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9 No.1 pp.46-52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25.39.1.46

Home Range Analysis of the Black-Wood Pigeon (Columba janthina) Inhabiting Ulleung Island1a

Eun-Hwan Lim2, Dal-Ho Kim3, Yang-Seop Bae4,5,6*
2Dept. of Biological Sciences, Incheon Univ., 265, Harmony-ro, Yeonsu-gu, Incheon, Republic of Korea
3Techno 1-ro, Yuseong-gu, Daejeon, Republic of Korea
4BioResource and Environmental Center,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cademiero, Incheon 22012, Republic of Korea
5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Insect Vectors, Division of Life Sciences,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Songdodong,Incheon, 22012, Republic of Korea
6Dept. of Biological Sciences, Incheon Univ., 265, Harmony-ro, Yeonsu-gu, Incheon, Republic of Korea

a 이 논문은 ㈜청록환경생태연구소에서 진행한 울릉공항 건설공사(사업코드 DG2018H001)의 데이터로 연구되었음.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baeys@inu.ac.kr
10/11/2024 19/12/2024 21/12/2024

Abstract


The black-wood pigeon (Columba janthina) is a rare species with significant biological conservation value, primarily found in evergreen forests along coastal areas and islands of the East Asia-Pacific region. In South Korea, it i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and a Class II Endangered Wildlife Species. This study analyzed the movement patterns and home range of three black-wood pigeon in Ulleung Island by attaching Wildlife Trackers (WT-300) in June 2021 and 2022. The MCP (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analysis revealed an average home range area of 9.6㎢, while the KDE (Kernel Density Estimation) analysis showed areas of 6.6 ㎢ at 95% and 1.8㎢ at 50% probability. The home ranges for individual MCP were determined as follows: BW1 at 0.4㎢, BW2 at 27.4㎢ and BW3 at 1.0㎢. For KDE 95%, the areas were BW1 at 0.2㎢, BW2 at 19.4㎢, and BW3 at 0.3㎢. For KDE 50%, the areas were BW1 at 0.02㎢, BW2 at 5.4㎢, and BW3 at 0.03㎢. The home range of BW2 was analyzed to b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individuals. This discrepancy is presume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habitat conditions, such as food competition in the limited area.



울릉도에 서식하는 흑비둘기(Columba janthina)의 행동권 분석1a

임은환2, 김달호3, 배양섭4,5,6*
2인천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3한국환경생태연구소 62-12
4인천대학교 생물자원환경연구소
5인천대학교 매개체감염병연구소
6인천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초록


흑비둘기는 상록수림이 분포하는 해안가 및 도서 등 동아시아-태평양 섬에만 분포하는 희귀한 종으로 생물학적 보존 가치가 높아 국내에서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울릉도에서 서식하는 흑비둘기 3개체를 대상으로 2021년과 2022년 6월에 야생동물 위치추적기(WT-300)를 부착하여 이동경로 및 행동권을 분석하였다. MCP(최소볼록다각형법) 분석에서 행동권 평균 면적은 9.6㎢로 확인되었고, KDE(커널밀도추정법) 는 95%일 때 6.6㎢, 50%일 때 1.8㎢로 나타났다. 개체별 MCP는 각각 BW1 0.4㎢, BW2 27.4㎢, BW3 1.0㎢으로 확인되었며, KDE 95%일 때 BW1 0.2㎢, BW2 19.4㎢, BW3 0.3㎢, KDE 50%일 때 BW1 0.02㎢, BW2 5.4㎢, BW3 0.03㎢로 나타났다. BW2의 행동권이 다른 개체들 보다 넓게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한정된 지역에 먹이 경쟁 등 서식환경에 따른 차이로 추정된다.



    서 론

    비둘기목(Columbiformes) 비둘기과(Columbidae)에 속 하는 조류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조류이지만 보존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다. 전 세계에서 서식하는 비둘기과 304종 중 59종(19%)이 멸종 위기에 처해있으며, 그 중 48 종(83%)은 한정적인 서식지를 가지고 있다(Walker, 2007). 제한된 서식지와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하여 국제자연보전 연맹에서 1988년도부터 2022년도까지 준위협종(NT)으로 분류하였으나 2023년도에 최소관심종(LC)으로 분류되었 다(IUCN, 2023).

