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기후 위기 이슈에 더해 COVID-19 상황을 지나오며 녹지는 더 이상 복지와 서비스의 대상이 아닌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필수 대상이 되었다(Geng et al., 2020;Volenec et al., 2021). 도심 내 녹지는 탄소흡수 및 저장, 공기정화, 열섬현상 완화 등과 같은 생태·환경적 기능(Elmqvist et al., 2015;Kim et al, 2018)과 함께 COVID-19 상황에서의 사회적 관계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의 완화와 심신의 피로감 해소와 같은 정서적 기능(Kim et al, 2021)을 가진다. 팬데믹(Pandemic)에 의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장기화는 거주지 중심의 생활 활동의 증가로 이어져 도보권 근린공원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고(Je and Jung, 2020), 따라서 도시의 공원과 녹지는 모든 시민이 쉽게 접근 가능하고, 도시민 누구나 질 좋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형평성을 갖추도록 요구되고 있다(Chiesura, 2004;Myeong, 2017).
환경과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의식과 필요성에 의해 도심 내 공원 및 녹지의 양적 확충 노력은 이전부터 계속되고 있으나 균등분배에 있어서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지적되고 있다(Lee and Jung, 2012). 현재의 도시는 토지의 집약적 이용으로 신규 조성 주거지역 이외에는 적정규모의 공원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장기적인 도시 계획에 의한 공간 확보에는 시간적 소요가 크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녹지의 편중 현상과 절대적 부족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Hong and Park, 2003). 이에 녹지 공급 확충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과 분석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 균등분배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과거 녹지정책이 도시공원의 공급과 현황 측면의 단순 평가에 그친 연구를 바탕으로 하는 공급자 중심이었다면, 최근에는 시민참여가 강조되면서 도시관리 정책의 수혜자인 시민의 체감 만족도 중심으로 녹지정책이 전환되고 있다 (Cho, 2004). 이는 도시공원의 양적 확충 노력과 더불어 질적 향상과 지속가능한 공원 조성에 대한 노력의 필요성을 의미하며, 그에 대한 방향성을 기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지만 대부분 도시공원 또는 생활권공원으로 한정되어 있다. 공원 접근성과 사회경제적 특성 간의 관계를 탐색한 Talen(1997; 2003)과 GIS와 AHP의사결정 방법을 이용한 도시 공원 입지분석을 연구한 Hong and Park(2003), 소득격차와 공원접근성 상관관계를 분석한 Wolch et al.(2005), 도시공원의 접근 형평성을 분석한 Nicholls, S.(2010), 군집분석을 통한 분배적 형평성을 분석한 Kim(2014), 도시공원의 공급 특성을 분석한 Moon and Ban(2015) 외 많은 연구에서 대상녹지를 도시공원과 생활권공원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도시주민들이 법과 제도에 의거한 공식적인 공원녹지만을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주변 산, 약수터, 학교 캠퍼스 등 녹화된 공간 대부분을 공원녹지로 인식한다는 연구(Son and Lee, 2005)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용(use)’을 넘어 ‘체감형(sensible)’, ‘수요자 중심형(demand-driven)’ 으로 녹지의 범위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Son and Lee(2005)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어가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 중의 하나인 공원녹지에 대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정이 요청되고 있으며, 도시민의 공원녹지에 대한 의식을 바탕으로 한 정책 추진을 주장하였다. Park et al.(2007)은 산지가 많은 지형 특성과 개발제한 구역 설정에 따라 시가화구역의 집중 개발과 도시 외곽을 둘러싼 산림녹지의 존재로, 도시 전체 녹지율은 높은 반면,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시가화구역 내에서 매우 낮은 녹지율을 나타내고, 이는 주거지 생활공간에서 주민들이 실제 느끼는 녹지율이 도시의 행정구역 전체에 대한 녹지 지표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서울시를 비롯한 다수의 지자체에서「2030 도시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이용자의 관점에서 ‘녹지의 질적 제고’를 지향하고 생활권 단위의 다양한 녹지 유형을 제공하기로 계획하였고, 이는 도시별 공원의 공급면적에 집착하지 않고 손쉽게 찾아 즐기는 도시공원을 만들어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이러한 문헌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민 체감형, 수요자 중심형의 녹지를 ‘체감녹지(Public Perception Green Spaces)’로 정의하고 녹지불균형 평가대상을 확장하였다.
