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노거수(老巨樹)란 원문적으로는 나이가 많고 거대한 나 무를 말하지만(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2024) 실질적 의미는 반드시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하지 않더 라도 대상 수목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경외감과 종교 적 영감, 미적 즐거움을 준다면(Blicharska and Mikusiński, 2014) 노거수로서의 기준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에 도 한국식물생태보감(Kim, 2013)에서는 ‘수령이 오래된 거 목이자 마을 공동체의 문화유산이 되는 전통 마을나무’라고 했다. 두산백과(Doosan Enclopedia, 2024)에서는 ‘수령이 오래된 당산목(堂山木), 풍치목(風致木), 정자목(亭子木) 등의 나무’라고 했다.
노거수는 생태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많은 역할을 한다. 오랜 세월간 존속하며 종자를 공급하는 근원이자 생물의 미소서식지로서 주변 생태계들을 이어주는 징검다리(stepping stone) 역할을 하는가 하면(Manning et al., 2009), 인간과 공존하며 열매 등 식량자원을 제공하거나 휴식처 역할을 하기도 한다(Lindenmayer, 2017). 또한 일부 노거수에는 과 거 인류 문화의 흔적이 남아 있어 문화유산이 될 수도 있고 (Blicharska and Mikusiński, 2014), 주변 지역의 역사문화 중심지 기능을 하는 등(Kagliali, 2019) 여러 인문학적 기능도 수행한다.
그러나 국내외에서 노거수는 기후변화, 인간간섭 등 여러 원인으로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Lindenmayer, 2012). 이 러한 감소 추세는 스페인(Gibbons et al., 2008), 스웨덴 (Jönsson et al., 2009), 호주(Fischer et al., 2010), 브라질 (Laurance et al., 2000), 미국(Lutz et al., 2009), 중국(Jim, 2005) 등 다양한 국가와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도 노거수 개체수가 크게 감소했다. 1972년 이래로 국내에서 는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노거수 외 에도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있어서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수목을 보호수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Ministry of Home Affairs, 1972). 1972년 당시 전국적으로 등록된 보호 수는 13,874주였으나, 이후 1983년에는 9,515주로 약 30% 감소했다(Xia et al., 2017). 2023년 기준으로 전국의 보호 수는 11,843주로 집계되었지만 이 과정에서 상당히 많은 보호수가 고사하거나 개발로 인해 제거되었고, 그 후 계속 해서 추가 지정된 것을 합하여 남아있는 것이다(Kim et al., 2010;Song et al., 2019).
이러한 노거수의 감소 추세를 막기 위해서는 국가 정책에 의한 보호를 강화해야 하고, 지역주민을 비롯한 일반 대중 에게 해당 수목이 높은 가치가 있고 지역 발전에 쓰일 수 있는 자원이라는 사실을 알려야 한다(Kabassi, 2021). 또한 민간 부문의 공동체가 관여하여 관리 방안을 수립하면 노거 수를 효과적으로 보전할 수 있다(Jim, 2005). 따라서 노거수 의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정책결정자들과 노거수를 소유, 관 리하는 이해당사자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국내의 노거수 가치 평가 연구는 노거수 관리 방안 연구보 다 비교적 늦게 이루어졌으며, 주로 노거수의 인문적 가치를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평가한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정성적 평가 연구 사례로는 Lim et al.(2005)이 국 내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수종, 수형, 입지 환경을 분석하고, 각 수종별 식재 목적과 용도에 따라 문화적 가치를 조명한 연구가 있다. Shin and Choi(2020)는 세종리 은행나무 노거 수를 생물, 역사, 경관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가치를 규명 하고, 연구 결과를 천연기념물 지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 공하였다. Shin(2022)은 청와대 경복궁 후원의 관련 기록을 분석하여 해당 지역에서 생육하는 노거수군의 역사적 가치 를 규명하였다.
정량적 평가 연구 사례로는 Jeong et al.(2014)이 서울시 지정 노거수의 입지적 특성, 관리 시설의 특징, 그리고 이용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기준으로 노거수의 장소적 가치가 드러날 수 있는 공간적 방안을 제안한 연구가 있다. Son, Kim et al.(2016)은 노거수 평가체계와 관련된 선행 연구와 전문가 조사 두 차례를 바탕으로 농촌 지역 노거수의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Son, Xian et al.(2016)은 계층화분석법 (AHP)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경주 계림에 있는 느티나무 의 경제적 가치를 산출하였다. Son(2018)은 국내에 분포하 는 노거수 중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는 수종들을 선정하고, 노거수의 가격, 인문적·역사적 가치, 수형, 성장 환경 등 8개 의 평가 지표를 설정한 뒤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치를 산출 하였다.
