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9 No.4 pp.409-421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25.39.4.409

Analysi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Forest in Gyeongsangnam-do1

Kyeong-Rok Kim2, Kyung-Sun Bae3, Chae-Rim Heo4, Bo-Min Jeon5, Haeseon Shin6, Song-Hyun Choi7*
2Forest Biodiversity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rokki@korea.kr)
3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hansholic01@gmail.com)
4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chearim@pusan.ac.kr)
5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bomin0915@pusan.ac.kr)
6Wetland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hangnyeong, 50303, Republic of Korea (hs3060@nie.re.kr)
7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songchoi@pusan.ac.kr)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songchoi@pusan.ac.kr
21/04/2025 13/07/2025 14/07/2025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school trees in 53 school forests in Gyeongsangnam Province, classified them, and compared and analyzed each classification.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survey of woody plants and collected general information such as school area, green space area, number of students, and symbolic trees and flowers. By school type, middle schools showed higher average green space, average number of trees, average green space area per student, and average number of trees per student than elementary and high schools, except for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By location, urban schools had lower values in these indicators than non-urban schools, except for number of species. By establishment type, private schools showed higher values than public schools across all green-related indicators. By appearance, deciduous broad-leaved trees ha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Frequently observed species included Juniperus chinensis ‘Kaizuka’, Camellia japonica, Rhododendron indicum, Ginkgo biloba, Lagerstroemia indica, Hibiscus syriacus, and Wisteria floribunda. The average diversity across all 53 schools was 2.33, with high schools, urban schools, and private schools showing higher scores than other types. We expect these results will provide baseline data for school forest planning in Gyeongsangnam Province.



경상남도학교숲현황및분석1

김경록2, 배경선3, 허채림4, 전보민5, 신해선6, 최송현7*
2국립수목원 산림생물보전연구과 석사연구원
3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박사과정
4부산대학교 조경학과 석사과정
5부산대학교 조경학과 석사과정
6국립생태원 습지센터 전임연구원
7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초록


본 연구는 경상남도 학교숲 53개교를 대상으로 학교 수목 현황을 파악하고, 유형별로 분류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수목 조사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하였으며, 학교 면적, 녹지 면적, 학생 수, 교목·교화 등 일반적인 현황을 함께 파악하였 다. 학교 종류별로 구분하였을 때, 중학교가 평균 종 수를 제외하고 초등학교, 고등학교보다 평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더 많았다. 소재지별로는 도시학교가 평균 종 수를 제외하고, 평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비도시학교보다 낮았다. 설립 유형별로는 사립학교가 공립학교에 비해 모든 녹지 관련 지표에서 높게 나타났다. 성상별 비교 결과, 낙엽활엽교목이 다른 성상에 비해 가장 많은 종 수를 보였으며, 향나무 '가이즈카', 동백나무, 영산홍, 은행나무, 배롱나무, 무궁화, 등이 성상별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53개교 전체에 대한 종다양도 평균은 2.33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도시학교, 사립학교가 타 유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상남도 학교숲 조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



    서 론

    학교의 녹지공간은 단순히 수목이 식재되어 있는 것 이상으 로 다양한 역할을 한다. 첫째, 녹지공간 그 자체로 소음 방지, 대기 정화,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물 서식공간 을 제공함으로써 생태건강성을 증진시킨다(Jung and Park, 2021). 둘째, 학생을 포함한 지역주민의 휴식 및 여가 공간이 되어 지역사회와 연계된 오픈스페이스가 된다. 마지막으로 학 교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생들이 가까이에서 자연을 체험하고, 생태적 가치 교육을 학습하는 학습장이 된다(Cho and Park, 2006).

    이렇듯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갖는 학교의 녹지공간을 ‘학교 숲’이라 일컫는다. 학교숲은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르면 초・중등교육법 제2조(정의)에 따른 학교와 그 주변지역에서 학습환경 개선과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을 말한다.

