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8 No.5 pp.451-458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24.38.5.451

Proposing Tree Species and Branch Thickness for Perches to Aid the Wild Adaptation of Artificially Bred Crested Ibis1

Soo-Dong Lee2, Bong-Gyo Cho3, Chung-Hyeon Oh4*
2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2725, Korea
3Dept. of Urban system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2725, Korea
4Dept. of Urban system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2725, Korea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hco0970@naver.com
17/04/2024 25/09/2024 30/09/2024

Abstract


Reintroduction through artificial breeding is recognized as a last resort for conserving species at risk of extinction. In South Korea, efforts to restore the locally extinct crested ibis began in 2008 with the introduction of a pair from China, followed by artificial breeding. From 2019 to 2023, a total of 290 individuals were released in eight events. Apart from genetic concerns, the success of reintroduction hinges on the creation of training grounds resembling natural habitat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types and specifications of perching structures most commonly used for rest and disturbance avoidance by crested ibis. The released ibis predominantly utilized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and Quercus accutissima with heights around 5 meters and branch diameters ranging from 5 to 15 (9.17± 4.94)㎝ in their natural habitats, suggesting the necessity of installing perching structures of similar dimensions in release and breeding sites. However, ensuring habitat similarity solely through perching structures has limitations, underscor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feeding site structures, nest materials, and tree species used for nesting.



인공번식된 따오기의 야생 적응을 위한 횃대 종류 및 가지 굵기 제안1

이수동2, 조봉교3, 오충현4*
2경상국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3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도시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4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도시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초록


인공번식을 통한 야생 재도입은 멸종 가능성이 높은 종을 보존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역 절멸된 따오기를 복원하고자 2008년 중국으로부터 한 쌍을 도입하여 인공증식을 시작하였고, 2019년부터 2023년까지 8회에 걸쳐 290개체가 방사된 상태이다. 유전적인 문제를 제외하면 재도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연서식처와 유사한 환경에서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오기의 생활사에서 휴식 및 교란 회피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횃대의 종류 및 규격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사된 따오기는 자연서식처에서 높이 5m 내외, 가지 굵기 5∼15(9.17±4.94)㎝인 소나무, 곰솔, 상수리나무 등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유사한 종류의 횃대를 번식케이지와 관람케이지에 설치하는 것이 야생 적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횃대만으로 서식 환경의 유사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먹이터 구조, 둥지 짓는 수목 및 재료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서 론

    따오기는 한때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동아시아 전역에서 관찰되었지만 서식처 질 하락, 사냥 등의 영향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20세기 초반에는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었다(Ma et al., 2021). 이후 보호 및 복원 노력으로 적은 개체수 유지(1981~1992), 개체수 성장(1993~2002) 단계를 거쳐 현재는 2,000개체 이상의 안정적인 개체군을 확보한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Li et al., 2009;2020). 적극적인 보존 노력의 결실로 인해 멸종위험도가 CR(1996년까지)에서 EN(2000년 이후)으로 완화되었으며 (BirdLife International, 2024), 이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한 종을 복원시킨 성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30년간의 보전 노력으로 개체수는 안정기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Liu et al., 2014;Wang et al., 2014), 적은 개체를 바탕으로 인공번식이 시도되었기에 유전적 부동, 근교약세 현상 등이 우려된다고 하였다(Feng et al., 2018;Ensslin et al., 2015).