    흑비둘기는 텃새로 국내 비둘기과 중에서 가장 크기가 크고, 동아시아-태평양 섬의 고유종이며 일본 섬과 한국 남부 의 섬에 서식한다(Seki and Takano, 2005;Brazil, 2009;Won and Kim, 2012).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흑산도, 가거도, 홍도, 보길도, 횡간도, 거문도, 제주도 호도, 추자군도, 사수도 및 울릉도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Won and Kim, 2012). 섬과 같이 제한된 서식지에서는 나무 열매가 조류의 중요 먹이자원이기 때문에 나무열매의 생산량 변화는 조류 개체군 유지에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Crome, 1975;Frith et al., 1976;Oliveira et al., 2002;Mcconkey et al., 2005;Emeny et al., 2009). 또한 고립된 섬의 생태계는 해양쓰레기 등 인위적인 교란과 자연재해로 인해 조류의 번식과 식이 생태에 변화를 줄 수 있다(Williams and Karl, 1996). 이처럼 서식지가 한정된 흑비둘기는 국내 천연기념물 이자 멸종위기야생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24)임 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흑비둘기에 관한 연구 및 모니터링은 부족한 실정이다.

    흑비둘기는 텃새로 알려져 있으나 계절적으로 개체수 변 동이 있으며(Choi, 2019), 겨울철 울릉도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Park, 2002). 행동권 면적은 번식기 및 월동기 동안 흑비둘기의 서식지 선택과 이동 패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흑비둘기를 대상으로 야생동물 위치추적기(WT-300)를 이용하여 행동권을 분석 하고 서식지 이용 범위를 파악하여 제공함으로써, 흑비둘기 의 행동권을 이해하고 번식기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의 특 성을 파악하여 생태학적 연구 및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대상종 및 연구지역

    흑비둘기는 온몸이 검은색을 띠며, 머리는 검은색과 장미 빛 자색의 금속광택이 특징적이고, 멱 부분에는 녹색의 금 속광택이 나타난다. 부리는 어두운 청색으로 끝이 녹색이 며, 홍채는 갈색, 다리는 붉은 색을 띠고 있다. 주로 후박나 무가 서식하는 곳에서 관찰되며, 동백나무에서도 보이지만, 번식기 전후에는 상록활엽수에서 주로 서식하는 경향을 보 인다(Won and Kim, 2012). 이 종은 암수 외형적 차이가 없으며, 몸에 비해 작은 머리를 가졌고 걸을 때 머리를 앞뒤 로 움직이는 독특한 행동을 한다(Brazil, 2009;Park, 2014).

    연구지역인 울릉도는 행정구역상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 릉군에 속하며, 지리적으로 동경 130°47′37″∼130°56′20″, 북위 37°27′2″∼37°33′1″에 위치한다. 울릉도의 면적은 72.5㎢이며, 최고 높이는 성인봉(984m)이다(Fig. 1). 섬은 하나의 화산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의 지형이 30∼ 50°의 경사를 보이는 절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부 지역은 50° 이상의 급경사를 이룬다. 울릉도는 온화한 해양성 기후 를 가지며, 연평균 기온은 약 12.5℃, 연평균 강수량은 약 1,500㎜로 보고되었다(Park et al., 2013).

    2. 야생동물 위치추적기 부착 현황

    울릉도에 서식하는 흑비둘기 3개체를 2021년 6월과 2022 년 6월에 각각 2개체와 1개체씩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880번지에서 Mist Net으로 포획한 후, Kenward (1985)를 참고하여 야생동물 위치추적장치(WT-300,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 KoEco)를 Back-Pack 형태 로 부착하였으며, WT-300의 무게가 17g인 점을 고려하여 각 개체의 몸무게의 4%를 넘지 않도록 선별하고 일련번호(BW1, BW2, BW3)를 부여하였다(Table 1). 이 장치는 4시간마다 GPS 좌표를 기록하여 이동경로 및 행동권을 파악할 수 있으며, 태양열로 충전되는 기기의 특성상 배터리 사용량 저감을 위해 매일 12시에 좌표 데이터를 발송하도록 설정하 였다.