생활권공원으로 한정된 공급자 위주의 불평등 평가 방법은 녹지의 생태·환경적 기능과 정서적 기능을 소극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Ko et al, 2019), 수요자의 요구도(needs)를 고려하지 않은 공급자 위주의 평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14). 이에 체감녹지의 개념을 바탕으로 도시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녹지 중에서 자료의 구득이 용이하고 이해 가능한 범위를 대상 녹지로 선정 하고, 주거지로부터의 접근성과 녹지의 서비스권역을 물리적 제한사항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분석자료를 기존의 녹지 불평등 평가 결과와 비교·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도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녹지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법률에서 정하는 공원·녹지의 신규 조성이 어려운 도시 여건에서 더 많은 도시민이 생활권 내 녹지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이미 존재하는 녹지의 제도권 편입과 관리 방안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녹지의 불균형을 평가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16개 구·군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Figure 2). 부산광역시는 금정산줄기와 금련산줄기가 틀을 형성하고 있고 부산시 서쪽으로는 남북을 통과하는 낙동강과, 동해와 남해로 둘러싼 해안이 위치하고 있는 풍부한 자연환경 조건을 가진 도시이다. 도심 내 많은 산을 경계로 여러 생활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한반도 남동부에 위치하여 16개 구‧군이 각자의 독특한 지리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의 도시공원과 녹지의 세부 기준에 따른 부산광역시 공원·녹지 현황은 Table 1과 Table 2와 같다. 부산광역시의 결정된 공원면적을 기준으로 1인당 공원면적은 13.7㎡이며, 조성된 공원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1인당 6.2㎡으로 분석되어 법률에 따른 공원·녹지 확보 기준인 ‘주민 1인당 확보면적 6㎡이상’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산광역시 공원녹지과에서 제공하는 ‘도시공원·유원지·녹지현황’에 따른 23년 기준 부산광역시의 결정 공원은 유원지를 포함하여 1,042개소(49.227㎢)이며, 조성이 완료된 공원은 546개소(8,173㎢)로 결정면적의 현황대비 조성완료 비율이 17.7%에 그치고 있다. 「2040년 부산시기본계획」에 따르면 이러한 부족한 조성 비율의 원인 중 하나로 부산시의 풍부한 자연환경이 공원의 필요성에 대한 상대적 인식 부족으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이미 이용자가 많은 해안가 등의 자연환경에 인접하여 공원이 조성되고 있어 공원 공급 편차가 존재한다고 분석하였다.
2. 자료 구축
1) 대상녹지 선정
본 연구에서는 체감녹지 대상을 공원녹지와 시설녹지, 산림녹지로 분류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Lee and Jung(2012) 은 공간분석을 활용한 녹지의 불균형 평가 연구에서 대구광 역시의 녹지를 대상으로 공원녹지, 시설녹지, 산림녹지, 수변녹지, 생산녹지, 기타녹지로 분류하여 인간의 이용성이 높고 식생 피복률이 높으며, 환경생태학적으로 가치 있는 유형을 선정하였는데, 이에 본 연구에서 해당 분류기준을 참고하여 공원녹지, 시설녹지, 산림녹지를 분류기준으로 하여 체감녹지로 선정하였다.
시설물 비중이 높은 어린이공원과 체육공원, 출입에 제한이 있는 묘지공원과 문화공원을 제외한 도시공원을 공원녹지로 분류하였고, 완충녹지와 경관녹지는 시설녹지로, 유원지를 포함하여 자연공원과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는 도심내 산지는 산림녹지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녹지의 이용적 측면과 더불어 오염물질 정화,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완충, 생물다양성 증진 등의 환경생태학적 측면에서 녹지의 혜택이 모두에게 평등한가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불투성 포장재의 사용이 많거나 이용시간 등에 제한이 있는 공원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Table 3). 연결녹지의 경우도 좁고 길게 이어진 선형의 형태로 주로 생태통로로써 가치가 있는 곳을 선정하게 되므로 주민의 이용적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져 제외하였고, 1,000㎡ 이하로 조성된 시설녹지는 주민의 물리적 이용을 위해 조성된 공간이 아니라는 점과 조성 후 관리 정도를 파악하기 힘든 점을 감안하여 제외하였다 (Table 4).