    학교숲은 특히 도시에서 매우 중요한 녹지공간으로 부각되 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는 녹지 부족, 도시 열섬 현상, 생물다양 성 파편화, 미세먼지 농도 증가 등 다양한 환경적 문제를 야기 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녹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Bae and Choi, 2024). 그러나 도시에서 새로운 녹지를 조성하기에는 공간적 제약과 경제적 부담 등 여러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학교숲이 새로운 대안장소가 되고 있는데, 학교숲은 도시 전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경향 이 있으며, 특히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학교가 더 집중되 어 있다는 점에서 공간 활용 가능성이 높다. 학교에 녹지공간이 제공될수록 도시에 부족한 녹지공간을 보완해줄 수 있으며, 도 시 생활권에 녹지 네트워크를 연결해 줄 수 있다.

    이처럼 학교숲의 여러 혜택과 기능에도 불구하고 과거에는 형식적인 식재 공간만을 제공하는 실정이었다. 1990년대 사회 운동의 일환으로 학교숲 가꾸기 운동이 시작되어(Kim, 1998), 이후 1999년 (사)생명의숲 국민운동으로 전국적으로 학교에 나무를 심고, 숲을 조성하여 학교 옥외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 시작하였다(Kim et al., 2000).

    국내에서는 학교숲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 다. 학교숲 식재현황과 관련해서는 청주시 초등학교를 대상으 로 한 식재현황 연구(Park et al., 2012), 대구광역시를 대상으 로 한 식재 현황 연구(Jung and Park, 2021), 대전광역시 학교 숲 현황 및 유형 분석(Ahn, 2022), 대전시 초등학교를 대상으 로 한 조성현황 연구(Ahn and Kim, 2021), 진주지역 초등학 교를 대상으로 한 식재현황 및 개선방안(Kang et al., 2020) 등이 존재한다. 학교숲의 만족도,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는 학교 숲 이용실태 및 성과 분석(Byeon et al., 2008), 환경교육적 활용 연구(Chong, 2001), 다문화배경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Jang et al., 2019) 등이 있다. 이외에도 학교숲의 장소성 의미 에 대한 진화론적 탐색(Kim and Choi, 2021), 학교숲 조성을 위한 조경식물의 특성분석(You and Lee, 2015), 이용목적에 따른 수목의 수종과 수량에 관한 연구(Jung and Park, 2022) 등 식재 현황 및 유형 분석 연구에서 나아가 활용성과 효과성 중심 연구, 수목의 특성과 학교숲 설계에 관한 연구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지역별로 폭넓은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연구 중에서도 학교숲 식재 현황과 관련한 연구는 학교숲 조성 과 운영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향후 학교숲의 유지·관리, 생태적 가치 증진, 교육 프로그램 활용 방안 마련 등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지역별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맞춤형 학교숲 조성 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경상남도는 인구 300만이 넘으며, 8시(1특례시) 10군 으로 구성되어있는 도이다. 광범위한 행정구역과 도시, 농촌의 결합으로 지역 환경 차이가 크다. 경상남도 내 학교숲에 대한 선행연구는 창원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학교숲 생태적 특 성 연구(Kang et al., 2021), 동부지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숲 식재 특성 연구(Jeon et al., 2024) 등이 있으나, 특정 지역과 학교 유형에 한정되어 있어 경상남도 전 지역을 대상으 로 다양한 학교 유형을 포함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학교숲의 녹지율, 종 수 및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교목 개체수, 종다양도 등 학교숲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유형별로 분 류하여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학교숲 조성 및 관리, 학교숲 가이드라인 설정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본 연구는 경상남도 교육청에서 추진한 ‘경상남도 학교숲교 육 시범운영사업’ 대상지 중 특정 지역에 집중된 학교 일부를 제외하고, 총 53개교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Figure 1). 53개교를 학교 종류별로 분류하면 초등학교 31개교, 중학교 10개교, 고등학교 12개교이다. 소재지 기준으로는 행정구역상 ‘시’에 위치한 학교를 도시, 그 외를 비도시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라 도시지역 학교은 21개교, 비도시지역 학교은 32교이 다. 마지막으로 설립 유형별로는 공립학교 39개교, 사립학교 14개교이다. 학교명은 지역(Location), 학교 종류(Level), 소 재지(Location type), 설립 유형(School type)을 기준으로 구 분하여 명칭을 부여하였다. 예를 들어, ‘CN-ERP-1’은 경상남 도 창녕(Changnyeong)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Elementry) 중 비도시(Rural)지역 공립(Public)학교 중 하나를 의미한다.