    3. 행동권 및 이동경로 분석

    울릉도에서 서식하는 흑비둘기의 행동권 분석은 총 1,892 개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Table 1). 분석 과정은 시간대별 위치정보를 누적하여 지리정보 시스템 프로그램인 QGIS 3.28.x와 인터프리터 프로그래밍 언어인 R 4.x를 이용 해 수행되었다. 위치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장 작은 블록다각 형을 그려 행동권을 추정하는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MCP) 100% 방법을 사용하나, MCP 100% 방법은 주로 사용하지 않는 서식범위도 행동권에 포함된다는 단점(Murphy and Dowding, 1995;Walton et al., 2001)이 존재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 위치의 사용 빈도를 반영하는 커널밀도추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95%, 50%를 병행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Seaman et al., 1999;Walton et al., 2001).

    4. 위치추적 현황

    흑비둘기 BW1개체는 2021년 6월 2일부터 2021년 8월 28일까지 총 88일간 총 414개의 GPS 좌표수를 전송받았으 며, BW2개체의 경우 2021년 6월 2일부터 2021년 10월 14일 까지 135일간 총 679개의 GPS 좌표수를 전송받았다. BW3개 체는 2022년 6월 9일부터 위치추적을 실시하여 2023년 2월 26일까지 263일간 추적하였으며, 총 799개의 GPS 좌표수를 전송받았다(Table 2).

    결과

    1. 이동경로 현황

    BW1은 2021년 6월 2일부터 8월 28일까지 울릉도 벼락산 남쪽에서 88일 동안 42.8Km를 이동하며 서식한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BW2는 2021년 6월 2일부터 10월 14일까지 비파 산, 벼락산, 삼각산 등을 135일 동안 114.0km를 이동하며 서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BW3은 2022년 6월 9일부터 2023년 2월 26일까지 BW1개체와 유사한 서식지에서 263일 동안 74.9Km를 이동하며 서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흑비둘 기 개체들은 대부분 산 중턱 또는 인가와 산림의 경계 지역인 이면부에서 주로 서식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BW1, BW3 개체가 주로 서식한 벼락산 남쪽의 경우 후박나무 군락이 산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행동권 분석

    흑비둘기의 MCP 분석결과 울릉도에서의 전체 행동권의 평균 면적은 9.6±12.6㎢(n=3)로 확인되었고, KDE 분석결 과 95%일 때 평균 6.6±9.0㎢(n=3), 50%일 때 평균 1.8±2.5 ㎢(n=3)의 면적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BW1의 경우 2021년 06월 02일부터 2021년 08월 28일 까지 0.02㎢, BW2는 2021년 06월 02일부터 2021년 10월 14일까지 5.4㎢, BW3은 2022년 06월 09일부터 2023년 02 월 26일까지 0.03㎢ 면적의 핵심 서식지에서 서식하였다. BW1, 3의 경우 후박나무가 산재하고 있는 울릉도 남측에 위치한 벼락산을 핵심 서식지로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 며, BW2의 경우 울릉도 울릉읍 및 서면 일대를 핵심 서식 지로 활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찰