노거수의 가치를 다룬 국내 연구를 종합하면, 주로 역사 적, 문화적, 경관적 등 인문적 가치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으 며, 노거수의 생태적 및 경제적 가치에 관한 연구는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보다 사례가 적고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졌 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고자 계층화분석법(AHP), 단순가중치법(SAW), 요구사항우선 순위기법(TOPSIS)을 포함한 다기준의사결정법(MCDM) 을 활용하여 노거수 가치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024년 서울특별시 보호수 지정 현황에 따르면, 보호수 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노거수는 총 203주로, 느티나 무, 은행나무, 회화나무 등을 포함하여 총 16종의 수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느티나무는 99주로 전체 보호수의 약 50%를 차지하며, 그 뒤를 이어 은행나무(23.6%), 회화 나무(8.4%), 향나무(6.4%), 비술나무(3.9%) 순으로 비중이 높다. 이 수종들은 각기 고유한 문화적 의미와 식물 생태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획일화된 평가체계로는 적절히 평가하 기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일 수종을 선택하여 해당 수종에 특화된 평가체계를 구성하였으며, 그 대상으로는 서울시 보호수 중 다소 비중이 높고 한반도 자 생종인 향나무를 선정하였다.
향나무는 목재에서 향이 난다는 의미의 향목(香木)에서 명칭이 유래했고(Lee, 2010), 강원도 삼척과 울릉도를 비롯 한 해발 600m 이하 암석지대에서 주로 자생하며(Yoon, 2016) 천 년 이상 생육하기도 하기에(Yoon, 2019) 노거수 로 잔존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향나무는 문화적으로도 깊 은 의미를 지녀 예로부터 궁궐, 절, 사대부의 정원, 우물가 등에 심어졌고(Lee, 2010), 목재에서 향기가 나고 벌레도 잘 끼지 않아(Yoon, 2019) 향불 원료 외에도 관재(棺材), 가구재, 불상 조각용 등 여러 용도로 쓰인 바 있다(Lee, 2006). 이처럼 향나무는 식물학적으로 한반도 자생이고 한 국의 수목문화의 한 축을 차지하는 대표적 식물자원이며 (Kim, 2013), 그에 따라 인문 및 생태적인 평가를 하기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연구대상지인 서울시는 과거 조선왕조 때 한양도성으로 존재했던 종로구, 중구의 일부 지역을 비롯하여 근현대를 거치면서 편입된 지역구를 포함하여 총 25개의 자치구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 밀집지역과 문화 중심지로서 역사가 오래된만큼 많은 노거수가 잔존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보전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어 보호수나 천연기념물과 같은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내에 위치한 모든 보호수, 천연기념물, 서울시 기념물 등 공식적 으로 보호되는 향나무 노거수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현재 서울시에는 향나무가 보호수로 13주, 천연기념물로 2주 지 정되어 총 15주가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Table 1).
2. 조사 및 분석 방법
1) 델파이 설문을 활용한 노거수 평가항목 선정
본 연구는 Kabassi(2021)의 연구를 참고하여 노거수 가 치평가 시 고려해야 할 항목을 수목의 용적, 형태 등 외적인 요소를 포괄하는 유형적 평가항목과 역사, 문화 등 내적인 요소를 포괄하는 무형적 평가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대분류에 포함되는 소분류 평가항목은 노거수 가치평가 연구 문헌에 언급된 평가 항목들을 취합하여 선정하였다 (Son, 2016; Jim, 2017; Zapponi, 2017;Ritchie, 2019;Shin, 2020).