    우리나라의 경우 1978년 판문점 부근의 DMZ에서 확인된 이후 발견되지 않아 텃새화된 따오기는 멸종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Changnyeong-gun, 2011). 이후 재도입 계획에 따라 중국으로부터 따오기 1쌍을 도입하여 인공번식을 실시하였고(Roh et al., 2010), 2019년에 40개체를 방사한 후 매년 유사한 숫자를 야생으로 돌려보내고 있다. 인공번식에 의한 야생 재도입은 전체종의 20∼50%가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서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보고 있다(Rahbek, 1993;Earnhardt, 1999;Wingfield et al., 2000;Rytwinski et al., 2021). 이러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높은 비율로 실패하고 있기 때문에(Håkansson, 2007;Houde et al., 2015) 성공을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준비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Griffin et al., 2000). 특히, 방사 전 인간과의 접촉은 구애 행동과 번식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Horwich, 1989;Wallace, 1994;Utt, 2010;Smith et al., 2023) 야생 적응 훈련 중에는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과 더불어 자연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따오기의 경우 먹이는 습지, 경작지 또는 초지에서, 휴식 및 교란 후 피신은 교목층 수관을 이용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Liu et al., 2020;Ma et al., 2021), 적응 훈련을 위해서는 생활사를 고려하여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연 방사된 쌍에서 부화한 어린 개체는 이소하기 전까지 부모의 보살핌에 의존하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에(Huo et al., 2014), 방사 전 적응 훈련에서는 유사한 외형의 의상을 입고 접근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하였다 (Thompson et al., 2022a;2022b). 결국, 인공 번식된 따오기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간과의 접촉 최소화와 더불어 훈련장을 자연 서식처와 유사하게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나 현재는 상이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적인 한계로 인해 자연 서식처와 동일한 습지와 숲을 만드는 게 어려운 조건에서 휴식 및 회피를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횃대의 종류와 굵기를 제안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우포따오기복원센터는 우포늪과 접한 창녕군 유어면에 위치해 있다(Figure 1). 2019년부터 충분히 성숙한 개체를 대상으로 식별 가락지와 위성 추적 장치 부착, 야생적응 훈련 후 방사라는 절차를 거쳐 5년간 약 290개체를 방사하였다(Changnyeong-gun, 2020;2022;2023;2024). 일반적으로 따오기는 태어난 곳에서 평균 5.1㎞를 분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Huo et al., 2014), 우리나라에서는 최초 방사된 지점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것이 확인된 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창녕군내에서 활동하는 개체를 추적 및 조사하였다.

    2. 횃대 이용 수종 및 규격

    인공번식된 따오기는 번식케이지(Breeding cage), 관람 케이지(Observation cage: 가로 36m, 세로 25m, 높이 12.5m)를 거쳐 방사하기 전에 비행훈련 등 비교적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야생적응 방사장(Wildlife adaption release enclosure)으로 옮겨지게 된다. 방사장으로 가기 전까지는 Figure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소나무, 곰솔,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또는 고사목을 잘라 만든 횃대를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사목을 잘라 만든 횃대는 가로형과 세로형이 있으며, 가로 형은 굵기 8~13cm, 높이 약 1.8m인 일자형의 봉을 받치는 구조였다. 세로형은 일반적인 나무 형태로 가지의 굵기는 3.5~9cm, 높이는 약 2.2m였다. 번식케이지에는 번식을 위한 광주리와 이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 또한 굴참나무를 잘라서 만든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 지지대 역시 횃대로 분류하였다.

    따오기는 논, 습지, 초지 등에서 먹이를 섭취한 후 산림으로 이동하여 소나무, 상수리나무 등 교목 수관에서 휴식을 취하는 패턴을 보인다(Yu et al., 2006;Huo et al., 2014). 우리나라의 복원은 초기 단계로 방사한 따오기가 그룹을 형성하기 보다는 개별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산재해서 서식하고 있으므로 탐색은 부착된 인공위성 추적장치(GPS transmitter)를 통해 수신되는 좌표를 조사하거나 주민제보, 목격 및 구조 신고요청(http://www.cng.go.kr)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개체를 찾기 위해 08:00에 수신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치를 특정한 후, 발견된 개체 중 논, 밭, 묘지 등에서 먹이를 섭취하는 경우에는 주변 산림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다렸다가 추적하였다.