    2. 조사 및 분석방법

    경상남도 학교 수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 대상 학교에 식재되어 있는 수목을 전수 조사 하였다. 조사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수종명, 흉고직경, 수고를 측정하여 규격을 표기하였으며 수목 개체수를 산정하였다. 관 목 군식의 경우 건설 교통부 ‘조경설계 기준’에 제시된 식재밀 도 최소기준을 참고하였다. 또한, 식물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 (Korea National Arboretum, 2020)에 준하여 식물의 학명과 국명을 기록하였다.

    각 학교마다 학교 면적, 녹지 면적, 학생 수, 교목·교화 등 일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였다. 학교 면적과 녹지 면적은 현장조 사와 함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1:5,000) 를 활용하였으며, 학생 수는 국가교육통계센터(kess.kedi.re.kr) 교육통계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를 상 징하는 교목·교화는 각 학교 웹사이트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존재 유무를 확인하였다.

    수목 현황을 비교하기 위해 조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녹지 율, 종 수 및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교목 개체수, 학생 1인당 녹지 면적, 학교 면적 대비 녹지 면적, 녹지율 대비 종 수 비율, 녹지율 대비 수목 개체수 비율, 종 수 대비 수목 개체수 비율을 산출하였으며,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교숲을 비교하였다.

    성상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성상별로 분류하여 평균 종 수와 수목 개체수를 파악하였으며, 학교에서 가장 많이 식재된 식물을 성상별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또한 Shannon-Wiener 의 종다양도 지수(Pielou, 1975)를 이용하여 학교별 종다양성 을 비교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R.4.4.2를 사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학교숲 조사·비교 결과

    1) 학교숲 현황

    학교별 학교숲 현황은 Table 1과 같다. 조사 대상 53개교에 대한 학교숲의 평균 녹지율은 26.77±12.04%, 평균 종 수는 약 50종, 평균 수목 개체수 약 1,570개체,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은 55.78㎡,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는 약 14개 체로 나타났다. 녹지율은 6.66~59.04%로 범위가 넓게 나타 나 녹지 환경이 차이를 보였다. 종 수 또한 32~88종으로 학교에 따라 차이가 컸다. 학교별 수목 개체수도 차이가 컸 지만, 관목을 얼마나 밀도 있게 식재하느냐에 따라 수목 개 체수 집계의 폭이 달라졌다. 학생 1인당 녹지 면적은 2.41~ 506.10㎡, 교목 개체수는 0.12~24.23주로 학생 한 명당 1개 체에도 미치지 못하는 학교도 있었다.

    녹지율, 종 수, 수목 개체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Figure 2). 학교 면적이 넓을수록 녹지 면적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녹지 율 대비 종 수 비율에서는 평균 종 수(약 50종)보다 많은 학교 는 22개교였으며, 녹지율 대비 수목 개체수 비율에서는 평균 수목 개체수(약 1,570개체수)보다 많은 학교는 18개교였다. 종 수 대비 수목 개체수 비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종 수는 32~88종이었고, 수목 개체수가 2,000개체 이하인 학교가 81% 로 다수 분포하고 있었다.

