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8 No.5 pp.459-464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24.38.5.459

Habitat Characteristics of Affecting on Bird Community in Specific Islands, South Korea1a

Hyun-Su Hwang2*, Hye-Jin Kim3, Yun-Kyoung Lee4, Hyun-Chul Shin5, Hyoun-Gi Cha6
2National Ecosystem Survey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
3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4National Ecosystem Survey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
5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
6National Ecosystem Survey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

a 이 논문은 국립생태원에서 지원하는 연구비(NIE-C-2018-01, NIE-C-2019-01, NIE-C-2024-01)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hhs1124@nie.re.kr
09/07/2024 30/09/2024 02/10/2024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17 to October 2019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habitat variables and bird diversity on 65 specific islands in the east and southern coastal regions of South Korea. Habitat valuables on each island were divided by the area of the island from the digital topographic map, distance from land (including island and mainland), and land cover. The bird diversity index was affected by the area of islands and the proportion of land cover of forest, water, and grass. The area of habitat was related to the carrying capacity of species richness. Increasing the area of the island c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ird diversity. Spatial diversity in habitat increases the habitat usage of birds, which have different behaviors in foraging and breeding. Thus, increasing the area and spatial diversity in habitat positively correlate with bird diversity. Our results may be valuable for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bird communities on specific islands in South Korea.



특정도서에 서식하는 조류 군집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지 특성1a

황현수2*, 김혜진3, 이윤경4, 신현철5, 차현기6
2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전문위원
3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과정
4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전임연구원
5국립생태원 환경영향평가팀 선임연구원
6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전문위원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 분포하는 특정도서에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미치는 서식지 요인의 구명을 위해 2017년 5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하는 65개의 도서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서식지 환경은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산출된 도서의 면적과 육지로부터의 거리, 토지 피복 유형을 구분하여 이용하였다. 조사지역의 서식지 환경과 조류 군집의 생물다양성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도서 내 숲의 비율과 더불어 수역의 비율, 도서의 크기, 초지의 비율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서식지의 크기는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의 증가와 연관되며, 이는 생물의 수용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또한 서식지 내 환경의 다양성은 조류 군집의 서식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에 따라 보다 다양한 환경을 갖는 서식지에서 생물다양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 결과는 조류의 서식지 및 중간 기착지로 가치가 높은 국내 특정도서의 조류 군집의 보존 및 종 다양성 증진을 위한 기초 생태자료로서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 론

    이동 시기에 중간 기착지(Stopover site)는 철새에게 휴식지와 취식지의 역할을 하며, 번식과 월동을 위해 장거리를 이동하는 개체의 생존율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Stanley et al., 2021;Schmaljohann et al., 2022). 한반도의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하는 도서는 조류의 중간 기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동시에 괭이갈매기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수조류(water bird)에게 인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중요한 서식지로서의 역할을 한다(Son et al., 2021;Lee et al., 2023).

    조류의 서식지 선택과 서식지 환경 사이의 관계에 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Dologez et al. 2002;Gunnarsson et al., 2005;Londe et al., 2021), 국내 도서지역은 접근성의 한계로 인해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생물의 서식지 선택은 공간, 물, 먹이자원에 영향을 받으며, 종에 따라 공간의 규모와 서식지 환경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조류는 종에 따라 생태적 지위(niche)에 차이가 발생하며 그에 따라 서식지 내 환경의 다양성은 먹이자원을 비롯하여 공간의 양적 및 질적 차이를 발생시켜 조류의 서식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Korňan and Adamík, 2007;Liordos, 2010;Chatterjee et al., 2020).

    특히, 도서지역은 육지로부터 떨어져 독립된 서식 환경을 가지며 조류의 서식지 선택을 보다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특정도서 지역에서 번식기에 서식지 환경과 조류 군집의 다양성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번식기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도서의 환경 요인을 구명하고, 국내 도서 지역의 조류 군집의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관리방안의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본 연구는 서식지 특성과 조류 군집의 다양성 사이의 관계 구명을 위해 2017년 5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특정도서 내 조류 군집을 조사하였다. 국내 특정도서는 2005년부터 환경부에서 경관이 우수하거나 생물다양성이 높은 도시지역을 보호지역으로 지정 및 관리하는 지역으로 현재 260개의 특정도서가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국내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하는 65개의 특정도서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2. 조사분석

    국내 특정도서에서 서식하는 조류 군집의 다양성 확인을 위해 2017년 5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조류상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지역에서 확인된 조류 군집은 생물다양성 지수(Shannon-Weaver Index)를 활용하여 수치화하였다.