    휴식을 위해 이용하는 교목의 수종과 굵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길이를 알고 있는 컬러밴드(길이 3.5㎝× 폭 2㎝)와 나뭇가지가 동시에 노출되게 촬영하였다. 촬영된 500여 장의 사진 중 노란색 밴드 위에 검정색 글씨를 기록한 개체 식별 밴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 321장을 대상으로 수종 및 가지 굵기를 측정하였다. Figure 2는 따오기의 횃대를 측정하는 과정으로 나무 수관에서 휴식하고 있는 따오기 탐색 및 사진 촬영, 밴드 크기와의 비교를 통한 굵기 측정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휴식을 취하는 위치의 높이는 경작지와 접한 주연부를 이용한 경우에만 측정할 수 있어 소나무 5주, 곰솔 1주에 한정되었다.

    본 연구는 자연 상태에서 휴식 또는 피난을 위해 이용하는 횃대와 케이지 내부에서 이용하는 횃대와의 차이를 확인하여, 복원센터 내부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횃대의 종류 및 굵기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횃대 규격의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분석하기에 앞서 정규성, 등분산성을 분석하였다. 정규성은 Shapiro-Wilk normality test를, 등분산성은 Levene’s test를 통해 확인하였고, 통과할 시 차이를 검정하고자 두 집단의 경우 t.test를, 세 집단 이상의 경우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Tukey’s test를 활용하여 사후검정하였다.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만족하지 않는 데이터에 대해 Wilcoxon 순위합 검정 또는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여 자연 상태에서와 복원센터 내부에서 이용하는 횃대 굵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은 R4.4.1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과

    1. 횃대 이용 수종의 가지 굵기 및 높이

    Table 1은 횃대의 종류, 규격 및 이용 횟수를 나타낸 것이다. 휴식을 취하기 위해 이용한 수목으로는 소나무가 261회로 가장 많았고, 곰솔(26회), 상수리나무(26회), 굴참나무(3회) 순이었다. 그 외에 왕버들나무, 밤나무 및 비닐하우스 상부, 축사 지붕, 펜스 등 인공물에서도 휴식을 취하였으며, 인공물 이용 횟수는 6회지만 납작하거나, 얇아서 굵기 측정에서는 제외하였다.

    자연에서 횃대로 이용하는 가지의 굵기는 소나무 8.72± 4.26㎝, 곰솔 8.93±5.11㎝, 상수리나무 15.00±7.05㎝, 굴참나무 8.50±3.04㎝, 왕버들나무, 밤나무 등 기타 수종은 2.25± 1.50㎝이며, 전체 평균 9.17±4.94cm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복원센터에서 개체들이 이용하는 나무 횃대 굵기는 봉(고사목을 잘라 만든 횃대) 7.16±2.27㎝, 소나무 3.02±0.69 ㎝, 상수리나무 5.37±0.32㎝, 굴참나무 11.30cm로 봉이 가장 굵었음에도 자연 상태에서 이용하는 횃대보다는 얇았다. 그 외에 이용하는 가지의 높이는 소나무 4.85(2.3∼7.4)m, 곰솔 7m로 평균 5.21(2.3∼7.4)m로 분석되었으나 산림과의 거리 및 접근성으로 인해 6주만 측정하였다는 한계는 있었다.

    Figure 3은 방사 후 자연서식지와 복원센터 내부 케이지에서 이용하는 횃대의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 정규성을 검정한 결과 p-value가 내부는 0.4105로 만족시키나 외부는 3.028e-11이었고 등분산성 검정은 p-value 0.0001867로 통과하지 못하여 Wilcoxon test를 실시하였다. 방사 후 이용하는 횃대와 케이지 내부 횃대의 굵기는 p-value 0.0008045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Wilcoxon test). 케이지 내부에 설치된 횃대의 경우 직경이 6.53±2.47㎝이 었으나 방사된 후 휴식을 위해 이용한 가지의 굵기는 9.17± 4.94㎝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부의 횃대를 봉(Pole)과 식재한 수목(Tree(inside))으로 세분하여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정규성 검정 결과, 봉은 p-value 2.27e-1로 통과하였으나 방사 후 이용 수목(Tree: 3.03e-11)과 내부에서 이용하는 수목(Tree(inside): 5.94e-3)은 통과하지 못하였다. 등분산성 검정을 위한 Levene's test도 p-value 4.061e-05로 만족시키지 못하여 Kruskal-Wallis test(p<0.001) 결과 p-value 0.00034로 세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룹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Tukey's test를 실시한 결과, 자연서식지(Tree)와 봉 및 식재한 수목 간에는 p-value 0.0524405(p<0.1), 0.0043547(p<0.05)로 차이가 있었으나 봉과 식재한 수목은 p-value 0.3136434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지 내부에서 이용하는 봉(직경 7.16± 2.27㎝) 및 기타 식재 수종(직경 4.92±2.29cm)과 비교했을 때 방사된 이후 이용하는 횃대의 굵기인 9.17±4.94㎝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찰