    학교별로 교목과 관목, 만경목의 종 수와 수목 개체수를 비 교하였다(Figure 3). Table 1과 함께 살펴보면, 53개교 중 46 개교는 교목의 종 수가 관목, 만경목의 종 수보다 많았지만, 수목 개체수는 관목과 만경목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녹지율과 종 수 및 수목 개체수 사이에 뚜렷한 비례 관계 가 성립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창원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 CW-EUP-9는 녹지율이 22.73%으로 평균 (26.77%)보다 낮은 편이지만, 교목, 관목, 만경목 모두에서 종 수는 타 학교에 비해 가장 많은 반면 수목 개체수는 평균보다 적은 편에 속했다. 이는 좁은 공간에 다양한 수종이 조밀하고 다층적으로 식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통영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 TY-HRV는 녹지율(21.22%)과 종 수(45)는 평 균 이하였지만, 수목 개체수는 53개교 중 두 번째(5,481)로 많았다. 이는 소수의 수종이 작은 면적에 밀도 높게 식재된 단일층 구조의 녹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학교 녹지의 구성 방식이 단순히 녹지율이나 종 수만으로는 파악되 지 않으며, 식재 방식과 공간 활용에 따라 다양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유형별 비교

    학교 종류별, 소재지별, 설립 유형별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학교 종류로 분류하였을 때(Table 2), 중학교의 평균 녹지율 (32.63±14.02%), 평균 수목 개체수(2,187.00±1,526.92개체),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75.98±144.63㎡),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가장 높았으나(17.71±19.66개체), 평균 종 수는 48.80±13.04으로 가장 낮았다.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는 고등학교가 29.34±54.54㎡, 5.65±7.98개체로 가장 낮았다.

    소재지에 따라 도시(21개교)와 비도시(32개교) 학교를 비교 한 결과(Table 3), 도시학교가 비도시학교에 비해 평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전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평균 녹지율 은 도시 23.92±11.01%, 비도시 28.63±12.31%, 평균 수목 개체 수는 도시 1,363.81±823.42개체, 비도시 1,705.28±1,366.39개 체,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은 도시 12.27±11.67㎡, 비도 시 84.34±116.62㎡,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는 도시 2.85±1.65개체, 비도시 21.77±24.34로 나타났다. 반면 평균 종 수는 도시가 비도시에 비해 더 많았다.

    설립 유형별로 공립학교(39개교)와 사립학교(14개교)를 비교 한 결과(Table 4), 녹지율은 공립학교 23.62±9.18%, 사립학교 35.52±14.47%, 평균 종 수는 공립학교 48.49±12.90종, 사립학교 53.86±11.90종, 평균 수목 개체수는 공립학교 1,230.56±655.70 개체, 사립학교 2,515.50±1,725.55개체,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은 공립학교 49.44±81.93㎡, 사립학교 73.46±129.88㎡,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는 공립학교 13.82±22.01개체, 사립학교 15.54±18.20개체로 사립학교가 공립학교보다 모든 지표에서 높았다.

    3) 성상별 비교

    53개교에서 조사된 교·관목, 만경목에 대해 상록침엽교목, 상록활엽교목, 상록침엽관목, 상록활엽관목, 낙엽침엽교목, 낙 엽활엽교목, 낙엽활엽관목, 만경목으로 분류하여 종 수 및 수목 개체수를 확인하였다(Table 5). 경상남도 학교숲에서 낙엽활 엽교목이 14.91±6.07종으로 다른 성상에 비해 가장 많은 종 수를 보였으며, 이어 상록활엽관목(10.40±3.39), 낙엽활엽관 목(8.74±4.07), 상록침엽교목(8.30±2.30) 순으로 높았다. 계 절성을 가지는 낙엽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상별 수 목 개체수는 교목 중 상록침엽교목이 104.62±96.22개체수, 관 목 중 상록활엽관목이 805.00±708.81개체수로 많은 수목 개 체수를 기록하였다.