Son(2016)은 노거수 평가 지표로 경제적 가치, 인문·역사 적 가치, 수목 상태 등 총 10개의 항목을 선정하고, 각 항목 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치를 산출하였다. Jim(2017)은 보 호수 선정 시 필요한 평가 기준으로 수고, 수관폭, 수령 등 물리적 항목뿐만 아니라 경관적 및 자연유산적 가치와 같은 문화적 항목을 포함한 10개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Zapponi(2017)은 노거수 평가 기준으로 수령, 용적, 수형 (shape), 생태적 가치, 식물학적 희귀성 등 유형적 항목과 더불어 역사, 문화, 종교와 같은 인문적 항목을 제안하였다. Shin(2020)은 세종리 은행나무 노거수 평가에서 생물학적 가치, 역사적 가치, 경관적 가치를 주요 평가 항목으로 선정 하여 수목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1차적으로 이러한 노거수 평가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향 나무 노거수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이는 유형적 특징 8가지와 무형적 특징 9가지로 분류되었다(Table 2). 이후 전문가 델파이 조사(Delphi Method)를 통해 평가 항목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최종 평가 항목을 확정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생태학, 임학 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 15명을 선정하 여 실시되었다.
설문조사에서는 총 17개의 향나무 노거수 평가 항목에 대해 리커트식 5단계 척도로 타당성을 평가하였다(Table 3). 항목의 타당성은 Lawshe(1975)가 제시한 내용타당도 (CVR: Content Validity Ratio)에 근거하여 검토하였으며, 응답자 15명 기준으로 4점 이상의 응답 비율이 최소 0.49(49%) 이상일 경우 해당 항목을 최종 평가 항목으로 채택하였다.
2) AHP 기법을 활용한 평가항목 가중치 선정
다기준의사결정법(MCDM)은 특정 문제를 해결할 때 상 충하는 다수의 목적이나 기준이 있을 경우 그 중에서 최선 의 대안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의사결정 방법이고 (Taherdoost and Madanchian, 2023), 일부 연구 사례에서 는 가장 정확도가 높은 의사결정 방법론 중 하나로도 여겨 진다(Velasquez and Hester, 2013). 다중기준평가기법의 예 로 계층화분석법(AHP), 퍼지 계층화분석법(Fuzzy AHP), 다속성 효용 이론(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등이 있 으며, 각각의 방법론은 목적과 가중치 결정 방식에서 차이 를 보인다(Mohamadali and Garibaldi, 2011). 이 중에서 AHP 기법은 쌍대 비교를 통해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결정 하는 특징이 있다.
1차 델파이 설문을 통해 결정된 향나무 노거수 평가항목 에 AHP 기법을 적용한 2차 설문을 진행하여 각 항목의 가 중치를 산출하였고,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항목 간의 비교를 위해 쌍대비교행렬을 만들었 다. 이 과정에서 먼저 대분류 항목인 유형적 특징과 무형적 특징의 쌍대비교 평가 설문 도표를 구성하고, 그 다음으로 유형적 특징의 6가지 소분류 항목 간의 설문 도표와 무형적 특징의 8가지 소분류 항목 간의 쌍대비교표를 구성하여 설 문을 진행하였다(Table 4).
설문 결과 작성된 쌍대 비교표를 바탕으로 최종 평가 기 준에 반영될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먼저 각 열의 값을 합산한 후, 원래 행렬의 각 요소를 그 열의 합으로 나누어 정규화하였다. 그 다음, 각 행의 값을 모두 더하고, 그 행의 요소 수로 나누어 최종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3) 향나무 노거수 관련 문헌 및 현장조사
향나무 노거수의 가치 평가를 위해 1차 설문에서 결정된 평가항목에 대한 문헌 및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유형적 평가항목은 문헌 자료와 현장조사 기록에 근거하여 평가되 었다. 수고와 수령의 경우, 가장 최근의 노거수 관리기록에 근거하여 평가되었다. 흉고둘레는 가슴 높이(1.3m)에서 직 접 측정되었다. 수관폭의 경우 현장조사를 통해 남북, 동서 길이의 평균값으로 계산되었다. 수목건강도는 현장조사 중 에 산림청고시 제2019-51호에 근거하여 평가되었다. 주간 의 뒤틀림은 현장 조사 후 주간의 뒤틀림 정도(없음, 약간 수준의 뒤틀림, 강한 수준의 뒤틀림)에 따라 평가되었다. 그 외에 평가자의 관점에서 가산점을 줄 수 있는 수목의 특이 사항들은 모두 기타 사항으로 기록되었다.
무형적 가치의 경우 관련 역사, 문화적 기록과 대상 수목 과 연관성이 있는 주변 유적 및 문화재(사직, 왕릉 등)의 존재 유무 등을 기준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외에도 해 당 수목과 주변 인문 환경과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입지에 있는지의 여부, 수목의 지리적 위치와 주변 환경 조건을 고 려하여 관광적 가치, 접근성 등의 항목 평가에 반영하였다.