    인공번식을 통한 재도입은 야생에서 멸종되었거나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종을 보존 또는 복원하기 위한 시도로 정의되고 있다(IUCN, 1987;Wilson et al., 2022;Seddon et al., 2007). 더불어 개체군을 적절한 서식지에 방출함으로써 생물다양성의 자연스러운 회복이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시작된 것으로(Seddon, 1999;Wakchaure and Ganguly, 2016), 최소존속개체군 확보가 성공 여부의 판단 근거라고 하였다(Griffith et al., 1989;Earnhardt, 1999;Flather et al., 2011). Rytwinski et al.(2021)에 따르면 목적에 따라 기존 개체군을 보충하는 것(Fraser, 2008), 지역 절멸이 발생한 개체군의 재확보(Wilson and Price, 1994), 동·식물원 등에서 개체 존속의 안전성이 확보되면 자연으로 돌아가는 개체군 확보(Bowkett, 2009) 등으로 구분된다고 하였다. 따오기 복원은 1978년에 지역 절멸된 후 2008년 중국으로부터 한 쌍을 도입하여 시작하였기 때문에 두 번째 유형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재도입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의 개입없이 개체군을 유지하는 것이며(Seddon, 1999;Seddon et al., 2007), 한정된 개체에 의존하기 때문에 근교약세, 서식지 축소, 방사 후 포식 가능성 등의 문제점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Armstrong and Seddon, 2007;Caro, 2016). 또한, 종의 이주 스트레스, 서식지 친숙성 부족, 다른 조류와의 경쟁 등의 위협도 존재한다(Cheyne, 2006;Bennett et al., 2012;2013;Jenni et al., 2014). 이러한 이유로, 개체수가 한정적인 멸종위기종을 복원할 때는 유전적 다양성 손실과 야생 적응성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고 하였다(Frankham et al., 2002;Fraser, 2008). 특히, 야생 적응성과 관련해서는 인간과의 접촉을 줄이고(Horwich, 1989;Wallace, 1994;Okahisa et al., 2022), 훈련장 환경을 자연과 유사하게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Wilson et al., 2022). Griffin et al.(2000)Stone et al.(2021)은 이른 시기에 자연에 노출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생활사 특성을 모방한 환경에서 어릴 때부터 훈련을 실시할 것을 권고하였다 (Utt, 2010). 또한, 적응 훈련을 위해서는 분류군별로 선호하거나 원 서식처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기본적인 전제임을 많은 연구에서 확인하였다(Moseby et al., 2014;Greggor et al., 2019). 재도입의 성공을 위해서는 방사 전후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관리 매뉴얼이 필요하지만(Buckley et al., 2024), 국제적인 관심을 받는 몇몇 종을 제외하고는 실제 사육장 환경이나 적응 훈련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하다.