    흑비둘기는 전라남도 흑산도, 가거도, 홍도, 보길도, 횡간 도, 거문도, 제주도 호도, 추자군도, 사수도 및 울릉도에서 서식하는 텃새(Won and Kim, 2012)로 알려져있으나, 동아 시아 대양주 이동경로에서 일본으로 번식 이후 계절적 이동 을 확인한(Choi et al., 2019) 사례도 있다. 또한, Choi(2019) 의 연구에 의하면 울릉도에서 서식하는 흑비둘기 2개체 위 치추적 조사결과 1개체는 일본으로 이동하였으나, 나머지 1개체는 울릉도 핵심서식지 중심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했 다가 되돌아오기를 반복한 사례도 있다. 이처럼 본 연구의 울릉도 흑비둘기는 번식기부터 겨울철까지 지속적으로 울 릉도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Choi(2019)의 연 구 표본 1개체와 마찬가지로 울릉도에서 상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흑비둘기 3개체 행동권 분석결과, MCP 100%는 9.6±12,6㎢이었고, KDE 95%는 6.6±9.0㎢이었으며, KDE 50%는 1.8±2.5㎢로 분석되었다. 수신된 전체 비행거리는 BW1은 88일간 42.8Km, BW2는 135일 동안 114.0km, BW3은 263일 동안 74.9Km로 나타났다. 흑비둘기는 약 10m 범위의 세력권을 가지고 있으며, 먹이는 세력권 밖에 서 찾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Won and Kim, 2012).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흑비둘기의 MCP 100%의 행동권은 먹이 활동을 위해 더 넓은 범위로 이동하는 행동양상을 시사한 다. 섬에 서식하며 열매를 먹는 비둘기는 식량자원이 풍부 한 지역에서 더 좁은 이동범위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Powlesland et al., 2011). 즉, KDE 95%, 50%는 먹이 원 탐색 후 먹이원이 풍부한 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흑비둘기의 산란기간은 3월 초순부터 4월 하순 까지이고, 1차 산란에 실패시 5월에 2차 시도를 하며, 포란 기간은 18일로 암·수가 공동으로 포란한다(Oh et al., 1994). BW1, 3의 경우 핵심 서식지가 1곳으로 확인되었으 나, BW2의 경우 핵심서식지가 4곳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번식이 끝나고 이소한 새끼와 함께 많은 먹이원을 탐색하고 시기별로 열리는 열매를 섭식하기 위한 이동으로 판단되며 (Choi, 2019), 울릉도라는 한정된 서식지에서 번식 후 개체 수가 증가함에 따라 먹이경쟁이 쉬운 지역으로 이동하여 서식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hoi(2019)의 연구와 같 이 겨울철 먹이원이 감소하여 울릉도에 서식하는 흑비둘기 개체군 중 일부는 월동을 위해 먹이원이 풍부한 일본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판단되며, 남은 개체군은 울릉도에서 월동 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야생동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울릉도에 서식하는 흑비둘기의 이동경로 및 서식범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흑비둘기 3개체의 데이터로 울릉도에 서식 하는 모든 흑비둘기의 서식범위를 추정하기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더 많은 개체의 행동권 분석을 통해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의 결과는 울릉도에 서식하는 흑비둘기를 보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KJEE-39-1-46_F1.gif

    Map of study site.

    KJEE-39-1-46_F2.gif

    Map showing the migration information of three Black Wood-Pigeon (Columba janthina) studied.

    KJEE-39-1-46_F3.gif

    Black Wood-Pigeon (Columba janthina) Ullung Island Home Range (Dotted line is MCP and Contours represent 95, 50% from outside line, respectively).

    Table

    The information for three Black Wood-Pigeon (Columba janthina)

    Location tracking status of Black Wood-Pigeon (Columba janthina)

    Home range estimates of Black Wood-Pigeon (Columba janthina) by Minimum Convex Polygon (MCP) and Fixed Kernel Estimate (KDE) methods