2) 조사단위 선정
집계구(census tract)는 기초단위구를 결합시켜 만든 구역으로, 기초단위구에 통계적 특성인 동질성(주택유형, 지가), 동량성(최적인구 500명)을 부가하여 구축한 최소 통계 집계 구역을 말한다(Statistics Korea Regulations on Provision of Statistical Data, Statistical Office of Korea Decree 295). 센서스 통계를 위해 만들어진 집계구 단위는 읍면동 행정단위가 너무 커서 동질적인 공간으로 보기 어려운 한계로 제시된 공간 단위로, 행정구역과 계층성을 유지하면서 사회경제적 동질성을 확보하는 특징을 가진다(Lee, 2019). 본 연구에서는 공간 단위(polygon)를 임의의 점속성(point)으로 대표하여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 중 발생되는 공간단위 임의성의 문제(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건으로 집계구를 조사단위로 선정하였다(Figure 3). 기존의 연구 방식에서 사용되어지는 100m, 250m, 또는 500m 격자의 조사구를 사용했을 때보다 정밀하고 현실적인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다(Lee et al., 2016).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로부터 2022년 집계구 통계자료를 취득하고 집계구 내 인구가 ‘0’인 집계구를 제외한 유효 집계구(Valid census tract) 현황을 Table 5에 나타내었다.
3) 데이터 구축
GIS 네트워크 분석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점형(point) 데이터는 부산시에서 제공하는 ‘23년 부산광역시 도시공원·녹지·유원지 현황’ 자료로부터 이미 조성이 완료된 근린공원, 소공원, 역사공원, 수변공원을 공원녹지로 지정하여 각 공원의 도로명주소를 지오코딩(geocoding)을 통해 위치 정보로 구축하였다. 특히 10만㎡ 이상의 대형 공원녹지는 도형 중심점(polygon centroid)의 경우 이용자의 측면에서 정확한 서비스 권역을 분석하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전자지도와 공원이용도를 참고하여 출입구별 점형 데이터를 다수로 지정하였다. 시설녹지로 분류하는 완충녹지와 경관녹지 데이터도 공원녹지와 동일한 원천데이터로부터 동일한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하나의 주소로 지정이 어려운 완충녹지의 경우는 부산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지적도상 공원 위치 데이터를 참고하여 도형 중심점을 점형 데이터화 하였다. 산림녹지의 경우는 산림빅데이터에서 2020년 기준 등산로 자료를 내려받아 전자지도의 위성자료를 참고하여 등산로 입구를 지정하여 점형 데이터화 하였다. 한편 산림 녹지에 유원지를 포함하고, 통계에 들어가지 않는 기타 공원과 미조성 공원도 많은 이용자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공원 녹지로 포함하여 분석하였다(Table 6).
집계구의 점형 데이터는 행정구역 내 모든 인구를 대표하는 위치를 선정해야 하므로 대표성과 정확성의 문제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준 인구중심점(population weighted centroid)으로 선정하였다(Joo and Kim, 2007). 기존 연구에서 이용했던 수요 데이터(인구중심점)는 조사구에 인구가 균등하게 분포하고 수요의 규모가 동일하다는 가정에서 행정구역의 중심점이나 격자를 이용해 왔다. 이러한 분석상의 가정과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현실적인 데이터 획득을 위해 집계구 내에서 주거용 건축물이 집중되어 있는 곳으로 대표 위치를 이동하였다. 인구 중심점의 이동은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공동주택의 경우를 고려하여 국가중점데이터에서 2022년 기준 건물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제공받아 주거용도 건축물의 연면적으로 가중치를 주어 평균좌표값(mean coordinate)을 인구중심점으로 산출하였다. 집계구 내 주거용도의 건축물이 없는 경우에는 도형 중심점을 인구중심점으로 구축하였다(Figure 4).