    재도입의 성공 여부는 종 자체가 가지는 내재적 특성과 주변 환경 모두에 달려 있다고 한다(Moseby et al., 2014). 따오기의 경우, 약 30년간의 인공증식, 서식처 보호, 인식 개선 등의 노력으로 개체군이 늘어나 중국과 일본에서는 성공적인 재도입 사례로 결론지어지고 있다(Liu et al., 2020;Wu et al., 2017;Wingfield et al., 2000;Nagata and Yamagishi, 2016;Mochizuki et al., 2015). 우리나라에서도 2019년에 처음으로 40개체를 방사한 후 2023년까지 8회에 걸쳐 290개체를 야생으로 방사한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Roh et al., 2010;Changnyeong-gun, 2020;2022;2023;2024). 규모 측면에서는 성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유전적 다양성이나 최소존속개체군 형성 가능성 등 내재적 문제보다는 방사장 환경의 적정성과 관련하여 횃대의 규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따오기가 자연 서식지와 복원센터 내부에서 이용하는 횃대의 굵기와 높이를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육장 및 야생방사 훈련 시 일상적으로 이용할 횃대의 규격을 제안하였다.

    한편, 야생에 적응한 따오기는 논 경작지와 둥지를 조성할 수 있는 대형목이 남아있는 공간에 정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Yu et al., 2006). 일반적인 생활사는 번식기를 제외하면 크게 먹이 활동과 휴식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Huo et al., 2014). 먹이 활동은 주로 습지, 경작지, 초지 등에서 이루어지며(Ameta et al., 2022), 휴식 활동은 소나무류(Pinus spp.)와 인공물을 이용한다고 하였다(Chaudhury and Koli, 2018;Huo et al., 2014). 본 연구에서도 휴식을 위해 이용한 수종의 약 80% 이상을 대경목인 소나무가 차지하여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횃대의 규격으로는 가지 높이 5m, 굵기 5∼15(9.17±4.94)cm 구간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어, 자연 상태에서 선호하는 횃대의 굵기가 복원센터 내부에서 제공되는 횃대의 굵기보다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복원센터 내부의 횃대가 휴식을 취하기에는 용이할 수 있으나, 자연 상태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야생 적응 성공 조건에 훈련장 환경의 자연과의 유사성도 포함되기 때문에(Wilson et al., 2022), 유사한 수종과 규격의 횃대를 복원센터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생동물의 재도입 성공 여부는 방사 후 인간의 개입 없이 최소존속개체군을 확보하는 것인데(Smith et al., 2023),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추적 조사 후 관리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착 중인 개체군의 현 상태를 평가하고 변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복원 실무자들에게 정확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Ensslin et al., 2015). 적응 훈련과 관련해서는 자연 서식처와의 환경적 유사성이 높을수록 성공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방사한 개체군을 모니터링한 데이터 부족으로 피드백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고자 인공 번식장 또는 훈련장 환경 조성 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횃대의 종류 및 굵기를 제안하였다. 다만, 서식 환경의 유사성을 온전히 확보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결국, 따오기의 생활사를 고려하여 먹이 활동, 휴식 활동, 번식 활동에 대한 추적 연구를 통해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다시 관리에 재활용하는 것은 재도입 과정에서 필수적인 과정으로 보인다.

    Figure

    KJEE-38-5-451_F1.gif

    Status of the Upo Ibis Restoration Center and Changnyeong-gun, the main activity area.

    KJEE-38-5-451_F2.gif

    Process of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perch used by the crested ibis (locating, taking photos,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perch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olor band).

    KJEE-38-5-451_F3.gif

    Comparison of perch thickness between those used in natural habitats and cages within the restoration center.

    Table

    Types and specifications of perches used in natural habitats and in the cages within the restoration center