    Reference

    1. Brazil, M. ( 2009) The Birds of East Asia: China, Taiwan, Korea, Japan And Rus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246-247.
    2. Choi, S.K. ( 2019) Seasonal distribution and habitat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black wood-pigeon (Columba janthina) in ulleung island. Kangwon University, Kangwon,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S.K., Y.C. Park, J.C. Park, G.C. Bing and W.Y. Kim ( 2019) Migration by the black wood-pigeon (Columba janthina) across the islands of east asia: Direct tracking by satellite telemetry. Pacific Science 73: 225-230.
    4. Crome, F.H.J. ( 1975) Breeding, feeding and status of the Torres Strait Pigeon at Low isles, north-eastern Queensland. Emu. 75: 189-198.
    5. Emeny, M.T., R.G. Powlesland, I.M. Henderson and R.A. Fordham ( 2009) Feeding ecology of kereru (Hemiphaga novaeseelandiae) in podocarp-hard wood forest, Whirinaki Forest Park, New Zealand. New Zeal. J. Ecol. 33: 114-124.
    6. Frith, H.J., F.H.J. Crome and T.O. Wolfe ( 1976) Food of fruit pigeons in new Guinea. Emu. 76: 49-58.
    7. IUCN ( 2023) IUCN Red List of Threatened Wpecies. http://www.iucnredlist.org.
    8. Kenward, R.E. ( 1985) Raptor radio-tracking and telemetry. ICBP Technical Publication 5: 409-420.
    9. McConkey, K.R., H.J. Meehan and D.R. Drake ( 2005) Seed dispersal by pacific pigeons (Ducula pacifica) in Tonga, western Polynesia. Emu. 104: 369-376.
    10. Ministry of Environment ( 2024) Enforcement Rule of the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https://law.go.kr
    11. Murphy, E.C. and J.E. Dowding ( 1995) Ecology of the stoat in Nothofagus forest: Gome range, habitat use and diet at different stages of the beech mast cycle. New Zealand Journal of Ecology 19(2): 97-109.
    12. Oh, J.G., H.S. Park and H.S. Oh ( 1994) Study on the breeding ecology of the Japanese wood pigeon, Columba janthina temminck. Kor. J. Orni. 1: 115-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Oliveira, P., P. Marrero and M. Nogales ( 2002) Diet of the endemic madeira laurel pigeon and fruit resource availabil ity: A study using microhistological analyses. Condor 104: 811-822.
    14. Park, J.G. ( 2014) Identification Guide to Birds of Korea. Nature& Ecosystem, 325pp. (in korean)
    15. Park, J.O., J.H. Lee, K.H. Choi, J.S. Lee, P.M. Jung, Y.M. Kim, M.J. Kim, G.J. Oh, H.C. Sung, G.S. Jung, Y.B. Seong, J.Y. Lee, S.Y. Park, S.Y. Lee and D.E. Kim ( 2013) Ecosystem Changes of Dokdo and Ulleung Island as a Migratory Bird Stopover Sit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16. Park, J.Y. ( 2002)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Birds in Korea. Ph.D. Thesis, KyungHee University, KyungHee,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owlesland, G., R. Moran and M. Wotton ( 2011) Satellite tracking of kereru (Hemiphaga novaeseelandiae) in southland, New Zealand: Impacts, movements and home range. New Zeal. J. Ecol. 35: 229-235.
    18. Seaman, D.E., J.J. Millspaugh, B.J. Kernohan, G.C. Brundige, K.J. Raedeke and R.A. Gitzen ( 1999) Effects of sample size on kernel home range estimates. Th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63(2): 739-747.
    19. Seki, S.I. and H. Takano ( 2005) The molecular phylogeny of the three subspecies of black wood-pigeon (Columba janthina) nferred from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s. Kyushu J. For. Res. 58: 193-194.
    20. Walker, J.S. ( 2007) Geographical patterns of threat among pigeons and doves (Columbidae). Oryx. 41: 289-299.
    21. Walton, L.R., H.D. Cluff, P.C. Paquet and M.A. Ramsay ( 2001) Movement patterns of barren-ground wolves in the central Canadian Arctic. Journal of Mammalogy 82(3): 867-876.
    22. Williams, P.A. and B.J. Karl ( 1996) Fleshy fruits of indigenous and adventive plants in the diet of birds inforest remnants, Nelson. N. Z. J. Ecol. 20: 127-145.
    23. Won, B.O. and H.J. Kim ( 2012) The Birds of Korea. Academybook, Seoul Korea.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