3.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체감녹지를 대상으로 부산광역시 16개 구· 군에 대해 서비스권역 분석과 접근성 분석을 수행하여 실질적인 녹지 불평등 정도를 파악하였다. 서비스권역(service area)과 접근성 분석(accessibility analysis)은 주거생활환경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로서 도심 내 부족한 공원 배분의 형평성을 평가하고, 소외지역에 대한 공원 조성 계획 시 우선 선정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QGIS의 네트워크 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제 이동 경로상의 장애요인(하천·철도 및 건축물)을 반영한 서비스권역과 가장 가까운 녹지까지의 평균 접근거리를 분석하였다. 녹지 불평등 평가 연구에서 양적 지표(전체 공원면적, 1인당 공원면적, 공원 개소수 등)와 같은 단편적 통계 수치를 주로 사용했던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두어,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이 체감하는 환경 변수를 고려한 수요자 중심의 접근성과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권역을 모두 분석하였다. 더불어 분석 결과를 「2020년 국토모니터링 보고서」의 평가 내용과 비교·분석하여 연구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2020 국토모니터링 보고서」는 국토교통부가 2020년 국토조사를 통해 전 국토를 행정구역과 격자망으로 분석·진단한 보고서로, 국민생활과 밀접한 국토지표를 통해 국토변화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구, 사회, 토지, 경제, 생활, 복지, 국토인프라 등 분야별 통계자료를 총 390여 종의 국토지표로 나타내었으며, 생활SOC 사각지대의 진단, 국토계획·도시계획 등에 필요한 기초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 지표의 설정 등 기초자료료 활용되고 있다(Press release of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1). 국토모니터링 보고서의 주요 지표 중 ‘생활과 복지’ 부분에서 생활권공원의 접근성 및 서비스권역 내 인구 현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의 분석 방법과 유사한 부분이 있어 체감녹지로의 대상지 확장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비교하는 자료로서 의미가 있는 진단 자료라고 할 수 있다.
1) 서비스권역 분석
서비스권역의 경우 기존에는 녹지 대상지로부터 직선거리 버퍼(buffer) 분석을 주로 사용하였으나(Eun and Lee, 2016;Seo and Jun, 2011), 이는 이동경로상 물리적 제한요 소를 고려하지 않고 있어 실질적인 권역 분석에는 부족한 면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통망 GIS 데이터베이스의 보행로상 제한인자를 고려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Oh and Jeong, 2005;Hwang et al., 2022). 네트워크 분석 알고리즘으로 QGIS의 QNEAT3를 이용하여 보행속도 4㎞ /h로 10분 거리 내 이용 가능한 인구를 분석하여 체감녹지 서비스권역을 도출하였다(Figure 5). 보행속도는 성인기준 (4.5~5㎞)에서 노약자와 어린이 동반의 경우를 고려하여 산정하였으며, 체감녹지의 서비스권역 인구 비율은 10분 내 이용 가능 인구를 전체 인구로 나눈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2) 접근성 분석
접근성 분석은 서비스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로, 이용자가 대상 시설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 및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시설의 공급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입지효율성 관점의 분석 방법이다(Lee and Yoon, 2018). 본 연구에서는 녹지의 편중 현상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써, 기점과 종점(origin-destination)의 행렬(matrix) 계산을 통해 기-종점 간의 최단 경로를 분석하였다. QGIS의 QNEAT3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역시 보행속도 4㎞/h를 적용하고 집계구 내 인구중심점을 기점(origin)으로, 대상녹지를 종점(destination)으로 하여 행렬 간 최단거리의 평균값을 도출하였다(Figure 6). 교통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행렬 분석은 인구중심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도로망까지의 직선거리, 도로망을 따라 이동한 거리, 그리고 도로망으로부터 녹지 기준점까지의 직선거리를 모두 더 한 것으로서 최근접 도달거리의 평균값을 구할 수 있다.
결과 및 고찰
1. 분석 결과
1) 체감녹지 서비스권역 분석
부산광역시 16개 구·군에 대해 체감녹지를 중심으로 거주지까지 도보 10분 내에 해당하는 서비스 이용 가능 인구를 분석하였다(Table 7). 부산시 전체 평균(69.6%)보다 높은 비율로 북구(89.2%), 수영구(80.5%), 기장군(79.3%), 동래구(79.2%), 중구(77.32%), 강서구(77.1%), 해운대구(75.4%), 사상구(73.6%), 금정구(71.6%)의 순서로 서비스 이용 가능 인구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하구(69.5%), 연제구(67.2%), 남구(61.2%), 서구(51.6%), 부산진구(47.3%), 영도구(43.2%), 동구(33.2%)는 부산시 전체 평균 이하의 서비스권역 비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감녹지의 도보 10분 내 서비스권역 분석 결과를 「2020년 국토모니터링 보고서」의 도시공원 서비스권역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Table 8). 국토모니터링 보고서의 서비스 권역 분석은 생활권공원(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을 대상으로 주거지를 500m 격자 공간 단위로 구축하였고, 분석 방법은 도로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분석 방법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체감녹지(공원 녹지, 시설녹지, 산림녹지)와 집계구 공간단위에 대한 차별성이 강조되는 분석으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체감녹지 서비스권역 내 인구 비율 분석 결과를 국토모니터링 보고서의 생활권공원 10분 내 인구비율과 비교한 결과, 16개 중 금정구를 제외한 모든 구·군에서 체감녹지로부터 도보 10분 내 인구비율이 높게 나타났다(Figure 7). 특히 중구와 서구, 사하구, 동래구 경우에서 국토모니터링 보고서의 서비스 가능 인구비율과 비교하여 30% 가까이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구의 경우 조성이 완료된 공원녹지와 시설녹지는 전무 하였으나 천마산과 진정산, 사하구와 부산진구에 걸쳐 자리하는 구봉산 등을 오르는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어 생활권공 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와 비교할 때, 서구 인구의 50% 이상이 도보권 내에 산림녹지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하구 역시 승학산과 구덕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와 낙동강변을 따라 이어진 넓은 면적의 시설녹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동래구는 온천천을 따라 조성된 질 좋은 수변공원과 역사공원의 역할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상구의 경우에는 25개소의 어린이공원을 제외한 분석에도 불구하고 승학산과 엄궁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와 시설녹지의 포함으로 70% 이상의 서비스권역 내 인구비율을 나타내었다.