    H = i = 1 R p i ln p i

    번식기의 조류 군집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지 환경 요인의 구명을 위해 8가지의 환경 변수를 산출하였다. 수치지형도(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21)를 기반으로 각 도서의 경계를 구분한 뒤 특정도서별 면적을 산출하였다. 또한, 각 내륙과 특정도서를 포함한 육지로부터의 최단 거리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토지피복도(Ministry of Environment, 2019)를 기반으로 대분류 유형으로 각 특정도서의 토지피복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Table 1). 조사 지역의 서식지 환경요인은 ArcGIS(ArcGIS 10.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번식기에 특정도서에서 확인된 조류 군집의 다양성에 환경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식지 환경변수와 조류 군집의 다양성 사이의 상관관계 구명을 위해 Spearman correla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특정도서에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Hwang et al., 2024). 통계분석은 R(Ver. 4.2.1) 프로그램의 MASS 패키지를 이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2017년 5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국내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하는 65개의 특정도서에 서식하는 조류상을 조사한 결과 15목 40과 110종 7,878개체의 서식을 확인하였다(Table 2). 도요목(Charadriiformes) 조류가 20종 2,918개체의 서식이 확인되어 가장 많은 개체수의 서식이 확인되었고, 참새목(Passeriformes)은 50종 1,766개체가 서식하여 가장 다양한 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의 생물다양성과 서식지 환경 사이의 상관분석 결과 생물다양성은 도서의 면적(r = 0.33, p = 0.01), 도서 내 산림 피복의 비율(r = 0.32, p = 0.01), 나지의 비율(r = -0.44, p <0.01)과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 내 산림의 피복 비율은 도서의 크기와 정의 관계(r = 0.29, p = 0.03)를 가진다. 더불어 도서 내 산림의 피복 비율은 초지의 피복율(r = -0.62, p <0.01), 나지의 피복율(r =-0.76, p <0.01), 수역의 비율(r = -0.44, p <0.01)은 부의 관계를 보였다. 초지의 피복율은 수역의 비율과 정의 관계(r = 0.30, p =0.02)를 가지며, 나지의 피복율은 수역의 비율과 정의 관계(r = 0.42, p <0.01)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2).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특정도서에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도서 내 숲의 면적 비율과 더불어 수역의 비율, 도서의 크기, 초지의 비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특정도서에 서식하는 조류 군집의 종 다양성 지수는 도서 내 숲의 비율(coefficient = 0.007, r2 = 0.148)과 수역의 비율(coefficient = 0.153, r2 = 0.123), 도서의 면적(coefficient = 0.000, r2 = 0.106), 초지의 비율(coefficient = 0.004, r2 = 0.043)과 정의 관계를 보이며, 나머지 변수는 조류의 생물 다양도 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추출되지 않았다.

    생물다양성은 서식지의 규모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Loke et al., 2019;Schrader et al., 2019), 일반적으로 서식지 규모의 증가는 서식지 환경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며, 그에 따라 생물다양성이 증가한다(Si et al., 2017;Sin et al., 2021). 한편 일부 연구에서는 규모가 작은 서식지에서는 서식지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생물다양성의 한계로 인해 서식지 규모와 생물다양성 사이에 평형 상태를 갖는다고 말한다(Barrett et al., 2003;Morrison, 2014). 그러나 서식지의 수용 능력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한계는 배타적인 서식지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다(Chisholm et al., 2016).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하는 특정도서는 규모가 작고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무인도서가 대부분이며, 도서 사이의 거리가 멀지 않아 각 도서는 배타적인 환경을 갖는다고 말하기 어렵다. 그에 따라 서식지 사이의 연결성이 확보된 국내 특정도서에서 서식지의 면적은 조류 군집의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선택된 것으로 판단된다.