4) SAW 기법을 활용한 향나무 노거수 1차 평가
본 연구는 SAW(단순가중치법) 기법을 활용하여 서울시 향나무 노거수의 가치를 1차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내 향나무 노거수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조사 과정에서는 흉고둘레, 수관폭 등 유형적 항목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목의 수형과 위치 등을 확인하여 미적 가치 및 접근성과 같은 일부 무형적 항목을 평가에 반영하 였다. 추가적으로, 각 노거수의 인문적·문화적 배경에 대해 문헌 조사를 수행하여 무형적 가치를 산정하였다.
이후 SAW 기법을 적용하였다. SAW 기법은 의사결정 문제를 다중 속성 효용 함수(Multi-Attribute Utility Function) 로 최적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의사결정자는 각 향나무 노거수의 항목별 가치를 수식화하여, 평가 결과 중 가장 높은 값을 가진 수목을 선택한다(Kabassi, 2021). 다중 속성 효용 함수는 유형적 특징(tangible characteristics)과 무형적 특징 (intangible characteristics)에 해당하는 세부 항목들의 평가 값을 가중치와 함께 합산하여 도출된다.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는 i번째 유형적 특징(u)에 대한 가중치를, uij 는 i 번째 유형적 특징에 대한 j번째 향나무 노거수의 평가값을 의미한다. 또한 는 i 번째 무형적 특징(a)에 대한 가중치를, aij 는 i 번째 무형적 특징에 대한 평가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USAW (Tj) 는 6가지의 유형적 특징과 8 가지 무형적 특징 각각의 평가값에 해당 가중치를 곱한 후 합산한 최종 1차 평가값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SAW 기법을 사용하여 서울시 향나무 노거수 15주의 1차 가치평가를 진행하였다.
5) TOPSIS 기법을 활용한 향나무 노거수 2차 평가
2차 평가에서는 서울시 향나무 노거수의 가치를 평가하 고, 인문ㆍ생태적 차원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닌 수목을 확인하기 위해 TOPSIS(요구사항우선순위) 기법을 활용하 였다. TOPSIS 기법은 각 평가대상이 평가 항목별로 최대값 에 가깝고 최소값에서 멀수록 이상적인 점수에 가까워진다 는 원리에 기반한 평가 방식이다(Hwang and Yoon, 1981). 이를 위해 각 평가점수가 가상의 최고 점수로부터 떨어져 있는 직선거리(Euclidean distance)를 계산하고, 그 값에 비 례하여 향나무 노거수의 최종 순위를 매긴다. TOPSIS 기법 의 주요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먼저, SAW 평가 과정에서 도출된 각 평가항목별 양 (positive)의 최대값과 음(negative)의 최대값을 확인하였다. 양의 최대값은 각 항목별로 나올 수 있는 최대 점수의 합을 의미하고, 그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여기서 는 i번째 유형적 평가항목의 최대값을, 는 i번째 무형적 평가항목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반면 음의 최 대값은 최소 점수의 합을 의미하고,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여기서 는 i번째 유형적 평가항목의 음의 최대값, 는 i번째 무형적 평가항목의 음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양의 최대값과 음의 최대값 사이의 직선거리 (Euclidean distance)를 측정하였다. 양의 최대값인 T*으로 부터 각 항목의 이격거리의 합을 계산하기 위해 다음의 공 식을 활용하였다.
여기서 j는 해당 향나무 노거수의 번호를 의미하고, 위 공식은 각 향나무의 i번째 항목별 평가값이 양의 최대값에 서 얼마나 이격되었는지를 측정한 것이다. 반대로 음의 최 대값인 T- 에서의 직선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의 공식 을 활용하였다.
여기서 j는 해당 향나무 노거수의 번호를 의미하고, 위 공식은 각 향나무의 i번째 항목별 평가값이 음의 최대값에 서 얼마나 이격되었는지를 측정한 것이다.