    Reference

    1. Ameta, H., V.K. Koli, S. Kittur and K.S.G. Sundar ( 2022) Is the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a “waterbird”? Distribution, abundance and habitat use in landscapes with two different dominant land uses in Udaipur district, Rajasthan, India. SIS Conservation 4: 30-39.
    2. Armstrong, D.P. and P.J. Seddon ( 2007) Directions in reintroduction biology. Trends Ecol Evol. 23: 20-25.
    3. Bennett, V.A., V.A.J. Doerr, E.D. Doerr, A.D. Manning and D.B. Lindenmayer ( 2012) The anatomy of a failed reintroduction: a case study with the brown treecreeper. Emu. 112(4): 298-312.
    4. Bennett, V.A., V.A.J. Doerr, E.D. Doerr, A.D. Manning, D.B. Lindenmayer and Yoon ( 2013) Causes of reintroduction failure of the brown treecreeper: Implications for ecosystem restoration. Austral Ecology 38: 700-712.
    5. BirdLife International ( 2024) Species Factsheet: Nipponia Nippon. Downloaded from http://datazone.birdlife.org/species/factsheet/asian-crested-ibis-nipponia-nippon on 09/01/2024
    6. Bowkett, A.E. ( 2009) Recent captive-breeding proposals and the return of the ark concept to global species conservation. Conserv. Biol. 23(3): 773-776.
    7. Buckley, S.J., C. Brauer, C. Lamin, P. Rose, D.E. Vornicu and L.B. Beheregaray ( 2024) A community-driven captive-breeding and reintroduction program maintains genetic diversity in a threatened freshwater fish. Conservation Science and Practice 6(1): e13054.
    8. Caro, T. ( 2016) Behavior and conservation, conservation and behavior. Current Opinion in Behavioral Sciences 12: 97-102.
    9. Changnyeong-gun ( 2011) Habitat Environment Construction in Preparation for Crested Ibis Release. Changnyeong: Korea; 2011.
    10. Changnyeong-gun ( 2020) Analysis of the Habitat Environment of Wild Crested Ibises. Changnyeong, Korea.
    11. Changnyeong-gun ( 2022) 2021 Changnyeong-gun white paper. Changnyeong, Korea.
    12. Changnyeong-gun ( 2023) 2022 Changnyeong-gun white paper. Changnyeong, Korea.
    13. Changnyeong-gun ( 2024) 2023 Changnyeong-gun white paper. Changnyeong, Korea.
    14. Chaudhury, S. and V.K. Koli ( 2018) Population status, habitat preference, and nesting characteristics of black-headed ibis Threskiornis melanocephalus Latham, 1790 in southern Rajasthan, India.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11(2): 223-228.
    15. Cheyne, S.M. ( 2006) Wildlife reintroduction: considerations of habitat quality at the release site. BMC Ecol. 6: 5.
    16. Earnhardt, J.M. ( 1999) Reintroduction programmes: Genetic tradeoffs for populations. Animal Conservation 2: 279-286.
    17. Ensslin, A., O. Tschöpe, M. Burkart and J. Joshi ( 2015) Fitness decline and adaptation to novel environments in ex situ plant collections: Current knowledge and future perspectives. Biological Conservation 192: 394-401.
    18. Feng, S., Q. Fang, R. Barnett, C. Li, S. Han, M. Kuhlwilm, L. Zhou, H. Pan, Y. Deng, G. Chen, A. Gamauf, F. Woog, R. Prys-Jones, T. Marques-Bonet, M.T.P. Gilbert and G. Zhang ( 2018) The genomic footprints of the fall and recovery of the crested ibis. Current Biology 29: 340-349.
    19. Flather, C.H. G.D. Hayward, S.R. Beissinger and P.A. Stephens ( 2011) Minimum viable populations: Is there a ‘magic number’ forconservation practitioners?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6(6): 307-316.
    20. Frankham, R., J.D. Ballou and D.A. Briscoe ( 2002) Introduction to Conservation Gene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 640pp.
    21. Fraser, D.J. ( 2008) How well can captive breeding programs conserve biodiversity? A review of salmonids. Evol Appl. 1(4): 535-86.
    22. Greggor, A.L., C.J. Price and D.M. Shier ( 2019) Examining the efficacy of anti-predator training for increasing survival in conservation translocations: a systematic review protocol. Environ Evid. 8(1): 11.
