타나 단순히 면적만 놓고 비교했을 때는 자웅산이 종 수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자웅산의 종 수가 낮게 나온 원인은 삼봉산과 달리 숲가꾸기나 관리를 한 흔 적이 없었으며, 그로 인한 방치되어 있는 등산로, 무분별한 골프장 건설 개발로 인해 자웅산에서 식물이 생육할 수 있 는 환경의 조건이 제한적이라 종 수가 감소하게 된 원인으 로 판단된다.

    삼봉산은 군사도로로 인한 임도 개설로 자체만 진행했으 면 전체적인 분류군의 수는 증가를 했겠지만, 개설 후 목본 식재, 초본식재가 이루어지며 임도 개설한 부분에 빛이 투 과해 공간이 만들어지면서 새롭게 늘어날 수 있는 개체군의 수가 식재로 인해 오히려 줄어 들었다. 군에서 정비사업 하 다보니 임도 사면부 및 절토비탈면의 식물들을 물리적으로 제거를 한 것도 삼봉산의 전체적인 종 수 감소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조사대상지 주변에 위치한 파평산은 410분류군으로 나 타났다. 파평산에 비해 본 연구대상지가 30종 더 출현하였 지만 그에 비해 희귀식물은 8분류군으로 파평산의 15분류 군에 비해 적게 나타났으며, 특산식물은 6분류군으로 파평 산의 10분류군에 비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원인을 산지의 면적 차이로 파평산은 18.4㎢에 비해 삼봉산은 2.6㎢, 자웅산은 3.6㎢ 단순히 비교했을 때 차이 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산지 고도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파평산은 490m에 비해 약 200~230m의 고도를 차이를 보 였다. 단순하게 산지 비교를 해도 차이가 있지만 삼봉산의 경우 산지 주변에 취락지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 산 기슭에 부락이 많아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는 구간이 많았 다. 반면 파평산은 군영향으로 출입 자체도 원활하지 않지 만 취락지구가 아닌 초입부에 캠핑장, 글램핌장 등 산지를 훼손시키지 않는 시설들이 자리잡고 있어 조사대상지에 비 해 인위적인 영향을 덜 받는 것이 차이를 보인 것으로 판단 된다.

    DMZ 다른 서부 산지의 식물상에서 충분한 종 수를 보여 준 반면 삼봉산, 자웅산은 전반적으로 제약이 많은 산지였 다. 출입이 통제된 지역, 미확인 지뢰지대, 산지 주변의 취락 지구, 골프장 개발, 관광객을 유치를 위한 둘레길 조성 등 그 밖에도 많은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식물의 화상 자료 및 확증표본 채집 또한 상대적으로 어려워 식물상의 전반적 학술조사가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하게 된 원인으로 판단된다.

    2. 희귀식물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은 희귀식물의 범주를 야생멸종(Extinct in the Wild, EW),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 CR), 위기종(Endangered Species, EN), 취약종 (Vulnerable, VU), 약관심종(Least Concerned, LC), 자료부 족종(Data Deficient, DD)으로 구분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취약종(VU)인 세잎승마(Actaea bifida (Nakai) J.Compton),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 Miq.), 금붓꽃(Iris minutoaurea Makino), 약관심종(LC)인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지치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말나리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Blume)이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 의 희귀식물로 여겨지는 571분류군의 약 1.4%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VU등급인 세잎승마는 삼봉산의 북쪽사면 묘지 부근에 서 소규모 개체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왜박주가리는 서쪽 산지 가장자리에서 소규모 개체가 분포하고 있었는데 마을 과 붙어있어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붓꽃은 정 상 부근에서 소규모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쥐방울덩굴은 정상에서 북쪽 초리포레스트로 내려가는 길 부근에서 소규모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 강제비꽃, 말나리는 두루뫼박물관에서 등산로로 이어지는 구간 부근에서 소규모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두루뫼박물관은 관광지로서 사람들의 발길이 많은 곳이라 물리적인 훼손 또는 침입외래식물의 유입으로 인하여 자생 지를 잃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치는 정상기 준 남쪽사면에 소규모 개체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두루미천 남성은 예전 군부대가 있었던 폐건물 막사에 소규모 개체가 분포하고 있었다.

    자웅산은 희귀식물이 출현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자웅 산의 면적이 큰 편이지만 면적의 절반이 골프장으로 조성되 어 있어 희귀식물이 출현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으며, 둘 레길이 있어 관광객들에 의해 훼손됐을 것으로 판단된다.

    삼봉산은 DMZ 접경지역이지만 군부대가 꽤 오래전에 없어졌다는 것을 폐건물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삼봉 산, 자웅산은 일반적인 식물 경우에는 확산 되어가는 과정 에 큰 문제가 없지만, 희귀식물의 특성상 각각의 생육지의 크기가 작으며,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잘 정착하여 개체 군을 늘려나가는 것이 어려운 수준이다. 따라서 이러한 원 인으로 인해 희귀식물의 종 수가 다양하지 않는 원인을 판 단된다.

    3. 특산식물

    삼봉산과 자웅산에서 확인된 특산식물은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세잎승마,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 백 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로 한국특산 식물 360분류군(Chung et al., 2017)의 1.3%에 해당한다(T able 4).