    서식지 내 토지 피복의 다양성은 서식지 다양성과 더불어 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의 증가를 야기하여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킨다(Carrasco et al., 2018;Ozdemir et al., 2018). 내륙에서 숲은 참새목을 비롯한 다양한 조류의 서식처로 이용되며, 숲의 규모는 조류 군집의 생물다양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Mönkkönen et al., 2014;Maseko et al., 2020). 이러한 영향은 도서 지역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며 도서 내 숲의 면적은 다양한 조류에게 중간 기착지로서의 서식지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Lima et al., 2012). 본 연구에서 특정도서에 서식이 확인된 조류 가운데 참새목의 종 수가 가장 많았으며, 그에 따라 서식지의 선호도에 숲의 면적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수역으로 구분된 지역은 수치지형도의 해발 고도를 기준으로 제작된 도서 경계에 대한 토지피복 유형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실제 해양의 면적이라기보다는 간출지(mesolitoral zone)의 면적으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 간출지는 도요목과 물떼새목 조류의 주요 채식지로의 역할을 하며 (Finn et al., 2008;Gliesch et al., 2023) 도서 지역 내 간출 지의 면적은 도요목과 물떼새목 조류의 유입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특정도서는 환경부에서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지역으로 인간의 간섭이 제한되어 자연적인 서식지 환경을 보전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서의 서식지 규모와 서식지의 다양성은 다양한 조류의 유입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특정도서를 이용하는 조류 군집의 다양성 증진을 위한 관리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조류의 서식지 선택은 서식지 환경과 더불어 조류의 이동 경로 상의 지리적 위치 역시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동 경로를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KJEE-38-5-459_F1.gif

    Location of specific islands in the study, Korea peninsula.

    Table

    Habitat valuables on specific islands in Korea peninsula

    List of birds on specific islands in Korea peninsula

    Correlation among the habitat valuables and biodiversity of birds on specific island in South Korea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model used determine the effects of habitat valuables on bird biodiversity index (H’) on specific islands in South Korea

    ·: <i>p</i><0.1, <sup>*</sup>: <i>p</i><0.05, <sup>*</sup><sup>*</sup>: <i>p</i><0.01, <sup>*</sup><sup>*</sup><sup>*</sup>: <i>p</i><0.001
    Model <i>r</i><sup>2</sup>=0.692, <i>p</i><0.001