    23. Griffin, A.S., D.T. Blumstein and C.S. Evans ( 2000) Training captive-bred or translocated animals to avoid predators. Conservation Biology 14(5): 1317-1326.
    24. Griffith, B., J.M. Scott, J.W. Carpenter and C. Reed ( 1989) Translocation as a species conservation tool. Science 245: 477-480.
    25. Håkansson, J. ( 2007) Behavioural aspects of conservation breeding Red junglefowl (Gallus gallus) as a case study. Linköping Studies in Science and Technology Dissertation. Department of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Division of Zoology Linköping University, Sweden, 38pp.
    26. Horwich, R.H. ( 1989) Use of surrogate parental models and age periods in a successful release of hand-reared Sandhill Cranes. Zoo Biol. 8: 379-390.
    27. Houde, A.L.S., S.R. Garner and B.D. Neff ( 2015) Restoring species through reintroductions: Strategies for source population selection. Restoration Ecology 23(6): 746-753.
    28. Huo, Z., J. Guo, X. Li and X. Yu ( 2014) Post-fledging dispersal and habitat use of a reintroduced population of the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Avian Res. 5: 7.
    29. IUCN ( 1987) IUCN Position Statement on the Translocation of Living Organisms: Introductions, Re-introductions, and Restocking. As approved by the 22nd meeting of the IUCN Council, Gland, Switzerland.
    30. Jenni, L., N. Keller, B. Almasi, J. Duplain, B. Homberger, M. Lanz, F. Korner-Nievergelt, M. Schaub and S. Jenni-Eiermann ( 2014) Transport and release procedures in reintroduction programs: stress and survival in grey partridges. Animal Conservation 18: 62-72.
    31. Li, X., D. Li, Y. Li, Z. Ma and T. Zhai ( 2020) Habitat evaluation for crested ibis: A GIS-based approach. Ecological Research 17: 565-573.
    32. Li, X., H. Tian and D. Li ( 2009) Why the crested ibis declined in the middle twentieth century. Biodivers Conserv. 18: 2165-2172.
    33. Liu, D., C. Wang, B. Qing, H. Ding and J. Lu ( 2014) Thirty-years’ conservation of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in China: A model for community-based conservation of animal species with extremely small populations. Sichuan Journal of Zoology 33(4): 612-619.
    34. Liu, d., G. Guogang, C. Wang, B. Qing, and J. Lu ( 2020) Breeding variation in a reintroduced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population in central China. Pakistan Journal of Zoology 52(4): 1595-1598.
    35. Ma, L., X. Li, T. Zhai, Y. Zhang, K. Song, M. Holyoak and Y. Sun ( 2021) Changes in the habitat preference of crested ibis (Nipponianippon) during a period of rapid population increase. Animals, 11(9): 2626.
    36. Mochizuki, S., D. Liu, T. Sekijima, J. Lu, C. Wang, K. Ozaki, H. Nagata, T. Murakami, Y. Ueno and S. Yamagishi ( 2015) Detecting the nesting suitability of the re-introduced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for nature restoration program in Japan. Journal for Nature Conservation 28: 45-55.
    37. Moseby, K.E., B.M. Hill and T.H. Lavery ( 2014) Tailoring release protocols to individual species and sites: One size does not fit all. PLoS One 9(6): e99753.
    38. Nagata, H. and S. Yamagishi ( 2016) Which factors affect postrelease settlement of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on Sado Island, Japan? Ornithol Sci. 15: 181 -189.
    39. Okahisa, Y., Y. Kaneko, H. Nagata and K. Ozaki ( 2022) Effects of rearing methods on the reproduction of reintroduced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on Sado Island, Japan. Ornithological Science 21(2): 145-154.
    40. Rahbek, C. ( 1993) Captive breeding-a useful tool in the preservation of biodiversity? Biodivers Conserv. 2: 426-437.
    41. Roh, Y.H., C.K. Lim and H.C. Park ( 2010) The ecotourism with the restoration of the crested ibis at Upo wetl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6(4): 417-427.