세 번째로, 각 향나무 노거수의 유사도지수(Similarity Index)를 계산하여 양의 최대값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였 다. j 번째 향나무 노거수가 양의 최대값에 대해 가지는 유 사도는 0 ≤ ≤ 1의 조건 하에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이렇게 산출된 값은 내림차순으로 정렬되며, 가장 높은 값을 가진 노거수가 최종적으로 가장 높은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위의 과정에 따라 TOPSIS 기법을 적용하 여 서울시 향나무 노거수 15주의 2차 가치 평가를 진행하고 평가 결과를 순위화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연구 결과
1) 델파이 설문 결과
델파이 설문 결과, 설문된 유형적 평가항목 8가지 중 공 동형성도, 수피굴곡도를 제외한 수고, 흉고둘레, 수관폭, 수 목건강도, 수령, 주간의 뒤틀림 총 6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설문된 무형적 평가항목 9가지 중에서는 경제적 가치를 제 외한 역사문화적 가치, 종교/영적 가치, 생태적 가치, 교육 적 가치, 관광적 가치, 미적 가치, 생물유전자원 가치, 접근 성으로 총 8개 항목이 선정되었다(Table 5).
향나무 노거수 평가 기준은 크게 유형적 특징과 무형적 특징으로 나눌 수 있고, 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1) 유형적 평가항목
수목의 물리적 형태와 용적을 구성하는 항목들로, 현장 조사를 통해 측정하거나 특정 기준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에는 다음의 6가지 세부 평가 항목이 포함된다.
첫 번째 유형적 항목은 수고(μ1)이다. 수고는 해당 수목 의 생장 과정을 보여주는 간접적 지표이자(Kabassi, 2021) 노거수로서의 기본적인 유형적 특징이다. 평가는 5점 척도 로 진행하였으며, 집계된 향나무 노거수 15주의 수치를 5분 위로 나눈 구간값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두 번째 유형적 항목은 흉고둘레(μ2)이다. 흉고둘레는 가 슴높이인 1.3m 지점에서 측정한 수목의 둘레를 의미하며, 노거수의 수령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주요 지표이다. 평가 구간값은 수고와 동일하게 5분위수를 활용하였다.
세 번째 유형적 항목은 수관폭(μ3)이다. 수관폭은 수목의 수관이 차지하는 폭을 의미하며, 해당 수목이 주변 온도를 낮추고 미기후를 형성함으로써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촉진 시키는 주요한 물리적 지표이다(Wang et al., 2021). 남북 방향과 동서 방향의 수관폭의 평균값으로 평가하였고, 구간 값은 수고와 동일하게 5분위수를 활용하였다.
네 번째 유형적 항목은 수령(μ4)이다. 수령은 역사적 기 록에 근거하거나 용적에 기반하여 관리 주체에 의해 공식적 으로 기록된 수목의 나이를 말한다. 해당 수목의 흉고둘레, 수고와 간접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유형적 지표 역할을 하 고,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점(200년이내), 2점(200~ 300년이내), 3점(300~400년이내), 4점(400~500년 이내), 5 점(500년 이상).
다섯 번째 유형적 항목은 수목건강도(μ5)이다. 수목건강 도는 가지, 수관의 고사율, 잎 변색률, 병충해 유무 등 해당 수목의 외형에 영향을 주는 유형적 지표 역할을 한다. 수목 건강도 평가는 산림청고시 제2019-51호에 따라 가지 고사 율, 잎 변색률 등으로 점수를 산정하였고, 이는 다음과 같다: 1점(고사 진행 중), 2점(가지 고사율과 잎 변색률 50% 이 상), 3점(가지 고사율과 잎 변색률 25-50%), 4점(가지 고사 율과 잎 변색률 10-25%), 5점(가지 고사율과 잎 변색률 10% 미만).
여섯 번째 유형적 항목은 주간의 뒤틀림(μ6)이다. 노거수 의 주간이 뒤틀린 모습은 대상 수목이 노거수로서의 심미적 기능을 가지는 데 기여할 수 있다(Kabassi, 2021). 자연적으 로 절벽에서 자라는 향나무는 척박한 서식 환경으로 인해 성장 속도가 다소 느리며, 그 결과 수령이 증가할수록 주간 이나 가지가 뒤틀린 채로 성장하는 경우가 있다(Mathaux et al., 2015). 본 연구에서는 향나무 노거수 주간의 나선화 (spiralization) 정도와 그 면적을 기준으로 다음의 3단계 척 도로 평가하였다: 1점(주간의 뒤틀림이 없음), 3점(주간의 뒤틀림 정도가 약함), 5점(주간이 강하게 뒤틀림).
(2) 무형적 평가항목
수고, 수관폭 등 물리적으로 측정하거나 관측 가능한 지 표 외에도 향나무 노거수는 역사, 문화, 종교, 생태 등 다양 한 무형적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여기에는 다음의 8가지 세부 평가 항목이 포함된다.