    Reference

    1. Barrett, K., D.A. Wait and W.B. Anderson ( 2003) Small island biogeography in the gulf of California: lizards, the subsidized island biogeography hypothesis, and the small island effect. Journal of Biogeography 30: 1575-1581.
    2. Carrasco, L., L. Norton, P. Henrys, G.M. Siriwardena, C.J. Rhodes, C. Rowland and D. Morton ( 2018) Habitat diversity and structure regulate British bird richness: Implications of non-linear relationships for conserv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226: 256-263.
    3. Chatterjee, A., S. Adhikari, S. Pal and S. K. Mukhopadhyay ( 2020) Foraging guild structure and niche characteristics of waterbirds wintering in selected sub-Himalayan wetlands of India. Ecological Indicators 108: 105693.
    4. Chisholm, R.A., T.F. Fung, D. Chimalakonda and J.P. O'Dwyer ( 2016) Maintenance of biodiversity on island.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83 (1829): 2016 0102.
    5. Dologez, B., E. Danchin and J. Clobert ( 2022) Public Information and breeding habitat selection in a wild bird population. Science 297 (5584): 1168-1170.
    6. Finn, P.G., C.P. Catterall and P.V. Driscoll ( 2008) Prey versus substrate as determinants of habitat choice in a feeding shorebird.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80(3): 381-390.
    7. Gliesch, L., B.A. Linhares, C.P. Ozorio, P.H. Ott, J. Jacoby, L. Bugoni and G. T. Nunes ( 2023) Specialist shorebird respond to prey and habitat availability through trophic plasticity. Food Webs 36: e00300.
    8. Gunnarsson, T.G., J.A. Gill, J. Newton, P.M. Potts and W.J. Sutherland ( 2005) Seasonal matching of habitat quality and fitness in a migratory bird.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72 (1578).
    9. Hwang, H.S., D.R. No and Y.K. Lee ( 2024)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bird diversity o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Cheonwangbong to Aghwibong Reg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Ecology 38(1): 48-54.
    10. Korňan, M. and P. Adamík ( 2007) Foraging guild structure within a primaeval mixed forest bird assemblage: A comparison of two concepts. Community Ecology 8: 133-149.
    11. Lee, J.H., I.C. Kim, S.W. Lee, J.J. Son, J.U. Jang and H.C. Sung ( 2023) International importance of tidal flats in the Republic of Korea as shorebird stopover sites in the East Asian– Australasian flyway. Avian Conservation and Ecology 18(1): 23.
    12. Lima, R.F., M. Dallimer, P.W. Atkinson and J. Barlow ( 2012) Biodiversity and land-use change: Understanding the complex responses of an endemic-rich bird assemblage.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9(4): 411-422.
    13. Liordos, V. ( 2010) Foraging guilds of waterbirds wintering in a Mediterranean coastal wetland. Zoological Studies 49(3): 311-323.
    14. Loke, L.H.L., R.A. Chisolm and P.A. Todd ( 2019) Effects of habitat area and spatial configuration on biodiversity in an experimental intertidal community. Ecology 100(8): e02757.
    15. Londe, D.W., R.D. Elmore, C.A. Davis, S.D. Fuhlendorf, T.J. Hovick, B. Luttbeg and J. Rutledge ( 2021) Fine-scale habitat selection limits trade-offs between foraging and temperature in a grassland bird. Behavioral Ecology 32(4): 625-637.
    16. Maseko, M.S.T., M.M. Zungu, D.A.E. Smith, Y.C.E. Smith and C.T. Downs ( 2020) Effect of habitat-patch size and patch isolation on the diversity of forest birds in the urban-forest mosaic of Durban, South Africa. Urban Ecosystems 23: 533-542.
    17. Mönkkönen, M., A. Rajasärkkä and P. Lampila ( 2014). Isolation, patch size and matrix effects on bird assemblages in forest reserve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23: 3287-3300.
    18. Morrison, L.W. ( 2014) The small-island effect: Empty islands, temporal variability and the importance of species composition. Journal of Biogeography 41(5): 1007-1017.
    19. Ozdemir, I., A. Mert, U.Y. Ozkan, S. Aksan and Y. Unal ( 2018) Predicting bird species richness and micro-habitat diversity using satellite dat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424(15): 483-493.
    20. Schmaljohann, H., C. Eikenaar and N. Sapir ( 2022)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and evolutionary function of stopover in migrating birds. Biological Reviews 97: 1231-1252.
    21. Schrader, J., S. Moeljono, G. Keppel and H. Kreft ( 2019) Plants on small islands revisited: The effects of spatial scale and habitat quality on the species–area relationship. Ecography 42: 1405- 1414.
    22. Si, X., M.W. Cadotte, D. Zeng, A. Baselga, Y. Zhao, J. Li, Y. Wu, S. Wang and P. Ding ( 2017) Functional and phylogenetic structure of island bird communities. Journal of Animal Ecology 86: 532-542.
    23. Sin, Y.C.K., N.P. Kristensen, C.Y. Gwee, R.A. Chisholm, F.E. Rheindt ( 2021) Bird diversity on shelf islands does not benefic from recent land-bridge connections. Journal of Biogeography 49: 189-200.
    24. Son, S.J., K.S. Lee, I.K. Kwon, J.H. Kang, S.K. Lee, I.K. Kim, H.J. Cho and J.C. Yoo ( 2021)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population trends, breeding success, and nest characteristics in the Chilsan Archipelago, South Korea. Ornithological Science. 20(1): 57-64.
    25. Stanley, C.Q., M.R. Dudash, T.B. Ryder, W.G. Shriver, K. Serno, S. Adalsteinsson and P.P. Marra ( 2021) Seasonal variation in habitat selection for Neotropical migratory songbird using high-resolution GPS tracking. Ecosphere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