    42. Rytwinski, T., L.A. Kelly, L.A. Donaldson, J.J. Taylor, A. Smith, D.A.R. Drake, A.L. Martel, J. Geist, T.J. Morris, A.L. George, A.J. Dextrase, J.R. Bennett and S.J. Cooke ( 2021) What evidence exists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conservationoriented captive breeding and release programs for imperilled freshwater fishes and mussels? Can. J. Fish. Aquat. Sci. 78: 1332-1346.
    43. Seddon, P.J. ( 1999) Persistence without intervention: Assessing success in wildlife reintroductions.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4: 503.
    44. Seddon, P.J., D.P. Armstrong and R.F. Maloney ( 2007) Developing the science of reintroduction biology. Conservation Biology 21: 303-312.
    45. Smith, K.J., M.J. Evans, I.J. Gordon, J.C. Pierson, J. Newport and A.D. Manning ( 2023) Analyzing captive breeding outcomes to inform reintroduction practice: Lessons from the pookila (Pseudomys novaehollandiae). Journal of Mammalogy 104(5): 1047-1061.
    46. Stone, Z., M. Giese, S. Gillman, J. Thomas, L. Gould, M. Maron, D. Charley, J. Sleeman, D. Stewart, J. Hodgon, K. Roche, A. Molyneux, A. Beutel and L. Baker ( 2021) Background paper: Reintroduction of captive birds to the northern population of the eastern bristlebird. NESP Threatened Species Recovery Hub Project 4.1.12 report, Brisbane, 32pp.
    47. Thompson, H.L., M.S. Glass, M.M. Wellington, K.H. Boardman and G.H. Olsen ( 2022a) Effects of release techniques on parentreared whooping cranes in the eastern migratory population. Proc. North Am. Crane Workshop 15: 53-71.
    48. Thompson, H.L., N.M. Gordon, D.P. Bolt, J.R. Lee and E.K. Szuyszkoski ( 2022b) Twenty-year status of the eastern migratory whooping crane reintroduction, Proc. North Am. Crane Workshop 15: 34-52.
    49. Utt, A.C. ( 2010) Evaluating Captive-breeding Techniques and Reintroduction Success of the California Condor (Gymnogyps californianus). Loma Linda University Electronic Theses, Dissertations & Projects. 852.
    50. Wakchaure, R. and S. Ganguly ( 2016) Captive breeding in endangered wildlife: A review. Journal of Biological & Scientific Opinion 4(5): 186-187.
    51. Wallace, M.P. ( 1994) Control of behavioral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reintroduction programs for birds. Zoo Biol. 13: 491-499.
    52. Wang, C., D. Liu, B. Qing, H. Ding, Y. Cui, Y. Ye, J. Lu, L. Yan, L. Ke and C. Ding ( 2014) The current population and distribution of wild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Chinese Journal of Zoology 49 (5): 666-671.
    53. Wang, F., M. Li, Y.S. Zhang, W.A. Zhao, D.N. Liu, Y.Z. Zhang, H. Zhang, X.P. Ye and X.P. Yu ( 2021) Post-release dispersal and breeding site suitability of reintroduced populations of the Crested Ibis in Shaanxi Province, China. Restoration Ecology 29(5): e13383.
    54. Wilson, A.C. and M.S. Price ( 1994) Reintroduction as a reason for captive breeding. In Creative conservation. Edited by P.J.S. Olney, G.M. Mace, and A.T.C. Feistner. Springer, Dordrecht, pp. 243-264.
    55. Wilson, B.A., M.J. Evans, I.J. Gordon, S.C. Banks, W.G. Batson, C. Wimpenny, J. Newport and A.D. Manning ( 2022) Personality and plasticity predict postrelease performance in a reintroduced mesopredator. Animal Behaviour 187: 177-189.
    56. Wingfield, J.C., S. Ishii, M. Kikuchi, S. Wakabayashi, H. Sakai, N. Yamaguchi, M. Wada and K. Chikatsuji ( 2000) Biology of a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the Toki(Japanese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Ibis 142(1): 1-11.
    57. Wu, J., J. Zhu, K. Wang, D. Cai, Y. Liu, Y. Bu and H. Niu ( 2017) Breeding ecology of a reintroduced population of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in Henan province China. Pakistan J. Zool. 49(6): 2027-2035.
    58. Yu, X., N. Liu, Y. Xi and B. Lu ( 2006) Reproductive success of the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Bird Conserv. Int. 16: 325-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