    전체 학교에서 가장 많이 식재된 식물을 성상별로 상위 5개 의 수종을 분류하였다(Table 6). 단, 상위 5개의 수종 중 조사 된 학교 수가 10개교 이하인 수종은 제외하였다. 상록침엽교목 에서는 향나무‘가이즈카’, 소나무, 주목, 반송, 곰솔이 가장 많 이 식재되었다. 상록활엽교목은 동백나무, 아왜나무, 홍가시나 무 순으로 수목 수량이 많았다. 상록교목에서 향나무 ‘가이즈 카’와 동백나무는 각각 51개교, 49개교로 대부분의 학교에서 식재되어 있었다. 상록침엽관목은 향나무 ‘글로보사’, 눈향나 무 순으로 많았다. 상록활엽관목은 영산홍과 사철나무, 회양목, 남천, 금목서 순으로 많이 식재되었는데, 주로 경관적 요소와 생울타리용으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낙엽침엽교목 에서는 은행나무가 가장 많이 식재되어 있었으며, 낙엽활엽교 목은 배롱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모과나무, 왕벚나무가 주 요 수종으로 나타났는데, 배롱나무는 3개교를 제외하고 모든 학교에 식재되어 있었다. 낙엽교목은 대부분 계절 변화를 직관 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수종으로 식재되었다. 낙엽활엽관 목에서는 무궁화가 가장 많이 식재되어 있었는데, 상징과 교육 적인 측면에서 식재된 것으로 판단된다. 만경목은 다른 수종에 비해 등이 상대적으로 많이 식재되어 있는 한편, 종 수, 수목 개체수에 대한 식재 비율이 낮아 학교숲에서의 만경목 활용이 낮았음을 보여준다.

    4) 교목, 교화

    학교의 상징을 나타내는 교목, 교화 현황을 파악하여 학교에 식재된 상위 5개의 수종을 나타내었다(Table 7). 교목에서는 소나무, 느티나무, 향나무, 은행나무, 은목서가 교목으로 지정 되어 있었으며, 교화에서는 장미와 철쭉, 영산홍, 개나리, 동백 나무 순으로 교화가 지정되어 있었다. 지역적 특성과 학교를 대표하는 상징성이 부족하며, 현장 확인 결과 일부 학교에서는 교목이나 교화가 지정되어 있지 않거나, 지정된 종을 잘못 인식하고 있는 사례도 확인되었다.

    5) 종다양도

    3개교에 대해 종다양도(H′), 균재도(J′), 우점도(D)를 분석 하였다(Table 8). 종다양도 지수는 종 수와 수목 개체수를 모두 고려한 지표로 여러 종이 고르게 존재할수록 값이 증가한다. 종다양도는 1.33~3.31까지 나타났으며, 평균은 2.33이었다.

    균재도는 종들이 고르게 분포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1에 가까울수록 매우 균등함을 의미한다. 균재도는 0.37~0.77 사이로, 평균은 0.60로 나타났다. 종의 우점 정도를 나타내는 우점도는 0.23~0.63 사이로 분포하며, 평균은 0.40이었다. 이 러한 지표들을 학교 종류별, 소재지별, 설립 유형별로 분류하여 평균값을 비교하였다(Table 9). 종다양도는 고등학교가 가장 높았으며, 초등학교, 중학교 순이었다. 소재지별로는 도시가, 설립 유형별로는 사립이 종다양도가 높았다. 유형에 따라 차이 를 보였으며, 고등학교, 도시지역, 사립학교에서 상대적으로 높 은 종다양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균재도와 우점도는 유형별 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고 찰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53개교에 대한 학교숲 현황을 파악하고 유형별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53개교에 대한 학교숲 의 평균 녹지율은 26.77%, 평균 종수는 약 50종, 평균 수목 개체수 약 1,570개체,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은 55.78㎡,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는 약 14개체로 나타났다.

    학교 종류별로 구분하면 중학교가 평균 종 수를 제외하고 평 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높은 값을 보였는데, Ahn(2022)의 대전광역시 학교숲 식재현황에서도 동일하게 중학교, 고등학 교, 초등학교 순으로 평균 녹지율이 높았으며, 대전광역시 (23.0%)와 비슷한 값(26.7%)을 보였다. 학교가 위치한 소재지 에 따라 도시, 비도시를 구분하여 학교숲 현황을 비교한 결과, 도심 내 조성된 학교의 평균 종 수는 높았으나, 평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비도시학교에 비해 낮았다. 이는 도시학교 가 비도시학교에 비해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녹지 면적이 작고, 학생 수도 많아 학생 1인당 녹지 면적과 교목 개체수도 적은 반면, 비도시학교는 학생 수가 적고 학교숲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어 녹지로 활용한 결과라고 추측된다. 도 시학교의 경우, 녹지의 양적 확대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단위 면적당 높은 식재 밀도, 종 수 확대 등 질적 개선을 포함한 다양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설립 유형별 비교 결과, 사립학교가 공립학교에 비해 모든 분석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 만, 사립학교의 경우 교장의 취향과 관심사에 따라 녹지 환경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었다(Shin, 2021).