중구는 부산의 대표적인 구도심으로서 16개 구·군 중 가장 작은 수의 집계구와 인구를 가지고 있는 곳으로, 서비스 권역 내 인구비율의 차이는 부산시 최초의 근린공원인 용두 산공원과 서구 경계에 걸쳐 있는 중앙공원의 미조성 분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020년 7월부터 공원 조성에 대한 선정기준 변경으로 조성(조성+조성중), 미조성이었던 기준을 조성, 조성중, 미조성으로 세분하였으며, 실제 시민들이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있는 용두산공원, 중앙공원, 화명공원, 금강공원 등이 공원 내 일부 사유지 매입이 완료되지 않아 분류상 미조성인 것으로 분류되어 있다(2030 Busan Urban Master Plan 2nd Monitoring, 2020).
한편 북구, 기장군, 해운대구, 강서구는 시설녹지와 산림 녹지의 비중이 높은 편이나 어린이공원의 개소수가 많은 구로서 실질적인 서비스인구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시설물의 비중이 큰 어린이공원이 녹지로서의 역할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는가의 문제와 별개로, 밀집된 도시 내에서 공원녹지를 위한 대규모 공원 부지의 확보가 어려운 현실적 여건에 따라 어린이공원을 중심으로 한 공원시설의 획일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수치로 볼 수 있다(2040 Busan Urban Master Plan, Parks· Green spaces Plan).
2) 체감녹지 접근성 분석
부산광역시의 16개 구·군에 대해 주거지로부터 가장 가까운 녹지까지의 거리를 분석해 보았다(Table 9, Figure 8). 최근접 녹지까지의 평균 거리를 분석한 결과, 중구가 449m로 가장 접근성이 좋았고, 북구(484m), 동래구(515m), 수영구(539m), 금정구(596m), 해운대구(622m), 연제구(626m) 순서로 700m 이하의 접근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분석 방법으로 생활권공원을 대상으로 접근 거리를 분석한 국토모니터링 보고서의 평균값(1.58㎞)보다 상당히 가까운 것(평균 0.7㎞)으로, 부산시 도시공원 중 조성률이 가장 높은 어린이공원을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음에도 모든 자치구에서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장군의 경우는 최근 동부산으로 치중되어 개발사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천마산과 달음산 자연휴양림 등 경관자원이 풍부한 곳으로서 체감녹지의 관점에서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하였다(Figure 8). 강서구의 경우는 공원녹지는 물론 시설녹지의 비중이 가장 큰 자치구로 역시 체감녹지로 대상을 확대한 결과값으로 해석되었다. 북구는 동쪽으로 금정산과 남쪽으로 백양산이 전반에 걸쳐 있고, 낙동강을 따라 화명생태공원이 서쪽으로 자리잡고 있어 체감녹지로 대상을 확대한 결과가 높은 접근성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10에 체감녹지와 생활권공원을 대상으로 각각의 접근성을 분석하여 자치구별 순위 변동을 나타내었다.