첫 번째 무형적 항목은 문화적 가치(a1)이다. 노거수의 문화적 가치는 해당 수목이 주변 인간 사회에서 문화 활동 의 거점 역할을 하거나 설화 및 전통 문화 형성에 기여한 정도로 정의된다(Blicharska, 2014;Son, 2016). 수목과 관 련된 기록이나 수목이 위치한 대상지가 역사문화적으로 가 치 있는 장소일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고,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점(역사문화적 가치가 낮음), 3점(중간 수준 의 역사문화적 가치), 5점(높은 수준의 역사문화적 가치).
두 번째 무형적 항목은 종교/영적 가치(a2)이다. 세계 여 러 문화권에서 노거수가 신적 존재를 품고 있다고 여겨 숭 상하고 보호한 사례가 많다(Jim, 2004). 본 연구에서는 해당 노거수가 주변 지역 주민의 종교적 행사 등에서 사용되는 정도에 따라 그 가치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 다: 1점(종교적 행사나 의식에 활용된 적이 없음), 3점(과거 에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그렇지 않음), 5점(과거부터 현재 까지 종교적 행사에 활용됨).
세 번째 무형적 항목은 생태적 가치(a3)이다. 산림, 초원, 농경지 등 다양한 생태계에서 노거수는 어린 수목이 수행하 지 못하는 여러 역할을 한다. 여기에는 주변 생물의 미소 서식처 제공, 종자 공급을 통한 식생 복원 중심지 역할 등이 포함된다(Lindenmayer, 2012). 본 연구에서는 수목이 주변 생물의 먹이 자원이나 서식지 역할을 하거나 모수(母樹)로 서 종자 공급원이 되는 등 주변 생태계 유지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 과 같다: 1점(종자 공급 및 서식처 기능이 없음), 3점(중간 수준의 기능), 5점(높은 수준의 기능).
네 번째 무형적 항목은 교육적 가치(a4)이다. 노거수는 인문적, 생태적 가치를 지닌 복합적인 생명체로, 유소년 교 육에서 인문학 및 자연과학적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 을 할 수 있다(Kabassi, 2021).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점(해당 수목의 인문적 의미와 생태적 기능이 교육적 콘텐 츠로 활용되기에 미약함), 3점(중간 수준의 교육적 가치가 있음), 5점(높은 수준의 교육적 가치가 있음).
다섯 번째 무형적 항목은 관광적 가치(a5)이다. 특히 도시 에서 노거수는 해당 도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그에 따라 노거수를 보전하는 사안 은 도시의 생태관광이 발달하는 것과 직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Zheng et al., 2007). 본 연구는 관광적 가치를 수목 의 외형이나 역사문화적 스토리텔링이 관광 컨텐츠로서 가 지는 가치로 정의하였고,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점(관 광적 가치가 낮음), 3점(중간 수준의 관광적 가치가 있음), 5점(높은 수준의 관광적 가치가 있음).
여섯 번째 무형적 항목은 미적 가치(a6)이다. 노거수는 직경, 수고, 수관폭 등의 물리적 크기가 크거나 노령화로 인해 공동이나 용틀임이 생겨 심미적 기능을 발휘하며, 주 변 지역의 경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Blicharska, 2014; Kabassi, 2021). 본 연구에서는 미적 가치를 수목의 외형이 인간 관점에서 위용이나 아름다움을 주는 정도로 정의하고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점(낮은 수준의 미적 가치가 있음), 3점(중간 수준의 미적 가치가 있음), 5점(높은 수준의 미적 가치가 있음).
일곱 번째 무형적 항목은 생물유전적(a7) 가치이다. 노거 수는 오랜 세월 생존해온 만큼 식물 자원으로서 해당 유전 자는 높은 과학적 연구 가치를 가지며, 기후학, 지질학, 역사 학 측면에서도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Son, 2016). 본 연구에서는 해당 수목의 생체가 증식을 위한 종자나 삽 목을 통해 희귀성을 가지는 정도를 생물유전적 가치로 정의 하고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점(다른 수목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어 가치가 낮음), 3점(다른 수목에서도 구할 수 있으나 대상 수목만의 특이성이 있어 가치가 인정됨), 5점 (대체할 수 없는 대상 수목만의 고유한 가치가 있음).