    성상별로 종 수를 비교했을 때, 53개교의 전체 종 수는 상록수 109종, 낙엽수 217종으로 나타났다. 타 학교숲과 비 교해보면, 청주시 초등학교 학교숲(Park et al., 2012)은 상 록수 16종, 낙엽수 46종, 경상북도 학교숲(Jang et al., 2011) 은 상록수 18종, 낙엽수 60종으로 상록수와 낙엽수의 비율 이 1:3에 근접하였으나, 경상남도 10개교를 비교한 연구 (Jeon et al., 2024)에서는 상록수 67종, 낙엽수 102종으로 상록수의 비율이 타 지역에 비해서는 높았다. 본 연구결과 역시 상록수의 비율이 높은 점을 고려하면 남부지방이라는 지역적인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에 가장 많 이 식재된 수목을 대구광역시(Jung and Park, 2021)와 비교 했을 때, 대부분은 공통된 수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 나 대구광역시에는 동백나무가 부재한 반면, 경상남도에서 는 49개교로 상록활엽관목이 가장 많이 식재되어 있었다. 마찬가지로 경상남도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추측 된다.

    53개교의 평균 종다양도 2.33, 평균 균재도 0.60, 평균 우점 도 0.40으로 나타났다. 창원시 초등학교(Kang et al., 2021) 1.22, 경상남도 동부지역 초등학교(Jeon et al., 2024) 1.29, 경상남도 진주시 초등학교(Kang et al., 2020) 2.75와 비교했 을 때 본 연구의 초등학교는 2.34로 경상남도 진주시 초등학교 와 비슷한 수준의 종다양도를 보였으며, 창원시 및 경상남도 동부지역 초등학교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학교 중 53개 학교를 대상 으로 수목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각 학교별 학교숲 현황을 파악 하고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경상남도 학교 숲 조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다만, 본 분석자료의 조사시점을 고려하여 판단할 필요가 있는 데, 최근 경상남도 교육청에서는 ‘생태환경미래학교’, ‘운동장 생태공원 조성’이라는 이름으로 학교에 있는 운동장을 공원으 로 재구성하여 학교숲의 양적, 질적 개선을 하고 있어 경상남도 학교숲의 현황은 지속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된다.

    학교숲은 녹지 네트워크의 거점 중 하나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학교숲을 평가할 때 주변의 녹지 환경까지 통합적으로 고려해 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학교 내부의 녹지율뿐만 아니라, 학교 인근의 녹지율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현황 조사가 필요할 것이 라 판단된다. 특히 비도시학교는 도시학교에 비해 숲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주변 녹지에 가까이 접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비도시학교가 상대적으로 녹지 혜택 이 더 클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학교숲을 단순히 종 수나 수목 개체수를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학교숲의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개발된다면 학교숲을 직관적으 로 평가하고 현황을 명확히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KJEE-39-4-409_F1.jpg

    Survey sites.

    KJEE-39-4-409_F2.jpg

    Comparative ratios of green area, no. of species, and no. of individuals in schools.

    KJEE-39-4-409_F3.jpg

    (a) Proportion of species of trees and shrubs (including liana), (b) proportion of individuals of trees and shrubs (including liana).