    키버들은 자웅산의 정상기준 서쪽 사면에서 군락으로 분 포하고 있었다. 세잎승마는 삼봉산의 정상기준 북쪽 사면에 서 단생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개나리는 자웅산 정상기준 서쪽임도 부근에서 군락으로 식재되어 있었으며, 오동나무 는 삼봉산 정상에서 군락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자웅산에서 발견된 백운산원추리는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어있고, 도로 가 있는 것으로 보아 자생종이 아닌 식재로 판단된다. 삼봉 산에서 발견된 백운산원추리는 정상기준 서쪽임도 부근 군 부대 건물인 폐막사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특산식물 중 키버들, 세잎승마는 자생종을 확인했으 며, 개나리, 오동나무, 백운산원추리는 식재종 이였고, 자생 지 조건은 양호하였다. 출현한 특산식물은 이후에 관리만 진행된다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산식물 종 수가 Namgung et al.(2019)의 서부 DMZ 파평산 식물상 논문에서 특산식물 종 수가 10분류군과 비교 했을 때 6분류군이 적게 출현하였는데 식재종들을 빼면 실 질적으로 9분류군의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유 는 산지가 관광지 부분에 일부 포함되어 외부요인이 주는 영향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는데 차량 도로 및 임도가 산지 와 연결되어 있어 차량의 통행으로 인해 대기오염 및 각종 오염에 식물들의 노출이 높아진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특산식물 중에 임도와 가깝게 자생하고 있는 종들이 있었는 데 이후에는 훼손이 되지 않게 지속적인 관리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을 판단된다.

    4. 침입외래식물

    본 연구대상지에서 분포하는 침입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끈끈이대나물, 흰명아주, 좀 명아주, 개소시랑개비, 족제비싸리 등 40분류군을 확인하였 다(Table 5). 출현한 침입외래식물 중 국화과가 16분류군으 로 가장 많았다.

    출현한 대부분의 침입외래식물은 자웅산의 경우 삼봉산 에 비해 적은 비율로 출현하였는데 삼봉산이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외래종이 출현한 것으로 보아 DMZ 일원에 포함 된 동부, 중부 산지들과는 다르게 등산로가 관광지를 통해 서 올라가는 곳이기 때문에 산지에 대한 접근성이 좋은 것 이 원인으로 판단되며, 자웅산이 삼봉산에 비해 적은 수의 외래종이 출현한 이유는 공식적인 등산로가 명확하지 않고, 자웅산 전체 면적의 절반정도가 골프장으로 되어있기 때문 에 상대적으로 출입을 하는게 쉽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판 단된다. 골프장 자체만으로 식물생태계에 문제가 될 수 있 는데, 골프장 조성을 위해 산지 높이도 낮아졌다. 그 결과 골프장 전의 산지 저지대에 흔한 들꽃 종류들이 현재에는 산지 전역으로 퍼져 있으며, 같은 곳에 자리를 잡고 있던 침입외래식물들이 자웅산 전역으로 영향을 주는 원인이 되 었다.

    따라서 두개 산지 모두 침입외래식물이 퍼져 있어 현실적 인 관리방안은 물리적인 제거방법을 통해 주기적으로 외래 종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의 “KNA1-2-34, 18-5” 프로젝트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습니다.

    Figure

    KJEE-36-1-30_F1.gif

    Location of study area and investigation routes.

    KJEE-36-1-30_F2.gif

    Taxa of the top 7 families by total flora.

    Table

    The investigation routes and dates of Sambong and Jaung mountains in Paju-si

    The list of vascular plants of Sambong(Mt.), Jaung(Mt.) in Paju-si

    Summary of the Vascnlar Plants of Sambong(Mt.) and Jaung(Mt.) in Paju-si

    The list of rare plants in Sambong(Mt.) Paju-si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 Sambong(Mt.) and Jaung(Mt.) Paju-si

    The list of invasive alien plant in Sambong(Mt.) and Jaung(Mt.) Paju-si

    Reference

    1. Cho, D.S. (2019)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and International Natural Protected Areas.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52(1): 272-2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ung, G.Y. ,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 264-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ung, S.Y. , J.W. Lee, H.T. Shin, S.J. Kim, J.B. An, T.I. Heo, J.M. Chung and Y.C. Cho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265pp. (in Korean)
    4. Kang, E.S. , S.R. Lee, S.H. Oh, D.K. Kim, S.Y.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2): 89-119. (in Korean)
    5. Kim, K.H. and S.H. Kang (2019) Flora of Western Control Zone (CCZ) in Korea. Korean J. Plant Res. 32(5): 565-5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S.J. , H.T. Shin, J.B. An, T.I. Heo, Y.H. Kwon and J.W. Yoo (2016) Flora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Paju-si, Gyeonggi-do) in DMZ area of Korea. Korean J. Plant Res. 29(2): 264-2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in Korean)
    8.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eninsula: VI. Central Province(Gangwon-do), Daejeon, Korea. (in Korean)
    9. Korea Law Center (2019) http://www.law.go.kr.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 http://www.kma.go.kr.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1-332.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a)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000pp. (in Korean)
    14. Lee, S.H. , S.S. Choi, D.B. Lee, S.H. Hwang and J.K. Ahn (2016)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Korean J. Environ Ecol. 30(1): 1-18. (in Korean)
    15.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p.1-666.
    16. NamGung, J. , C.Y. Yoon, Y.H. Ha and J.H. Kim (2019) The Flora of Mt. Papyeong (Gyeonggi-do Prov.) in Western Area of DMZ, Korea. Korean J. Plant. Res. 32(4): 355-378. (in Korean)
    17. Northeast Asian Institute of Biological Diversity (2021) List of Vascular Plan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Korean)
    18. Paju-si (2021) Gyeonggi-do Paju-si Basic Statistics.
    19. Song, J.H. , H.T. Shin, H.G. Yun and S.J. Kim (2021) The Flora of Three eastern Mountains(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of Paroho Lake in Yanggu-gun. Korean J. Environ. Ecol. 35(1):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