여덟 번째 무형적 항목은 접근성(a8)이다. 노거수가 대중 적으로 관찰되고 접근 가능한지는 해당 수목이 인간 사회와 물리적·정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말레이시아(Ali et al., 2016)나 미국 서부(City of Spokane Urban Forestry Department, 2018) 등 일부 지역에서는 보 호수로 지정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 서는 해당 수목이 대중에게 쉽게 발견되거나 접근 가능할수 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점(대중 접근이 불가하거나 위치가 불분명함), 3점(주거 지역 등 유동 인구가 적은 곳에 위치함), 5점(유동 인구가 많은 도로변이나 관광지에 위치함).
2) AHP 설문 결과
AHP 설문은 델파이 설문과 동일하게 15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대분류 항목과 소분류 항목 2가지(유 형적 특징, 무형적 특징)에 대한 설문 결과 쌍대비교행렬이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Table 6, 7, 8).
행렬 정규화를 통한 최종 가중치는 다음과 같이 산출되었 다(Table 9). 2개의 대분류 항목인 노거수의 유형적 특징과 무형적 특징의 가중치는 각각 0.517과 0.483으로, 유형적 특징의 가중치가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적 특 징에 속하는 세부 항목 중에서는 수령(0.287)과 수목건강도 (0.227) 등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수고(0.092), 주간뒤틀림 (0.113) 등의 항목은 낮게 평가되었다. 무형적 특징에 속한 항목 중에서는 역사문화적 가치(0.260), 종교적 가치(0.159) 등이 높게 평가되었고, 접근성(0.039), 관광적 가치(0.067) 등의 항목은 낮게 평가되었다.
3) SAW 기법을 활용한 노거수 1차 평가 결과
SAW 기법을 활용한 서울시 향나무 노거수 15주의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Table 10). 평가에서는 대 분류 항목인 유형적 특징(u)과 무형적 특징(a)의 가중치가 비슷하게 설정되었기 때문에, 소분류 항목 중에서도 수령이 나 역사문화적(a1) 가치처럼 가중치가 높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한 노거수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었다.
제기동 향나무(천연기념물 제240호)는 흉고둘레(μ2)가 다른 향나무 노거수에 비해 비교적 작아 2점으로 평가되었 지만, 수관폭(μ3)이 매우 크고, 대부분의 무형적 평가항목에 서 최고점을 받아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 다. 와룡동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는 수고(μ1)가 다른 노거수에 비해 매우 낮아 1점으로 평가되었으며, 주간의 뒤 틀림(μ6)에서 유일하게 최고점을 획득하였다. 또한, 무형적 평가항목에서도 대부분 최고점을 기록하여 제기동 향나무 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지 않은 향나무 보호수 13주 중에서 는 시흥동 향나무(서18-4)와 능동 향나무(서5-3)가 높은 평 가를 받았다. 두 나무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3점 이상의 점수 를 기록했으며, 특히 수목건강도(μ5)와 역사문화적 가치(a1) 와 같은 가중치가 높은 항목에서 최고점을 획득하여 각각 4.177점과 4.002점을 기록하였다.
반면, 3점 이상 4점 미만을 획득한 11주는 흉고둘레(μ2), 수관폭(μ3), 주간의 뒤틀림(μ6), 종교적 가치(a2) 등의 항목 에서 최소 1개 이상 1점을 기록하였다. 3점 미만을 받은 보호수 3주는 대부분의 유형적 및 무형적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수관폭(μ3) 항목에서 최저점을 기록 한 점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4) TOPSIS를 활용한 노거수의 2차 평가 결과
TOPSIS 기법을 활용한 서울시 향나무 노거수 15주의 가치평가 순위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Table 11). 제기 동 향나무(천연기념물 240호)는 SAW와 TOPSIS 기법 모 두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흥동 향나무(보호수 서 18-4)는 SAW 기법에서는 창덕궁 향나무보다 낮은 순위로 평가되었으나, TOPSIS 기법에서는 더 많은 항목에서 양의 최대값(Positive Ideal Solution)에 가깝게 평가되어 최종적 으로 창덕궁 향나무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전농동 향나무(보호수 서6-1)와 개화동 향나무(보호수 서16-7) 또 한 SAW 기법에서는 각각 9위와 13위로 평가되었으나, TOPSIS 기법에서는 시흥동 향나무와 동일한 이유로 각각 8위와 11위로 순위가 상승하였다.