    Table

    Percentage of green cover, no. of species, no. of individuals, green area per student, no. of trees individuals per student

    *Location: Changnyeong CN, Changwon CW, Geochang GC, Geoje GJ, Gimhae GH, Goseong GS, Hadong HD, Haman HA, Hamyang HY, Hapcheon HC, Jinju JJ, Miryang MY, Namhae NH, Sacheon SCN, Sancheong SCG, Tongyeong TY, Uiryeong UR, Yangsan YS / School level: Elementary school E, Middle school M, High school H / Location type: Urban U, Rural R / School type: Public P, Private V

    Mean percentage of green cover, mean no. of species, mean no. of individuals, mean green area per student, mean no. of trees individuals per student by class

    Mean percentage of green cover, mean no. of species, mean no. of individuals, mean green area per student, mean no. of trees individuals per student by location

    Mean percentage of green cover, mean no. of species, mean no. of individuals, mean green area per student, mean no. of trees individuals per student by school type

    No. of species and individuals by tree type

    Most frequently planted species by tree form

    Symbol trees and symbol flowers

    Species diversity indices(H´), evenness(J´), dominance(D)

    Species diversity indices(H´), evenness(J´), dominance(D) by category

    Reference

    1. Ahn, J.J. and S.B. Kim ( 2021)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forest in Daejeon City-Focusing on the case of forest for lif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5(3): 53-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hn, J.J. ( 2022)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type of school forest in Daejeon Metropolitan City-Focusing on the case of creating the forest for life-. Master’s Thesis, Univ. of Chungnam National, Daejeon, 10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e, K.S. and S.H. Choi ( 2024) A study on green space inequality evaluation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perception green spaces1- A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 Korea- . Korean J. Environ. Ecol. 38(5): 549-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yeon, J., H.J. Yun and I.H. Kim ( 2008)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achievement of school fores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1): 49-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B. and B. Park ( 2006) A study on the school forest recognition of the school community and a desirable process for making the school forest-Focused on the case schools of the “Forest for Life” in the Kangwon Youngseo region-.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9(2): 96-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ng, H.M. ( 200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chool forest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9(2): 125-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ang, C.S., C.S. Shin, B.S. Jang and O. Sharif ( 2019)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using school forests on language acquisition and ego-resilience of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Korean J. Environ. Ecol. 33(3): 333-3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ang, J.S., S.G. Jung, W.S. Lee, J.H. You and K.T. Kim ( 2011) An analysis of planting status and awareness on school forest. J. Korean Env. Res. Tech. 14(3): 3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eon, S.G., S.Y. Jo, H.W. Jun, S.H. Jeong, H.S. Moon and M.Y. Kang ( 2024)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forests associated with elementary schools in the Eastern Region of Gyeongnam-do.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33(10): 709-7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ung, T.Y. and K.M. Park ( 2021)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tree plant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 Landscape Council 13(2): 24-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ung, T.Y. and K.M. Park ( 2022) Study on species and yield of trees given objective of using school forest-Focusing on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 Landscape Council 14(2): 3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ang, M.Y., J.W. Joo, S.J. Kim, T.W. Kim and H.S. Moon ( 2021)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school forests of elementary schools in Changwon-City, Gyeongnam-do.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30(3): 207-2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ang, M.Y., J.W. Joo, S.J. Kim, T.W. Kim, H.S. Moon and M.R. Huh ( 2020) Planting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school garden in elementary schools, Jinju-Cit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54(5): 45-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D.R. and S.H. Choi ( 2021) An evolutional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laceness for school fore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4(1): 43-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I.H. ( 1998) A case study on the activiti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social organizations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applications of school landscape. J. People Plants Environ. 1(2): 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I.H., S.J. Choi and S.H. Lee ( 2000) A study on the activation strategy and state of school forest move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3(1): 111-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orea National Arboretum ( 2020)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Pocheon, Korea, 1006pp. (in Korean)
    18. Park, B.J., S.C. Kim and H.J. Lee ( 2012) Planting status of school forest in elementary schools in Cheongju, Chungbuk.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2): 119-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ielou, E.C. (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New York, viii + 165pp.
    20. Shin, H.S. ( 2021) Analysis current status of school forest in Gyeongsangnam-do. Master’s Thesis, Univ. of Pusan National, Busan, 10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You, J.H. and W.S. Lee ( 2015)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plant for constructing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chool forest-Focused on Gyeongsangbuk-do-.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Garden Design 1(1):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