3) 체감녹지면적 분석
부산광역시 구·군별 녹지(도시공원, 녹지, 유원지, 자연공 원) 총면적을 해당 행정단위의 인구수로 나눈 1인당 녹지면적(㎢/인)을 순위로 나타내고(Table 11), 이를 체감녹지의 서비스권역과 주거지로부터의 접근거리 별 자치구 순위와 비교하였다(Table 12). 서비스권역과 접근거리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자치구가 상·하위권을 큰 순위변동 없이 자리했으나 인구 1인당 녹지면적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중구, 동래구, 수영구의 경우가 가장 눈에 띄는 비교 결과를 나타내었고, 서구, 동구는 모든 순위에서 하위를 나타내었다. 해안과 낙동강을 접하고 있는 해운대구와 강서구, 기장군은 모든 순위에서 상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고찰
전통적으로 공원과 녹지는 양(量)적 평가를 통해 접근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해 왔다. 그래서 행정구역 경계를 기준으로 공원과 녹지를 양적으로 측정하고, 수혜자들 역시 행정경계를 기준으로 산출하다보니 실제적인 접근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있어 왔다(Lee and Jung, 2012;Kim et al., 2015). 국토의 65%가 산지인 우리나라의 특성을 고려하면 실제 녹지율이나 1인당 공원면적 등은 결코 낮지 않다. 특히, 대규모 주거단지로 조성되는 지역에서 녹지의 접근성은 실제 지표와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요자 중심의 ‘체감녹지’를 공원녹지(도시공원, 역사공원, 수변공원)와 시설녹지(완충녹지, 경관녹지), 산림녹지(유원지, 산림)로 분류·수집하고 보행로를 따라 10분 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인구와 가장 가까운 녹지까지의 접근거리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녹지 불평등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서비스권역 분석과 접근성 분석이 데이터 구축과 수집의 한계로 수요자 입장이 아닌 공급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데에 그쳤다면, 본 연구에서는 통계 최소단위인 집계구와 녹지 면적·형태별 대표 포인트의 수집·가공을 통해 거주민이 체감하는 녹지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의 사용으로 기존 연구에서 가졌던 지형적 한계를 보완하여 보다 현실적인 녹지 서비스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16개 구·군에 대한 체감녹지 서비스권역 분석 결과는 Figure 9와 같다. 이는 녹지가 주는 생태계 서비스의 혜택을 받는 인구를 각 구·군별로 측정한 것으로, 녹지 에 인접해 거주하는 인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난 곳은 북구였으며, 동구가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녹지 총량을 순위로 나타낸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주거지를 기준으로 녹지까지의 거리를 분석한 결과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녹지의 총량만으로 실제적인 녹지 혜택을 측정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녹지공급 평가에서는 공급자의 측면 뿐 아니라 수요자의 측면에서도 평가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기존 녹지불평등 평가를 보완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자료 수집에서 다소 제한이 있다. 녹지의 면 단위 데이터(area)와 조성된 녹지의 완성도(quality)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분석은 실제 녹지를 이용하는 주민의 만족도를 공간적 배분으로만 제한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체감녹지의 관점에 따라 연구 대상 녹지 이외에 가로수와 대규모 단지 내 조성된 공원녹지, 학교숲 등도 분석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정량화된 자료를 취득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한 접근거리 분석에서는 철도, 건물 등의 제한요인과 더불어 경로상 경사도 또한 제한요인으로 볼 수 있으므로 추후 연구를 통한 분석이 요구된다.
부산광역시는 인구 및 경제규모 측면에서 서울특별시에 이어 우리나라 제2의 도시 위상을 지켜왔지만, 심각한 고령화와 일자리 감소로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면서 고령 인구 비율이 높고 젊은 층 인구의 비율은 낮은 대도시가 되었다. 또한 지역활성화를 위해 2000년 중반까지 해운대 신도시, 센텀시티, 마린시티 조성, 동부산 관광단지 개발사업 추진 등 동부산권에 집중된 주요 개발사업은 원도심 및 서부산권과의 지역 격차를 심화시키는 도시불균형 발전이라는 이슈를 가져왔다. 이에 부산시는 2006년 ‘부산광역시 도시균형 발전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는 것을 시작으로 ‘부산광 역시 도시균형발전 기본계획(2019)’을 수립하여 도시의 대내외 여건을 반영한 도시균형발전의 실효성을 제고하였다. 이후 지역 불균형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객관적 정량지표에서 시작하여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여러 추가 지표를 개발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지표 개발에 있어 ‘체감녹 지’를 정량화하여 지표로서 활용할 경우 수요자인 시민의 관점에서 도시균형발전을 위한 노력이 시작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