2. 결론
본 연구는 향나무 노거수에 한하여 평가하기에 적합한 항목과 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하 여 서울시 향나무 노거수에 대한 평가와 결과 비교를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1차 설문에 앞서 선발된 평가항목들은 국내 및 국외 노거수 가치 연구에서 참고했고(Son 2016; Jim, 2017; Zapponi, 2017;Ritchie 2019;Shin 2020), SAW 기 법과 TOPSIS 기법을 수반한 연구방법론은 Kabassi(2021) 의 연구를 참조했다. 이러한 방법론과 더불어 서울시 향나 무 노거수의 특성과 현황을 참고하여 평가항목을 선발하였 다. 그리고 AHP 기법을 활용하여 항목의 가중치를 결정하 였고, 이를 기반으로 SAW 기법으로 향나무 노거수에 대한 1차 평가 진행 후 TOPSIS 기법으로 순위를 매김으로써 2차 평가를 진행하였다.
노거수 평가 항목 선정 결과, 노거수 평가 기준은 크게 유형적 특징과 무형적 특징으로 나뉘었다. 유형적 항목은 총 6개로, 노거수의 수고, 흉고둘레, 수관폭, 수령과 같이 물리적 용적을 나타내는 항목과 수목건강도, 주간의 뒤틀림 과 같이 관찰 후 특정 기준에 따라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이 포함되었다. 무형적 항목은 총 8개로, 역사문화, 종교, 교육 등 인문적인 가치와 생태, 유전자원 등 자연과학적인 가치, 그리고 노거수의 실질적인 이용 가치를 다루는 관광, 접근 성 등의 가치가 포함되었다.
노거수 평가 항목 가중치 설문조사 결과, 향나무 노거수 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유형적 특징(0.517)과 무형적 특징(0.483)은 거의 비슷한 가중치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유형적 특징에 속하는 항목 중에서는 수령(0.287)과 수목건강도(0.227)가 가장 높은 가중치를 받았으며, 이에 비해 흉고둘레(0.141)와 수고(0.092) 같은 물리적 용적 관 련 항목의 가중치는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되었다. 한편, 무 형적 특징에서는 역사·문화적 가치(0.260)와 종교·영적 가 치(0.159)가 가장 높은 가중치를 보였으며, 이어 생물유전 적 가치(0.151)와 생태적 가치(0.141)가 높게 평가되었다. 반면, 관광적 가치(0.067)와 접근성(0.039)은 가장 낮은 가 중치를 받았다. 이는 노거수 평가에서 인문적 가치가 자연 과학적 가치나 실질적 이용 가치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SAW 기법을 활용한 1차 평가 결과, 제기동 향나무(천연 기념물 제240호)와 와룡동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이어 시흥동 향나무(보호수 서 18-4)를 포함한 13주의 서울시 보호수가 높은 평가를 받았 다. 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향나무가 다른 보호수에 비 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평가 항목 중 무형적 항목인 역사·문화적 가치, 교육적 가치, 미적 가치, 생물유전적 가치 등은 수목별 로 평가 점수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유형적 항목인 수고, 흉고둘레, 수관폭은 1점에서 5점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이를 통해 노거수 가치 평가에서 변별력이 발생하는 부문은 수목의 내재적 가치를 다루는 무형적 항목보다는 수목의 물리적 용적을 다루는 유형적 항목이라고 볼 수 있다.
TOPSIS 기법을 활용한 2차 평가에서는 시흥동 향나무 (보호수 서18-4)가 와룡동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보 다 양의 최대값(Positive Ideal Solution)에 더 가까운 것으 로 나타나 순위가 바뀌었으며, 전농동 향나무(보호수 서 6-1)와 개화동 향나무(보호수 서16-7)에서도 순위 변동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AW 기법과 TOPSIS 기법 간 의 평가 방식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평가 체계는 노거수의 가치를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호 및 관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다만 서울시 향나무 노거수라는 특정 대상 과 한정된 표본을 기반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이 평가 체 계가 다양한 수종의 노거수나 다른 지역에 적용되기 위해서 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노거수 평가 항목의 적합성을 강화하고, 더 많은 표본을 조사하여 데이터를 확 장함으로써, 보다 일반화된 평가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 다. 이를 통해 노거수가 지닌 생태적, 문화적, 사회적 가치를 더욱 폭넓게 이해하고, 노거수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